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357A -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357A
KR20130061357A KR1020110127612A KR20110127612A KR20130061357A KR 20130061357 A KR20130061357 A KR 20130061357A KR 1020110127612 A KR1020110127612 A KR 1020110127612A KR 20110127612 A KR20110127612 A KR 20110127612A KR 20130061357 A KR20130061357 A KR 20130061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box
railway vehicle
link
bogi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박성태
강광호
이원상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1357A/ko
Publication of KR2013006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26Mounting or securing axle-boxes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61F5/30Axle-boxes mounted for movement under spring control in vehicle or bogie under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슬박스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액슬박스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로 이루어져, 대차의 프레임 및 액슬박스 사이에 제1,2링크부가 액슬박스로 전달되는 모멘트를 상쇄시켜 액슬박스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고속주행하는 직선구간에서 철도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axle box supporting device for rail vehicles}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슬박스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하여 철도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대차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고 철도차량의 주행안내를 쉽게 하는 장치로서, 대차의 프레임에 윤축과 액슬박스 및 현가장치인 축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의 프레임(11) 전후에는 윤축(20)이 단부가 액슬박스(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설치되고, 상기 대차(10)의 프레임(11) 및 액슬박스(30)의 사이에는 양측으로 2개의 축스프링(40)이 상기 액슬박스(30)를 지지하며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축스프링(40)은 탄성에 의해 상기 대차(10)의 프레임(11) 및 액슬박스(30)가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대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대차(1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축스프링(40)은 액슬박스(30)의 상하방향의 변위제한은 효과적이나 액슬박스(30)가 대차(10)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함에 있어서는 한계를 가지게 됨에 따라 고속주행하는 직선구간에서 철도차량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슬박스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고속주행하는 직선구간에서 철도차량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에 형성된 액슬박스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액슬박스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액슬박스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2링크가 상기 액슬박스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링크부는 상기 액슬박스를 중심으로 대각선상에 대응 위치하여 서로 횡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액슬박스의 대각선상에는 각각 상기 제1,2링부의 일단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액슬박스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는 상기 제1,2고정부에 대응하도록 연결되는 제1,2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링크부의 일단 및 타단에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2고정부 및 제1,2연결부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1,2링크부를 횡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축받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차의 프레임 및 액슬박스 사이에 제1,2링크부가 액슬박스로 전달되는 모멘트를 상쇄시켜 액슬박스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고속주행하는 직선구간에서 철도차량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슬박스의 설치상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액슬박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계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계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10)에 형성된 액슬박스(30)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구성은 상기 액슬박스(30)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각각 일정길이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액슬박스(30)를 중심으로 대각선상에 대응 위치하여 서로 횡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며 상기 액슬박스(30) 및 대차(10)의 프레임(11)을 연결하는 제1링크부(110)와 제2링크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110) 및 제2링크부(120)를 서로 상기 액슬박스(30)의 대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액슬박스(30)의 대각선상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1링크부(110) 및 제2링크부(120)의 일단이 연결하기 위한 제1,2고정부(210, 2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 대차(10)의 프레임(11)에는 상기 제1,2고정부(210, 220)에 대응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제1링크부(110) 및 제2링크부(120)의 타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1,2연결부(310,320)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링크부(110) 및 제2링크부(120)의 일단 및 타단에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2고정부(210, 220) 및 제1,2연결부(310, 320)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1,2링크부(110, 120)를 회전하게 하는 축받이부(40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축받이부(400)는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름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링크부(110)의 일단은 상기 축받이부(400)를 통해 제1고정부(21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링크부(110)의 타단은 상기 축받이부(400)를 통해 제1연결부(31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2링크부(120)의 일단도 상기 축받이부(400)를 통해 제2고정부(2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링크부(120)의 타단도 상기 축받이부(400)를 통해 제2연결부(3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이 직선구간을 주행할 경우, 액슬박스(30)에는 상하방향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축스프링(40)은 탄성에 의해 액슬박스(30)에 상하방향의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대차(1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액슬박스(30)의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는 제1,2링크(110, 120)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철도차량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직진구간에서 축스프링(40)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축스프링(40)에 연결된 액슬박스(30) 또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변위하게 된다.
이때, 액슬박스(30)의 양측에 연결된 제1,2링크부(110, 120)는 액슬박스(30)에 전달되는 모멘트를 상쇄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함으로써, 축스프링(40)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강성을 제1,2링크부(110, 120)를 통해 부여받게 됨에 따라 축스프링(40)이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 제1,2링크부(110, 120)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된 축받이부(400)는 제1,2고정부(210, 220) 및 제1,2연결부(310, 320)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1,2링크부(110, 12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축스프링(40)이 상하방향의 변위를 하거나 곡선구간에서 윤축(20)이 조향할 경우, 제1,2링크부(110,120)는 축스프링(40)과 액슬박스(30)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
10: 대차 11: 프레임
20: 윤축 30: 액슬박스
40: 축스프링 110: 제1링크부
120: 제2링크부 210: 제1고정부
220: 제2고정부 310: 제1연결부
320: 제2연결부 400: 축받이부

Claims (4)

  1. 철도차량의 대차에 형성된 액슬박스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액슬박스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액슬박스의 타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2링크가 상기 액슬박스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2링크부는 상기 액슬박스를 중심으로 대각선상에 대응 위치하여 서로 횡 방향으로 평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액슬박스의 대각선상에는 각각 상기 제1,2링부의 일단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액슬박스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2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대차의 프레임에는 상기 제1,2고정부에 대응하도록 연결되는 제1,2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1,2링크부의 일단 및 타단에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2고정부 및 제1,2연결 사이에 각각 연결된 제1,2링크부를 회전하게 하는 축받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KR1020110127612A 2011-12-01 2011-12-01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KR20130061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12A KR20130061357A (ko) 2011-12-01 2011-12-01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12A KR20130061357A (ko) 2011-12-01 2011-12-01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57A true KR20130061357A (ko) 2013-06-11

Family

ID=4885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12A KR20130061357A (ko) 2011-12-01 2011-12-01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13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301A (zh) * 2019-07-18 2019-10-15 通号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窄轨车辆转向架及其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9301A (zh) * 2019-07-18 2019-10-15 通号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窄轨车辆转向架及其制造方法
CN110329301B (zh) * 2019-07-18 2020-08-14 通号轨道车辆有限公司 一种窄轨车辆转向架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663B2 (en) Steering bogie and vehicle
JP5010630B2 (ja) 低床式車両
JP2016203865A (ja) 鉄道車両用台車
WO2018096699A1 (ja) 鉄道車両用台車
KR101772606B1 (ko) 곡선구간 주행성능 향상을 위한 철도차량용 3축대차 구조
KR101731105B1 (ko) 트램트레인용 저상대차
KR101288526B1 (ko) 철도차량용 윤축 조향장치
JP5772317B2 (ja) 鉄道車両用軸箱支持装置
JP6509571B2 (ja) 鉄道車両用台車
JP5259999B2 (ja) 高速鉄道車両用台車の軸箱支持装置
KR20130061357A (ko) 철도차량용 액슬박스 지지장치
KR101417981B1 (ko) 철도차량용 대차의 충격흡수 구조
JP2002046603A (ja) 鉄道車両のアンチローリング装置
KR100993192B1 (ko) 철도 차량용 윤축 조향 장치
JPWO2014203971A1 (ja) 鉄道車両用台車
KR101329001B1 (ko) 고속 저상 독립차륜형 조향장치
KR101252547B1 (ko) 철도차량용 현가장치
JP6932097B2 (ja) 軌条車両用台車
JP3845144B2 (ja) 車両用ボルスタレス台車
JP2008230488A (ja) 鉄道車両用台車の軸箱支持装置及び台車
KR20130080527A (ko) 철도차량용 윤축 조향 시스템
JP4742946B2 (ja) 鉄道車両の軸箱支持装置
JP2010058649A (ja) 鉄道車両用3軸操舵台車及び鉄道車両
KR0140530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의 판스프링지지구조
JP4297567B2 (ja) 鉄道車両用一軸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