KR20130062799A -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799A
KR20130062799A KR1020110129251A KR20110129251A KR20130062799A KR 20130062799 A KR20130062799 A KR 20130062799A KR 1020110129251 A KR1020110129251 A KR 1020110129251A KR 20110129251 A KR20110129251 A KR 20110129251A KR 20130062799 A KR20130062799 A KR 2013006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information
selection information
databas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매디슨에비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디슨에비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디슨에비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799A/ko
Publication of KR2013006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에 매핑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핑된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는 키워드에 관련한 선택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대방 단말기와 공유하여 키워드와 관련한 선택 정보를 검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키워드 또는 키워드로부터 생성된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부가 선택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Method for managing keyword information server}
본 발명은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에 매핑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핑된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여 사용자는 키워드에 관련한 선택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대방 단말기와 공유하여 키워드와 관련한 선택 정보를 검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키워드 또는 키워드로부터 생성된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부가 선택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채팅(chatting)은 전자 게시판이나 통신망에서, 여러 사용자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를 나누는 대화 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한 동호회나 만남이 증가하면서 채팅을 즐기는 사용자가 많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연령층도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 널리 확대 보급되면서, 스마트 폰에 다양한 채팅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며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지역에서 스마트 폰을 휴대하며 채팅을 통해 상대방과 대화한다. 더욱이 액세스 포인트의 통신 범위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경우 무료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대방과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가 가능하므로, 점점 채팅을 통한 대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카카오톡, 페이스북, 마이피플 등 다양한 채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채팅 프로그램은 문자, 사진, 이모티콘 등을 상대방과 송신하는 기능에 주안을 두고 있어 채팅 대화 내용 중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거나 스마트 폰의 채팅을 중단하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검색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대화의 연속적인 진행에 방해를 주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관심있는 분야의 정보를 검색하는데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채팅 프로그램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의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 중 선택적으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채팅 대화 중 추출한 키워드 정보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조회한 키워드 정보의 식별자를 저장하여 사용자는 채팅이 종료된 후에도 키워드에 관련한 정보를 재차 용이하게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단순히 추출한 키워드에 관련한 정보와 사용자가 채팅 중 직접 선택하여 조회한 키워드 정보를 구분 저장하여 저장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와 키워드로부터 생성된 의미 확장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부가 선택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부가 선택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채팅 중 입력되는 대화를 구문 분석하여 대화를 이루는 문장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와(a 단계),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 중 수신한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검색한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활성화 제어하는 활성화 제어 명령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b 단계), 활성화된 키워드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된 키워드 중 선택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c 단계), 선택 키워드 또는 검색한 선택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d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일반 채팅 모드 또는 키워드 채팅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채팅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채팅 모드가 키워드 채팅 모드로 설정된 경우, (a) 단계 내지 (d)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검색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예비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예비 정보 식별자와 선택 정보 식별자는 각각 예비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와 선택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검색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한 예비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예비 정보의 식별자 중 선택 정보 식별자는 선택되지 않은 예비 정보의 식별자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상기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활성화된 키워드로부터 확장 의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활성화된 다수 키워드 또는 활성화된 다수 키워드의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에 매핑되어 있는 부가 선택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한 부가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확장 의미 정보는 활성화된 키워드를 정보 온톨로지에 적용하여 생성되며 부가 선택 정보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활성화된 키워드 또는 확장 의미 정보의 색인어 조합과 일치하는 검색 색인어를 정보로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선택 정보 또는 부가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송신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송신 사용자 명령의 선택 정보 식별자 또는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와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선택 정보 또는 부가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소셜 커머스 서버의 상품/서비스 색인어와 선택 정보 또는 부가 선택 정보의 색인어를 비교하여 소셜 커머스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상품/서비스 중 선택 정보 또는 부가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서비스의 할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서비스의 할인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품/서비스 정보의 할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의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 중 선택적으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채팅 대화 중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가 채팅 대화 중 획득한 관련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여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와 상대방은 공유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원할하게 대화를 진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사용자의 채팅 대화 중 추출한 키워드 정보와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조회한 키워드 정보의 식별자를 저장하거나 구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채팅이 종료된 후에도 키워드에 관련한 정보를 재차 용이하게 검색하여 다이어리, 스케줄 등에 이용할 수 있으며 단순히 추출한 키워드에 관련한 정보와 사용자가 채팅 중 직접 선택하여 조회한 키워드 정보를 구분 저장하여 저장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는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와 키워드로부터 생성된 의미 확장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부가 선택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채팅 대화에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에서 채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채팅 모듈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채팅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서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키워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품/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되는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과 도 15는 제어부(470)를 통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대방 단말기(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대방 단말기(300)는 휴대 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 사용자는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상대방 단말기(300)를 통해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에 접속되는 인터넷 네트워크, 공중전화망 네트워크,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대방 단말기(300)가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서 실행하여 채팅 대화를 수행하는 경우, 설정한 채팅 모드에 따라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키워드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로 송신한다.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대방 단말기(300) 사이에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채팅 대화를 수행하는 경우, 채팅 설정 모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대방 단말기(300)의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색하여 검색한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상대방 단말기(300)에 활성화 제어한다. 사용자가 활성화된 키워드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300)와 공유하기 위한 송신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300)로 송신한다. 한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는 활성화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와 활성화된 키워드 중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 제어한다. 또한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는 소셜 커머스 서버(10) 또는 포탈 서비스 제공 서버(20)로부터 상품/서비스 정보를 수집 후,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상대방 단말기(300)로 상품/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에 등록된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되는 채팅 대화의 단어 중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와 일치하는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활성화된다.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활성화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 또는 키워드 조합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직접 채팅 대화 중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일치하는 키워드를 검색하여 키워드 활성화를 제어하고,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는 활성화된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의 사용자 선택 여부에 따라 선택한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의 키워드 정보만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이고 빠르게 키워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에서 채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채팅 모듈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채팅 모듈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과 채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 채팅 모드는 일반 채팅 모드와 키워드 채팅 모드로 구분되는데, 일반 채팅 모드는 키워드 정보 제공없이 문자, 사진, 이모티콘을 상대방 단말기와 송수신하며 채팅 대화를 수행하는 채팅 모드를 의미하며, 키워드 채팅 모드는 일반 채팅 모드에 추가하여 채팅 대화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상대방 단말기(300)에 제공하거나 키워드 또는 키워드로부터 생성된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에 매핑되어 있는 부가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상대방 단말기(300)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채팅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채팅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채팅 모드 설정 명령에 따라 채팅 모드를 설정하며. 일반 채팅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채팅 문자, 사진, 이모티콘 등은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시에 송수신부(13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300)로 송신된다. 한편, 채팅 제어부(120)는 키워드 채팅 모드로 채팅 모드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채팅 문자를 키워드 추출부(140)로 제공한다.
키워드 추출부(140)는 입력되는 문자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데, 채팅 대화를 구문 분석하여 대화를 이루는 문장에서 단어를 판단하고, 판단한 단어를 키워드로 추출한다. 키워드 추출부(140)는 대화를 이루는 문장에서 단어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상의 구문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 띄어쓰기에 따른 어절로 단어를 추출한다.
채팅 제어부(120)는 키워드 추출부(140)에서 추출한 키워드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로 송신하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추출한 키워드에 일치하는 키워드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추출한 키워드를 활성화 제어하기 위한 활성화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키워드 활성화부(150)는 채팅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추출한 키워드 중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키워드를 디스플레이부(160)의 대화창에 활성화 제어한다.
한편, 채팅 제어부(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60)에 활성화된 키워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활성화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부(130)를 통해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로 송신하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60)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입력된 송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수신한 정보를 채팅 대화 중인 상대방 단말기(300)로 송신 요청하기 위한 송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400)로 송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송수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채팅 모드 설정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70)는 채팅 모드 설정 명령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채팅 모드를 키워드 채팅 모드로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채팅 모드를 설정한다.
송수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추출한 키워드가 수신되는 경우, 키워드 검색부(420)는 데이터베이스부(460)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수신한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키워드 검색부(420)는 수신한 키워드 중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일치하는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일치하는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활성화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한편, 키워드 검색부(420)에서 수신한 키워드에 일치하는 키워드를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경우, 제어부(470)는 일치하는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부(460)에 저장 제어한다.
송수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활성화된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 정보 검색부(430)는 선택된 활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 또는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460)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를 키워드 정보로 편집하여 송수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활성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에 해당하는 선택 정보들이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등록 저장되어 있으며, 선택 정보 검색부(430)는 활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 또는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를 우선 순위에 따라 키워드 정보로 편집한다. 한편, 선택 정보 검색부(430)에서 활성화된 키워드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470)는 선택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부(460)에 저장 제어한다.
부가 정보 생성부(440)는 활성 키워드 또는 활성 키워드로부터 생성되는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 또는 활성 키워드, 선택 키워드 또는 활성 키워드와 선택 키워드로부터 생성되는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부가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460)에 저장하며, 송수신부(4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부가 선택 정보의 송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요청한 부가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부가 정보 생성부(440)에서 생성한 부가 선택 정보의 송신 요청 메지시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47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송신 요청한 부가 선택 정보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상품 정보 검색부(480)는 주기적으로 소셜 커머스 서버 또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소셜 커머스 서버 또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정보를 수집하며, 제어부(470)는 수집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상품 정보 포맷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부(46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는 상품/서비스 품목, 가격, 할인 정보, 위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상품/서비스 정보를 수집하며 제어부(47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일정한 포맷으로 상품 정보를 변환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제어부(470)는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상품 정보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부(460)에 저장시 서로 구분하여 저장 제어한다. 예를 들어,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상품 정보 식별자는 각각 예비 정보 조회 데이터베이스, 선택 정보 조회 데이터베이스, 부가 선택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구분되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제어부(470)는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상품 정보 식별자를 동일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데, 예비 정보 식별자 중 사용자에 선택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의 식별자는 선택되지 않은 예비 정보의 식별자보다 우선 순위로 저장 제어하며,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또는 상품 정보 식별자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또는 상품 정보 식별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또는 상품 정보 식별자보다 우선 순위로 저장 제어된다.
도 14과 도 15는 제어부(470)를 통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상품 정보 식별자도 도 14과 도 15에서와 같이 서로 구분되거나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저장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470)는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상품 정보 식별자를 예비 정보, 선택 정보, 부가 선택 정보, 상품 정보와 별도로 사용자별로 데이터베이스부(460)에 저장 제어하여, 사용자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필요한 정보를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추후 용이하게 재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어부(470)는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상품 정보 식별자를 서로 구분하여 저장 제어하거나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저장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거나 실제 참고한 정보를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추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채팅 모드 설정 명령에 따라, 사용자가 키워드 채팅 모드로 채팅 모드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키워드 채팅 모드로 초기화된다(S110).
사용자가 상대방과 채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채팅 대화 중 키워드를 추출하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를 수신한다(S120). 수신한 키워드가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지 검색하여(S130), 수신한 키워드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키워드인 경우 무시한다. 그러나 수신한 키워드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수신한 키워드를 사용자 단말기에 활성화 디스플레이 제어하기 위한 활성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며(S140), 활성화되는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가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S150). 활성화 제어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키워드는 밀줄로 활성화되거나, 다른 색으로 활성화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활성화 키워드는 다른 단어와 구분되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활성화된 키워드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S160),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검색하고, 검색한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170). 바람직하게,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활성 키워드, 선택 활성 키워드, 활성 키워드 또는 활성 선택 키워드로부터 생성되는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부가 선택 정보를 생성하거나 소셜 커머스 서버 또는 포탈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품/서비스 정보를 수집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부가 선택 정보 또는 상품/서비스 정보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부가 선택 정보 또는 상품/서비스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예비 정보 식별자, 선택 정보 식별자,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 상품/서비스 정보 식별자를 구분하거나 서로 다른 우선 순위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 제어한다(S180).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추출한 키워드를 활성화한 일 예와 활성화된 키워드를 선택시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선택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5를 살펴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키워드 채팅 모드로 설정 제어한다. 도 5(a)와 같이 사용자(철희)는 상대방(영희)와 채팅하며, 채팅 대화 중 입력되는 키워드 중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키워드는 밑줄로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채팅 대화에서 추출된 키워드 중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키워드 "학교", "신촌", "영화"가 사용자 단말기에 활성화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활성화된 키워드 중 관심있는 키워드 "영화"를 선택하는 경우, 도 5(b)와 같이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영화"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 예를 들어 인기 영화 10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해 "전송" 버튼을 누르는 경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영화"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하고 선택 정보 식별자와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6과 도 7을 참고로 도 5에서 설명한 채팅 대화를 계속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6과 같이 사용자와 상대방은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한 인기 영화 10선에 대한 정보를 확인 후 보고 싶은 영화를 결정합니다. 먼저 도 6(a)와 같이 상대방(영희)는 인기 영화 10선 중 "완득이"를 보자고 사용자(철희)에게 제안하며, "완득이"는 활성화 디스플레이됩니다. 사용자가 "완득이"에 대한 영화 내용을 문의하자, 상대방은 활성화 키워드 "완득이"를 선택하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도 6(b)와 같이 "완득이"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 예를 들어 "완득이"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합니다. 상대방이 "전송" 버튼을 누르는 경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완득이"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하고 선택 정보 식별자와 사용자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도 7(a)과 같이, 사용자(철희)가 인기 영화 10선 중 "리얼스틸"을 보자고 상대방(영희)에게 제안하며, "리얼스틸"은 활성화 디스플레이됩니다. 상대방이 "리얼스틸"에 대한 영화 내용을 문의하자, 사용자는 활성화 키워드 "리얼스틸"를 선택하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도 7(b)와 같이 "리얼스틸"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 예를 들어 "리얼스틸"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합니다. 사용자는 "전송" 버튼을 누르는 경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리얼스틸"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하고 선택 정보 식별자와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
부가 선택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8을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철희)와 상대방(영희)이 "리얼스틸"을 결정한 경우, 사용자 또는 상대방에 제공한 활성화 키워드 "리얼스틸"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에는 부가 선택 정보가 포함되며, 사용자 또는 상대방이 부가 선택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정보"버튼을 누르는 경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활성 키워드, 선택 활성 키워드 및 활성 키워드 또는 선택 활성 키워드로부터 생성된 의미 확장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생성되는 부가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또는 상대방 단말기 송신한다. 예를 들어, "리얼스틸"에 대한 선택 정보에서 "정보"버튼을 눌려 부가 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신촌에 위치하는 영화관 중 리얼스틸을 상영하는 영화관 정보와 각 영화관의 "리얼스틸" 상영 시간에 대한 부가 선택 정보를 사용자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 사용자 또는 상대방은 부가 선택 정보를 통해 영화관과 약속 시간에 적절한 상영 시간을 결정한다.
부가 선택 정보를 생성하는 일 예를 살펴보면,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의 채팅 대화의 활성 키워드 또는 선택 활성 키워드 중 "영화"로부터 기설정된 정보 온토롤지를 이용하여 영화관으로 확장 의미 정보를 생성하고, 영화관, 신촌, 리얼스틸의 조합으로부터 검색되는 정보에서 영화관 정보와 상영 시간 정보를 구비하는 부가 선택 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부가 선택 정보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자가 부가 선택 정보의 항목을 기설정하여 기설정한 항목으로 자동 생성되거나,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자에 의해 직접 제작되어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와 상대방은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또는 상대방이 관심 있는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상대방은 의사 결정에 획득한 정보를 유용하게 이용한다. 더욱이 사용자 또는 상대방이 채팅 대화 중 활성 키워드, 선택 활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와 선택 정보 및 부가 선택 정보를 차후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 가능하므로, 사용자 또는 상대방은 예비 정보 또는 선택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일기, 스케줄 작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로 살펴보면,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등록된 키워드의 데이터베이스를 송신한다(S210). 사용자 단말기는 키워드 데이터베으스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는 등록된 키워드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채팅 대화를 하는 중, 채팅 대화에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가 존재하는 경우, 일치하는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는 사용자 단말기에 활성화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활성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S220), 수신한 사용자 명령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활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인지 아니면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인지 판단한다(S230).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명령이 제1 사용자 명령인 경우 선택된 활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며(S240),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명령이 제2 사용자 명령인 경우 선택된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다(S250). 추출한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로 구성되는 키워드 정보를 생성하며(S260), 생성한 키워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한다(S270). 여기서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의 우선 순위에 대한 정보는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데,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의 우선 순위는 활성 키워드에 대해 지급된 비용 또는 조회 횟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의 채팅 화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10을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되는 채팅 대화 중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검색하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는 활성화 제어된다. 예를 들어, "재미있는 게임". "극장", "영화", "생일", "꽃배달", "신림", "맛집"의 단어가 채팅 대화 중 입력되며, "재미있는 게임". "극장", "영화", "생일", "꽃배달", "신림", "맛집"의 단어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재미있는 게임". "극장", "영화", "생일", "꽃배달", "신림", "맛집"는 채팅 대화에서 활성화된다. 한편, 활성화된 카워드의 조합, 예를 들어 "생일+꽃배달", "신림+꽃배달", "신림+맛집"으로 이루어진 조합 키워드가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가 제공 가능함을 알려주기 위한 아이콘 또는 이미지(예를 들어 "조합 검색" 아이콘)가 활성화 제어된다.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키워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11을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활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활성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경우 선택 정보로만 생성된느 키워드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조합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상세 선택 정보를 요청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활성화된 키워드의 조합으로 등록된 상세 선택 정보를 추출하여 키워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제1 사용자 명령 또는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활성화 키워드에 해당하는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를를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 선택에 따라 포괄적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선택 정보를 요청하며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상세 선택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채팅 대화에 더욱 일치하는 키워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에서 상품/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상품 정보 검색부(480)는 소셜 커머스 서버 또는 포탈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색인어를 추출하여 수집하고(S210), 수집한 색인어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선택 키워드 또는 확장 의미 정보의 색인어를 비교하여 수집한 색인어 중 선택 키워드 또는 확장 의미 정보의 색인어와 일치하는 색인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20).
일치하는 색인어를 가지는 소셜 커머스 또는 포탈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할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할인 정보를 편집하여 상품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상품 정보는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S230).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품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S240).
도 13은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되는 상품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 13을 참고로 살펴보면, 사용자와 상대방이 관람하고자 하는 영화 또는 영화관에 대한 상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품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리얼스틸의 할인 쿠폰을 사용자 단말기 또는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소셜 커머스 서버 20: 포탈 서비스 제공 서버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네트워크
300: 상대방 단말기 400: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채팅 제어부
130: 송수신부 140: 키워드 추출부
150: 키워드 활성화부 160: 디스플레이부
410: 송수신부 420: 키워드 검색부
430: 선택 정보 검색부 440: 부가 정보 생성부
460: 데이터베이스부 470: 제어부
480: 상품 정보 검색부

Claims (8)

  1. (a)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채팅 중 입력되는 대화를 구문 분석하여 대화를 이루는 문장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수신하는 단계;
    (b)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 중 상기 수신한 키워드와 일치하는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키워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활성화 제어하는 활성화 제어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활성화된 키워드의 선택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된 키워드 중 선택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선택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선택 키워드 또는 상기 검색한 선택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일반 채팅 모드 또는 키워드 채팅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채팅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채팅 모드가 상기 키워드 채팅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a) 단계 내지 (d)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상기 검색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예비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예비 정보 식별자와 상기 선택 정보 식별자는 각각 예비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와 선택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상기 검색한 키워드에 매핑되어 있는 예비 정보를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한 예비 정보의 식별자를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예비 정보의 식별자 중 선택 정보 식별자는 선택되지 않은 예비 정보의 식별자보다 높은 우선 순위로 상기 검색 조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상기 활성화된 키워드로부터 확장 의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된 다수 키워드 또는 상기 활성화된 다수 키워드의 확장 의미 정보의 조합에 매핑되어 있는 부가 선택 정보를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한 부가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확장 의미 정보는 상기 활성화된 키워드를 정보 온톨로지에 적용하여 생성되며, 상기 부가 선택 정보는 상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활성화된 키워드 또는 상기 확장 의미 정보의 색인어 조합과 일치하는 검색 색인어를 정보로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상기 선택 정보 또는 부가 선택 정보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 사용자 명령의 선택 정보 식별자 또는 부가 선택 정보 식별자와 상기 상대방 단말기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정보 또는 상기 부가 선택 정보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은
    소셜 커머스 서버의 상품/서비스 색인어와 상기 선택 정보 또는 부가 선택 정보의 색인어를 비교하여, 상기 소셜 커머스 서버로부터 제공하는 상품/서비스 중 상기 선택 정보 또는 상기 부가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서비스의 할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품/서비스의 할인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품/서비스 정보의 할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8. (a) 사용자 단말기로 등록된 키워드 또는 조합 키워드의 데이터베이스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채팅 중 입력되는 단어에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키워드와 일치하는 활성화된 키워드 중 선택된 활성화 키워드의 선택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거나,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상기 활성화된 키워드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합 키워드의 상세 선택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1 사용자 명령 또는 제2 사용자 명령에 따라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의 운선 순위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출한 선택 정보 또는 상세 선택 정보를 상기 판단한 우선 순위로 키워드 정보로 편집하고, 상기 편집한 키워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워드 정보 제공 서버의 운영 방법.
KR1020110129251A 2011-12-05 2011-12-05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KR20130062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51A KR20130062799A (ko) 2011-12-05 2011-12-05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251A KR20130062799A (ko) 2011-12-05 2011-12-05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799A true KR20130062799A (ko) 2013-06-13

Family

ID=4886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251A KR20130062799A (ko) 2011-12-05 2011-12-05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79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370A (ko) * 2013-07-25 2015-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594500B1 (ko) 2015-08-12 2016-02-16 주식회사 스캐터랩 채팅내용에 기반하여 필요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채팅 방법
KR20160053464A (ko)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소셜 러닝을 통한 러닝 콘텐츠 수집 및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소셜 러닝 서버
KR20160114928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카카오 인터랙션을 통해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말, 서버 및 방법
WO2017111287A1 (ko) * 2015-12-24 2017-06-29 오드컨셉 주식회사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199391A1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KR20210098010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링커 주제별 키워드 검색 및 귓속말 메시지 서비스 프로그램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51469A (ko) 2022-10-13 2024-04-22 홍진우 텍스트 기반의 대화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370A (ko) * 2013-07-25 2015-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60053464A (ko)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유비온 소셜 러닝을 통한 러닝 콘텐츠 수집 및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소셜 러닝 서버
KR20160114928A (ko) * 2015-03-25 2016-10-06 주식회사 카카오 인터랙션을 통해 키워드를 검색하는 단말, 서버 및 방법
JP2016184408A (ja) * 2015-03-25 2016-10-20 株式会社カカオ インタラクションを通じてキーワードを検索する端末、サーバ及び方法
KR101594500B1 (ko) 2015-08-12 2016-02-16 주식회사 스캐터랩 채팅내용에 기반하여 필요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채팅 방법
WO2017111287A1 (ko) * 2015-12-24 2017-06-29 오드컨셉 주식회사 커머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8199391A1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US10931808B2 (en) 2017-04-24 2021-02-23 Lg Electronics Inc. Terminal
KR20210098010A (ko) 2020-01-31 2021-08-10 주식회사 링커 주제별 키워드 검색 및 귓속말 메시지 서비스 프로그램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51469A (ko) 2022-10-13 2024-04-22 홍진우 텍스트 기반의 대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2799A (ko)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WO2016192509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WO2018157721A1 (zh) 信息获取方法、提供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KR102277300B1 (ko) 검색 서비스와 연결된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메시지 서버 및 사용자 단말
JP2018525745A (ja) 情報をプッシュ配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90586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advertisement
US10439974B2 (en) Sharing of activity metadata via messaging systems
CN110460514A (zh) 即时通信工具的消息发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WO2015043547A1 (en)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essage response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CN102984050A (zh) 即时通信中语音搜索的方法、客户端及系统
US11907316B2 (en) Processor-implemented method, computing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invoking a search
US10397181B2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WO2015196987A1 (zh) 支持自然语言的数据查询方法、开放平台及用户终端
JP2017525321A (ja) 近距離無線装置を用いた移動端末機の間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方法
CN112307315A (zh) 智能推荐服务的方法及装置
CN108733666B (zh) 服务器信息推送方法、终端信息发送方法及装置、系统
CN108491188A (zh) 语音对话产品的开发资源的管理方法及装置
CN106487655B (zh) 一种消息交互方法、装置及处理服务器
JP2019016347A (ja) エモーティコンを用いた検索サービスを提供するユーザー端末、検索サーバー及びその動作方法
KR20130082578A (ko) 사용자 단말기에 실행 중인 채팅 대화창의 입력 키워드에 기초한 광고 방법
US9182888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using audio data
CN112764846B (zh) 界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158838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190010278A (ko) 관심 분야별 취향 검색안내 시스템
KR101807267B1 (ko)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 및 상기 이모티콘을 이용한 검색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검색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