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947A -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947A
KR20130058947A KR1020110124965A KR20110124965A KR20130058947A KR 20130058947 A KR20130058947 A KR 20130058947A KR 1020110124965 A KR1020110124965 A KR 1020110124965A KR 20110124965 A KR20110124965 A KR 20110124965A KR 20130058947 A KR20130058947 A KR 2013005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uxiliary window
auxiliary
area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794B1 (ko
Inventor
박경대
박성호
신영선
오세기
이채경
한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794B1/ko
Priority to US13/685,822 priority patent/US9046986B2/en
Priority to CN2012104951223A priority patent/CN103135888A/zh
Publication of KR2013005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윈도우 표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메인 윈도우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과정, 상기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메인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Supplementary Window Displaying Method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표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윈도우에 종속된 내용이 표시되는 보조 윈도우를 직관적이며 감성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하면서 해당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통하여 컨텐츠 소비를 수행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면서 보조적인 다양한 화면을 추가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 활성화 요청 발생 시,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주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후 종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제어 등에 따라 해당 화면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거나 링크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화면이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이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는 주 화면에서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화면을 새로운 페이지로 구성하여 화면 전환 이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이전 주 화면과 현재 화면과의 종속성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읽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는 화면의 단순 변화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감성적이며 주목할 만한 효과를 제공하면서 보조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윈도우와 보조 윈도우의 종속성을 각인시켜 사용자가 종속성에 대한 인식을 보다 쉽게 그리고 보다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메인 윈도우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과정, 상기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메인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특정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메인 윈도우가 출력되는 표시부, 상기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터치 패널,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메인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조 윈도우와 메인 윈도우와의 종속성 인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보조 윈도우의 출현을 보다 감성적이며 주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다양한 사용자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브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 설명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표시부(140)에 메인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해당 메인 윈도우와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는 보조 윈도우 호출 시 보조 윈도우를 메인 윈도우와 연계된 형태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변화에 따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메인 윈도우와 함께 표시부(140) 상에 출력되는 보조 윈도우(50)가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는 윈도우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로 표시 변화를 주목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인지된 사실을 보다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윈도우는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 지원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크기나 종류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데이터와 프레임워크를 가지며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윈도우는 메인 윈도우에 종속되는 윈도우로서 메인 윈도우에 연계된 다양한 기능이나 정보를 보조적으로 제공하는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윈도우의 형태 또한 크기나 종류에 국한되지 않으며 해당 화면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와 프레임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보조 윈도우는 추가적인 서브 보조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윈도우는 서브 보조 윈도우에 대하여 메인 윈도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윈도우 출력과 연계된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통화 걸기 화면에 해당하는 메인 윈도우 출력과, 통화 걸기 화면에서 폰북 화면에 해당하는 보조 윈도우 출력에 따른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웹 접속 기능을 제공하여 웹 접속에 따른 메인 윈도우 출력과, 접속 화면에서 특정 링크 항목 선택에 따른 보조 윈도우 출력에 따른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는 외부 타 단말기 및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다양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메인 윈도우 또는 보조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보조 윈도우 출력 기능 지원을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메인 윈도우가 표시부(140)에 출력된 상태에서 보조 윈도우를 호출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보조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해당 보조 윈도우에 종속적인 서브 보조 윈도우의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보조 윈도우 또는 서브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는 메인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윈도우에 포함된 항목이나 메뉴 항목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특정 키 버튼 신호, 핫 키 입력 신호, 소프트키 선택 신호, 특정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특정 센서 신호 지원을 위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메인 윈도우 출력 과정에 설정된 효과음이나 안내음, 보조 윈도우 또는 서브 보조 윈도우 출력 과정에 설정된 효과음이나 안내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보조 윈도우 또는 서브 보조 윈도우 출력 시 일정 표시 변화 효과에 대응하는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메인 윈도우 화면, 메인 윈도우 가 출력된 상태에서 보조 윈도우가 출력된 화면, 보조 윈도우가 출력 화면에서 서브 보조 윈도우가 출력된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인 보조 윈도우 출력 시 메인 윈도우와의 종속성을 지시하는 화면 변화 효과를 제공하면서 보조 윈도우가 출력될 수 있다. 새로운 화면이 출력될 때 해당 화면이 메인 윈도우와 관련이 없는 경우 새 화면 출력에 따른 화면 변화가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140)가 제공하는 보조 윈도우 출력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141)과 터치 패널(143)이 중첩된 형태인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 패널(141)에는 상술한 다양한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등이 출력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3)은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는 화면 특성에 따라 터치 유효 영역과 터치 무효 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유효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널(143)은 메인 윈도우가 표시 패널(141)에 출력되면 메인 윈도우의 링크 항목들에 해당하는 영역을 유효 영역을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143)은 메인 윈도우에서 메인 윈도우의 내용과 종속적인 내용을 출력하는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보조 윈도우가 출력된 영역 중 기능 선택과 관련된 항목들 또는 링크 항목들을 터치 유효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널(143)은 서브 보조 윈도우가 출력되는 경우 해당 서브 보조 윈도우에 대하여 보조 윈도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터치 유효 영역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터치 패널(143)은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터치 이벤트 및 서브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널(143)은 메인 윈도우 상에 보조 윈도우가 출력되면서 메인 윈도우의 일부 영역이 보조 윈도우에 의하여 하부 레이어로 배치되는 경우 해당 메인 윈도우 영역에 대한 터치 기능을 억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을 터치 패널(143)은 서브 보조 윈도우가 보조 윈도우 상에 출력되면 서브 보조 윈도우에 의하여 가려진 보조 윈도우 또는 메인 윈도우 영역을 터치 무효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보조 윈도우 출력 기능에 대해서도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 운영체제 및 다양한 사용자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 지원을 위한 윈도우 제어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윈도우 제어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루틴들을 정의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윈도우 제어 프로그램(151)은 특정 사용자 기능 선택에 따라 해당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메인 윈도우가 표시부(140)에 출력되면,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루틴, 해당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보조 윈도우를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인 형태임을 지시하는 표시 효과로 출력하는 표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 루틴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가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인 형태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기능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루틴으로서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항목 선택, 센서 신호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에 의해 발생하는 기울임이나 방향 전환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등을 확인한다. 이러한 입력 신호가 메인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발생하면 확인 루틴은 저장부(150)에 사전 정의된 입력 신호별 특성 목록을 확인하여 해당 입력 신호가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표시 루틴은 보조 윈도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되 메인 윈도우와 종속적인 관계임을 지시하도록 보조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된 형태를 나타내면서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지원하는 루틴이다. 이를 위하여 표시 루틴은 메인 윈도우에 대한 표시 정보 및 보조 윈도우에 대한 표시 정보를 가지며, 두 윈도우들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서로 연계된 형태로 표시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와 정보 수집 및 출력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메인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보조 윈도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지원하되 특히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가 출력됨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메인 윈도우 운용부(161),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 기능 수행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윈도우 운용부(161)는 입력부(120) 및 터치 패널(143)로부터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해당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메인 윈도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윈도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사용자 기능은 다양한 사용자 기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기능은 메뉴 화면 기능, 대기 화면 기능,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방송 수신 기능, 웹 접속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윈도우 운용부(161)는 상술한 다양한 기능 중 특정 사용자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윈도우 운용부(161)는 사용자 기능 활성화와 함께 해당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메인 윈도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윈도우는 상술한 각 사용자 기능의 운용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이 될 수 있다.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는 메인 윈도우가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가 보조 윈도우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는 해당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보조 윈도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윈도우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는 메인 윈도우에 포함된 다양한 링크 항목이나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이거나,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터치 입력 신호, 센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는 상술한 입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보조 윈도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는 메인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보조 윈도우가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인 관계임을 지시할 수 있는 표시 효과 예를 들면 연결된 윈도우 형태로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는 보조 윈도우(50)가 메인 윈도우(40)와 종속적인 관계임을 보다 주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는 보조 윈도우(50) 출력 시 보조 윈도우(5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윈도우 출력부(163)는 메인 윈도우의 표시 형태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
기능 수행부(165)는 보조 윈도우가 표시부(140)에 출력된 이후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추가적인 서브 보조 윈도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거나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또한 기능 수행부(165)는 메인 윈도우로의 전환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보조 윈도우를 표시부(140)에서 제거하여 메인 윈도우만 출력된 화면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수행부(165)는 보조 윈도우가 출력된 표시 효과의 역순 방향으로 제거함으로써 제거되는 보조 윈도우가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인 관계였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기능 수행부(165)는 메인 윈도우에서 보조 윈도우 출력을 제외한 특정 기능 수행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100)는 메인 윈도우와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는 보조 윈도우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메인 윈도우와의 종속적인 관계에 대하여 가시적인 표시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관계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상술한 보조 윈도우 출력 과정에서 일정한 감성적 표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관계 정보 인지에 있어서 보다 깊이를 가지는 인식을 남길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특정 사용자 기능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해당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메인 윈도우(40)를 3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메인 윈도우(40)를 표시부(140) 전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가로 모드 상태로 배치된 것을 가정하여 메인 윈도우(40)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인 윈도우(40)가 출력되고 있는 301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는 메인 윈도우(40)와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는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301 화면의 메인 윈도우(40)가 출력된 표시부(140) 상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플릭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지면을 기준으로 단말기(100)의 우측 가장자리가 좌측 가장자리에 비하여 높게 되도록 기울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사전 정의된 특정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303 화면에서와 같이 보조 윈도우(50)를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보조 윈도우(50)가 메인 윈도우(40)에 종속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보조 윈도우(50)의 일측 가장자리를 메인 윈도우(40)의 일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형태로 표시함과 아울러 보조 윈도우(50)가 점진적으로 표시부(140) 전면에 출력되는 표시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메인 윈도우(40)의 적어도 일부를 303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의 Z축 방향 즉 화면의 정면을 기준으로 화면의 속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이동시킴으로써 기울어진 형태로 표시함과 아울러 메인 윈도우(40)에 가장자리가 연결된 보조 윈도우 역시 화면 속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윈도우(40)의 전면은 301 화면에서의 내용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표시부(140)의 정면을 x, y축으로 정의하는 경우 화면의 외부에서 속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또는 화면의 속에서 정면으로 나오는 방향을 정의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는 z축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들어간 이동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z축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돌출된 이동 상태의 이미지가 303 화면에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303 화면에서 보이는 보조 윈도우(50)는 실질적으로 보조 윈도우(50)의 배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후에 설명할 보조 윈도우(50)에 출력될 페이지의 후면이 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305 화면, 307 화면, 309 화면에서와 같이 보조 윈도우(50)가 좌측 방향에서 우측 방향으로 메인 윈도우(40)가 연결된 경계 부분을 축으로 회전하는 형상으로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보조 윈도우(50)의 영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다가 정면을 기준으로 90도 이상의 둔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점진적으로 영역이 넓어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윈도우(50)는 배면 방향이 보이다가 전면 방향이 표시되는 형태로 메인 윈도우(40)의 일정 영역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303 화면에서 출력되는 보조 윈도우(50)는 불투명 형상으로 보임으로써 305 화면, 307 화면, 309 화면에서 메인 윈도우(40)의 일정 영역을 덮어 내용 확인 불가능하도록 표시 제어될 수 있다. 또는 보조 윈도우(50)는 일정 투명도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305 화면, 307 화면, 309 화면, 311 화면에서 각각 투명하게 메인 윈도우(4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투명도를 가지며 보조 윈도우(50)가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보조 윈도우(50)가 메인 윈도우(40)의 연결된 경계 지점을 축으로 회전하는 동안 메인 윈도우(40)가 비춰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조 윈도우(50)에 기입되는 컨텐츠는 303 화면과 305 화면에서는 전면 방향으로 표시되다가 307 화면 및 309 화면 상태에서도 전면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반대로 보조 윈도우(50)에 기입되는 컨텐츠는 303 화면, 305 화면에서는 반전된 형태로 기입되어 표시되다가 307 화면 및 309 화면에서 전면 반향으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보조 윈도우(50) 출력 과정에서 메인 윈도우(40)의 화면에 포함된 내용이 메인 윈도우(40)에 출력되도록 즉 보조 윈도우(50)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이 없도록 메인 윈도우(40) 영역 또는 메인 윈도우(40)의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리사이징 과정은 보조 윈도우(50)가 출력되면서 회전하는 동안 메인 윈도우(40) 영역이 변경되는 시점마다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보조 윈도우(50) 출력이 완료된 시점인 311 화면에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40)에서 보조 윈도우(50)는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화면 상태로 메인 윈도우(4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보조 윈도우(50)를 출력하는 과정 중 보조 윈도우(50)가 메인 윈도우(40)와 종속적인 관계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가 연결된 상태를 지시하는 303 화면만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사용자는 가장자리가 Z축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이동되어 상호 연결된 상태임을 입체적으로 표시한 메인 윈도우(40)와 보조 윈도우(50)를 통하여 두 개의 윈도우 간의 종속적인 관계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303 화면뿐만 아니라 다른 화면들 즉 305 화면, 307 화면, 309 화면 등도 각각 독립적인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보조 윈도우(50) 출력 형태는 상술한 회전 후 중첩되어 표시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보조 윈도우(50)의 회전이나 중첩 화면을 제공하지 않고 회전 중 특정 상태의 화면으로만 적용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및 서브 보조 윈도우 출력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에 앞서 메인 윈도우와 보조 윈도우가 세로 모드에서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메인 윈도우와 보조 윈도우는 배치 방향에 관계없이 상호 연계된 종속적 관계임을 지시하는 표시 효과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제어하여 특정 사용자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용자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해당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대응하는 메인 윈도우(40)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보조 윈도우(50)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보조 윈도우(50)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401 화면에서와 같이 메인 윈도우(40)가 출력된 상태에서 세로축 방향으로 보조 윈도우(50)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윈도우(50)는 메인 윈도우(40)의 우측 가장자리 영역에 중첩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보조 윈도우(50)가 출력되는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보조 윈도우(50)가 메인 윈도우(40)에 종속적인 관계임을 지시하는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보조 윈도우(50)에 출력된 특정 기능을 선택하여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보조 윈도우(50)에서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항목이 서브 보조 윈도우(60)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입력 신호인 경우 서브 보조 윈도우(60) 호출을 위한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서브 보조 윈도우(60)의 적어도 일부가 보조 윈도우(50)의 가장자리와 연계된 형태로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403 화면에서와 같이 보조 윈도우(50)가 일측에 중첩된 메인 윈도우(40)를 화면 속에서 일정 기울기로 기울여 배치하고, 보조 윈도우(50)에 적어도 일부가 연계된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표시부(140)의 일정 방향에 출력하되 보조 윈도우(50)와 연계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서브 보조 윈도우(60)의 일부 가장자리 영역을 메인 윈도우(40)의 가장자리 영역에 연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405 화면, 407 화면 및 409 화면에서와 같이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보조 윈도우(50)와의 경계 지점을 축으로 일정 방향 예를 측면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회전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411 화면에서와 같이 서브 보조 윈도우(60)가 보조 윈도우(50) 상에 표시되는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보조 윈도우(60) 역시 보조 윈도우(50)와 유사하게 불투명한 형태 또는 투명한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서브 보조 윈도우(60)는 불투명한 형태로 마련된 경우 403 내지 411 화면에서 메인 윈도우(40) 및 보조 윈도우(50)의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배치되며, 투명한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는 일부 영역을 가리도록 배치되지만 아래 내용이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서브 보조 윈도우는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및 서브 윈도우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을 가리도록 출력하거나, 일정 투명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영역 및 서브 윈도우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이 노출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보조 윈도우(50) 또는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메인 윈도우(40) 또는 보조 윈도우(50)와의 종속 간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면서도 윈도우 생성 시 발생할 수 있는 화면 끊김 현상 없이 자연스러운 형태로 윈도우들일 표시되도록 지원한다.
한편 표시부(140)에 출력된 보조 윈도우(50) 및 서브 보조 윈도우(60)는 이전 화면 즉 메인 윈도우(40) 또는 보조 윈도우(50) 출력 화면으로 전환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보조 윈도우(50) 및 서브 보조 윈도우(60) 생성 방식의 역순으로 해당 보조 윈도우(50) 및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표시부(14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즉 309 화면, 307 화면, 305 화면, 303 화면 순으로 보조 윈도우(50)를 표시부(140)에서 회전시키고 301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부(160)는 409 화면, 407 화면, 405 화면, 403 화면 순으로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표시부(140)에서 회전시켜서 제거한 후 4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보조 윈도우(50) 및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화면에서 점진적으로 투명 처리하여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메인 윈도우(40) 및 보조 윈도우(50)에 출력되는 내용의 표시 제어를 위하여 메인 윈도우(40) 및 보조 윈도우(50) 영역 또는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을 리사이징 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메인 윈도우(40)가 보조 윈도우(50)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는 화면들 예를 들면 305 화면, 307 화면, 309 화면, 311 화면에서 메인 윈도우(40) 영역 또는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며 원래 내용을 모두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서브 보조 윈도우(60)에 의하여 보조 윈도우(50) 및 메인 윈도우(40)의 적어도 일부가 가려지는 화면들 예를 들면 405 화면, 407 화면, 409 화면, 411 화면에서 메인 윈도우(40) 및 보조 윈도우(50) 영역 또는 해당 윈도우들의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원래 내용이 모두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메인 윈도우(40) 및 보조 윈도우(5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리사이징하는 과정을 보조 윈도우(50)의 중첩이 완료된 다음에만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즉 제어부(160)는 411 화면에서만 메인 윈도우(40) 및 보조 윈도우(5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리사이징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60) 역시 앞서 설명한 보조 윈도우(50)와 같이 403 화면, 405 화면, 407 화면, 409 화면 중 특정 화면 상태 중 어느 하나의 화면 상태로만 표시부(14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보조 윈도우(60) 출력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403 화면 상태로만 서브 보조 윈도우(60)를 표시부(140)에 출력하여 보조 윈도우(60)가 메인 윈도우(40)와 보조 윈도우(50)에 대하여 종속적인 화면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윈도우 표시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표시 방법은 메인 윈도우가 출력된 상태에서 해당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인 보조 윈도우를 출력하는 경우 보조 윈도우를 메인 윈도우에 연결된 형태로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보조 윈도우의 표시를 보다 시각화하여 메인 윈도우에 연계된 윈도우임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메인 윈도우는 일예로서 메뉴 화면 기능, 대기 화면 기능,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방송 수신 기능, 웹 접속 기능, 게임 기능, 스케줄 기능 등을 활성화한 화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윈도우가 메뉴 화면 기능 활성화에 따른 메뉴 화면인 경우 보조 윈도우는 메뉴 화면에 포함된 메뉴들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메뉴를 추가하거나 하는 등의 메뉴 설정을 지원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윈도우가 메뉴 화면이며 보조 윈도우가 메뉴 설정 화면인 경우 서브 보조 윈도우는 보조 윈도우에 포함된 특정 설정 항목을 상세히 설명한 텍스트 화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인 윈도우가 방송 수신 기능 활성화에 따른 방송 수신 화면인 경우 보조 윈도우는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방송 채널 선택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보조 윈도우는 보조 윈도우에서 선택된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채널 설명 화면이거나 방송 채널 선택 화면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채널 설정 화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윈도우가 스케줄 기능 활성화에 따른 달력 화면인 경우 보조 윈도우는 이번 달에 기입된 약속들의 리스트 화면이 될 수 있다. 서브 보조 윈도우는 보조 윈도우에서 선택된 특정 약속들의 세부 내용을 보여주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인 윈도우, 보조 윈도우, 서브 보조 윈도우는 각각 메인 윈도우로부터 종속적인 관계로 연계된 화면들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윈도우와 서브 보조 윈도우의 크기는 종속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자신의 상위 연계 윈도우 즉 메인 윈도우 또는 보조 윈도우보다 작게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보조 윈도우는 메인 윈도우의 좌측에서 메인 윈도우와의 경계지점을 축으로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출력되는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조 윈도우는 메인 윈도우의 4 방위 중 어떠한 방위에서라도 상술한 표시 효과를 기반으로 메인 윈도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윈도우가 출력되는 방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조 윈도우와 동일하게 서브 보조 윈도우 또한 보조 윈도우와 연계된 방향 중 특정 방향에서 보조 윈도우 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윈도우가 메인 윈도우에 비하여 작게 표시됨에 따라 표시부(14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보조 윈도우의 가장 자리 영역의 개수가 4개 미만이 될 수 있다. 즉 401 화면에서 같이 표시부(140) 가장자리 영역에 정렬된 보조 윈도우의 가장자리 영역은 3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보조 윈도우는 보조 윈도우의 3개의 가장자리 영역 중 적어도 한 곳에서 회전하여 보조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면서 표시부(14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51 : 윈도우 제어 프로그램 160 : 제어부
161 : 메인 윈도우 운용부 163 : 보조 윈도우 출력부
165 : 기능 수행부

Claims (19)

  1. 특정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메인 윈도우가 표시부에 출력되는 과정;
    상기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과정;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메인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와 함께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메인 윈도우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를 상기 표시부의 Z축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메인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가장자리가 연결된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가장자리들이 연결된 경계지점을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보조 윈도우를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영역을 가리도록 출력하는 과정;
    상기 보조 윈도우가 일정 투명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영역이 노출되도록 출력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메인 윈도우 영역 또는 상기 메인 윈도우의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는 과정;
    상기 메인 윈도우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보조 윈도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보조 윈도우와의 중첩된 영역 변경시 마다 상기 메인 윈도우 영역 또는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윈도우에 포함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 또는 상기 보조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서브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보조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는 서브 보조 윈도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출력된 상기 보조 윈도우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를 상기 표시부의 Z축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이동시키는 과정;
    상기 보조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가장자리가 연결된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상기 표시부에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출력하는 과정;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상기 가장자리들이 연결된 경계지점을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및 상기 보조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일부를 중첩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및 서브 윈도우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을 가리도록 출력하는 과정;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가 일정 투명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영역 및 서브 윈도우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이 노출되도록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윈도우 및 보조 윈도우 영역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메인 윈도우 및 상기 보조 윈도우 영역 또는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는 과정;
    상기 메인 윈도우 및 보조 윈도우 영역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보조 윈도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보조 윈도우와의 중첩된 영역 변경시 마다 상기 메인 윈도우 및 상기 보조 윈도우 영역 또는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9. 특정 사용자 기능에 대응하는 메인 윈도우가 출력되는 표시부;
    상기 메인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터치 패널,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메인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와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윈도우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를 상기 표시부의 Z축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이동시키고, 상기 메인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가장자리가 연결된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가장자리들이 연결된 경계지점을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에 중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영역을 가리도록 출력하거나,
    상기 보조 윈도우가 일정 투명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영역이 노출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윈도우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메인 윈도우 영역 또는 상기 메인 윈도우의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거나,
    상기 메인 윈도우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보조 윈도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보조 윈도우와의 중첩된 영역 변경시 마다 상기 메인 윈도우 영역 또는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윈도우에 포함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 또는 상기 보조 윈도우에 종속적으로 연계된 서브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신호 수신에 따라 상기 보조 윈도우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는 서브 보조 윈도우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출력된 상기 보조 윈도우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를 상기 표시부의 Z축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보조 윈도우의 일측 가장자리에 가장자리가 연결된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상기 표시부에 일정 기울기를 가지도록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상기 가장자리들이 연결된 경계지점을 축으로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상기 메인 윈도우 및 상기 보조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일부를 중첩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를 불투명하게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및 서브 윈도우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을 가리도록 출력하거나,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가 일정 투명도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중첩되는 메인 윈도우 영역 및 서브 윈도우 영역 중 적어도 한 영역이 노출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윈도우 및 보조 윈도우 영역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서브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메인 윈도우 및 상기 보조 윈도우 영역 또는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메인 윈도우 및 보조 윈도우 영역의 컨텐츠 내용이 상기 보조 윈도우에 중첩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출력되도록 상기 보조 윈도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보조 윈도우와의 중첩된 영역 변경시 마다 상기 메인 윈도우 및 상기 보조 윈도우 영역 또는 컨텐츠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터치 패널,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보조 윈도우를 호출하기 위한 상기 메인 윈도우에 포함된 링크 항목이나 메뉴 항목 선택에 따른 입력 신호, 상기 보조 윈도우 호출을 위한 키 버튼 입력 신호, 소프트 키 입력 신호, 핫 키 입력 신호, 센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에 따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윈도우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110124965A 2011-11-28 2011-11-28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89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65A KR101891794B1 (ko) 2011-11-28 2011-11-28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3/685,822 US9046986B2 (en) 2011-11-28 2012-11-27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displaying supplementary window
CN2012104951223A CN103135888A (zh) 2011-11-28 2012-11-28 用于显示补充窗口的方法和移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965A KR101891794B1 (ko) 2011-11-28 2011-11-28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947A true KR20130058947A (ko) 2013-06-05
KR101891794B1 KR101891794B1 (ko) 2018-08-27

Family

ID=4846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965A KR101891794B1 (ko) 2011-11-28 2011-11-28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46986B2 (ko)
KR (1) KR101891794B1 (ko)
CN (1) CN1031358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26A (ko) * 2016-04-15 2017-10-25 네이버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제작 장치, 방법,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4008590A (zh) * 2019-10-01 2022-02-01 谷歌有限责任公司 使用执行块提供辅助用户界面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P00554S1 (en) * 2013-02-23 2014-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5846190B2 (ja) * 2013-12-17 2016-01-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870123B (zh) * 2014-02-26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70279749A1 (en) * 2016-03-25 2017-09-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Communications
KR20180067855A (ko) * 2016-12-13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7357576B (zh) * 2017-06-30 2020-07-28 惠州市德赛西威汽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Windows应用程序多窗口并行绘图的方法及系统
WO2019045144A1 (ko) * 2017-08-31 2019-03-07 (주)레벨소프트 의료용 항법 장치를 위한 의료 영상 처리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US20200401277A1 (en) 2018-02-23 2020-12-24 Cloudbanter Ltd Phone operating system with split scre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7666A1 (en) * 2003-04-17 2004-10-21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address bar user interface control
US20060085760A1 (en) * 2002-04-05 2006-04-20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desktop manager
US20060212825A1 (en) * 2001-04-30 2006-09-21 Taylor Steve D Cell based EUI methods & apparatuses
US20080059893A1 (en) * 2006-08-31 2008-03-06 Paul Byrne Using a zooming effect to provide additional display space for managing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752B2 (ja) * 1993-01-28 1995-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式
US5825360A (en) * 1995-04-07 1998-10-20 Apple Computer, Inc. Method for arranging windows in a computer workspace
US6411292B1 (en) * 1999-03-31 2002-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pointing indicator within two-dimensional window display in three dimensions on a computer screen
US8341553B2 (en) * 2000-02-17 2012-12-25 George William Reed Selection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7627552B2 (en) * 2003-03-27 2009-12-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nd organizing items based on common elements
US7484182B1 (en) * 2005-06-30 2009-01-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ndition-based graphical layout management
JP4982505B2 (ja) * 2007-01-25 2012-07-25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8745535B2 (en) * 2007-06-08 2014-06-03 Apple Inc. Multi-dimensional desktop
US8473859B2 (en) * 2007-06-08 2013-06-25 Apple Inc.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models
CN101424995A (zh) * 2007-10-30 2009-05-06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三维视窗操作界面及其操作方法
US8819585B2 (en) * 2008-10-27 2014-08-26 Microsoft Corporation Child window surfacing and management
US8453057B2 (en) * 2008-12-22 2013-05-2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tage interaction for mobile device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1943988B (zh) * 2009-07-09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用户界面自动调整系统及方法
EP2354914A1 (en) * 2010-01-19 2011-08-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12825A1 (en) * 2001-04-30 2006-09-21 Taylor Steve D Cell based EUI methods & apparatuses
US20060085760A1 (en) * 2002-04-05 2006-04-20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desktop manager
US20040207666A1 (en) * 2003-04-17 2004-10-21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address bar user interface control
US20080059893A1 (en) * 2006-08-31 2008-03-06 Paul Byrne Using a zooming effect to provide additional display space for managing applica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26A (ko) * 2016-04-15 2017-10-25 네이버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제작 장치, 방법,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579218B2 (en) 2016-04-15 2020-03-03 Naver Corporation Application produc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4008590A (zh) * 2019-10-01 2022-02-01 谷歌有限责任公司 使用执行块提供辅助用户界面
CN114008590B (zh) * 2019-10-01 2024-04-09 谷歌有限责任公司 使用执行块提供辅助用户界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794B1 (ko) 2018-08-27
CN103135888A (zh) 2013-06-05
US20130139105A1 (en) 2013-05-30
US9046986B2 (en) 2015-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8947A (ko) 보조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092898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10377196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EP239793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U2536799C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1018027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0333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101569776B1 (ko)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078929B1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KR10166824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334330B2 (ja)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EP2450781B1 (en) Mobile terminal and screen change control method based on input signals for the same
US20180292968A1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5006454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KR2010008490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74141A (ko)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윈도우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2010003460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86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201400190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792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122176A (zh) 用于管理在电子设备上显示的内容的系统和方法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50007048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EP274381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KR101880921B1 (ko) 회전 기능의 선택적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