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504A -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504A
KR20130058504A KR1020110124540A KR20110124540A KR20130058504A KR 20130058504 A KR20130058504 A KR 20130058504A KR 1020110124540 A KR1020110124540 A KR 1020110124540A KR 20110124540 A KR20110124540 A KR 20110124540A KR 20130058504 A KR20130058504 A KR 2013005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lay
load
power suppl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837B1 (ko
Inventor
김선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837B1/ko
Priority to US13/666,500 priority patent/US9419429B2/en
Publication of KR2013005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using temperature dependent 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8Electromechanical and static switch connected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9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 H01H33/596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r ensuring operation of the switch at a predetermined point in the ac cycle for interrupting dc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 상기 부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상기 부하와 상기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부하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부하에 인가되기 전에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무전원 접점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공급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하고,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하 온도에 따라 부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면서 소정의 조건, 예를 들어 부하 온도가 비정상 범위로 상승하는 경우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차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110), 부하(110)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부하(110)와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릴레이(RL), 릴레이(RL)의 접점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릴레이(RL)의 코일의 일측 단자는 구동 전원(Vcc)에 연결되고 릴레이(RL)의 코일의 다른 일측 단자는 트랜지스터(TR)의 콜렉터 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단자는 제어부(120)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의 에미터 단자는 접지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부(1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릴레이(RL)의 코일이 구동되고, 릴레이(RL)의 접점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제어부(120)는 외부로부터 입력에 따라 또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릴레이(RL)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110)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전제로 구성되어, 부하(11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고전압에 의한 아크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RL)가 파손되거나 제어부(120)의 출력 단자가 파손되는 경우 부하(1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차단할 대체 수단이 없어서 부하(110)의 과열로 인해 화재 발생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전압에 의한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고, 부하의 온도를 감지하여 부하에 공급되는 열량을 제어하고, 부하가 과열되거나 고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 상기 부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상기 부하와 상기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부하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부하에 인가되기 전에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무전원 접점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공급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하고,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전원 접점부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하고, 상기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전원 접점부는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이상 온도보다 높은 제1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높은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기준 온도는 상기 이상 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정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이상 변화율보다 큰 제3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원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는 고전압 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전원 전압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이상 전압의 세기보다 큰 제4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를 추종하기 위한 온도 테이블, 및 상기 제1 오류 상태 내지 제4 오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오류 상태 내지 제4 오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은 부하, 상기 부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상기 부하와 상기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 상기 부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부하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릴레이를 구비하는 무전원 접점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부하에 인가되기 전에 상기 무전원 접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공급 명령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비교부가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비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무전원 접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하고, 상기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한다.
또한,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에 따라 상기 무전원 접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이상 온도보다 높은 제1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높은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비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온도가 상기 이상 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정해진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이상 변화율보다 큰 제3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고전압 감지부가 상기 전원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전원 전압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이상 전압의 세기보다 큰 제4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 오류 상태 내지 제4 오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부하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아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하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위치의 온 오프로 부하에 공급되는 열량을 제어하여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가 과열되거나 고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여 화재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장치의 온도 감지부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4는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의 비교부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5는 정상적인 부하 온도와 비정상적인 부하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
도 7은 제1 오류 상태 및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210), 부하(210)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부하(210)와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220), 부하(210)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240), 부하(210)와 스위치(22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전원 접점부(230), 온도 감지부(240)의 출력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250),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0), 전원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는 고전압 감지부(270), 오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80), 및 오류 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290)를 포함하여 구성하다.
부하(210)는 일반적인 전력 소비 장치에서 이용되는 유도성 부하, 저항성 부하, 또는 혼합형 부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전 기기의 경우 대표적인 유도성 부하로서 모터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유도성 부하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로 인해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특히, 솔레노이드(solenoid)와 같은 코일류(coil)의 유도성 부하의 경우 교번하는 자력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 모터 등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목표로 하는 회전수와 토크(torque)를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저항성 부하의 일 예로서 히터(heater)가 이용될 수 있다. 히터의 용량을 높이는 경우 코어의 공간의 제약과 비용의 증가에 따라 고전압 직류를 공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측면은 부하(210)에 고전압 직류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고전압 직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아크를 억제하고, 부하(210)에 공급되는 열량을 안전하게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외부 전원은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을 부하(210)에 공급한다. 특히, 외부 전원이 고전압 직류인 경우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arc)를 억제하고, 외부 전원이 교류 전압을 부하(210)에 공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스위치(220)는 일반적인 전력 소비 장치에서 이용되며, 고속 스위칭이 가능한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의 반도체 회로로 구성된다. 스위치(220)는 부하(210)와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턴 온(turn-on)되는 경우 부하(210)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고, 턴 오프(turn-off)되는 경우 부하(210)에 전원 전압을 차단한다.
무전원 접점부(230)는 부하(210)와 스위치(220) 사이에 연결된 릴레이(RL1), 비교부(250) 및 제어부(260)의 출력 신호에 따라 릴레이(RL1)의 코일을 구동하는 트랜지스터(TR1)를 구비한다.
릴레이(RL1)의 접점의 일측 단자는 부하(210)에 연결되고, 릴레이(RL1)의 접점의 다른 일측 단자는 스위치(220)에 연결되어 무전원 접점을 형성한다. 릴레이(RL1)의 코일의 일측 단자는 구동 전원(Vcc)에 연결되고 릴레이(RL1)의 코일의 다른 일측 단자는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emitter) 단자는 접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base) 단자는 비교부(250)의 출력 단자 및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d)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7 저항(R7)의 일측 단자는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d)와 연결되고, 제7 저항(R7)의 다른 일측 단자는 구동 전원(Vcc)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d)의 기본 출력 신호는 하이 레벨을 유지한다.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단자는 비교부(250)의 출력 단자 및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d)와 연결되므로, 비교부(250) 및 제어부(260)의 출력 신호가 모두 하이 레벨(high level)인 경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이에 따라 릴레이(RL1)의 코일이 구동되고 릴레이(RL1)의 접점이 활성화된다. 반면, 비교부(250) 및 제어부(2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low level)인 경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따라 릴레이(RL1)의 코일이 구동되지 않고 릴레이(RL1)의 접점이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비교부(250) 및 제어부(2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에 따라 릴레이(RL1)의 접점이 활성화된다.
트랜지스터(TR1)의 동작의 안정화를 위해서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는 저항, 또는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무전원 접점부(230)의 개략적인 회로 구조는 복수의 출력 신호에 따라 릴레이(RL1)의 접점을 활성화하거나, 복수의 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에 따라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일 예로 다른 구성 요소 및 다른 구조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240)는 부하(210)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서미스터(thermistor), 측온저항체(Resistance Thermometer Detector), 또는 서모커플(thermo-couple)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240)는 부하(210)와 접하거나 부하(210)에 인접하여 부하(210) 온도를 감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부하(210)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온도 감지부(240)의 구성 요소로서 서미스터(Rth)를 이용한다. 온도 감지부(240)의 회로 구조는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전원 공급장치의 온도 감지부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 감지부(240)는 서미스터(Rth), 및 서미스터(Rth)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R1, R2)을 구비한다.
서미스터(Rth)의 일측 단자는 제1 저항(R1) 및 제2 저항(R2)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고, 서미스터(Rth)의 다른 일측 단자는 접지 연결된다. 제1 저항(R1)의 다른 일측 단자는 구동 전원(Vcc)에 연결되고, 제2 저항(R2)의 다른 일측 단자는 비교부(250)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Vth의 전압의 세기는 다음 수학식 1에 의하여 정해진다.
Figure pat00001
서미스터(Rth)는 음의 온도 계수(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에 따라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저항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Vth의 전압의 세기가 작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Vth의 전압의 세기가 커진다. 여기서,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Vth의 전압의 세기는 온도 감지부(240)가 감지하는 부하(210) 온도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Vth의 전압은 제2 저항(R2)을 통해 비교부(250)의 입력 단자, 및 제어부(260)의 입력 단자(a)에 출력된다. 여기서, 제어부(260)의 입력 단자(a)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입력 단자로서 Vth의 전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가 입력된다.
비교부(250)는 온도 감지부(240)의 출력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무전원 접점부(230)에 출력한다. 비교부(250)의 회로 구조는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전원 공급 장치의 비교부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부(250)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를 구비한다.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Vth의 전압이 입력되고,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 즉 Vref의 전압이 입력된다.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 단자는 제3 저항(R3)의 일측, 제4 저항(R4)의 일측, 및 콘덴서(C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3 저항(R3)의 다른 일측은 구동 전원(Vcc)에 연결되고, 제4 저항(R4)의 다른 일측은 접지 연결되고, 콘덴서(C1)의 다른 일측은 접지 연결된다. 콘덴서(C1)는 Vref의 전압이 안정하게 입력되도록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Vref의 전압의 세기는 다음 수학식 2에 의하여 정해진다.
Figure pat00002
연산 증폭기는 Vth의 전압의 세기와 Vref의 전압의 세기를 비교하고, Vth의 전압의 세기가 Vref의 전압의 세기보다 큰 경우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연산 증폭기는 Vth의 전압의 세기가 Vref의 전압의 세기보다 작은 경우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Vref의 전압의 세기는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3 저항(R3), 및 제4 저항(R4)의 조합에 따라 Vref의 전압의 세기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기준 온도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부하(210)의 최고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온도 감지부(240)가 감지한 부하(210)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아지기 전까지, 다시 말하면 Vth의 전압의 세기가 Vref의 전압의 세기보다 작아지기 전까지 연산 증폭기의 출력 신호는 하이 레벨을 유지한다.
제어부(260)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60)는 복수의 입력 단자, 출력 단자, 입출력 단자(a, b, c, d, e, f)를 구비한다. 입력 단자(a, b)에는 온도 감지부(240)가 감지한 부하(210) 온도, 고전압 감지부(270)가 감지한 전원 전압의 세기가 입력된다. 출력 단자(d, e, f)는 스위치(220)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신호,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출력 신호, 알림부(290)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입출력 단자(c)는 메모리부(280)와 연결되어, 메모리부(280)로부터 온도 감지부(240)가 감지한 부하(210) 온도를 추종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 받거나, 전원 공급 장치의 오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8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e)는 스위치(220)와 연결되어 스위치(220)의 온 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제어 신호를 통해 스위치(220)의 온 오프를 제어함으로써 부하(210)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d)는 릴레이(RL1)의 코일을 구동하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므로, 제어부(260)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릴레이(RL1)의 접점이 비활성화되고, 제어부(260)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 릴레이(RL1)의 접점이 활성화된다. 즉, 제어부(260)는 릴레이(RL1)의 접점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함으로써 부하(210)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고전압 감지부(270)는 전원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저항(R5, R6)을 구비할 수 있다. 제5 저항(R5)의 일측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고, 제5 저항(R5)의 다른 일측은 제6 저항(R6) 및 제어부(260)의 입력 단자(b)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6 저항(R6)의 다른 일측은 접지 연결된다.
Vhv의 전압의 세기는 다음 수학식 3에 의하여 정해진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Vp는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의 세기를 나타낸다. 한편,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의 세기가 커질 수록 Vhv의 전압의 세기가 커지고,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의 세기가 작아질 수록 Vhv의 전압의 세기가 작아지므로, Vhv의 전압의 세기는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의 세기에 비례한다.
Vhv의 전압은 제어부(260)의 입력 단자(b)에 연결되고, 제어부(260)의 입력 단자는 ADC 입력 단자로서 Vhv의 전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가 입력된다. Vhv의 전압의 세기는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의 세기에 비례하므로, 제어부(260)는 Vhv의 전압의 세기에 따라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의 세기를 환산할 수 있다.
메모리부(280)는 미리 프로그램 가능한 롬(ROM) 또는 플래쉬 메모리를 구비한다. 메모리부(280)는 부하(210) 온도를 추종하기 위한 온도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260)에 의해서 전원 공급 장치의 오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알림부(290)는 제어부(2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의 오류 상태를 외부에 알린다. 알림부(290)는 전원 공급 장치의 오류 상태를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외부에 알리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피커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정상적인 부하 온도와 비정상적인 부하 온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하(210)에 전원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부하(210) 온도가 상승한다. 전원 공급 장치는 부하(210)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차단하고, 부하(210)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인가하므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210) 온도는 정상 범위 내에서 교번하면서 유지된다. 그러나, 전원 공급 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210)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하(210)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ΔT/Δt)은 매우 크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와 같이 전원 공급 장치에 오류가 발생하여 스위치(220)의 턴 오프로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차단할 수 없는 경우에도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부하(21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전압이 부하(210)에 인가되기 전에 릴레이(RL1)의 접점을 활성화하여 무전원 접점을 형성한다(S610). 비교부(250)는 온도 감지부(240)가 감지한 부하(210)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를 비교하고, 감지한 부하(210)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릴레이(RL1)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무전원 접점부(230)는 비교부(250)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RL1)의 접점을 활성화한다.
보다 상세하게, 비교부(250)의 연산 증폭기는 Vth의 전압의 세기와 Vref의 전압의 세기를 비교한다. 전원 전압이 부하(210)에 인가되기 전이므로 온도가 낮아 서미스터(Rth)의 저항값이 크다. 따라서, Vth의 전압의 세기는 Vref의 전압의 세기보다 크게 되어 연산 증폭기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d)의 기본 출력 신호는 하이 레벨을 유지하므로,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되고, 릴레이(RL1)의 코일이 구동되어 릴레이(RL1)의 접점이 활성화된다.
한편, 릴레이(RL1)의 접점은 활성화되었지만, 제어부(260)가 스위치(220)를 턴 온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은 부하(210)에 인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릴레이(RL1)의 접점은 부하(210)와 스위치(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무전원 접점을 형성하고, 외부 전원이 고전압을 공급하는 경우 아크의 발생을 방지한다. 즉,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고전압의 직류가 부하(210)에 인가되기 전에 릴레이(RL1)의 접점을 활성화함으로써 고전압 직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아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원이 고전압의 교류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공급 명령에 따라 스위치(220)를 턴 온하여 부하(210)에 전원 전압을 인가한다(S620).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e)에서 스위치(220)를 턴 온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고, 스위치(22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된다. 그리고, 부하(210)에 전원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부하(210)의 온도가 상승한다.
제어부(260)는 온도 감지부(240)가 감지한 부하(210) 온도에 따라 스위치(220)의 온 오프를 제어하여, 부하(210) 온도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S630). 제어부(260)는 감지한 부하(210)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스위치(220)를 턴 오프하고,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스위치(220)를 턴 온하여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220)를 턴 오프하여 부하(210)에 전원 전압이 차단되면 부하(210) 온도가 하강하고, 다시 스위치(220)를 턴 온하여 부하(210)에 전원 전압이 인가되면 부하(210) 온도가 상승한다.
메모리부(280)에는 제어부(260)가 감지한 부하(210) 온도를 추종하기 위한 온도 테이블이 저장된다. Vth의 전압은 제어부(260)의 ADC 입력 단자에 입력되고, 제어부(260)에는 Vth의 전압의 세기에 대응하는 디지털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260)는 메모리부(280)에 저장된 온도 테이블을 통해서 Vth의 전압의 세기에 따라 부하(210) 온도를 환산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220)는 IGBT 또는 FET 등의 반도체 회로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전기 또는 서지(surge) 등과 같은 전기적 노이즈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스위치(220)가 오프 상태로 파손되는 경우 부하(210)에는 전원 전압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스위치(220)가 온 상태로 파손되는 경우 문제된다. 즉, 제어부(260)는 감지한 부하(210) 온도가 목표 온도보다 높아 스위치(220)를 턴 오프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만, 스위치(220)의 파손으로 스위치(220)가 오프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 전압이 부하(210)에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부하(210)가 빠른 속도로 과열되어 화재 발생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부하(210)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오류 상태의 경우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 해야 한다(S6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60) 및 비교부(2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스위치(220)가 파손되어 부하(210)가 과열되는 경우 부하(210) 온도를 감지하여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고 전원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부하(210)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제1 오류 상태 및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도 7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제1 오류 상태 및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메모리부(280)에 저장된 온도 테이블을 통해서 감지한 부하(210) 온도가 이상(abnomal) 온도보다 높은지 판단한다(S710). 이를 위해 메모리부(280)에 저장된 온도 테이블은 부하(210) 온도의 정상 범위와 비정상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부하(210) 온도의 정상 범위는 미리 정해진 이상 온도보다 낮은 범위로 정해지며, 부하(210) 온도의 비정상 범위는 이상 온도보다 높고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낮은 범위로 정해진다. 여기서, 부하(210) 온도가 이상 온도보다 높고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를 제1 오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제1 오류 상태의 경우 다음과 같이 제어부(260)의 소프트웨어적 보호(software protection) 기능이 수행된다.
제1 오류 상태의 경우 제어부(260)는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무전원 접점부(230)(230)는 제어부(260)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한다(S720).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60)의 출력 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되고, 이에 따라 릴레이(RL1)의 코일이 구동되지 않아 릴레이(RL1)의 접점이 비활성화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전원 접점부(230)의 릴레이(RL1)의 접점은 비교부(250) 및 제어부(2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에 따라 비활성화 된다.
한편, 스위치(220)의 파손과 마찬가지로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d)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60)의 출력 신호에도 불구하고 릴레이(RL1)의 접점이 비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 전압이 부하(210)에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부하(210)가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비교부(250)가 감지한 부하(210)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높은지 판단한다(S730). 그리고, 부하(210)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경우 비교부(250)가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무전원 접점부(230)는 비교부(250)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한다(S740). 그리고, 부하(210)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이 경우를 제2 오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온도는 이상 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정해진다.
보다 상세하게, 비교부(250)의 연산 증폭기는 Vth의 전압의 세기와 Vref의 전압의 세기를 비교하고, Vth의 전압의 세기가 Vref의 전압의 세기보다 크므로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 전압이 부하(210)에 공급되기 전에 릴레이(RL1)의 접점을 활성화한다. 그러나, 제어부(260)의 출력 단자가 파손되어 부하(210)가 과열되는 경우에는 부하(210) 온도에 대응되는 Vth의 전압의 세기가 작아지고, Vth의 전압의 세기가 기준 온도에 대응되는 Vref의 전압의 세기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 때에는 비교부(250)의 연산 증폭기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릴레이(RL1)의 코일이 구동되지 않아 릴레이(RL1)의 접점이 비활성화된다. 즉,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비교부(250)는 하드웨어적 보호(hardware protect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60)는 부하(210) 온도가 이상 온도보다 높은 경우 외에, 감지한 부하(210)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이상 변화율보다 큰 경우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제3 오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이 부하(210)에 고전압 직류를 공급하는 경우 부하(210)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특히, 스위치(220)가 파손된 경우에는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부하(210)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은 매우 크다. 따라서, 부하(210) 온도가 이상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도 부하(210)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이상 변화율보다 크다면 스위치(220)가 파손됨을 알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60)는 스위치(220)가 파손됨을 판단하고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무전원 접점부(230)는 제어부(260)의 출력에 따라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고,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차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부하(210)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을 통해 스위치(220)의 파손 상태를 빠르고 판단할 수 있고,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고 전원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부하(210)의 과열로 인한 화재 발생 등을 신속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감지부(270)가 감지한 전원 전압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이상 전압의 세기보다 큰 경우에도 제어부(260)는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를 제4 오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고전압 감지부(270)의 Vhv의 전압의 세기에 따라 외부 전원이 공급하는 전원 전압의 세기를 환산할 수 있고, 전원 전압의 세기가 비정상 범위, 즉 이상 전압의 세기보다 큰 경우에는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차단하여 부하(21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여 비정상 범위의 고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고 전원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부하(210)의 파손 및 화재 발생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면서 오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280)에 저장한다. 오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스위치(220) 및 릴레이(RL1) 중 파손된 구성요소에 대한 정보, 파손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260)가 릴레이(RL1)의 접점을 비활성화하여 부하(21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차단한 후에 오류 상태를 외부에 알린다(S650). 알림부(290)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피커 장치 등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오류 상태를 외부에 알린다.
210: 부하 220: 스위치
230: 무전원 접점부 240: 온도 감지부
250: 비교부 260: 제어부
270: 고전압 감지부 280: 메모리부
290: 알림부

Claims (21)

  1. 부하, 상기 부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상기 부하와 상기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부하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릴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부하에 인가되기 전에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무전원 접점부; 및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공급 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하고,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전원 접점부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하고, 상기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전원 접점부는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에 따라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이상 온도보다 높은 제1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높은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온도는 상기 이상 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정해지는 전원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이상 변화율보다 큰 제3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는 고전압 감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전원 전압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이상 전압의 세기보다 큰 제4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를 추종하기 위한 온도 테이블, 및 상기 제1 오류 상태 내지 제4 오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류 상태 내지 제4 오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에 알리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12. 부하, 상기 부하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외부 전원, 상기 부하와 상기 외부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 상기 부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부하와 상기 스위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릴레이를 구비하는 무전원 접점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부하에 인가되기 전에 상기 무전원 접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원 공급 명령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비교부가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상기 기준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비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상기 무전원 접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를 턴 오프하고, 상기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치를 턴 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부 및 상기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에 따라 상기 무전원 접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이상 온도보다 높은 제1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온도보다 높은 제2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비교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온도가 상기 이상 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정해지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한 부하 온도의 단위 시간당 변화율이 미리 정해진 이상 변화율보다 큰 제3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고전압 감지부가 상기 전원 전압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전원 전압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이상 전압의 세기보다 큰 제4 오류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릴레이의 접점을 비활성화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류 상태 내지 제4 오류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외부에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10124540A 2011-11-25 2011-11-25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7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40A KR101977837B1 (ko) 2011-11-25 2011-11-25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3/666,500 US9419429B2 (en) 2011-11-25 2012-11-01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40A KR101977837B1 (ko) 2011-11-25 2011-11-25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504A true KR20130058504A (ko) 2013-06-04
KR101977837B1 KR101977837B1 (ko) 2019-05-13

Family

ID=4846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540A KR101977837B1 (ko) 2011-11-25 2011-11-25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19429B2 (ko)
KR (1) KR101977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95218B2 (en) * 2012-03-07 2015-03-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US20150103450A1 (en) * 2013-10-14 2015-04-16 Unico, Inc. Thermal Protection For Electrical Device
JP6383536B2 (ja) * 2013-12-09 2018-08-2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空調用安全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955161B (zh) * 2014-05-14 2016-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监控电路及电子设备
CN104901274A (zh) * 2015-06-12 2015-09-09 林碧琴 一种自断电电路
CN104852350A (zh) * 2015-06-12 2015-08-19 林碧琴 一种简易的自断电电路
CN105406443B (zh) * 2015-11-11 2018-02-06 无锡联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即热电热水器防干烧检测保护电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55U (ko) * 1996-12-14 1998-09-15 김종진 전원차단기의 과열경보장치
KR20070000945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5567B (ko) * 1992-07-09 1994-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5925998A (en) * 1997-07-21 1999-07-20 Olson; Eric O. Energy saving motor control device
JP4228760B2 (ja) * 2002-07-12 2009-0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充電状態推定装置
KR100856889B1 (ko) 2006-12-29 2008-09-05 하대봉 전기 히팅 매트리스용 온도 조절 장치
KR100905417B1 (ko) 2007-10-17 2009-07-02 신봉섭 히터전원 제어용 스위칭소자 고장시 전열기기의과열방지장치
KR200451186Y1 (ko) 2008-04-04 2010-12-02 쿠쿠전자주식회사 가열 조리기기의 안전장치
US20100093445A1 (en) * 2008-10-14 2010-04-15 Igt Thermal management in a gaming machine
KR101241537B1 (ko) 2009-09-08 2013-03-08 유인숙 하이브리드 전기보일러 시스템
JP5327151B2 (ja) * 2010-07-01 2013-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緊急通報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55U (ko) * 1996-12-14 1998-09-15 김종진 전원차단기의 과열경보장치
KR20070000945A (ko) * 2005-06-28 2007-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837B1 (ko) 2019-05-13
US20130134800A1 (en) 2013-05-30
US9419429B2 (en)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837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30944A (ja) 電線保護方法および電線保護装置
JP6096718B2 (ja) 複数のptcサーミスタを備えた電動機の過熱検出装置
US20020021539A1 (en) Protective circuit against overheating of a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
US9136691B2 (en) Solid state relay protective device
KR101364204B1 (ko) 모터 드라이버 시스템 및 모터 드라이버 보호방법
JP2015011836A (ja) リレー制御装置
JP2010104079A (ja) 負荷駆動装置
US6570129B1 (en) Protection device for dual stage power supply
EP3616228B1 (en) Circuit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stant magnetic field to actuate electromechanical relays and contactors over a large temperature range
JP5776946B2 (ja) 電力供給制御装置
JPH0832361A (ja) 保護装置付き増幅回路
KR20090101428A (ko) 온도조절 장치의 화재 방지 장치
KR20070076760A (ko) 전원공급장치
KR101053851B1 (ko) 전원공급장치
US10338623B2 (en) Power and control device for medium voltage applications
KR101364123B1 (ko) 조리기기의 과열 방지 장치
KR0125457Y1 (ko) 전자조리기의 과열방지회로
JPH0649113Y2 (ja) 車両用電源装置
CN213459053U (zh) 机械硬盘加热电路、机械硬盘加热装置和车辆
JP3627374B2 (ja) 電動機の温度過昇保護装置
KR20110016518A (ko) 침구류용 전기장 및 자계장 차단 발열선의 구동 장치
KR100829183B1 (ko) 유도가열장치
KR101546876B1 (ko) 커넥터의 발열 방지 장치
KR19980027468A (ko) 보호회로를 갖춘 영구자석형 발전기의 전압조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