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784A -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 Google Patents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784A
KR20130060784A KR1020110127034A KR20110127034A KR20130060784A KR 20130060784 A KR20130060784 A KR 20130060784A KR 1020110127034 A KR1020110127034 A KR 1020110127034A KR 20110127034 A KR20110127034 A KR 20110127034A KR 20130060784 A KR20130060784 A KR 20130060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intered ore
cooler
set valu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6171B1 (ko
Inventor
김선덕
최병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2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1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26Cooling of roasted, sintered, or agglomerated 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03Monitoring the temperature or a characteristic of the charge and using it as a controlling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이 개시된다. 소결 냉각장치는, 소결기에서 생산된 적열 소결광이 적재되는 냉각기와, 냉각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냉각기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으로 에어를 송풍시키는 냉각 팬과, 냉각 팬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를 이동시키는 에어 덕트 및 냉각기에서 냉각된 소결광을 배출하며 피더 모터로 구동되는 피더를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적열 소결광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와, 피더 측에 설치되어 피더로 배출되는 소결광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기와, 에어 덕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에어 덕트의 내부의 풍량을 측정하는 풍량계와, 압력계 및 풍량계의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덕트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고 풍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에어 분사기를 작동하여 적열 소결광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SINTER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적열 소결광을 냉각하는 냉각기의 가동율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기에서 생산된 괴광의 적열 소결광은 냉각기로 적재되어 냉각이 실시된다.
냉각기에는 냉각 에어가 이동되도록 에어 덕트가 설치된다. 에어 덕트는 냉각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냉각 에어가 이동되어 냉각기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의 냉각을 실시한다.
그러나, 소결 조업의 불량시에 미분의 적열 소결광이 다수 발생되면, 미분의 적열 소결광은 냉각기 내에 적재된 괴광의 적열 소결광과 함께 냉각기에 밀집 적재되어 통기성을 악화시킨다.
이에 따라, 냉각 팬으로 흡입한 대기 공기가 적열 소결광을 통과시 과다한 압력을 발생시키고, 냉각 팬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에 과다한 부하가 가해진다. 따라서, 냉각 팬 모터의 날개가 손상되고 구동 모터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작업 효율의 감속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열 소결광을 냉각하는 냉각기의 미분의 적열 소결광을 용이하게 제거 가능하여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냉각 팬 등의 부하에 따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결기에서 생산된 적열 소결광이 적재되는 냉각기와, 냉각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냉각기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으로 에어를 송풍시키는 냉각 팬과, 냉각 팬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를 이동시키는 에어 덕트 및 냉각기에서 냉각된 소결광을 배출하며 피더 모터로 구동되는 피더를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에 있어서, 냉각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적열 소결광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와, 피더 측에 설치되어 피더로 배출되는 소결광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기와, 에어 덕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와, 에어 덕트의 내부의 풍량을 측정하는 풍량계와, 압력계 및 풍량계의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에어 덕트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고 풍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에어 분사기를 작동하여 적열 소결광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에어 분사기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과, 에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밸브와, 에어 공급라인에서 냉각기 상측으로 분기되는 분기라인과, 분기라인에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분기라인은, 냉각기의 상측으로 분기되는 제1 분기라인과, 제1 분기라인과 대향되는 위치에 냉각기의 상측으로 분기되는 제2 분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분사기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라인과, 냉각수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냉각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피더 위치로 연장되는 냉각수 분사라인과, 냉각수 분사라인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팬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류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에어 덕트의 내부 압력과 냉각 팬의 부하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냉각 팬의 회전수를 감속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냉각 팬의 회전수의 감속시 에어 덕트의 내부 압력과 냉각 팬의 부하 전류가 설정값 이하로 변동되지 않으면, 에어 분사기를 이용하여 적열 소결광에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제어부는, 피더를 통해 배출되는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피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켜 피더를 통해 배출되는 소결광의 배출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소결기에서 생성된 적열 소결광이 적재되는 냉각기에 에어 덕트를 이용하여 냉각 에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의 압력과 에어 덕트 내부의 풍량과 냉각 에어를 공급하는 냉각 팬의 구동모터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풍량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이며 부하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냉각 팬의 구동속도를 일정시간 감속시키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냉각 팬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킨 상태에서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풍량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이며 부하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냉각기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 단계 이후에, (e) 냉각기에서 피더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소결광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에서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에서 피더에서 배출되는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피더를 구동하는 피더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시켜 소결광이 피더에서 배출되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 단계 이후에, (h)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소결광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 단계에서 고압의 에어 분사는 냉각기에 상측에 에어 분사기를 설치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괴광의 적열 소결광을 냉각하는 냉각기에 적재시킨 상태에서 적열 소결광의 통기성 확보가 가능하여, 냉각 에어가 냉각기에 분사될 경우 냉각 팬의 부하 상승을 방지하여 설비 손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냉각기의 구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 냉각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 냉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 냉각장치(100)는, 소결기(미도시)에서 생산된 적열 소결광(20)을 적재하는 냉각기(10)와, 냉각기(1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냉각기(10)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20)으로 바람을 송풍시키는 냉각 팬(30)과, 냉각 팬(30)으로 생성된 바람을 이동하는 에어 덕트(40) 및 냉각기(10)로 냉각된 소결광(20a)을 배출하는 피더(49)를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에 있어서, 적열 소결광(20)을 적재하는 냉각기(10)의 상측에 설치되는 에어 분사기(50)와, 냉각된 소결광(20a)을 배출하는 피더(49) 측에 설치되어 피더(49)로 배출되는 소결광(20a)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기(60)와, 에어 덕트(40)의 내부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계(41)와, 에어 덕트(40)의 내부 풍량을 센싱하는 풍량계(43) 및 에어 덕트(40)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고 풍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에어 분사기(50)를 작동하여 적열 소결광(20)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냉각기(10)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소결기(미도시)에서 생산되어 대차(미도시)로 이송되는 적열 소결광(20)을 적재한다. 냉각기(10)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어 적열 소결광(20)을 적재한다. 냉각기(10)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20)을 냉각하기 위해, 냉각기(10)의 측면에는 에어가 송풍되는 에어 덕트(40)가 설치된다. 에어 덕트(40)는 냉각 팬(30)에 의해 발생된 에어가 이동되는 것으로서, 에어를 적열 소결광(20) 방향으로 이동시켜 적열 소결광(20)을 냉각한다.
냉각기(10)의 상측에는 에어 분사기(50)가 설치된다. 에어 분사기(50)는 적열 소결광(20)의 통기성 불량으로 판단되면 에어를 분사한다. 에어 분사기(50)의 에어 분사 작동은 이하에서 제어부(7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에어 분사기(50)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51)과, 에어 공급라인(5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밸브(53)와, 에어 공급라인(51)에서 냉각기(10) 상측으로 분기되는 분기라인(55)과, 분기라인(55)에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노즐(57)을 포함한다.
에어 공급라인(51)은 에어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분기라인(55)으로 에어를 이송한다.
다이아프램 밸브(53)는 에어 공급라인(51) 상에 설치되어, 에어 공급라인(51)의 선택적인 계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에어의 선택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분기라인(55)은, 냉각기(10)의 상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분기되는 제1 분기라인(55a)과, 제1 분기라인(55a)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냉각기(10)의 상측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분기되는 제2 분기라인(55b)을 포함한다. 제1 분기라인(55a)과 제2 분기라인(55b)이 라운드 형상을 이루는 것은, 냉각기(10) 상측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한 것이다. 만약, 냉각기(10) 상측이 라운드 형상이 아니고, 다각형 등으로 변형되면 제1 및 제2 분기라인(55a)(55b)의 형상도 냉각기(10)의 변형된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분기라인(55a)(55b)에는 에어 분사를 위한 분사 노즐(57)이 설치된다.
분사 노즐(57)은 제1 및 제2 분기라인(55a)(55b)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분사 노즐(57)을 통해서 분사되는 에어는 냉각기(10)의 상측에 균등하게 분사될 수 있다.
에어 덕트(40)의 내부에는 압력계(41) 및 풍량계(43)가 설치된다. 압력계(41) 및 풍량계(43)는 압력 측정 신호 및 풍량 측정 신호를 제어부(7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류계(45)가 냉각 팬(30)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전류계(45)로 측정된 부하전류의 측정값은 제어부(70)로 전송된다.
제어부(70)는 압력계(41)와 풍량계(43) 및 전류계(45)로부터 압력 측정값과 풍량 측정값 및 부하전류 측정값을 전달받아,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와 풍량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 및 부하전류 값이 측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70)는, 압력계(41)의 측정 신호에 의해 에어 덕트(40)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고, 풍량계(43)의 측정 신호에 의해 에어 덕트(40) 내부의 풍량이 설정값 이하이며, 전류계(45)의 측정 신호에 의해 냉각 팬(30)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하면, 에어 분사기(50)를 작동한다.
즉, 제어부(70)는 압력계(41)의 측정 신호가 설정값 이상이고 풍량계(43)의 측정 신호가 설정값 이하이며 전류계(45)의 측정 신호가 설정값 이상이면, 냉각기(10)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이 통기성 불량 상태로 인식한다. 즉, 소결기(미도시)의 조업 상태가 불량할 경우 미소성 분광이 대량으로 발생된다. 이러한 미소성 분광이 냉각기로 적재되면 괴광의 적열 소결광(20)과 함께 냉각기에 밀집 적재되어 통시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압력계(41)의 측정 신호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고, 풍량계(43)의 측정 신호가 설정값 이하로 하강하게 되며, 전류계(45)의 측정 신호가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70)는 냉각기(10)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20)의 통기성 불량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냉각 팬)(3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켜 에어 덕트(40)에 가해지는 압력 및 풍량을 완화시킨다. 이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지속되어도, 에어 덕트(40) 내부의 압력 및 풍량과, 전류계(45)의 측정값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에어 분사기(50)를 작동시켜 적열 소결광(20)에 에어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에어 분사기(50)를 이용하여 적열 소결광(20)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게 되면, 고압의 에어가 미소성광에 적용되어 적열 소결광(20)의 밀집도가 해소되어 통기성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피더(49)는 냉각된 소결광(20a)이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피더(49)의 근접 위치에는 냉각수 분사기(60)가 설치된다.
냉각수 분사기(60)는 냉각기(10)에서 배출되는 소결광(20a)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 예컨대 섭씨 150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냉각수를 소결광(20a)에 분사하여 냉각한다. 이때, 제어부(70)는 피더(49)로 배출되는 소결광(20a)의 온도가 섭씨 150도 이상으로 판단될 경우, 피더(49)를 구동하는 피더 모터(미도시)의 회전수를 감속시켜 피더(49)에서 배출되는 소결광(20a)의 배출 속도를 감속시킨다. 이에 따라, 소결광(20a)은 적절하게 냉각된 상태로 피더(49)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결 냉각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기능의 동일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소결 냉각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냉각기(10)에 에어 덕트(40)를 이용하여 냉각 에어를 공급한다.(S10) 냉각 에어의 공급은 냉각 팬(30)의 구동에 의해 에어 덕트(40)를 경유하여 냉각기(10)에 공급된다.
다음, 에어 덕트(40)의 내부의 압력과, 에어 덕트(40) 내부의 풍량과, 냉각 에어를 공급하는 냉각 팬(30)의 구동모터의 부하전류를 측정한다.(S20) 에어 덕트(40)의 내부 압력은 압력계(41)로 측정되고, 에어 덕트(40)의 내부 풍량은 풍량계(43)로 측정되며, 부하전류는 전류계(45)로 측정된다. 압력계(41) 및 풍량계(43)는 에어 덕트(4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류계(45)는 냉각 팬(30)을 구동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된다.
이어서, (S20) 단계의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와, 부하전류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 및 풍량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다음,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부하전류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며 및 풍량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로 판단되면, 냉각 팬(30)의 구동 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감소시킨다.(S40)
이어서, 단계(S40)에서 냉각 팬(30)의 구동속도를 일정 속도 이하로 유지하여도,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부하전류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며 및 풍량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에(S50), 냉각기(10)의 적열 소결광(20)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한다.(S60)
그리고, 냉각기(10)에서 피더(49)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소결광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이어서, (S70) 단계에서 피더(49)에서 배출되는 소결광(20a)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피더(49)를 구동하는 피더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시켜, 소결광(20a)이 피더에서 배출되는 속도를 감속시킨다.(S80)
마지막으로, (S80) 단계에서 소결광(20a)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소결광(20a)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소결광(20a)을 냉각시킨다.(S90)
이와 같이, 냉각기(10)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20)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면적열 소결광(20)의 통기성이 향상됨으로써, 냉각 팬(30)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의 부하가 감소되어 설비 손상을 방지하며 설비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냉각기 20...적열 소결광
30...냉각 팬 40...에어 덕트
41...압력계 43...풍량계
49...피더 50...에어 분사기
51...에어 공급라인 53...다이아프램 밸브
55...분기라인 57...에어 분사노즐
60...냉각수 분사기 70...제어부

Claims (12)

  1. 소결기에서 생산된 적열 소결광이 적재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냉각기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으로 에어를 송풍시키는 냉각 팬과, 상기 냉각 팬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를 이동시키는 에어 덕트 및 상기 냉각기에서 냉각된 소결광을 배출하며 피더 모터로 구동되는 피더를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열 소결광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기;
    상기 피더 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더로 배출되는 상기 소결광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기;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의 풍량을 측정하는 풍량계; 및
    상기 압력계 및 상기 풍량계의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풍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에어 분사기를 작동하여 상기 적열 소결광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기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
    상기 에어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상기 에어 공급라인에서 상기 냉각기 상측으로 분기되는 분기라인; 및
    상기 분기라인에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 노즐;
    을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라인은,
    상기 냉각기의 상측으로 분기되는 제1 분기라인; 및
    상기 제1 분기라인과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냉각기의 상측으로 분기되는 제2 분기라인;
    을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기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라인;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냉각수 공급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피더 위치로 연장되는 냉각수 분사라인; 및
    상기 냉각수 분사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 분사 노즐;
    을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팬의 부하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전류계를 더 포함하는, 소결 냉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 압력과 상기 냉각 팬의 부하전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냉각 팬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소결 냉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 팬의 회전수의 감속시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 압력과 상기 냉각 팬의 부하 전류가 설정값 이하로 변동되지 않으면, 상기 에어 분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적열 소결광에 에어를 분사하는, 소결 냉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더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더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피더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소결광의 배출 속도를 감속시키는, 소결 냉각장치.
  9. (a) 소결기에서 생성된 적열 소결광이 적재되는 냉각기에 에어 덕트를 이용하여 냉각 에어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의 압력과, 상기 에어 덕트 내부의 풍량과, 상기 냉각 에어를 공급하는 냉각 팬의 구동모터의 부하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풍량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이며 상기 부하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냉각 팬의 구동속도를 일정시간 감속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냉각 팬의 구동속도를 감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력 측정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상기 풍량의 측정값이 설정값 이하이며 상기 부하전류가 설정값 이상으로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냉각기에 적재된 적열 소결광에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결 냉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냉각기에서 피더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소결광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f)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피더를 구동하는 피더 모터의 구동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소결광이 상기 피더에서 배출되는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결 냉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h) 상기 소결광의 온도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소결광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결 냉각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고압의 에어 분사는 상기 냉각기의 상측에 에어 분사기를 설치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소결 냉각방법.
KR1020110127034A 2011-11-30 2011-11-30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KR10132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034A KR101326171B1 (ko) 2011-11-30 2011-11-30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034A KR101326171B1 (ko) 2011-11-30 2011-11-30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784A true KR20130060784A (ko) 2013-06-10
KR101326171B1 KR101326171B1 (ko) 2013-11-06

Family

ID=4885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034A KR101326171B1 (ko) 2011-11-30 2011-11-30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300B1 (ko) * 2013-10-30 2015-05-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광 냉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988B1 (ko) 2013-09-25 2014-09-2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냉각기 통기성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2151B1 (ko) 2017-01-26 2018-08-2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장치
CN112665308B (zh) * 2020-12-07 2022-05-27 萍乡市华填化工填料有限公司 一种化工填料生产用冷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3499A (ja) 2006-03-29 2007-10-11 Jfe Steel Kk 焼結クーラ及びその冷却能力診断方法
KR100950399B1 (ko) * 2007-09-20 2010-03-29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 쿨러용 냉각장치
KR20110034371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광 냉각용 쿨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300B1 (ko) * 2013-10-30 2015-05-29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광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6171B1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171B1 (ko) 소결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냉각 방법
US10773438B2 (en) Molding system
CN104444256B (zh) 一种用于称重式皮带给煤机的控制方法以及控制系统
CN106839260A (zh) 一种排气保护控制方法及系统
CN104884189B (zh) 混合冷却喷嘴装置及使用其控制连续铸造设备的冷却喷嘴的方法
DK2657432T3 (en) Supply point,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supply insulation materials in insulation material chambers
US11173544B2 (en)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castings using it
CN110104462A (zh) 物料装船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10066368A (ko) 언로더 호퍼의 살수 제어가 가능한 원료 하역기
CN101893291A (zh) 空气调节设备
CN102305707B (zh) 模具液压测试机
CN111665813A (zh) 自动装矿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101612466B1 (ko) 슬래그 냉각커버 및 이를 이용한 슬래그 냉각방법
CN207432636U (zh) 带射频识别定位模块的精密模具注塑装置
KR20150012814A (ko) 선박의 배기가스 열영향 차단장치
KR100432501B1 (ko) 장입물 위치 추적장치
JP6870644B2 (ja) 離型剤噴霧装置および離型剤噴霧方法
CN209295695U (zh) 一种篦冷机的自动喷水系统
CN206662275U (zh) 氢破炉上料口气体保护装置
CN216669936U (zh) 一种甲醛浓度检测系统
CN206850341U (zh) 电缆修复装置及电缆在线修复系统
CN217551143U (zh) 铸铁机链带堵料检测装置
CN212032006U (zh) 自动装矿控制系统
KR101595210B1 (ko) 제어반용 분진제거장치
CN103409572A (zh) 高炉料面表面形状雷达在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