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692A -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 Google Patents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692A
KR20130059692A KR1020110125802A KR20110125802A KR20130059692A KR 20130059692 A KR20130059692 A KR 20130059692A KR 1020110125802 A KR1020110125802 A KR 1020110125802A KR 20110125802 A KR20110125802 A KR 20110125802A KR 20130059692 A KR20130059692 A KR 20130059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coupling
coupling protrusion
connection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연
Original Assignee
이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연 filed Critical 이도연
Priority to KR102011012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692A/ko
Publication of KR2013005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이웃한 관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관들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관이음쇠에 있어서, 이웃한 관들의 단부가 삽입되는 양단부가 확장되고, 단부의 외주로부터 제1결합돌기가 외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된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확장된 단부와 관 사이에 배치되고, 제1결합돌기와 면접촉되도록 제2결합돌기가 외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된 접속부재; 및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억지끼움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이웃한 관들을 체결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나사체결방식이 지양되고, 새로운 끼움체결방식을 제공하여 체결공정 및 작업 시간이 단축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Inserting combination type pipe fitting}
본 발명은 관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웃한 관들 사이에 관이음쇠가 개재되어 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주로 물의 이송을 위한 상,하수도관이나 기름을 이송하기 위한 유압 라인 등과 같은 유체의 이송 또는, 가스 등과 같은 기체 및 분말을 포함한 각종 원료의 이송을 위해 사용된다. 이때,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되고, 이 연결부위는 기밀을 유지하면서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별도의 관이음쇠가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관이음쇠가 이용된 종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10)의 확장된 단부에 제2관(20)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록킹부재(30)가 제1관(10)의 내면 및 제2관(20)의 외면 사이에 끼워져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졌다. 제1관(10)의 단부에 확장되면서 형성된 단차와 제2관(20)의 외면에 외향 돌출된 체결턱(21) 사이에 씰(22)이 개재되었고, 록킹부재(30)의 일측단면이 체결턱(21)을 가압하도록 체결되었다.
하지만, 제1관(10)에 제2관(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관(10)과 제2관(20)의 내경 차이에 의한 단차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1관(10)과 제2관(20)을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차가 발생하여 체결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2007-0050900 10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이웃한 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 및 접속부재가 결합부재에 의해 끼움결합됨으로써, 이웃한 관들의 결합부위에서의 내면 단차가 배제되어 유체의 유동압력 변화가 방지되고, 종래의 나사체결방식을 배제하면서 채택한 끼움체결방식에 의해 관들이 결합되도록 한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웃한 관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관들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이음쇠에 있어서, 양단부가 확장되고, 단부의 외주로부터 제1결합돌기가 외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된 연결부재; 연결부재의 확장된 단부와 관 사이에 배치되고, 제1결합돌기와 면접촉되도록 제2결합돌기가 외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된 접속부재; 및 제1결합돌기 및 제2결합돌기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억지끼움결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결합돌기는 연결부재의 일단부 외주로부터 외향 굴절 형성된 제1수직부; 및 제1수직부로부터 연결부재의 타단부를 향해 굴절된 제1수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2결합돌기는 접속부재의 일단부 외주로부터 외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된 제2수직부; 및 제2수직부로부터 제1수평부와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제2수평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접속부재는 연결부재의 단부 내면과 관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고, 관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상의 가압부재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삽입부; 삽입부로부터 외향 연장된 환형상으로 관의 단면과 접촉되고, 제2결합돌기가 형성된 연장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연결부재에서 확장된 단부의 내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관의 완충돌기와 단차 사이에 밀폐링이 개재된다.
제1,2결합돌기의 제1,2수직면에는 상호 결합되는 끼움홈 및 끼움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제1,2결합돌기에는 제1,2수평부의 단면에 돌출 형성된 제1,2가압부; 결합부재에서 삽입홈의 양측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2수평부가 삽입홈에 끼워져 결합되면 제1,2가압부와 각각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3가압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1,2,3가압부는 일예로, 양측 경사면 및 중앙 평평면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형상이고, 다른 예로, 제1,2,3가압부는 일측 경사면, 중앙 평평면, 타측 수직면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형상이다. 이때 경사면의 경사각은 10∼15°이고, 두께(t)는 0.4∼0.6mm이다.
관이음쇠는 완충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완충수단은 관의 단부에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 완충돌기; 접속부재의 삽입부에 단턱으로 형성된 공간; 삽입부의 끝단에 의해 가압되도록 공간에 배치된 가압부재; 및 가압부재에 의해 고정 배치되는 밀폐링;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웃한 관들을 체결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나사체결방식이 지양되고, 새로운 끼움체결방식을 제공하여 체결공정 및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웃한 관들을 결합시키는 연결부재와 접속부재가 단순한 형상의 결합부재에 의해 끼워지는 억지끼움결합이 채택됨으로써, 종래의 나사체결방식과 같이 수차례 반복 회전하는 번거로움이 지양되고, 체결작업이 단순해 지며, 작업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이음쇠를 이용한 관의 체결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와 관의 결합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돌기의 변형예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돌기 및 결합부재의 결합구조에 대한 변형예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및 요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와 관의 결합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끼움형 관이음쇠(100)는 연결부재(200), 접속부재(300), 결합부재(400) 및 완충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연결부재(200)는 양단부가 확장된 관 형상이고, 내면 중앙에 관(500)의 단면이 접촉되는 중간턱(210)이 형성되며, 양단부의 외면으로부터 외향 굴절된 제1결합돌기(220)가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연결부재(200)에서 확장된 부위의 내면은 확장을 위한 단차(段差)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중간턱(210)은 연결부재(200)의 중앙 내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환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중간턱(210) 부위의 내경은 연결부재(200)에 삽입되어 접촉된 관(500)의 내경과 동일하다.
또한, 제1결합돌기(220)는 연결부재(200)의 단부 외주(外周)이면서 상호 대향되 위치에 한 쌍 이상이 형성된다. 즉, 제1결합돌기(220)는 상호 대향 위치되는 쌍을 이루면서 관(500)의 직경에 따른 연결부재(200)의 직경 변화, 관(500)들의 체결력 및 밀폐력 등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한 쌍 이상이 형성된다. 이때, 제1결합돌기(220)의 측단면은 대략 "ㄱ"자와 유사하게 굴절된 형상으로, 연결부재(200)의 일단부 외주로부터 제1수직부(221)가 돌출 형성되고, 제1수직부(221)로부터 굴절되면서 연결부재(200)의 타단부를 향하도록 제1수평부(222)가 형성된다. 물론, 제1결합돌기(220)는 연결부재(200)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결합돌기(220)의 측단면이 제1수직부(221)만 형성된 측면이 "1"자 형상으로 다수 형성될 수도 있고, 연결부재(200)의 단부 외주(外周)를 따라 일체(一體)의 환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접속부재(300)는 연결부재(200)에 삽입된 관(500)의 단부를 가압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는 부재이다. 이 접속부재(300)에는 연결부재(200)의 확장된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10)와, 이 삽입부(310)의 일단부로부터 외향 연장된 연장부(320) 및, 이 연장부(32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결합돌기(3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접속부재(300)의 측단면은 제2결합돌기(330)가 포함되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삽입부(310)와 연장부(320)만이 표시된 "ㄴ"자 형상이기도 하고, 삽입부(310), 연장부(320) 및 제2결합돌기(330)까지 표시된 도 3에서와 같이, 양쪽 끝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대략 어금꺾쇠 형상이기도 하다.
여기서, 삽입부(310)는 연결부재(200)의 확장된 단부의 내면과 관(500)의 외면 사이에 단순히 슬라이딩 삽입되는 부위이다. 이때, 삽입부(310)의 말단이 가압부재(521)를 가압하여 밀폐링(520)이 연결부재(200)의 내면 단차측으로 가압되도록배치된다.
또한, 연장부(320)는 삽입부(310)의 일단부로부터 외향 굴절된 환형상으로, 연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시 연결부재(200)의 측단면과 접촉되는 부위이다.
또한, 제2결합돌기(330)는 제1결합돌기(220)와 유사한 형상으로 굴절되고, 접속부재(300)의 연장부(320) 외주(外周)로부터 상호 대향 위치된 한 쌍 이상이 형성된다. 즉, 제2결합돌기(330)는 상호 대향 위치되는 쌍을 이루면서 관(500)의 직경에 따른 접속부재(300)의 직경변화, 관(500)들의 체결력 및 밀폐력 등의 다양한 환경에 따란 한 쌍 이상이 형성된다. 이때, 제2결합돌기(330)의 측단면은 대략 "ㄱ"자와 유사하게 굴절된 형상으로, 연장부(320)의 단부 외주로부터 제2수직부(331)가 돌출 형성되고, 제2수직부(331)로부터 굴절되면서 제1결합돌기(220)의 제1수평부(222)와 반대 방향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는 연결부재(200)와 접속부재(300)의 체결시, 굴절된 제1수평부(222)와 제2수평부(332)가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제1수직부(221)와 제2수직부(331)가 면접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2결합돌기(330)의 길이(L2)은 제1결합돌기(220)의 길이(L1)와 대략 동일하다. 여기서, 제2결합돌기(330)는 제2수직부(331)만 형성된 측면이 "1"자 형상으로 다수 형성될 수도 있고, 접속부재(300)의 연장부(320) 외주(外周)를 따라 환형상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결합부재(400)는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가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삽입되어 억지끼움되도록 하부에 삽입홈(410)이 형성된 형상이다. 이 삽입홈(410)의 형상은 제1,2수직부(221,331) 및 제1,2수평부(222,33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가 제1,2수직부(221,331)만으로 이루어진 형상인 경우, 삽입홈(410)의 형상은 제1,2수직부(221,331)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부재(400)의 길이(L3)는 제1결합돌기(220)의 길이(L1)와 제2결합돌기(330)의 길이(L2)와 대략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또한,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가 각각 연결부재(200) 및 접속부재(300)에 환형상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 결합부재(400)의 길이(L3)는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의 곡률에 따라 다르게 제작된다. 즉,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의 곡률이 큰 경우 결합부재(400)의 길이(L3)가 길어지고,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의 곡률이 작은 경우 결합부재(400)의 길이(L3)가 짧아진다.
한편, 완충수단은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관(200)의 양단부에서 동일 평면상의 외주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다수의 완충돌기(510)와, 접속부재(300)의 삽입부(310)에 형성된 길이(L4) 및 높이(H)의 단차에 의해 관(500)에 연결부재(300)가 배치된 상태에서 형성된 공간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완충돌기(510)는 관(500)을 변형시켜 돌출된 형상이고, 동일 평면상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이때 완충돌기(510)는 연속된 환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완충돌기(501)은 관(500)의 신축에 따른 관(500)의 길이 변화에 의해 완충돌기(510)가 공간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유체의 유동압이나 지반의 변화, 열변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여건에 의한 관(101)의 이동으로 완충돌기(510)가 슬라이딩된다.
<결합돌기의 변형예>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돌기의 변형예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를 보면, 제1결합돌기(220)의 제1수직부(221)와 제2결합돌기(330)의 제2수직부(331)의 상호 맞닿는 면에 끼움홈(223)과 끼움돌기(333)가 형성된 변형예가 제시된다.
끼움홈(223)과 끼움돌기(333)는 제1수직부(221)와 제2수직부(331)가 중첩되는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끼움홈(223)과 끼움돌기(333)는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가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부재(400)에 끼워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끼움홈(223)과 끼움돌기(333)는 크기, 깊이 및 높이는 제1결합돌기(220)와 제2결합돌기(330) 및 결합부재(400)의 체결력 등의 다양한 작업 환경에 따라 변경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구조의 변형예>
도 6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돌기 및 결합부재의 결합구조에 대한 변형예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및 요부도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은 제1결합돌기(220) 및 제2결합돌기(330)와 결합부재(400) 간의 체결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변형예로, 제1결합돌기(220), 제2결합돌기(330) 및 결합부재(400)에 각각 제1가압부(230), 제2가압부(340) 및 제3가압부(4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1결합돌기(220), 제2결합돌기(330), 결합부재(440) 및 제1,2,3가압부(230,340,420)의 형상은 육안상 착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외곽선을 직선으로 작도한 것으로, 연결부재(200), 접속부재(300) 및 결합부재(400)에 적용될 때는 도 2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1,2,3가압부(230,340,420)들의 형상은 상호 동일 또는 유사하고, 그 형상의 일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된 외향 경사각의 경사면(S) 및 중앙의 평평면(F)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가압부(230,)는 제1결합돌기(220)의 제1수평부(222) 단면에 형성되고, 제2가압부(340,340′)는 제2결합돌기(330)의 제2수평부(332) 단면에 형성되며, 제3가압부(420,420′)는 결합부재(400)의 내면이면서 제1가압부(230) 및 제2가압부(340)와 접촉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2,3가압부(230,340,420)의 두께(t)는 제1결합돌기(220), 제2결합돌기(330) 및 결합부재(400)의 재질 및 결합시 허용 오차 등이 고려되어야 하고, 대략 0.1∼1.0mm이며, 바람직하게는 0.4∼0.6mm이다. 또한, 제1,2,3가압부(230,340,420)의 경사면(S)의 각도는 제1,2,3가압부(230,340,420)의 전체 길이 및 평평면(F)의 길이 대비가 고려되어야 하고, 대략 5∼20°이면서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물론, 제1,2,3가압부(230,340,420)의 두께(t) 및 경사면(S) 각도는 제1결합돌기(220) 및 제2결합돌기(33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부재(400)의 삽입홈(410)에 초기 삽입될 때 부드럽게 슬라이딩 되도록 산출된 것이다. 이후, 제1,2가압부(230,340)의 경사면(S)과 제3가압부(420)의 경사면(S)이 접촉되어 제1,2가압부(230,340)의 평평면(F)과 제3가압부(420)의 평평면(F)이 중첩될 까지 외부의 강한 힘을 요구함으로써 체결력을 최대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산출된 것이다. 따라서, 제1결합돌기(220) 및 제2결합돌기(33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부재(400)의 삽입홈(410)에 삽입될 때, 초기 삽입시에는 부드럽게 삽입된다. 이처럼 초기 삽입으로 삽입위치가 안정되게 확보되면, 결합부재(400)에 강한 외압을 가하여 제1가압부(230), 제2가압부(340) 및 제3가압부(420)가 상호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가압부(230) 및 제2가압부(340)의 경사면(S1)과 제3가압부(420)의 경사면(S)이 접촉된 후, 제1가압부(230) 및 제2가압부(340)의 평평면(F)과 제3가압부(420)의 평평면(F)이 중첩되어 위치될 때까지 강한 외압에 의해 억지로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결합돌기(220), 제2결합돌기(330) 및 결합부재(400) 상호 간의 체결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1,2,3가압부(230,340,420)에 의해 체결력은 크게 상승하게 된다.
제1,2,3가압부(230,340,420)의 다른 예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1',2',3'가압부(230',340',420')는 일측에 형성된 외향 경사각의 경사면(S), 중앙의 평평면(F) 및 타측에 형성된 수직면(V)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7의 제1,2,3가압부(230,340,420)와 도 8의 제1'2'3'가압부(230',340',420')은 형상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두께(t), 경사각도 등을 포함한 기타 조건은 동일하다.
한편, 관(500)의 신축에 따른 관(500)의 길이 변화에 의해 완충돌기(510)가 공간(311)에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관(50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압이나 지반의 변화에 따른 관(500)의 이동 및 신축이 완충돌기(501)의 슬라이딩으로 흡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관이음쇠 200...연결부재,
220...제1결합돌기 221...제1수직부,
222...제1수평부 223...끼움홈,
230...제1가압부 230'...제1'가압부,
300...접속부재 310...삽입부,
320...연장부 330...제2결합돌기,
331...제2수직부 332...제2수평부,
333...끼움돌기 340...제2가압부,
340'...제2'가압부 400...결합부재,
410...삽입홈 420...제3가압부,
420'...제3'가압부 500...관,
510...완충돌기.

Claims (12)

  1. 이웃한 관들(5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관(500)들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이음쇠에 있어서,
    양단부가 확장된 관 형상이고, 단부의 외주로부터 외향으로 굴절되도록 제1결합돌기(220)가 형성된 연결부재(200);
    상기 연결부재(200)의 확장된 단부와 상기 관(5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220)와 면접촉되도록 제2결합돌기(330)가 외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된 접속부재(300); 및
    상기 제1결합돌기(220) 및 제2결합돌기(33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억지끼움결합되도록 삽입홈(410)이 형성된 결합부재(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22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일단부 외주로부터 외향 굴절 형성된 제1수직부(221); 및
    상기 제1수직부(221)로부터 상기 연결부재(200)의 타단부를 향해 굴절된 제1수평부(22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돌기(330)는,
    상기 접속부재(300)의 일단부 외주로부터 외향으로 굴절되어 형성된 제2수직부(331); 및
    상기 제2수직부(331)로부터 상기 제1수평부(222)와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제2수평부(33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300)는,
    상기 연결부재(200)의 단부 내면과 상기 관(500)의 외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관(500)의 단부에 형성된 환형상의 완충돌기(510)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삽입부(310); 및
    상기 삽입부(310)로부터 외향 굴절된 환형상으로 상기 관(500)의 단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330)가 형성된 연장부(32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0)에서 확장된 단부의 내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관(500)의 상기 완충돌기(510)와 상기 단차 사이에 밀폐링(520)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돌기(220,330)의 제1,2수직부(221,331)에는 상호 결합되는 끼움홈(223) 및 끼움돌기(3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돌기(220,330)에는,
    상기 제1,2수평부(222,332)의 단면에 돌출 형성된 제1,2가압부(230,340);
    상기 결합부재(400)에서 상기 삽입홈(410)의 양측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2수평부(222,332)가 상기 삽입홈(410)에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제1,2가압부(230,340)와 각각 중첩되도록 배치된 제3가압부(42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가압부(230,340,420)는 양측부위에 형성된 경사면(S) 및, 중앙부위에 형성된 평평면(F)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가압부(230,340,420)는 일측 경사면(S), 중앙 평평면(F), 타측 수직면(V)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S)의 경사각은 1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가압부(230,340,420)의 두께(t)는 0.4∼0.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12. 제1항에 있어서,
    완충수단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은,
    관(500)의 단부에 외향 돌출되어 형성된 완충돌기(510);
    접속부재(300)의 삽입부(310)에 단턱으로 형성된 공간(511);
    상기 삽입부(310)의 끝단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공간(311)에 배치된 가압부재(521); 및
    상기 가압부재(521)에 의해 고정 배치되는 밀폐링(52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KR1020110125802A 2011-11-29 2011-11-29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KR20130059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02A KR20130059692A (ko) 2011-11-29 2011-11-29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802A KR20130059692A (ko) 2011-11-29 2011-11-29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692A true KR20130059692A (ko) 2013-06-07

Family

ID=4885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802A KR20130059692A (ko) 2011-11-29 2011-11-29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63A (ko) * 2021-09-08 2023-03-15 전원우 Pvc배관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6663A (ko) * 2021-09-08 2023-03-15 전원우 Pvc배관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9864B2 (ja) 配管継手装置
CN101960195B (zh) 钢管用螺纹接头
AU2020289814B2 (en) Coupling having seal with retracting center leg
CA2490664A1 (en) Flowline clamp connector
JP5145450B1 (ja) 伸縮可撓管継手
CN207094002U (zh) 可拆卸的快速连接装置
CN101551048A (zh) 自膨胀补偿式管接头
CN108194736A (zh) 管件接头组件
KR102054436B1 (ko) 배관용 조인트
KR20130059692A (ko) 끼움 결합형 관이음쇠
TWM509300U (zh) 管快接結構
US20160169432A1 (en) Hydraulic cylinder joint and hydraulic cylinder pipe including same
JP5665801B2 (ja) 押輪および継手および弁
CA2860908A1 (en) Nested dual drill pipe
US20170356584A1 (en) Grooved-End Rubber Expansion Joint with 4-Way Compression Grooved Coupling
WO2017114661A1 (en) Coupling for connecting and sealing fluid handling components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KR20130059693A (ko) 쐐기 결합형 관이음쇠
CN210510594U (zh) 一种双卡套式管接头
CN217234809U (zh) 一种多接口管路接头
CN103148295A (zh) 一种快速承插管件
CN212028865U (zh) 一种s型弯头环压管件
CN210978916U (zh) 一种玻纤增强聚丙烯管连接结构
KR102419174B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319272B1 (ko) 신축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