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612A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612A
KR20130062612A KR1020110128975A KR20110128975A KR20130062612A KR 20130062612 A KR20130062612 A KR 20130062612A KR 1020110128975 A KR1020110128975 A KR 1020110128975A KR 20110128975 A KR20110128975 A KR 20110128975A KR 20130062612 A KR20130062612 A KR 20130062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ye image
right eye
left eye
gra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학선
류장위
정효주
이각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612A/ko
Priority to US13/464,868 priority patent/US9202402B2/en
Publication of KR2013006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상기 표시판부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부, 그리고 제1 셔터와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부의 발광 구간은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1 발광 구간과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발광 구간을 포함하고, 이웃한 상기 제2 발광 구간 사이에 위치하며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열림 구간에서 상기 제1 셔터가 열린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3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셔터 안경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표시 장치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3차원(3 dimensional, 3D)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 표시 기술에서는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표현한다. 즉, 왼쪽 눈(좌안)과 오른쪽 눈(우안)에는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이 비춰지고, 좌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좌안 영상(left eye image) "이라 함)과 우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우안 영상(right eye image) "이라 함)이 뇌로 전달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뇌에서 융합되어 깊이감(depth perception) 또는 입체감을 갖는 3차원 영상으로 인식된다.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셔터 안경(shutter glasses),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등의 안경을 이용하는 안경식 방법과, 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 장치에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등을 배치하는 비안경식 방법이 있다.
셔터 안경 방식은 표시판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분리되어 연속적으로 출력되고, 셔터 안경의 좌안 셔터(left eye shutter)와 우안 셔터(right eye shutter)가 셔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으로써 입체 영상이 인식되는 방법이다. 셔터 안경 방식에서 좌안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 사이에는 미리 정해진 계조의 영상을 삽입하여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겹쳐 보이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줄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셔터 안경을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휘도를 높이며 크로스토크 현상을 줄여 입체 영상 표시 품질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그리고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의 표시 구간과 상기 우안 영상의 표시 구간 사이에 삽입 영상의 표시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는 0 계조보다 큰 제1 계조이고, 상기 삽입 영상의 계조는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그리고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좌안 영상의 표시 구간과 상기 우안 영상의 표시 구간 사이에 삽입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는 0 계조보다 큰 제1 계조이고, 상기 삽입 영상의 계조는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이다.
상기 제1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은 0V 이상 2V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고 계조는 제3 계조이고, 상기 제3 계조는 전체 계조의 최고 계조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제3 계조는 상기 제1 계조가 커질수록 커질 수 있다.
상기 표시판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하나인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를 가지고, 나머지 영상인 제2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4 계조를 가지고, 상기 표시판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5 계조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4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와 상기 제2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는 동일하게 시인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판은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제1 계조일 때 상기 액정 분자는 선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셔터 안경을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휘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입체 영상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판이 표시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압의 파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계조 영역을 구분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한 데이터 전압에 따른 영상의 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그래프의 일부분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데이터 전압에 따른 영상의 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x)에 대한 여러 데이터 전압에 따른 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최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x)에 대한 데이터 전압에 따른 대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통합 제어부(integration controller)(650), 표시판부(display panel assembly)(1000), 백라이트 제어부(950), 그리고 셔터 부재(shutter member)(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650)는 외부로부터 영상 정보(DATA)를 입력 받아 입력 영상 신호(IDAT), 3D 인에이블 신호(3D_EN), 3D 타이밍 신호(3D_TM), 3D 동기 신호(3D_sync), 그리고 입력 영상 신호(IDAT)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CONT1) 등을 생성한다. 통합 제어부(650)는 입력 영상 신호(IDAT), 3D 인에이블 신호(3D_EN), 입력 제어 신호(CONT1) 등을 표시판부(1000)의 타이밍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고, 3D 인에이블 신호(3D_EN) 및 3D 타이밍 신호(3D_TM)를 백라이트 제어부(950)에 전달할 수 있고, 3D 동기 신호(3D_sync)를 셔터 부재(6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 영상 신호(IDAT)는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질 수 있다. 3D 인에이블 신호(3D_EN)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3D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시하고, 3D 타이밍 신호(3D_TM)는 3D 모드에 따른 여러 구동 신호의 타이밍 정보를 담을 수 있다. 3D 동기 신호(3D_sync)는 3D 모드에 따라 셔터 부재(60)가 포함하는 셔터의 열림과 닫힘(on/off) 시기를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이다. 입력 제어 신호(CONT1)는 영상 표시와 관련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판부(100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유기 발광 전계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표시 장치, 전기 습윤 표시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또는 멤스(MEMS)를 이용한 표시 장치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부(100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판(display panel)(300)과 이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600), 그리고 표시판(300)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부(backlight unit)(9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판(30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표시 신호선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L- GL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L-DLm)을 포함한다. 각 화소(PX)는 해당 게이트선(GL, …, GLn) 및 데이터선(DL, … DLm)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이에 연결된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입력 받은 3D 인에이블 신호(3D_EN)에 따라 2D 모드 또는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신호(IDAT)와 입력 제어 신호(CONT1)를 기초로 입력 영상 신호(IDAT)를 표시판(3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2)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3) 등을 생성한 후, 게이트 제어 신호(CONT2)를 게이트 구동부(40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낸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표시판(300)의 데이터선(DL-DLm)에 연결되어 계조 전압 생성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받은 계조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거나 복수의 계조 전압을 계조 전압 생성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한 행의 화소(PX)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수신하고 계조 전압으로부터 각 디지털 영상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전압(Vd)으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선(DL-DLm)에 인가한다. 3D 모드에서 데이터 전압(Vd)은 좌안 영상용 데이터 전압("좌안 데이터 전압"이라 함)과 우안 영상용 데이터 전압("우안 데이터 전압"이라 함)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게이트선(GL-GLn)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L-GLn)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타이밍 제어부(60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게이트선(GL-GLn)에 인가하여 이 게이트선(GL-GL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데이터선(DL-DL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Vd)이 턴온된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해당 화소(PX)에 인가될 수 있다.
백라이트부(900)는 표시판(300)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의 예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형광 램프,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표시판부(1000)는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와 동일함)를 단위로 하여 모든 게이트선(GL-GL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모든 화소(PX)에 데이터 전압(Vd)을 인가하여 한 프레임(frame)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3D 모드에서 한 프레임은 모든 화소(PX)에 대해 좌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 또는 모든 화소(PX)에 우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시간일 수 있다.
좌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프레임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프레임 사이에는 소정 계조의 삽입 영상(insertion image)을 표시하는 삽입 구간(insertion period)이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삽입 구간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겹쳐 보이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 영상의 계조는 0 계조일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0 계조보다 큰 계조일 수도 있다. 삽입 구간은 한 프레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95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3D 타이밍 신호(3D_TM)와 3D 인에이블 신호(3D_EN) 등을 입력 받아 이들을 바탕으로 백라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백라이트부(900)에 전송한다. 이와 달리 백라이트 제어부(950)는 타이밍 제어부(6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백라이트부(900)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셔터 부재(6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셔터의 개폐 타이밍 및 개폐 유지 시간 등에 대한 신호인 3D 동기 신호(3D_sync)를 입력 받아 이에 따라 셔터를 개폐할 수 있다. 3D 동기 신호(3D_sync)는 타이밍 제어부(600)에서 생성되어 셔터 부재(60)로 전달될 수도 있다. 따라서 셔터 부재(60)는 표시판부(1000)와 동기되어 있을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의 개폐를 통해 관찰자는 표시판부(1000)가 표시하는 영상을 입체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부재(6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 셔터(60a) 및 좌안 셔터(60b)를 포함하는 셔터 안경일 수 있다. 표시판(300)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면 셔터 부재(60)이 좌안 셔터(60b)와 우안 셔터(60a)는 표시판부(1000)에 동기되어 번갈아 가면서 빛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우안 셔터(60a)가 열린 상태인 동안 좌안 셔터(60b)는 닫힌 상태일 수 있으며, 반대로 좌안 셔터(60b)가 열린 상태인 동안 우안 셔터(60a)는 닫힌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 모드에 따라 좌안 셔터(60b)와 우안 셔터(60a)는 모두 열린 상태일 수도 있고, 모두 닫힌 상태일 수도 있다. 관찰자가 셔터 부재(60)를 사용하여 표시판(300)의 영상을 인식하면 셔터 부재(60)를 통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차이에 의해 깊이감을 갖는 입체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 방법에 대해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게이트 구동부(400)가 게이트선(GL-GLn)에 차례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부(500)가 데이터선(DL-DLm)에 데이터 전압(Vd)을 인가하면, 표시판(300)의 화소(PX)에 해당 데이터 전압(Vd)이 인가되어 해당 계조의 영상을 표시한다. 데이터 전압(Vd)이 포함하는 우안 데이터 전압(R)과 좌안 데이터 전압(L) 각각은 한 프레임 동안 모든 화소(PX)에 입력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우안 데이터 전압(R)과 한 프레임의 좌안 데이터 전압(L)은 교대로 모든 화소(PX)에 입력될 수 있다.
우안 데이터 전압(R)의 입력 구간과 좌안 데이터 전압(L)의 입력 구간 사이에는 소정 계조의 삽입 영상(insertion image)에 대한 삽입 데이터 전압(Ba)을 표시하는 삽입 데이터 전압(Ba)의 입력 구간("삽입 구간(insertion period)"이라 함)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데이터 전압(Ba)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겹쳐 보이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 영상의 계조는 0 계조일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0 계조보다 큰 계조일 수도 있다. 삽입 구간은 한 프레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백라이트부(900)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발광 구간(ON) 동안 발광할 수 있다. 백라이트부(900)의 각 발광 구간(ON) 동안에 표시판(300)은 각 발광 구간(ON)과 중첩하거나 직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 화소(PX)에 입력된 우안 데이터 전압(R) 또는 좌안 데이터 전압(L)에 따른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각 발광 구간(ON)은 삽입 구간의 적어도 일부와 시간적으로 중첩할 수 있으며, 해당 삽입 구간 직전 프레임의 데이터 전압(L, R)의 입력 구간과 일부 중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은 복수의 화소(PX) 중 적어도 하나의 화소(PX)에 좌안 데이터 전압(L)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R)이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발광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발광 구간(ON)은 좌안 데이터 전압(L)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R)의 입력의 완료 시점으로부터 제1 시간(t1) 전 또는 좌안 데이터 전압(L)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R)의 입력 시작점으로부터 제3 시간(t3) 후에 시작하여 데이터 전압(L, R)의 입력의 종결점으로부터 제2 시간(t2) 후에 끝날 수 있다. 제1 시간(t1)과 제3 시간(t3)의 합은 한 프레임일 수 있고, 제1 시간(t1)은 0보다 크고 한 프레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며, 제2 시간(t2)은 0보다 크거나 같고 한 프레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시간(t1-t3)은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셔터 부재(60)의 좌안 셔터(60b) 또는 우안 셔터(60a)는 좌안 데이터 전압(L) 또는 우안 데이터 전압(R)의 입력 구간에 각각 대응하는 백라이트부(900)의 발광 구간(ON)에 대응하여 열릴 수 있다. 좌안 셔터(60b) 또는 우안 셔터(60a)의 각 열림 구간은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의 적어도 일부 시간 동안 열려 있을 수 있다. 각 열림 구간은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의 시작점보다 제4 시간(t4) 전에 시작하거나 발광 구간(ON)의 시작점 이후에 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열림 구간은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의 종료점보다 제5 시간(t5) 후에 끝나거나 그 이전에 종료할 수도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판이 표시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압의 파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계조 영역을 구분한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판(300)이 시간차를 두고 표시하는 좌안 영상(La)과 우안 영상(Ra)을 각각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안 영상(La)과 우안 영상(Ra)은 블랙인 배경에서 화이트를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든다. 도 3에서 편의상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이 각각 화이트인 부분만 지시하고 있으나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 각각은 표시판(300)의 모든 화소(PX)가 한 프레임 동안 표시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화이트는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이 표시할 수 있는 계조 중 가장 높은 최고 계조를 의미할 수 있고, 블랙은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이 표시할 수 있는 계조 중 가장 낮은 최저 계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 구간을 사이에 두고 이웃한 프레임에 표시되는 좌안 영상(La)과 우안 영상(Ra) 각각은 중첩 영역(overlapping region)(S)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non-overlapping region)(T)을 포함할 수 있다. 중첩 영역(S)에서 좌안 영상(La)과 우안 영상(Ra)은 모두 화이트를 표시하고 중첩하지 않는 영역(T)에서는 우안 영상(Ra) 및 좌안 영상(La) 중 어느 하나만 화이트를 표시하고 나머지는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중첩하지 않는 영역(T)의 화소(PX)에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Vd)은 도 5와 같은 파형을 가질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중첩 영역(S)의 화소(PX)에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Vd)은 도 6과 같은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판(300)의 중첩 영역(S) 및 중첩하지 않는 영역(T)의 화소에 한 프레임(A) 동안 좌안 데이터 전압(L)이 입력되고, 다음 프레임(B) 동안 삽입 데이터 전압(Ba)이 입력되고, 다음 프레임(C) 동안 우안 데이터 전압(R)이 입력되고, 다음 프레임(D) 동안 다시 삽입 데이터 전압(Ba)이 입력되고, 다음 프레임(A')부터는 지금까지의 프레임이 계속 반복될 수 있다. 전체 계조가 0 계조부터 n 계조를 포함할 때, 좌안 영상, 우안 영상, 그리고 삽입 영상 모두에 대한 데이터 전압(Vd)은 0 계조 이상 n 계조 이하의 계조에 대응하는 전압일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압(Vd)은 공통 전압(Vcom)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전압일 수 있으며, 이 경우 0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Vd)은 0V로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전압(Vd)이 n 계조에 대응하는 전압일 경우 영상은 화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판(300)에 표시된 좌안 영상(La)의 중첩하지 않는 영역(T)에서 한 프레임(A) 동안 입력되는 좌안 데이터 전압(L)은 k 계조(x<=k<=n, 0<x<n)에 대응하는 전압일 수 있고, 프레임(C) 동안 입력되는 우안 데이터 전압(R)은 x 계조에 대응하는 전압일 수 있다. 여기서 k 계조는 n 계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안 영상은 화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k 계조는 x 계조보다 큰 계조 또는 화이트인 경우를 예로 들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판(300)의 중첩 영역(S)에서 프레임(A)과 프레임(A') 동안 입력되는 좌안 데이터 전압(L)은 k 계조(x<=k<=n, 0<x<n)에 대응하는 전압일 수 있고, 프레임(C) 동안 입력되는 우안 데이터 전압(R)은 m 계조(x<=m<=n, 0<x<n)일 수 있다. k 계조와 m 계조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여기서 k 계조 및 m 계조는 가능한 계조 중 최고 계조(예를 들어 n 계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은 화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한편, 삽입 구간에서 입력되는 삽입 데이터 전압(Ba)은 x 계조보다 작은 계조에 대한 전압을 가질 수 있다. 한 예로 삽입 데이터 전압(Ba)은 0 계조(블랙)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안 영상(La)과 우안 영상(Ra)이 가질 수 있는 계조의 최저 계조는 0 계조보다 큰 x 계조이며,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영상의 계조는 0 계조 이상 x 계조 미만의 계조이다. 즉, 블랙을 표시하는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계조는 0 계조보다 큰 x 계조를 가지고, 삽입 영상의 블랙은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블랙의 계조보다 항상 작은 계조를 가진다. x 계조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저계조 영상의 표시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을 정도의 계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좌안 또는 우안 영상의 블랙 계조 및 삽입 영상의 블랙 계조의 설정은 타이밍 제어부(600) 또는 통합 제어부(65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0 계조부터 n 계조까지의 전체 계조 중 0 계조부터 x 계조 미만까지의 구간은 저계조 클리핑 구간(low gray clipping region)(CG1)으로서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을 표시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 계조 영역이 될 수 있다. 저계조 클리핑 구간(CG1)은 삽입 구간에서 삽입 영상의 계조로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삽입 영상의 계조는 블랙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y 계조 초과 n 계조 이하의 계조 영역은 고계조 클리핑 구간(CG2)으로서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y 계조는 x 계조의 값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x 계조가 커질수록 y 계조는 점점 n 계조에 근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계조 클리핑 구간(CG2)의 최저 계조인 y 계조는 n 계조가 될 수도 있고 고계조 클리핑 구간(CG2)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저계조 클리핑 구간(CG1)과 고계조 클리핑 구간(CG2)을 제외한 계조 영역은 사용 가능한 계조 영역(available gray region)(AG)으로서 좌안 영상(La) 및 우안 영상(Ra)의 가능한 계조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데이터 전압에 따른 영상의 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그래프의 일부분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데이터 전압에 따른 영상의 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좌안 영상(La)이 k 계조를 나타날 때 휘도(Ga)는 프레임(A) 동안 상승하여 최고 휘도(L3)를 나타내고 삽입 구간인 프레임(B) 동안 휘도(Ga)가 하강한다. 다음 프레임(C) 동안 우안 영상(Ra)이 블랙인 x 계조를 나타내므로 프레임(B)에서 하강해 오던 휘도(Ga)는 계속 하강하여 x 계조가 나타내고자 하는 블랙에 가까운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음 프레임(D)에서는 블랙인 삽입 영상이 표시되어 휘도(Ga)는 계속 하강할 수 있다. 다음 프레임(A')에서는 다시 k 계조인 좌안 영상(La)이 표시되므로 휘도(Ga)는 최고 휘도(L3)를 향해 상승한다.
이때 프레임(C)에서 비록 우안 영상(Ra)이 블랙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 계조가 0 계조가 아닌 x 계조(x>0)로 표현되고 그에 따른 우안 데이터 전압(R)도 삽입 데이터 전압(Ba)(예를 들어, 0V)보다 큰 값을 가진다. 따라서 프레임(C)에서 표시판(300)의 화소(PX)는 블랙을 표시함에도 불구하고, 0 계조보다 큰 x 계조에 대한 우안 데이터 전압(R)을 인가받으며, 이 우안 데이터 전압(R)은 0 계조인 경우에 비해 이후 프레임(A')에서 인가될 k 계조에 대한 좌안 데이터 전압(L) 쪽으로 가까운 값이며, 이러한 상태는 삽입 구간인 프레임(D)에도 지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판부(1000)가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프레임(C)에서 우안 데이터 전압(R)이 0V가 아닌 경우 액정 분자(도시하지 않음)는 수직 배향된 상태에 대해 선경사(pretilt)를 가지게 되고 이는 연속하는 프레임(D)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선경사 효과가 있는 구간은 도 9에서 영역(P1)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C, D)에서의 선경사 효과로 인해 프레임(A')에서 좌안 영상(La)이 나타내는 휘도(Ga)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블랙 계조가 0 계조인 경우의 그래프(Ga')에 비해 더 빠르게 최고 휘도(L3)에 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좌안 영상(La)이 나타내는 최고 휘도(L3)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프레임(B)의 삽입 구간에서 삽입 영상의 계조가 x 계조보다 낮은 계조이므로 다음 프레임(C)의 계조보다 항상 낮으며, 해당 삽입 데이터 전압(Ba)도 다음 프레임(C)의 우안 데이터 전압(R)보다 낮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영상도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최저 계조인 x 계조와 같은 경우의 그래프(Ga")에 비해 우안 영상(Ra)이 프레임(C)에서 보다 빠르게 블랙 휘도로 낮아질 수 있으며 이를 언더 슛(undershoot) 효과라 한다. 이러한 언더 슛 효과에 의해 프레임(B)에서 휘도가 빠르게 낮아져 프레임(C)에서 삽입 구간이 표시하고자 하는 블랙 휘도로 빠르게 가까워질 수 있으므로 좌안 영상(La)과 우안 영상(Ra) 사이의 크로스토크(crosstalk) 현상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좌안 영상(La)과 우안 영상(Ra) 모두 x 계조보다 큰 k 계조 또는 m 계조를 나타날 때, 휘도(Gb)는 각 프레임(A, C, A') 동안 상승하여 최고 휘도(L2)를 나타내고 삽입 구간인 각 프레임(B, D) 동안에는 휘도(Ga)가 하강한다. 도 10에서는 k 계조와 m 계조가 동일한 계조인 경우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k 계조와 m 계조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의 프레임(C)에서의 최고 휘도는 다른 프레임(A, A')에서의 최고 휘도(L2)와 다를 수 있다. 한편, 삽입 영상은 x 계조보다 작은 계조, 예를 들어 0 계조를 가지고 있으나 표시판(300)의 응답 속도에 따라 삽입 구간인 프레임(B, D) 동안에 휘도(Gb)가 0으로 완전히 내려오지 않고 최저 휘도(L1)를 가질 수 있다. 표시판(300)의 응답 속도가 빠른 경우 삽입 구간에서 최저 휘도(L1)는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삽입 구간에서 최저 휘도(L1)가 0이 아니므로 다음 프레임(A, C, A')에서 k 계조 또는 m 계조를 나타내는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최고 휘도(L2)도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와 같이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최저 계조를 0 계조보다 큰 x 계조로 하고, 삽입 구간의 삽입 영상은 x 계조보다 작은 계조로 하면, 앞에서 설명한 선경사 효과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프레임(A')에서 좌안 영상(La)의 최고 휘도(L3)와 도 9에 도시한 프레임(A')에서 좌안 영상(La)의 최고 휘도(L2)가 대략 동일하게 시인될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표시판(300)의 영상에서 좌안 영상(La)의 중첩 영역(S)과 중첩하지 않는 영역(T)의 휘도가 대략 같아질 수 있고 입체 영상의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 프레임(B, C, D) 연속해서 블랙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선경사 효과에 의해 다음 프레임(A')에서 목표 휘도로 빠르게 올라갈 수 있으므로 고계조 클리핑 구간(CG2)을 더욱 줄일 수 있고 표시 영상의 휘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와 관련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좌안 영상(La)이 k 계조이고 우안 영상(Ra)이 x 계조를 나타내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중첩하지 않는 영역(T)은 우안 영상(Ra)의 오른쪽 영역을 가리킬 수 있고, 도 5에서 좌안 데이터 전압(L)이 x 계조에 대응하고 우안 데이터 전압(R)이 k 계조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x)에 대한 여러 데이터 전압에 따른 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최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x)에 대한 데이터 전압에 따른 대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앞에서 설명한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최저 계조인 x 계조 또는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이 높을수록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휘도가 높아질 수 있는데,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이 너무 낮을 경우 앞에서 설명한 선경사 효과를 이용해 휘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미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의 최소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반면,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이 문턱 전압(Vth)보다 높을 경우 좌안 영상(La) 또는 우안 영상(Ra)의 블랙 영상의 휘도가 높아 대비비(contrast ratio)가 좋지 않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이 대략 2V보다 클 경우 대비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의 문턱 전압(Vth)을 대략 2V로 설정할 수 있다. 즉, x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Vd(x))의 범위는 삽입 영상의 계조에 대한 삽입 데이터 전압(Ba)보다 크고 대략 2V 이하로 설정하면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대비비를 좋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표시판부(1000)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액정 표시 장치는 수직 배향 모드(vertical alignment mode)에 따른 액정 분자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60: 셔터 부재 300: 표시판
400: 게이트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타이밍 제어부 650: 통합 제어부
900: 백라이트부 950: 백라이트 제어부
1000: 표시판부 Ba: 삽입 데이터 전압

Claims (20)

  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그리고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의 표시 구간과 상기 우안 영상의 표시 구간 사이에 삽입 영상의 표시 구간이 위치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는 0 계조보다 큰 제1 계조이고,
    상기 삽입 영상의 계조는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2 계조는 0 계조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은 0V 이상 2V 이하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고 계조는 제3 계조이고,
    상기 제3 계조는 전체 계조의 최고 계조보다 작거나 같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3 계조는 상기 제1 계조가 커질수록 커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표시판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하나인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를 가지고, 나머지 영상인 제2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4 계조를 가지고,
    상기 표시판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5 계조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4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와 상기 제2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는 동일하게 시인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표시판은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제1 계조일 때 상기 액정 분자는 선경사를 이루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제1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은 0V 이상 2V 이하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고 계조는 제3 계조이고,
    상기 제3 계조는 전체 계조의 최고 계조보다 작거나 같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3 계조는 상기 제1 계조가 커질수록 커지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표시판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하나인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를 가지고, 나머지 영상인 제2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4 계조를 가지고,
    상기 표시판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5 계조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4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와 상기 제2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는 동일하게 시인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표시판은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제1 계조일 때 상기 액정 분자는 선경사를 이루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표시판의 제1 영역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하나인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를 가지고, 나머지 영상인 제2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4 계조를 가지고,
    상기 표시판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5 계조를 가지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4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와 상기 제2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는 동일하게 시인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표시판은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제1 계조일 때 상기 액정 분자는 선경사를 이루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5.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대로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판 및 상기 복수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판부, 그리고 좌안 셔터와 우안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부재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서,
    상기 좌안 영상의 표시 구간과 상기 우안 영상의 표시 구간 사이에 삽입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저 계조는 0 계조보다 큰 제1 계조이고,
    상기 삽입 영상의 계조는 상기 제1 계조보다 작은 제2 계조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제2 계조는 0 계조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5항에서,
    상기 제1 계조에 대한 데이터 전압은 0V 이상 2V 이하인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5항에서,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의 최고 계조는 제3 계조이고,
    상기 제3 계조는 전체 계조의 최고 계조보다 작거나 같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5항에서,
    상기 표시판의 제1 영역에 상기 제1 계조를 가지는 제1 영상과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4 계조를 가지는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표시판의 제2 영역에 상기 제1 계조보다 큰 제5 계조를 가지는 상기 제1 영상과 상기 제4 계조를 가지는 상기 제2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좌안 영상 및 상기 우안 영상 중 한 영상이고,상기 제2 영상은 그 나머지 영상이며,
    상기 제1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와 상기 제2 영역이 표시하는 상기 제2 영상의 휘도는 동일하게 시인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5항에서,
    상기 표시판은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좌안 영상 또는 상기 우안 영상이 상기 제1 계조일 때 상기 액정 분자는 선경사를 이루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10128975A 2011-12-05 2011-12-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62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975A KR20130062612A (ko) 2011-12-05 2011-12-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3/464,868 US9202402B2 (en) 2011-12-05 2012-05-04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975A KR20130062612A (ko) 2011-12-05 2011-12-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12A true KR20130062612A (ko) 2013-06-13

Family

ID=4852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975A KR20130062612A (ko) 2011-12-05 2011-12-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02402B2 (ko)
KR (1) KR201300626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69126B (zh) * 2012-09-05 2015-01-1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的像素驅動方法
US20150085090A1 (en) * 2013-09-25 2015-03-2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thereof
TWI559730B (zh) * 2014-08-25 2016-11-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立體畫面顯示系統及其方法
JP2019154008A (ja) * 2018-03-06 2019-09-12 シャープ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液晶ディスプレイの表示方法、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409A (ja) * 2001-05-23 2002-12-06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液晶表示装置、液晶ディスプレイ駆動回路、液晶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65713A (ja) 2002-09-18 2004-06-10 Media Technology:Kk 画像表示装置
JP2006343697A (ja) 2005-06-10 2006-12-21 Sharp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4985184B2 (ja) 2007-07-26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JP4702459B2 (ja) 2009-01-29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組立体、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の駆動方法
JP4770948B2 (ja) 2009-03-03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594052B1 (ko) 2009-05-13 2016-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577826B1 (ko) 2009-05-27 2015-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10024238A (ko) 2009-09-01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68798B1 (ko) 2009-09-09 2016-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328787B1 (ko) * 2010-05-07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279659B1 (ko) * 2010-05-14 2013-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681779B1 (ko) * 2010-07-14 2016-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백라이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1424A1 (en) 2013-06-06
US9202402B2 (en)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322B1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324412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9116360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81779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백라이트 제어 방법
JP5589311B2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76188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281989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171615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시스템
KR2015006941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133739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20320056A1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988412B2 (en) Dri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US8854440B2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30062612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872816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973172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60087459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662987B1 (ko) 3d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1763935B1 (ko)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20150221263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24023B1 (ko) 입체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입체영상 표시 장치를 위한 데이터 구동 장치 및 셔터 안경
KR20100073321A (ko) 입체 영상 시스템
JP2016062093A (ja) シャッター眼鏡、シャッター眼鏡の駆動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10050166A (ko)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120003758A (ko) 스캐닝 백라이트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