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032A - 배수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수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032A
KR20130058032A KR1020130054402A KR20130054402A KR20130058032A KR 20130058032 A KR20130058032 A KR 20130058032A KR 1020130054402 A KR1020130054402 A KR 1020130054402A KR 20130054402 A KR20130054402 A KR 20130054402A KR 20130058032 A KR20130058032 A KR 20130058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upport
concrete
main
auxiliary
dra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717B1 (ko
Inventor
홍종인
Original Assignee
홍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인 filed Critical 홍종인
Priority to KR102013005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7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판 조립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메인 배수판 부재와, 상기 각 지지기둥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메인 배수판부재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지지기둥을 따라 하강하여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 지지기둥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판 조립체{draining plate assembly}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시공성과 기초 콘크리트층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판은 내 방수용으로 지하구조물의 침투수 처리를 위한 것으로, 기초콘크리트와 상부보호콘크리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층의 습기 및 결로 그리고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판은 지하층 구조물, 지하항온 항습실, 지하벙커, 유물전시실 및 보관소, 터널, 지하철, 수영장, 지하주차장, 전기실, 기계실 등에 설치되어 불완전한 지하의 방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주고, 이중 슬라브 공법 대체 시 지하터파기 및 잔토처리량을 감소시켜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줄일 수 있게 해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05-0110305호에는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수판은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배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배수판은 콘크리트가 기초콘크리트와 상부 보호 콘크리트의 사이로 유입되어 배수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차단하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나아가서는 지하층의 결로 및 습기 방지 기능이 상대적으로 저하된다. 또한 지지기둥의 강도가 약화되어 상재하중(상부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인력하중 및 부설자재 하중)에 의해 배수판이 함몰될 수 있다.
등록 실용신안 제 0311092호에는 배수 방습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수 방습판은 배수본체의 상부에 상부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방습을 위한 통기성을 갖기 위해 상기 상부돌기의 일측에 유입공이 상기 배수본체 하부와 연결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등록 실용신안 제 0383509호에는 결로 방지용 배수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결로 방지용 배수판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그 단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하부 지지기둥을 가진 하부배수판과, 상기 하부배수판 위에 보온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지지기둥들의 사이에 다수개의 상부지지기둥이 부착되어 배수판의 형상이 계란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판의 상부측에 상부보호콘크리트가 시공되어 기초콘크리트와 상부 보호콘크리트의 사이를 단절시키게 되므로 기초콘크리트의 표면이 평활하지 않은 경우 배수판의 지지기둥의 단부가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현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배수판 상에 상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인력 및 설비하중으로 배수판이 함몰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상부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쉽게 변형( 플랙시블하지 못하므로 변형되지 못함)되지 못하고 지지기둥의 단부가 현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기둥의 단부가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상부 기초 콘크리트에 상대적으로 큰 반복 하중(차량 및 인력하중)이 가하여지게 되면 상부 기초 콘크리트층에 부등침하 및 균열이 발생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균열은 집수정의 물이 역류되거나 유입되는 침출수가 많은 경우 상기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물이 고이게 되는데, 이 물이 균열된 부위로 역류하게 된다. 또한 주변의 정상적인 상부 기초 콘크리트에 반복하중이 가하여 질대 이 균열로 인하여 주변 콘크리트 층에 추가적인 연쇠 균열이 발생되며 나아가서는 심각한 하자의 요인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인은 결로 방지용 배수판을 특허출원 제 2007-0010291호로 출원하여 등록 받은바 있으며, 본 발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본 출원을 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타설 시 하중에 의해 지지기둥들의 단부와 기초 콘크리트층과의 불균일한 밀착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 보호 콘크리트의 타설 시 상부 보호 콘크리트가 기초 콘크리트의 주위로 확산되어 유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위의 지지력 불균일에 의해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에 불균일한 하중의 작용 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보호 콘크리트의 필요단면을 확보하여 강도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배수판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배수판 조립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메인 배수판부재와,
상기 각 지지기둥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메인 배수판부재의 상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지지기둥을 따라 하강하여 기초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 지지기둥들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은 인접하는 보조 지지기둥과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수단은 보조 지지기둥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구비하며, 이 연결리브에는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변위를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다.
상기 보조 지지기둥은 단일의 보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기둥의 하면에는 콘크리트 몰타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배수판 부재의 지지기둥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에는 콘크리트 몰타르가 유출되는 제1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수판 조립체는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과 기초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메인 배수판부재의 지지기둥이 기초 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으므로써 발생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으며, 제조가 간단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지지기둥들의 단부에 신축되는 수단을 가가지고 있으나 신축을 위한 수단을 각각의 지지기둥에 개별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원 발명은 지지기둥과 별개로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보조 지지기둥이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의 분리 시사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둥의 다른 실시예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의 다른 시시예를 나타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내지 도 6은 보조 지지기둥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완충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7은 지지기둥과 보조 지지기둥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원 발명에 따른 배수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는 건축물의 지하층 바닥시공은 굴토 된 지층 위에 잔토, 자갈 또는 버럭 등의 굴토 마감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버림 콘크리트층과 기초콘크리트층을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고, 이 기초 콘크리트층 위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 배수판 조립체의 상면에는 콘크리트 몰타르를 타설하여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한다.
이러한 배수판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10)는 판상의 메인 본체부(21)와, 이 메인 본체부(21)가 상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면에 관통공(23)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기둥(22)들을 구비한 메인 배수판부재(20)와, 상기 각 지지기둥(22)들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메인 배수판부재(20)의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100)을 이루는 콘크리트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지지기둥(22)을 따라 하강하여 기초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 지지기둥(30)들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배수판(20)의 메인 본체부(21)는 평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메인 배수판들과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결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본체부(21)에 형성된 지지기둥(22)에 형성된 관통공(23)의 단부측 내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4)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24)에는 상부 기초 콘크리트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몰타르가 배출되는 제1토출공(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배수판의 지지기둥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콘크리트 몰타르가 보조 지지기둥 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보조 지지기둥(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판상의 보조 본체부(31)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보조 본체부(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조 본체부(31)는 상기 메인 본체부와 이의 지지기둥(22) 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구조 즉, 플랙시블한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 지지기둥(30)은 상호 연결수단(36)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연결수단(36)은 보조 지지기둥(30)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리브(37)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연결수단(36)인 연결리브(37)에는 지지기둥(22)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보조 지지기둥(30)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완충부(40)는 상기 연결리브(37)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부(41)가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상의 주름(42)가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또는 하방에 변곡점이 위치되도록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보조지지기둥의 이동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조 지지기둥(30)의 하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콘크리트 몰타르가 토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 2토출공(3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22)에 삽입되며 연결수단(36)에 의해 연결된 보조 지지기둥(30)들중 일측의 보조 지지기둥(30)의 내면에는 메인 판부재(21)에 대해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 지지수단(50)이 더 구비되는데, 이 위치 지지수단(50)은 보조 지지기둥(30)의 내주면에 하방으로 테이퍼진 적어도 하나의 위치 지지돌기(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기둥(22)과 보조 지지기둥(30)의 형상은 테이퍼진 원기둥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뿔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판 조립체(1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층과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빠르게 배수시키고, 상기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 상부에 결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 방지용 배수판 조립체(10)는 굴토 된 지층 위에 잔토, 자갈 또는 버럭 등으로 굴토 마감면에 형성된 버림콘크리층이 형성된 기초콘크리층(2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배수판 조립체(10)는 균일한 높이로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프레임(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판 조립체(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 보호 콘크리트층의 형성을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메인 배수판부재(21) 지지기둥(22)들로 유입되는 콘크리트 몰타르가 보조 지지기둥(30)으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이 콘크리트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조보 지지기둥(30)이 지지기둥(22)에 대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하단부가 접촉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이 불균일하여도 지지기둥(22)으로부터 콘크리트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보조 지지기둥(30)의 단부가 접촉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상기 보조 지지기둥(30)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보조 지지기둥(30)연결하는 연결리브(36)에는 완충부(40) 즉, 노치(41), 파형의 주름(42), 변곡점을 갖는 절곡부 중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변위량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기둥(30)이 보조 본체부(31)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조 지지기둥(30)이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보조 본체부가 하강하면서 이동변위량을 흡수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지지기둥(30)의 하면에는 제 2토출공(3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초 콘크리트층(200)의 상면에 보조 지지지둥(30)의 하면에 일부 접촉되어 있다 하여도 제 2토출공(38)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트리트 몰타츠가 배출되어 보조 지지기둥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도 9참조)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기둥(30)의 내면에는 위치 지지돌기(5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메인 배수판부재에 대해 연결리브에 의해 연결된 보조 지지기둥(30)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조립체에 의하면, 배수판 지지기둥과 이에 결합된 보조 지지기둥들의 단부가 불균일한 기초 콘크리트층 표면과 연속되게 접촉하도록 시공할 수 있으면서 상부보호 콘크리트의 크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성과 시공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건물 바닥의 기초콘크리트와 보호콘크리트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배수판 조립체에 있어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입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며 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메인 배수판부재와,
    상기 메인 배수판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각 지지기둥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메인 배수판부재의 상부에 타설되는 보호콘크리트용 콘크리트 몰타르의 자중에 의해 지지기둥을 따라 하강하여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접촉되는 보조 지지기둥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지기둥은 인접하는 보조 지지기둥과 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보조 지지기둥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구비하며, 이 연결리브에는 상기 보조 삽입기둥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이송변위량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보조 지지기둥의 내면에는 메인판부재에 대해 보조지지기둥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기 위치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조립체.
KR1020130054402A 2013-05-14 2013-05-14 배수판 조립체 KR10132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02A KR101325717B1 (ko) 2013-05-14 2013-05-14 배수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402A KR101325717B1 (ko) 2013-05-14 2013-05-14 배수판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01A Division KR101366139B1 (ko) 2009-02-26 2009-02-26 배수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32A true KR20130058032A (ko) 2013-06-03
KR101325717B1 KR101325717B1 (ko) 2013-11-08

Family

ID=4885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402A KR101325717B1 (ko) 2013-05-14 2013-05-14 배수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407B1 (ko) * 2021-10-12 2024-02-13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510B1 (ko) 1999-06-01 2001-09-29 박인구 지하층 외벽의 침투수 및 결로수 처리용 패널 및 시공 방법
KR100882320B1 (ko) * 2007-01-12 2009-02-10 홍종인 결로방지용 배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717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08B1 (ko) 샌드위치 피씨-월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4122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화장실 벽체 조립 구조
KR20070072417A (ko) 터널 라이닝용 패널모듈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라이닝설치방법
KR20180042683A (ko) 소음저감형 지하주차장 바닥시공방법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KR20130062566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0882320B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0759112B1 (ko) 배수판
KR10038513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20140067209A (ko)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RU108473U1 (ru)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KR101123955B1 (ko) 배수판 조립체
KR20150049866A (ko) 공기층을 이용한 결로방지용 단열 배수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바닥판
CN209874039U (zh) 一种地下室变形缝结构
JP5570333B2 (ja) 屋外設備機器の設置構造
KR101956517B1 (ko)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KR101785627B1 (ko) Pc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2600671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247790B1 (ko) 지하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의 연결구조
JP2010159586A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