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963A - 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 Google Patents

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963A
KR20130061963A KR1020110128301A KR20110128301A KR20130061963A KR 20130061963 A KR20130061963 A KR 20130061963A KR 1020110128301 A KR1020110128301 A KR 1020110128301A KR 20110128301 A KR20110128301 A KR 20110128301A KR 20130061963 A KR20130061963 A KR 2013006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steam
cooking
recycling system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8023B1 (en
Inventor
오한솔
Original Assignee
오한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한솔 filed Critical 오한솔
Priority to KR102011012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23B1/en
Publication of KR2013006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9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hybrid recycling system for the waste heat of a cooking utensil is provided to reduce energy loss by utilizing the collected waste heat to directly heat food arranged in the cooking utensil, hot water for a kitchen, or a space when the cooking utensil is heated for a long time. CONSTITUTION: A hybrid recycling system for the waste heat of a cooking utensil(14) comprises the cooking utensil, a vapor collecting pipe, a heat storage tank(60), and a vapor distributor(70). The cooking utensil is heated by a heat source and stores food. The vapor collecting pipe is connected to a cover or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utensil and collects vapor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utensil. The vapor distributor is installed between the vapor collecting pipe and a heat exchange pipe and distributes the vapor collected from the vapor collecting pipe to the cooking utensil or the heat exchange pipe. [Reference numerals] (26) Control unit; (AA) Hot water for a dish washer; (BB) Hot water for a kitchen; (CC) For heating; (DD) Condensate; (EE) Caldron 1; (FF) Full heating(ex: 9kw); (GG) Caldron 2; (HH) Partial heating(ex: 3kw); (II) Caldron 3; (JJ) Partial heating(ex: 3kw)

Description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본 발명은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고 분배하여 다른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주방용 온수 또는 난방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or a composite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collect and distribute steam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to directly heat food in another cooking vessel, or to recycle it with hot water or heating for kitch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일반적으로, 가마솥이나 곰솥 등과 같은 대형의 조리용기는 많은 양의 밥을 짓거나 사골 육수 등과 같이 장시간 가열하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대형 음식점 등에서는 가스버너나 화덕 등에 대형 조리용기를 거치하고, 오랜 시간동안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거나 조리용기 내의 음식을 고온으로 유지하고 있다.In general, large cooking vessels such as cauldrons and bear pots are used to cook large amounts of rice or cook foods that are heated for a long time such as bone bone broth. In large restaurants and the like, a large cooking container is placed on a gas burner or a stove, and the cooking container is heated for a long time to cook food or keep food in the cooking container at a high temperature.

그런데, 버너 등의 열원에서 조리용기측으로 열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특히, 대형 음식점 등에서 조리용기를 장시간 가열할 경우 조리용기 자체적으로 외기에 의해 열이 식는 과정에서 폐열이 발생되며, 물이 증발되면서 상당한 양의 폐열이 발생된다.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heat loss occurs in the process of moving heat from the heat source such as the burner to the cooking vessel side. In particular, when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for a long time in a large restaurant, waste heat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heat by the outside air in the cooking vessel itself, and a considerable amount of waste heat is generated as the water evaporates.

도 1은 한국특허공개 KR10-2010-0091079호에 개시된 개량솥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용기를 효과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를 보여준다.1 relates to an improved pot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010-0091079, and shows a structure for effectively heating a heating vessel.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에 개시된 개량솥은 버너(7)의 열을 모아주는 불막이판(3)이 부착된 가열용기(2)와, 가열용기(2)와 원주방향의 등간격으로 형성된 연관(6)과, 상부로 이동되는 열을 하부로 유도하는 상부링(5)과, 폐열을 가열용기(2) 외부면과 외부격판(4) 사이로 방출시키기 위한 폐가스 통과공(8)으로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9는 버너 재치대를 지지하는 다리(9)이고, 미설명 부호 10은 버너를 재치하는 버너 재치대(10)를 예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1, the improved pot disclosed in the prior document is a heating vessel (2) attached with a fire plate (3) to collect the heat of the burner (7), the heating vessel (2)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associated ring (6) formed, an upper ring (5) for directing the heat moved upwards, and a waste gas through hole (8) for discharging waste heat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vessel (2) and the outer plate (4). It is composed.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9 denotes a leg 9 for supporting a burner mounting table, and reference numeral 10 illustrates a burner mounting table 10 for mounting a burner.

개시된 선행문헌은 버너(7)에서 발생한 열이 불막이판(3)의 역할로 모여져 가열용기(2) 내벽 속에 삽설된 연관(6)들을 통과하면서 가열용기를 가열한다. 그리고, 상부의 폐열은 가열용기(2) 외부를 재가열하며 폐가스 통과공(8)의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열원에서 조리용기측으로 열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disclosed prior art heats the heating vessel while heat generated in the burner 7 is collected in the role of the bladder plate 3 and passes through the pipes 6 inserted in the inner wall of the heating vessel 2. Then, the waste heat of the upper portion is reheated outside the heating vessel (2) is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ste gas passage hole (8). Therefore, heat loss may be minimized in the process of moving heat from the heat source to the cooking vessel.

그러나, 조리용기를 장시간 가열하는 과정에서 조리용기 자체적으로 열이 식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 및,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장시간 조리용기를 가열할 때 조리용기로부터 폐열을 회수하는 것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aste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cooking vessel itself 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cooking vessel for a long time, and waste hea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evaporation of moisture inside the cooking vessel still exist. Therefore, when heating the cooking vessel for a long time it is difficult to recover the waste heat from the cooking vessel.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으로부터 증기를 포집하여 폐열을 회수하고, 회수된 폐열을 분배하여 다른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주방용 온수 또는 난방용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조리용기를 장시간 가열할 때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조리용기 가열을 위한 에너지 자원 및 주방용 보일러 등의 에너지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team from the cover or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to recover the waste heat, and by distributing the recovered waste heat to directly heat the food in the other cooking vessel or recycled for kitchen hot water or heating, when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for a long tim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or a combined cooking vessel which can reduce energy loss and save energy resources such as cooking boilers and energy boiler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덮개 또는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포집관;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 및 이 열교환 파이프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를 내장한 축열조; 및 상기 증기 포집관 및 열교환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며 증기 포집관으로부터 회수된 증기를 조리용기 또는 열교환 파이프측으로 분배하는 증기 분배기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cooking containers heated by a heat source and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steam collecting tube connected to each cover or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collecting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A heat storage tank containing a heat exchange pipe and a heat medium heated by the heat exchange pipe; And a steam distributor installed between the steam collecting tube and the heat exchange pipe and distributing steam recovered from the steam collecting tube to a cooking vessel or a heat exchange pipe s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로 사용된다.
In the mix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used as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the kitchen where the cooking container is loc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된다.
In a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a kitchen in which a cooking vessel is loc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증기 분배기에서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내부로 인입되어 조리용기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을 더 포함한다.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am supply pipe which is introduced into each of the cooking vessels from the steam distributor and supplies steam into the cooking vessel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증기 공급관 각각에는 증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가 설치된다.
In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team supply pipes is provided with an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supply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증기 포집관을 개폐하는 증기 밸브를 더 포함한다.
The complex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collecting tu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에 설치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개폐하는 안전 밸브를 더 포함한다.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afety valve installed at a cover or an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to open and close the vessel to release steam from the cooking vessel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조리용기의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한다.
Combin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cooking vessel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조리용기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냉각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된다.
In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vessel has a cooling water pipe insert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열원에 의해 가열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 또는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수단; 상기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포집관; 상기 증기 포집관을 개폐하는 증기 밸브; 상기 센서수단에서 검출된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증기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 및 이 열교환 파이프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를 내장한 축열조; 및 상기 증기 포집관 및 열교환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며 증기 포집관으로부터 회수된 증기를 조리용기 또는 열교환 파이프측으로 분배하는 증기 분배기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includes: a cooking container heated by a heat source and accommodating food therein; Sensor means installed in the cooking vessel and detecting a temperature or pressure inside the cooking vessel; A steam collecting tube connected to the cover or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collecting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A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collecting pipe;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open the steam valve when the temperature or pressure detected by the sensor mean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A heat storage tank containing a heat exchange pipe and a heat medium heated by the heat exchange pipe; And a steam distributor installed between the steam collecting tube and the heat exchange pipe and distributing steam recovered from the steam collecting tube to a cooking vessel or a heat exchange pipe s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로 사용된다.
In the mix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used as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the kitchen where the cooking container is loc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된다.
In a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a kitchen in which a cooking vessel is loc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증기 분배기에서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내부로 인입되어 조리용기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 및 이 증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한다.
In a mix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am supply pipe for introducing steam into each of the cooking containers from the steam distributor and supplying steam to the cooking container, and an opening / 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supply pipe. It further includ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에 설치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개폐하는 안전 밸브를 더 포함한다.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afety valve installed at a cover or an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to open and close the vessel to release steam from the cooking vessel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조리용기의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한다.
Combin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cooking vessel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조리용기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냉각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된다.
In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vessel has a cooling water pipe insert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센서수단에서 검출된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치 미만일 경우 해당 조리용기에 증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 제어한다.
In the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or a combine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mperature or pressure detected by each sensor means of the cooking vessel is less than a set value,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valve to supply steam to the cooking vessel. Open contro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기의 가열 전에 포집된 증기로 조리용기를 예열하도록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 제어한다.
In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 / off valve to preheat the cooking vessel with steam collected before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증기 밸브를 순차 개방 제어하며, 이에 대응하여 다음 순차의 조리용기에 증기를 공급하도록 다음 순차의 조리용기 각각에 연결된 증기 공급관의 개폐 밸브를 순차 개방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controls the steam valves of the respective cooking vessel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rrespondingly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of the steam supply pipes connected to each of the next cooking vessels to supply steam to the next cooking vessels. do.

본 발명의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리용기들로부터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증발점에 이르렀을 때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으로부터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분배하여 다른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축열조에서 축열하여 식기세척기 온수, 기타 주방 온수, 및 주방용 난방용으로 재활용함으로써, 대형 음식점 등에서 사골 육수 등을 장시간 가열하는 경우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회수된 폐열을 효과적으로 재활용하여 주방에서의 에너지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ixed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od in the cooking container reaches an evaporation point from a plurality of cooking containers, the steam is collected from the cover or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and the collected steam is distributed to other cooking devices. By heating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directly or regenerated in the heat storage tank and recycling it for dishwasher hot water, other kitchen hot water, and kitchen he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energy loss when heating the bone bone stock for a long time in a large restaurant. Recycling has the effect of saving energy resources in the kitchen.

도 1은 종래 개량솥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조리용기 내부에 냉각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improved po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olant pipe is inserted into the cooking vessel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a combined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parts having similar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when a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 in betwee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원(10)의 상부에 조리용기 거치대(12)가 위치하고, 조리용기 거치대(12) 상에는 조리용기(14)가 거치된다. 조리용기(14)는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16)을 가열하기 위한 용기 형태로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에는 용기를 밀폐할 수 있는 덮개(18)가 장착된다. 바람직한 예시로서, 조리용기(14)는 가마솥, 곰솥 등 장시간 음식물(16)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ooking vessel holder 12 is positioned on the heat source 10, and the cooking vessel 14 is mounted on the cooking vessel holder 12. The cooking vessel 14 may have various shapes as a container for heating the food 16 accommodated therein, and a cover 18 may b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to seal the container. As a preferred example, the cooking vessel 14 is a container for cooking food 16 for a long time, such as a cauldron, bear pot.

도 2에서 도시한 열원(10)은 전기히터이지만, 가스버너 등 공지의 다양한 열원으로 대체될 수 있다. 조리용기 거치대(12)는 예컨대 화덕, 석쇠 등 조리용기(14)를 거치하면서 열원(10)의 열을 조리용기(14)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조리용기 거치대(12) 상에 단일의 조리용기(14)만 거치된 상태를 예시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에서 조리용기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조리용기들이 거치된다.The heat source 10 shown in FIG. 2 is an electric heater, but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known heat sources such as a gas burner. For example, the cooking vessel holder 12 may have various shapes in which openings are formed to pass the heat of the heat source 10 to the cooking vessel 14 while passing through the cooking vessel 14 such as an oven or a grill.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only a single cooking vessel 14 is mounted on the cooking vessel holder 12, this is to help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cooking vessel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are mounted.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의 덮개(18)에는 증기 포집관(20)이 연결된다. 증기 포집관(20)의 일단은 덮개(18)를 관통하여 조리용기(14) 내부까지 연장된다.As shown,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is connected to the cover 18 of the cooking vessel. One end of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extends through the cover 18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vessel 14.

다른 예로서, 도 3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조리용기의 외벽 상측에 증기 포집관(20)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증기 포집관(20)을 덮개(18)가 아닌 조리용기의 상측에 연결하면, 증기 포집관(20)과 관계없이 덮개(18)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vapor collecting tube 20 may b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cooking vessel. As such, when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instead of the lid 18, the lid 18 can be opened and closed freely regardless of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증기 포집관(20)의 타단은 폐열 재활용 시스템(30)측에 연결된다. 그리고 증기 포집관(20) 상에 설치된 증기 밸브(22)를 개폐함에 따라 조리용기(14) 내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폐열 재활용 시스템(30)으로 이동한다. 폐열 재활용 시스템(30)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other end of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is connected to the waste heat recycling system 30 side. As the steam valve 22 installed on the steam collecting pipe 20 is opened and closed,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14 moves to the waste heat recycling system 30. The waste heat recycling system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증기 포집관(20)은 수동 조작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조리용기(14) 내의 음식물(16)이 증발하는 증발점을 센싱하여 증기 포집관(20)을 자동으로 개폐함으로써 음식물(16)이 증발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가열시간을 저해하지 않고 폐열 회수 효율을 높게 한다.The steam collecting tube 2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manual operation. However, preferably, by sensing the evaporation point at which the food 16 in the cooking vessel 14 evaporates and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vapor collecting tube 20, the heating time until the food 16 reaches the evaporation point is inhibited. Increase the waste heat recovery efficiency.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조리용기(14)의 내부에는 조리용기(14) 내부의 압력이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수단(24)이 설치된다. 센서수단(24)은 조리용기(14) 내부의 음식물(16)이 증발하는 증발점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센서수단(24)은 공지의 온도센서이거나 압력센서일 수 있으며, 온도센서와 압력센서가 통합된 통합형 센서일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nsor means 24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vessel 14 is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vessel 14. The sensor means 24 is a means for detecting an evaporation point at which the food 16 inside the cooking vessel 14 evaporates. The sensor means 24 may be a known temperature sensor or a pressure sensor, or may be an integrated sensor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are integrated.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6)는 센서수단(24)에서 검출된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증기 밸브(22)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6)는 센서수단(24)의 출력전압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증기 밸브(22)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등의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26)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센서수단(24)의 출력을 AD 컨버팅하여 인식하고 디지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센서수단(24)의 출력 레벨 설정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증기 밸브(22)를 개방 제어하기 위한 설정치는 음식물의 실제 증발점보다 약간 높게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6 shown in FIG. 2 controls to open the steam valve 22 when the temperature or pressure detected by the sensor means 24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control unit 26 may be configured as an analog circuit such as switching the power of the steam valve 22 in accordance with an analog signal such as the output voltage of the sensor means 24.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6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and may be configured as a digital circuit for AD converting and recognizing the output of the sensor means 24 and outputting a digital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microprocessor can adjust the output level setting value of the sensor means 24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In addition, the set poin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steam valve 22 in the microprocessor may be set slightly higher than the actual evaporation point of the foo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8)에는 조리용기(14)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안전 밸브(28)가 더 설치된다. 안전 밸브(28)는 밀폐된 조리용기(14) 내부의 압력이 이상 상승할 경우, 조리용기(14) 내부의 압력을 해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As shown in FIG. 2, the cover 18 is further provided with a safety valve 28 for releasing steam inside the cooking vessel 14 to the outside. The safety valve 28 is used to release the pressure inside the cooking vessel 14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sealed cooking vessel 14 is abnormally increased.

안전 밸브(28)는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밸브(28)는 자동으로도 개폐 제어된다. 예컨대, 제어부(26)는 센서수단(24)에서 검출된 온도 또는 압력이 이상상태를 나타낼 경우 안전 밸브(28)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로서, 안전 밸브(28)는 자체적으로 압력 감지 기능을 구비하여 압력이 높아지면 독자적으로 개방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The safety valve 28 can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Preferably, the safety valve 28 is also automatically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26 controls to open the safety valve 28 when the temperature or pressure detected by the sensor means 24 indicates an abnormal state. As another example, the safety valve 28 may have its own pressure sensing function to actuate itself to open when the pressure is high.

도 2를 참조하면, 조리용기(14)의 상측에는 조리용기(14)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40)이 연결된다. 그리고 물 공급관(40)에는 물 공급 밸브(42)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개폐할 수 있다. 물 공급 밸브(42)는 수동으로 조작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음식물의 수분 증발에 의해 물이 부족할 때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2, the water supply pipe 40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cooking vessel 14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14. And the water supply pipe 4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valve 42 can open and close the supply of water. The water supply valve 42 may be operated manually, bu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supplied when there is a lack of water by moisture evaporation of the food.

이를 위하여, 조리용기(14) 내부에는 음식물(16)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 센서(44)가 설치된다. 상기한 제어부(26)는 레벨 센서(44)에서 검출한 수위가 설정치 이하로 떨어질 경우 물 공급 밸브(42)를 개방하여 조리용기(14) 내에 물을 보충한다. 물 공급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진행된다.To this end, the level sensor 44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food 16 is installed in the cooking vessel 14. The controller 26 replenishes the water in the cooking vessel 14 by opening the water supply valve 42 when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level sensor 44 falls below the set value. The water supply is run for a predetermined time.

다른 예로서, 만수위를 검출하는 레벨 센서가 추가로 장착되고, 제어부(26)는 만수위를 검출하는 레벨 센서의 출력에 따라 물 공급 밸브(42)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high water level may be further mounted, and the control unit 26 may control to close the water supply valve 42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high water level.

도 4는 본 발명에서 조리용기(14) 내부에 냉각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조리용기(14)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냉각수 파이프(50)가 삽입 설치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냉각수 파이프(50)는 조리용기(14)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서 나선형으로 설치되며, 상측 일단부로는 냉각수가 유입되고 하측 일단부에서는 냉각수가 유출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olant pipe is inserted into the cooking vessel 14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coolant pipe 50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cooking vessel 14.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olant pipe 50 is spiral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cooking vessel 14, and the coolant flows into the upper end and the coolant flows out from the lower end.

이와 같이 조리용기(14)의 벽 안에 삽입 설치된 냉각수 파이프(50)를 이용하여 조리용기(14)를 빠르게 식혀줄 경우, 음식물의 맛을 살리고 조리용기(14)의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oking vessel 14 is quickly cooled by using the cooling water pipe 50 inserted into the wall of the cooking vessel 14, the taste of food may be enhanced and the transportation of the cooking vessel 14 may be conveni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리용기(14) 각각의 덮개(18)에 연결된 증기 포집관(20)은 증기 분배기(70)에 연결된다. 그리고, 증기 분배기(70)에서 외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기 공급관(80)은 축열조(60) 및 조리용기(14) 각각으로 연결된다.5 illustrates a combin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connected to the cover 18 of each of the cooking vessels 14 is connected to the steam distributor 70. In addition, the steam supply pipe 80 for supplying steam to the outside from the steam distributor 7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heat storage tank 60 and the cooking vessel 14.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공급관(80)은 조리용기(14)의 내부로 인입되어, 증기 공급관(80)을 통해 공급되는 증기에 의해 조리용기(14) 내부의 음식물(16)이 직접 가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증기 분배기(70)에서 분배된 증기로 조리용기(14) 내부의 음식물(16)을 직접 가열하면, 음식물(16)을 예열하거나 열원(10)의 가열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폐열 증기만으로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16)을 가열하고, 별도의 열원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집된 폐열로 조리용기의 외부를 간접 가열하는 방식이 아니라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16)을 직접 가열함에 따라 폐열을 재활용하는 과정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the steam supply pipe 80 is introduced into the cooking vessel 14, so that the food 16 in the cooking vessel 14 is directly heated by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pipe (80). do. As such, when the food 16 inside the cooking vessel 14 is directly heated by the steam distributed in the steam distributor 70, the food 16 may be preheated or the heating effect of the heat source 10 may be enhanced. In some cases, only the waste heat steam may heat the food 16 inside the cooking vessel, and a separate heat source may be unnecessary. The heat loss in the process of recycling waste heat can be minimized by directly heating the food 16 inside the cooking container, rather than indirectly heating the out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with the collected waste heat.

축열조(60)는 증기를 수집하여 열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챔버 내부에 열매체가 충전된다. 축열조(60) 내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 파이프(62)가 내장된다. 따라서 열교환 파이프(62)를 따라 증기가 이동하면서 열매체를 가열한다. 열교환 파이프(62)를 지나면서 냉각된 증기는 응축수로 회수된다.The heat storage tank 60 is configured to collect steam and store heat, and the heat medium is filled in the chamber. Inside the heat storage tank 60, a heat exchange pipe 62 is incorporated as shown. Therefore, the heat medium is heated while steam moves along the heat exchange pipe 62. Steam cooled by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pipe 62 is recovered as condensate.

열매체는 예컨대 물 또는 기타 열전달 효율이 좋은 유체이다. 일예로서, 열매체는 물이며, 축열조(60) 내에서 가열된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식기세척기 온수, 기타 주방 온수, 및 난방용 용수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The heat medium is, for example, water or other good heat transfer fluid. As an example, the heat medium is water, and the heat medium heated in the heat storage tank 6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dishwasher hot water, other kitchen hot water, and heating water in the kitchen where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다른 예로서, 열매체는 축열량이 높은 기름일 수 있다. 그리고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나 난방용으로 공급되는 온수관의 주변을 열매체가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heat medium may be oil having a high heat storage amount. In addition, the heating medium may have a structure indirectly heating the surroundings of the hot water pipe supplied for hot water or heating of the kitchen in which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도 5에서와 같이 증기 분배기(70)에서 각 조리용기(14)측으로 증기 공급관(80)이 연결되어, 조리용기(14)로부터 회수된 증기를 조리용기(14)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는 용도로 재활용한다.As shown in FIG. 5, a steam supply pipe 80 is connected to each cooking vessel 14 from the steam distributor 70 to directly heat food in the cooking vessel 14 using steam recovered from the cooking vessel 14. To recycle.

도 5에서는 가마솥1의 증기 포집관(20)을 개폐하는 증기 밸브를 개폐 밸브(71)로 예시하고, 가마솥2의 증기 포집관(20)을 개폐하는 증기 밸브를 개폐 밸브(73)로 예시하고, 가마솥3의 증기 포집관(20)을 개폐하는 증기 밸브를 개폐 밸브(75)로 예시하였다. 그리고 가마솥1, 가마솥2, 가마솥3 각각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80)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는 각각 도면부호 72, 74, 76으로 예시하였으며, 축열조(60)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는 도면부호 77로 예시하였다.In FIG. 5, a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of the cauldron 1 is illustrated as an on / off valve 71, and a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collecting tube 20 of the cauldron 2 is illustrated as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73. , The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collecting pipe 20 of the cauldron 3 was exemplified as the on-off valve 75. And opening and closing valv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supply pipe (80) for supplying steam to each of the cauldron 1, cauldron 2, cauldron 3 are illustrated by reference numerals 72, 74, 76, respectively, the steam supply pipe for supplying steam to the heat storage tank (60) Opening and closing valves that open and close are exemplified by reference numeral 77.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의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5 will be described the functional relationship of the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시스템 전체를 하나의 제어부(26)에서 제어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조리용기(14)마다 센서수단(24) 및 레벨 센서(44)의 검출값에 따라 조리용기(14)의 증기 밸브(22), 안전 밸브(28), 및 물 공급 밸브(42)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서브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하고, 증기 분배기(70)에 연결된 파이프들의 개폐 밸브(71, 72, 73, 74, 75, 76, 77)를 제어하는 것은 주 제어부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Although FIG. 5 illustrates that the entire system is controlled by one control unit 26, the steam valves of the cooking vessel 14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s of the sensor means 24 and the level sensor 44 for each cooking vessel 14. 22, a separa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afety valve 28 and the water supply valve 42 separately,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71, 72, 73, 74, 75, of the pipes connected to the steam distributor 70, Controlling 76, 77 may be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ler.

조리용기(14) 각각에서 증기 포집, 안전 밸브 동작, 물 공급 등을 제어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증기 분배기(70)에 연결된 파이프들의 개폐 밸브(71, 72, 73, 74, 75, 76, 77)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Since controlling the steam collection, the safety valve operation, the water supply, etc. in each of the cooking vessels 14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opening / closing valves 71, 72, 73, 74, 75, The process of controlling 76, 77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복수개의 조리용기들로부터 폐열을 회수함에 따라, 가열중인 조리용기가 있을 경우 증기 분배기(70)에는 항시 증기가 들어오는 상태이다.In the mix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waste heat is recovered from the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steam is always in the steam distributor 70 when there is a cooking vessel being heated.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26)는 조리용기(14) 각각의 센서수단(24)에서 검출된 온도 또는 압력이 상기한 설정치 미만일 경우 해당 조리용기에 증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 밸브(72, 74, 76)를 개방 제어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valves 72, 74, and 76 to supply steam to the cooking vessel when the temperature or pressure detected by the sensor means 24 of each of the cooking vessels 14 is lower than the set value. ) Can be controlled open.

다른 예로서, 제어부(26)는 조리용기(14)를 가열하기 전에 회수된 증기로 조리용기(14) 내부의 음식물(16)을 예열하기 위하여, 증기 공급관(80)의 개폐 밸브(72, 74, 76)를 개방 제어하여 예열이 필요한 조리용기(14)에 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72 and 74 of the steam supply pipe 80 to preheat the food 16 inside the cooking vessel 14 with the recovered steam before heating the cooking vessel 14. , 76 may be controlled to open to supply steam to the cooking vessel 14 requiring preheating.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26)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조리용기(14) 각각으로부터 증기를 포집하기 위한 개폐 밸브(71, 73, 75)를 순차 개방 제어한다. 이러한 순차 제어는 가열이 시작된 조리용기(14)를 우선으로 증기를 포집하고, 조리용기(14)의 냉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이후 해당 조리용기(14)로부터의 증기 포집을 중단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26 sequentially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valves 71, 73, and 75 for collecting steam from each of the cooking vessels 14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is sequential control may be performed by collecting steam in the cooking vessel 14 that has started heating, and stopping collecting steam from the cooking vessel 14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 order to prevent cooling of the cooking vessel 14. Can be.

만약, 조리용기(14)마다 용량이 차이가 나는 경우 이에 따라 조리용기(14)로부터 증기를 포집하는 시간을 증감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강불로 가열해야 하는 조리용기(가마솥1)와 약불로 가열해야 하는 조리용기(가마솥2, 가마솥3) 등과 같이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조리용기의 가열 방식에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그에 따라 증기를 포집하는 시간을 증감할 수 있다.If the capacity is different for each cooking vessel 14, the time for collecting steam from the cooking vessel 14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ly. In addi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5, the cooking method of heating th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the type of food, such as cooking vessel (cauldron 1) to be heated by a strong fire and cooking containers (cauldron 2, cauldron 3) to be heated by a low heat.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the time for collecting steam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그리고, 제어부(26)는 위와 같은 증기 포집 제어에 대응하여 다음 순차의 조리용기(14)에 증기를 공급하도록 다음 순차의 조리용기 각각에 연결된 증기 공급관(80)의 개폐 밸브(72, 74, 76)를 순차 개방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72, 74, and 76 of the steam supply pipes 80 connected to each of the next cooking vessels so as to supply steam to the next cooking vessels 14 in response to the steam collection control as described above. Sequential opening control.

이 개폐 밸브(72, 74, 76)의 제어 역시 조리용기(14)의 용량 또는 가열 방식 등에 따라 개방 시간을 적절하게 제어한다.The control of the on / off valves 72, 74, 76 also appropriately controls the opening time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ooking vessel 14 or the heating method.

한편, 제어부(26)는 증기 분배기(70)으로 증기가 회수되면 개폐 밸브(77)를 개방하여 축열조(60)에 폐열을 저장하고, 주방 온수나 난방용으로 폐열을 재활용하도록 제어한다. 축열조(60)에 증기를 공급하는 제어는 증기 분배기(70)에 폐열이 수집되는 동안 항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조리용기(14)의 예열과 비교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축열조(60)에 증기를 공급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6 controls the waste heat to be stored in the heat storage tank 60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77 when the steam is recovered to the steam distributor 70, recycling the waste heat for kitchen hot water or heating. Control of supplying steam to the heat storage tank 60 may be performed at all times while waste heat is collected in the steam distributor 70. Alternatively, the time for supplying steam to the heat storage tank 6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priority in comparison with the preheating of the cooking vessel 14.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은 조리용기의 덮개(18)측으로부터 증발점을 판단하여 증기를 포집하고, 포집된 증기를 분배하여 다른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축열하여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식기 세척기 온수, 주방 온수, 난방용 등으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포집된 폐열이 가까운 장소에서 사용되므로 폐열을 재활용하는 과정에서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주방에서의 에너지 사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contain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collects steam by determining an evaporation point from the cover 18 side of the cooking container, distributes the collected steam, and directly heats or accumulates food in another cooking container. Used for the dishwasher hot water, kitchen hot water, and heating in the kitchen where the cooking vessel is located. Accordingly, since the collected waste heat is used in a nearby place, heat loss in the process of recycling waste heat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use of energy in the kitchen.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10 : 열원 12 : 조리용기 거치대
14 : 조리용기 16 : 음식물
18 : 덮개 20 : 증기 포집관
22 : 증기 밸브 24 : 센서수단
26 : 제어부 28 : 안전 밸브
30 : 폐열 재활용 시스템 40 : 물 공급관
42 : 물 공급 밸브 44 : 레벨 센서
50 : 냉각수 파이프 60 : 축열조
62 : 열교환 파이프 70 : 증기 분배기
71, 72, 73, 74, 75, 76, 77 : 개폐 밸브
80 : 증기 공급관
10: heat source 12: cooking vessel holder
14: cooking container 16: food
18: cover 20: steam collecting tube
22: steam valve 24: sensor means
26 control unit 28 safety valve
30: waste heat recycling system 40: water supply pipe
42: water supply valve 44: level sensor
50: coolant pipe 60: heat storage tank
62: heat exchange pipe 70: steam distributor
71, 72, 73, 74, 75, 76, 77: on-off valve
80: steam supply pipe

Claims (19)

열원에 의해 가열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덮개 또는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포집관;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 및 이 열교환 파이프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를 내장한 축열조; 및
상기 증기 포집관 및 열교환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며 증기 포집관으로부터 회수된 증기를 조리용기 또는 열교환 파이프측으로 분배하는 증기 분배기를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heated by a heat source and accommodating food therein;
A steam collecting tube connected to each cover or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collecting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A heat storage tank containing a heat exchange pipe and a heat medium heated by the heat exchange pipe; And
And a steam distributor installed between the steam collecting tube and the heat exchange pipe and distributing steam recovered from the steam collecting tube to the cooking vessel or the heat exchange pip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로 사용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a combined cooking vessel used as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a kitchen in which a cooking vessel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a combined cooking vessel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a kitchen in which a cooking vessel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분배기에서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내부로 인입되어 조리용기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team supply pipe drawn into each of the cooking vessels from the steam distributor and supplying steam into the cooking vesse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공급관 각각에는 증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가 설치된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Combin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is installed in each of the steam supply pipe opening and 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supply pip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포집관을 개폐하는 증기 밸브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ombin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collecting pip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에 설치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개폐하는 안전 밸브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ombin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safety valve installed on the cover or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to open and close to release the steam inside the cooking vessel to the outsid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cooking vessel,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tub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냉각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된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the cooking vessel, the cooling water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열원에 의해 가열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조리용기;
상기 조리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리용기 내부의 온도 또는 압력을 검출하는 센서수단;
상기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포집하는 증기 포집관;
상기 증기 포집관을 개폐하는 증기 밸브;
상기 센서수단에서 검출된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치 이상일 경우 상기 증기 밸브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내부에 열교환 파이프 및 이 열교환 파이프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를 내장한 축열조; 및
상기 증기 포집관 및 열교환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며 증기 포집관으로부터 회수된 증기를 조리용기 또는 열교환 파이프측으로 분배하는 증기 분배기를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A plurality of cooking vessels heated by a heat source and accommodating food therein;
Sensor means installed in the cooking vessel and detecting a temperature or pressure inside the cooking vessel;
A steam collecting tube connected to the cover or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collecting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vessel;
A steam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collecting pipe;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o open the steam valve when the temperature or pressure detected by the sensor mean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A heat storage tank containing a heat exchange pipe and a heat medium heated by the heat exchange pipe; And
And a steam distributor installed between the steam collecting tube and the heat exchange pipe and distributing steam recovered from the steam collecting tube to the cooking vessel or the heat exchange pipe s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로 사용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a combined cooking vessel used as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a kitchen in which a cooking vessel is loc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의 열매체는 조리용기가 위치한 주방의 온수 또는 난방용 용수를 가열하는 열원으로 사용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heat medium of the heat storage tank is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a combined cooking vessel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hot water or heating water in a kitchen in which a cooking vessel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분배기에서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내부로 인입되어 조리용기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공급관 및 이 증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team supply pipe that is introduced into each of the cooking vessels from the steam distributor and supplies steam into the cooking vessel, and an on / 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eam supply tube.
제10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덮개 또는 상측에 설치되어 조리용기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개폐하는 안전 밸브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Combin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safety valve installed on the cover or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to open and close to release the steam inside the cooking vessel to the outside.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상측에 연결되며 조리용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과, 상기 물 공급관을 개폐하는 물 공급 밸브를 더 포함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And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cooking vessel and supplying water into the cooking vessel, and a water supply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tube.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냉각수 파이프가 삽입 설치된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The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the cooking vessel, the cooling water pipe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센서수단에서 검출된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치 미만일 경우 해당 조리용기에 증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the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to supply steam to the cooking vessel when the temperature or pressure detected by each sensor means of the cooking vess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기의 가열 전에 포집된 증기로 조리용기를 예열하도록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is a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the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n-off valve to preheat the cooking vessel with the steam collected before the cooking vess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조리용기 각각의 증기 밸브를 순차 개방 제어하며, 이에 대응하여 다음 순차의 조리용기에 증기를 공급하도록 다음 순차의 조리용기 각각에 연결된 증기 공급관의 개폐 밸브를 순차 개방 제어하는 복합형 조리용기 폐열 재활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sequentially controls the steam valves of the respective cooking vessel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rrespondingly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of the steam supply pipes connected to each of the next cooking vessels to supply steam to the next cooking vessels. Combined cooking vessel waste heat recycling system.
KR1020110128301A 2011-12-02 2011-12-02 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KR101328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1A KR101328023B1 (en) 2011-12-02 2011-12-02 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301A KR101328023B1 (en) 2011-12-02 2011-12-02 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963A true KR20130061963A (en) 2013-06-12
KR101328023B1 KR101328023B1 (en) 2013-11-13

Family

ID=4885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301A KR101328023B1 (en) 2011-12-02 2011-12-02 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32B1 (en) * 2013-06-26 2014-03-06 주식회사3차버너 Large sized soup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12Y1 (en) 2003-03-11 2003-05-27 김귀복 Circulating System of Cooling water of Extractor having Water Bath
KR100829218B1 (en) * 2006-11-21 2008-05-14 박강수 Steamer apparatus using heat source of heated steam
KR101000803B1 (en) * 2010-01-28 2010-12-13 오문근 Cooking apparatus using superheated ste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732B1 (en) * 2013-06-26 2014-03-06 주식회사3차버너 Large sized soup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023B1 (en)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6776B1 (en) Pressurized steam cooker
WO2015019303A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JP2011229970A (en) Cooker
KR101000803B1 (en) Cooking apparatus using superheated steam
CN103919447A (en) Cooking pot
KR101328023B1 (en) Hybrid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KR101326153B1 (en) Pot for collecting waste heat
JP2005065819A (en) Steam cooker
CN101433429A (en) Energy-saving multifunctional integral kitchen tool
KR101326165B1 (en) Recycling system for waste heat of pot
JP2005065847A (en) Steam supplier for steam cooker
KR20130005956U (en) Rotary type soup oven comprising waste heat recovery device
EP3865042B1 (en) Heat recovery oven with dishwasher
KR101197928B1 (en) A cooking stove set using wasteheat
CN116997750A (en) Household steam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discharging water vapor
CN203789678U (en) Cooking pot
KR101264271B1 (en) Cooking device for nuddles
US20100242862A1 (en) Steam Box Having An Energy-Saving Function
KR101393738B1 (en) Rice coker using gas and electric
CN102697383A (en) Gas steaming pot
KR200467947Y1 (en) Steam cooker
CN202938358U (en) Multifunctional energy-saving integral stove
CN106419534B (en) A kind of electronics teapot based on water circulation use
CN215424105U (en) Electric heating steam barrel
KR200385125Y1 (en) Soup carrying c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