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488A -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488A
KR20130058488A KR1020110124515A KR20110124515A KR20130058488A KR 20130058488 A KR20130058488 A KR 20130058488A KR 1020110124515 A KR1020110124515 A KR 1020110124515A KR 20110124515 A KR20110124515 A KR 20110124515A KR 20130058488 A KR20130058488 A KR 2013005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e water
hypochlorous acid
mixing tank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태
반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1012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8488A/ko
Publication of KR2013005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균수와 살균수를 생성하여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이 저장되는 약제통과; 제1포트로 물이 공급되고, 제2포트로 차아염소산이 공급되어 규정된 비율로 물과 차아염소산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마련되는 혼합탱크 수위센서와; 상기 혼합탱크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4라인을 통해 상기 혼합탱크와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마련되는 저장탱크 수위센서와; 상기 약제통에 연결되어 수요가 있을 때 저장된 차아염소산이 배출되는 소독수 공급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수요가 있을 때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차아염소산이 배출되는 무균수 공급라인;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소독수 또는 무균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STERILLZED WATER AND ASEPTIC WATER C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서 무균수와 살균수를 생성하여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와 같은 곳에는 각종 처치용 기구들을 소독하기 위한 소독제가 필요함과 동시에 가글을 위해 환자에게 제공되는 무균수도 필요하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구들을 통한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로로헥사딘, 알콜 등 다양한 살균성분을 가진 약품이 사용하여 소독을 시행하고 있으나 소독제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기존 소독제를 대체할 수 있는 성분으로 차아염소산(HOCl)이 주목을 받고 있다.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염산을 전기분해하거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과 산을 혼합하는 방법이 대표적인 것으로 소규모 장치로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생성된 차아염소산은 알콜 등으로 살균할 수 없는 아포를 형성하는 균도 살균할 수 있을 정도록 강력한 살균제이다. 이렇게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약청에서 식품첨가제(채소등을 씻거나 기구등을 살균소독하는데 사용)로 인가되어 있는 물질로 인체에 거의 해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을 기구등을 살균하기 위한 용도로는 유리잔류염소농도를
약 200ppm이하가 되도록 규정되어 있어 보통 20ppm~60ppm정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아염소산수를 제조하는 기술은 널리 알려져있다.
이하 개략적으로 관련되는 종래기술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43894호의 살균소독수 생성장치가 있으며, 종래기술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교대로 설치되고 백금족으로 형성된 다수의 음/양극 전극(310)들에 의해 유입되는 수돗물과 염수를 전해반응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이 포함된 살균소독수를 생성하여 배출시키는 전해반응조(3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염수공급펌프(40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을 자동으로 단속하여 공급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2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공급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전해반응조에서 생성되는 살균소독수의 농도를 일정하게 하는 감압조절밸브(330)와; 상기 전해반응조에 의한 일련의 살균소독수 생성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120)와; 상기 전해반응조의 전극들에 전해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회로(130)와; 상기 전원공급회로(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한 냉각팬(170)과;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장하기 위한 본체케이스(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치과에서는 소독제 외에도 진료시 많은 물을 사용하고 있다.
치과에서 환자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핸드피스는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치아를 절삭하게 되므로 마찰에 의한 열을 냉각시킴과 동시에 절삭된 치아조각이나 피 등을 씻어내기 위하여 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핸드피스 말단을 통해 구강내로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진료 중 또는 진료 후 환자의 구강 내를 씻어 내기 위한 가글수도 동일한 수관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핸드피스의 경우 환자의 구강내에서 작동함에 따라 환자의 피나 구강내 조직 등이 내부로 유입되어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균이 핸드피스의 내부에서 번식하게 되며 이 균이 핸드피스와 연결된 관을 따라 역으로 이동하여 수관을 오염시켜 바이오필름을 형성하여 수관이 막히도록 하며 다른 환자에게 균을 전달하여 원내감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무균수를 공급하는 것이 절실한 실정이다.
세균이 존재하는 물에 차아염소산수를 투입할 경우 물에 존재하는 균을 살균할 수 있다.
여기서 차아염소산수의 양을 많이 투입할수록 살균효과는 높아지나 먹는물 기준에서 유리잔류염소의 농도를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흘러가는 물의 양을 감지하고 유량에 따라 적절한 양의 차아염소산수를 투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핸드피스 사용시의 유량이 극히 적어 고가의 정밀한 유량센서가 아닐 경우 유량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아염소산수와 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43894호(2004.7.30 등록)
이에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에서 소독수와 무균수를 생성하여 필요시 무균수와 소독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무균수와 소독수 생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이 저장되는 약제통과; 제1포트로 물이 공급되고, 제2포트로 차아염소산이 공급되어 규정된 비율로 물과 차아염소산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마련되는 혼합탱크 수위센서와; 상기 혼합탱크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4라인을 통해 상기 혼합탱크와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마련되는 저장탱크 수위센서와; 상기 약제통에 연결되어 수요가 있을 때 저장된 차아염소산이 배출되는 소독수 공급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수요가 있을 때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차아염소산이 배출되는 무균수 공급라인;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소독수 또는 무균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통에 연결되는 상기 소독수 공급라인의 토출구는 상기 제2포트와 연결되는 제1라인의 토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약제통은 염산을 전기분해하고 물과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연결되어, 상기 약제통이 최소 수위가 되었을 때 상기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작동하여 상기 약제통이 만수위가 될 때까지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탱크가 완전히 비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4라인의 밸브는 폐쇄되고, 제3라인의 밸브가 개방되어 혼합탱크의 제1수위까지 물을 채운 후 만수위가 될 때까지 상기 약제통으로부터 제1라인을 통해 차아염소산을 채움으로써 물과 차아염소산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이며 혼합탱크 내에 무균수가 혼합완료된 상태이면 제4라인의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무균수 공급라인에는, 압력탱크와 가압펌프 및 압력스위치가 마련되어 상기 압력탱크의 수압에 따라 상기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여 상기 가압펌프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는 하나의 생성장치에서 소독수와 무균수를 생성하여 수요에 맞게 원활히 공급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필요시 원활하게 무균수와 살균수를 공급할 수 있어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한다는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는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와, 약제통(200)과, 약제통 수위센서(250)와, 혼합탱크(300)와, 혼합탱크 수위센서(350)와, 저장탱크(400)와, 저장탱크 수위센서(450)와, 소독수 공급라인(500)과, 무균수 공급라인(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소정의 박스형 케이스 내부에 상기 요소들이 배치 연결되도록 한다.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는 염산을 전기분해한 후 물을 혼합하거나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알카리용액을 혼합하여 소정의 농도를 가진 차아염소산을 생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는 공지의 차아염소산 생성기술을 선택적으로 채택하면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공급되는 제2라인(110)이 마련되어 필요시 물을 공급하게 되고, 제2라인(11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v)가 설치되어 물의 흐름을 단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에는 소정량의 염산을 자동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마련되며, 염산과 물은 규정된 일정한 비율로 공급되도록 한다.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를 통해 생성되는 차아염소산은 약제통(200)으로 공급되며, 약제통(200)에는 약제통 수위센서(25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약제통(200)은 만수위가 1리터인 것으로 하며, 약제통(200)의 수위가 대략 100cc 이하가 되면 새롭게 차아염소산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약제통 수위센서(250)가 약제통(200)의 수위가 100cc 이하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신호를 전달하며, 제어부(700)에서는 차아염소산 생성기(1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2라인(110)의 솔레노이드 밸브(v)가 열려 물이 공급된다. 약제통(200)의 수위가 다시 만수위로 되면 차아염소산 생성기(100)의 작동은 정지된다.
약제통(200)으로 공급된 차아염소산은 소독수 공급라인(500)으로 배출되거나 제1라인(210)을 통해서 혼합탱크(300)로 공급될 수 있다.
약제통(200)에 유입되는 차아염소산의 농도는 대략 25 ~ 30ppm 정도이며, 소독수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면 약제통의 차아염소산은 소독수 공급라인을 통해 곧바로 배출된다.
혼합탱크(300)에서는 물과 차아염소산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혼합탱크(300)는 만수위가 10리터가 되는 것으로 한다. 혼합탱크(300) 상측에 제1포트(310)와 제2포트(320)가 마련되며, 제1포트(310)를 통해서 물이 공급되는 제3라인(330)이 연결되고 제2포트(320)에는 약제통(200)과 연결되는 제1라인(210)이 연결된다.
제1라인(210)을 통해 차아염소산이 공급되고 제3라인(330)을 통해 물이 공급되며, 제1라인(210)의 중간에는 정량펌프나 솔레노이드 밸브(v)가 마련되어 규정된 양의 차아염소산을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3라인(33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v)를 마련하여 물도 규정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물과 차아염소산의 적정 혼합비율은 8:2 가 되도록 한다. 물을 8리터 공급하고 차아염소산은 2리터를 공급시켜서 만수위인 10리터의 희석된 차아염소산을 얻도록 한다.
혼합탱크(300)에는 혼합탱크 수위센서(350)가 설치되며, 혼합탱크 수위센서(350)는 혼합탱크의 수위변화를 감지하게 된다.
혼합탱크 내의 혼합비율을 용이하게 맞추기 위하여 혼합탱크 수위센서(350)는 제1수위와 만수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혼합탱크(300)이 비어있는 상태에서 먼저 제3라인(330)을 통해 공급되어 제1수위까지 차면 제3라인(330)을 차단하고 제1라인(210)을 열어 차아염소산을 공급하여 만수위까지 차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수위를 만수위의 80%로 하여 물과 차아염소산의 비율을 4 : 1로 혼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제1수위를 만수위의 8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약제통에 공급되는 차아염소산의 농도에 따라 적절한 비율의 수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탱크(300)의 하부에 저장탱크(400)가 마련되며, 저장탱크(400)는 제4라인(410)을 통해 혼합탱크(300)와 연결된다. 저장탱크(400)의 용량은 혼합탱크(300)의 용량보다 크도록 하며, 대략 2배 이상의 용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저장탱크(400)의 만수위는 20리터가 되도록 하였으며, 혼합탱크(300)의 만수위 10리터의 2배에 해당된다.
저장탱크(400)에도 저장탱크 수위센서(450)가 마련되며, 저장탱크(400)에는 무균수 공급라인(600)이 연결된다.
상기 저장탱크(400)의 수위가 제2수위까지 내려가면 혼합탱크(300)의 무균수가 저장탱크(400)으로 공급되도록 제4라인(410)의 솔레노이드 밸브(v)가 열리게 된다. 이때 제4라인에 펌프를 연결하여 혼합탱크(300)의 무균수를 흡입하여 저장탱크(400)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저장탱크(400)에 저장되는 무균수는 무균수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면 무균수 공급라인(600)을 따라 배출되며, 무균수 공급라인(600)에는 압력탱크(610), 가압펌프(620) 및 압력스위치(630)가 마련되도록 한다.
무균수는 수요가 발생될 때 즉각적으로 무균수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가압펌프(620)을 계속 작동시킬 경우 과열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압력탱크(610)와 압력스위치(630)을 마련하여, 압력탱크(610)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스위치(630)은 제1압력을 초과하면 전원을 차단하게 되며 이후 제1압력에서 압력이 감소하여 제2압력이 되면 다시 전원을 연결하는 장치로 압력탱크(610)의 압력에 따라 작동하여 가압펌프(6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압력탱크(610)에 가압된 무균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압력탱크(610)의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 압력이 제2압력 이하가 되면 가압펌프(620)이 작동하여 저장탱크(400)내의 무균수를 압력탱크(610)내로 공급하게 되며 압력탱크(610)의 압력이 점차 증가하여 제1압력에 도달하면 압력스위치(630)이 작동하여 가압펌프(620)의 동작이 멈춘다.
이에 따라 항상 압력탱크(610)내의 무균수는 제1압력과 제2압력사이의 압력을 유지하게 되어 필요시 무균수를 즉각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700)는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자동제어하게 되는 부위이며, 본 생성장치에는 디스플레이를 마련하여 생성장치의 가동현황이 쉽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약제통(200)에는 소독수 공급라인(500)과 제1라인(210)이 연결되는데, 약제통(200)에 연결되는 소독수 공급라인(500)의 토출구(510)는 혼합탱크(300)의 제2포트(320)와 연결되는 제1라인(210)의 토출구(21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라인(210)의 토출구(211)가 소독수 공급라인(500)의 토출구(510)보다 낮게 위치시킨 것은 무균수로 사용될 차아염소산이 소독수보다 우선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약제통(200)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소독수에 대한 요청이 있어도 소독수는 공급되지 않게 되나 무균수의 생성을 위해 혼합탱크(300)로 차아염소산의 공급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순위를 두는 것은 보통 무균수는 환자에 대한 시술 중에 무균수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기 때문에 무균수는 언제든 무균수에 대한 요청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차아염소산 생성기(100)는 약제통(200)의 수위가 설정된 최소수위 약 100cc 이하가 되었을 때 작동하게 되며, 이때 제2라인(110)의 솔레노이드 밸브(v)가 열려 물이 공급되면서 차아염소산이 생성되고 약제통(200)이 만수위가 될 때까지 차아염소산을 생성하게 된다.
제어부(700)에는 본 생성장치의 작동이력이 저장되는 메모리가 마련되어 최소한의 작동이력이 항상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갑자기 정전이 되는 것과 같이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는 직전 동작 상태에 따라 동작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혼합탱크(300)에 물이 공급되던 도중 정전이 되어 작동이 정지되면 혼합탱크(300)내에는 살균되지 않은 물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혼합탱크(300)에서 저장탱크(400)으로 무균수가 이송중일 때 정전이 되어 작동이 정지될 경우 혼합탱크(300)내에는 무균수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두 경우 모두 혼합탱크의 수위는 동일하므로 기존 동작이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살균되지 않은 물이 저장탱크(400)으로 공급되거나 반대로 무균수에 차아염소산이 더 혼합되어 유효염소의 농도가 설정된 농도보다 높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솔이나 펌프의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다시 전원이 공급되면 그 상태에 따라 직전 동작을 수행하여 항상 일정한 농도의 무균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혼합탱크(300)이 완전히 비어있는 경우에는 직전 동작을 무시하고 혼합탱크(300)와 저장탱크(400)를 연결하는 제4라인(410)의 밸브(v)는 폐쇄되며, 제3라인(330)의 밸브(v)가 개방되어 혼합탱크(300)의 제1수위까지 물을 채우도록 하고, 만수위가 될 때까지 약제통(200)으로부터 제1라인(210)을 통해 차아염소산을 채우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장치를 제조 시 검사를 수행할 경우 메모리 내에 동작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오동작을 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 저장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 50%(10리터) 이하인 경우에는 혼합탱크 수위센서(350)를 통해 확인된 수위가 혼합탱크(300)의 만수위의 80% 이상이면서 상기 약제통(200)으로부터 차아염소산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일 때 제4라인(410)의 밸브가 개방되도록 한다.
저장탱크(400)에 저장되는 무균수가 항상 일정수준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저장탱크(400)의 수위가 만수위의 50% 이하가 되면 제어부(700)는 자동적으로 혼합탱크(300)로부터 저장탱크(400)로의 무균수의 공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혼합탱크(300)의 만수위가 80% 이상이면서 약제통(200)으로부터 차아염소산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일 때 제4라인(410)의 솔레노이드 밸브(v)가 개방된다.
비록 혼합탱크(300)의 수위가 만수위 80% 이상이더라도 약제통(200)으로부터 차아염소산이 공급되는 상태라면 이것은 무균수를 생성하기 위해 혼합탱크(300)로 차아염소산을 공급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저장탱크(400)로 혼합탱크(300)의 차아염소산이 공급되어서는 않된다. 이때 혼합탱크(300)에서 저장탱크(400)로 차아염소산이 공급되면 규정된 농도의 무균수가 아닌 규정치 이하의 차아염소산이 공급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는 하나의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무균수와 살균수를 수요에 맞게 공급할 수 있고, 1차적으로 생성된 살균수의 농도를 조정하여 무균수를 만들기 때문에 별도의 무균수 생성장치를 구입할 필요도 없어 수요자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는 치과 등과 같이 무균수와 살균수가 필요한 곳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100 : 차아염소산 생성기 110 : 제2라인
200 : 약제통 210 : 제1라인
211 : 토출구 250 : 약제통 수위센서
300 : 혼합탱크 310 : 제1포트
320 : 제2포트 330 : 제3라인
350 : 혼합탱크 수위센서 400 : 저장탱크
410 : 제4라인 450 : 저장탱크 수위센서
500 : 소독수 공급라인 510 : 토출구
600 : 무균수 공급라인 610 : 압력탱크
620 : 가압펌프 630 : 압력스위치
700 : 제어부

Claims (7)

  1. 고농도의 차아염소산이 저장되는 약제통과;
    제1포트로 물이 공급되고, 제2포트로 차아염소산이 공급되어 규정된 비율로 물과 차아염소산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마련되는 혼합탱크 수위센서와;
    상기 혼합탱크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4라인을 통해 상기 혼합탱크와 연결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마련되는 저장탱크 수위센서와;
    상기 약제통에 연결되어 수요가 있을 때 저장된 차아염소산이 배출되는 소독수 공급라인과;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어 수요가 있을 때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차아염소산이 배출되는 무균수 공급라인;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소독수 또는 무균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통에 연결되는 상기 소독수 공급라인의 토출구는 상기 제2포트와 연결되는 제1라인의 토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통은 염산을 전기분해하고 물과 혼합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연결되어,
    상기 약제통이 최소 수위가 되었을 때 상기 차아염소산 생성기가 작동하여 상기 약제통이 만수위가 될 때까지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탱크가 완전히 비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제4라인의 밸브는 폐쇄되고, 제3라인의 밸브가 개방되어 혼합탱크의 제1수위까지 물을 채운 후 만수위가 될 때까지 상기 약제통으로부터 제1라인을 통해 차아염소산을 채움으로써 물과 차아염소산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는 작동상태를 저장하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가 되도록 전원이 공급될 때에,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가장 직전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계속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이며 혼합탱크 내에 무균수가 혼합완료된 상태이면 제4라인의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균수 공급라인에는,
    압력탱크와 가압펌프 및 압력스위치가 마련되어 상기 압력탱크의 수압에 따라 상기 압력스위치가 작동하여 상기 가압펌프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KR1020110124515A 2011-11-25 2011-11-25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KR20130058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15A KR20130058488A (ko) 2011-11-25 2011-11-25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15A KR20130058488A (ko) 2011-11-25 2011-11-25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88A true KR20130058488A (ko) 2013-06-04

Family

ID=4885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515A KR20130058488A (ko) 2011-11-25 2011-11-25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84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46B1 (ko) 2022-01-14 2022-06-08 주식회사 한결 전해 살균소독수 제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746B1 (ko) 2022-01-14 2022-06-08 주식회사 한결 전해 살균소독수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670B1 (ko) 치과용 살균소독수 공급 장치 및 방법
US5709546A (en) Water sanitizing system and process
US60428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sing chlorine dioxide
US20170348449A1 (en) Method of disinfecting a thermal control unit
KR100761311B1 (ko) 살균 소독수 자동제조장치
WO20060140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in dental water tank
CN114615953A (zh) 具有臭氧化水系统的超声波洁牙机
JP2010269138A (ja) チェアユニット用殺菌水製造装置
WO2000033757A1 (en) A system for decontamination of dental unit waterlines using electrolyzed water
KR20020077993A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JP2009524449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滅菌方法および滅菌システム
JP5816445B2 (ja) 歯科用診療装置
JP7053507B6 (ja) 口腔ケア用抗菌剤の投与
KR20130058488A (ko) 무균수 및 살균수 생성장치
CN100368310C (zh) 对水管路杀菌和消毒的方法
KR20090087317A (ko) 전해차아수 생성장치
KR20170033117A (ko) 바이오필름 검출부를 구비한 수직구조 치과용 전기분해 살균수 생성 및 수관소독 세척을 위한 장치.
WO2016104335A1 (ja) オゾン水消毒方法およびオゾン水消毒機
KR20150019755A (ko) 치과용 살균수 제조장치
KR101733429B1 (ko) 치과 진료수 생성장치
KR20120129333A (ko) 차아염소산 살균수 제조장치
KR101773034B1 (ko) 살균수 공급장치
JP2016101287A (ja) 電解水の生成装置
KR20160073442A (ko) 살균수 생성 전극 및 이 전극을 이용한 치과용 자동 살균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33645B1 (ko) 이종 살균세척수 생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