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407B1 -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407B1
KR102635407B1 KR1020210134972A KR20210134972A KR102635407B1 KR 102635407 B1 KR102635407 B1 KR 102635407B1 KR 1020210134972 A KR1020210134972 A KR 1020210134972A KR 20210134972 A KR20210134972 A KR 20210134972A KR 102635407 B1 KR102635407 B1 KR 102635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support
layer
reinforcing ba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1956A (ko
Inventor
장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주식회사 나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주식회사 나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Priority to KR102021013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40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역타설 방수공법에 있어서, 방수층의 손상없이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층 상에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에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에 있어서; 방수층상에 타설홀을 구비한 다수의 보호판이 연속적으로 배열설치되고, 보호판의 타설홀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충전되어, 보호판이 내포된 기초콘크리트층이 방수층에 접촉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Waterproofing method of top-down construction using protection board}
본 발명은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방수층상에 보호판이 연속하여 배열설치되고, 보호판의 타설홀을 통해 콘크리트가 방수층상으로 타설/충전되어, 방수층의 손상 없이 보호판이 내포된 기초콘크리트층이 방수층에 밀착접촉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에 빗물 또는 지하수가 침투하게 되는 경우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이 발생되어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수명 저하가 초래되므로 방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반드시 방수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의 방수시공은 슬래브 상부, 벽체, 기초 바닥부의 세가지 부위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중에서 기초 바닥부의 종래 방수층 시공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종래의 기초 바닥부 방수층 시공방법은 먼저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나서 방수층을 버림콘크리트에 부착시공한 후 보호몰탈을 시공하여 경화가 완료된 다음 기초 바닥콘크리트 구조물을 그 상부에 시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종래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초바닥 방수공법은 버림콘크리트 등 방수바탕이 되어야하는 구조물의 바탕면 상태(분진, 흙탕물, 수분 등)가 좋지 않아 방수층의 부착 시공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방수층이 버림콘크리트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방수층 상부에 시공되는 보호몰탈과 그 상부에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와 접착이 되지 않고 들떠 있는 상태로 놓여지다 보니 방수층이 찢기거나 뚫린 부, 가장자리 틈새로 유입된 물이 방수층과 보호몰탈 경계부, 보호몰탈과 기초콘크리트와의 경계부로 물이 확산되어 기초콘크리트에 발생된 균열과 파일관통부 경계면을 타고 실내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치명적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행시공된 방수층의 접착면이 타설되는 기초콘크리트 방향(하늘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부착 시공(역타설 방수공법)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방수공법(역타설공법)은, 기초콘크리트층(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방수층을 밞고 돌아다니면서 철근배근 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하므로, 작업자에 의해 방수층의 손상이 더욱 가중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시공과정 중의 방수층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수층위에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마감재의 시공은 불가피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보호몰탈, PE 보호재, 구멍뚫린 PE 보호재, 플라스틱 배수판 등은 방수층과 기초콘크리트를 완전히 분리하거나 부분적으로 분리하게 됨으로써 계면누수를 허용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방수층과 기초콘크리트 하면이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서로 연결되는 누수경로를 차단할 수 있으면서도 상부에 철근배근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작업에 따른 방수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수한 구조의 보호층을 포함한 역타설 방수공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30421(2009.12.0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80154(2019.05.1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17743(2012.02.10)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02469(2013.08.27)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구조물 바닥층 역타설 방수공법에 있어서, 기초콘크리트층에 직접 부착되어 누수경로를 차단 할 수 있는 방수층을 형성하고, 방수층이 설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서의 철근배근 작업 및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층 상에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의 접착면에 직접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에 있어서; 방수층상에 타설홀을 구비한 다수의 보호판이 연속적으로 배열설치되고, 보호판의 타설홀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충전되어, 보호판이 내포된 기초콘크리트층이 방수층에 접촉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방수층에 기초콘크리트층이 밀착접촉되도록 형성되므로, 방수층과 기초콘크리트층 경계면 사이로 물의 유입 및 용출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방수층에 보호판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판 상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보호판이 매립설치된 기초콘크리트층이 형성되므로, 콘크리트의 타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 또는 콘크리트 속에 포함된 골재에 의해 방수층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방수층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판을 통한 방수층의 보호 및 콘크리트 구체 간의 견고한 밀착접착에 의해 효과적인 방수처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보호판이 상하겹처져 보관될 수 있으므로,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하고, 보호판이 연속배열설치될 수 있어, 좁은 면적 뿐 아니라, 넓은 면적에 대해서도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방수공법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 및 철근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의 변형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의 설치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배근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역타설 방수공법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 및 철근스페이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판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층 상에 방수층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층에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층이 형성되는 역타설 방수공법에 있어서;
방수층상에 타설홀을 구비한 다수의 보호판이 연속적으로 배열설치되고, 보호판의 타설홀을 통해 콘크리트가 타설/충전되어, 보호판이 내포된 기초콘크리트층이 방수층에 접촉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층(10)에 방수층(20)이 형성되는 방수층 형성단계;
방수층(20)의 상부에 보호판(30)이 배열설치되는 보호판 설치단계;
보호판(30)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초콘크리트층(40)이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판(30)은 다수의 타설홀(51)이 구비된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판(50)을 소정높이로 지지하고 상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돌기(60)를 포함하여,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 시, 지지판의 타설홀(51)을 통해 지지판(50)과 방수층(20) 사이공간(S)로 콘크리트가 충전되고,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며, 지지판(50) 상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보호판(30)이 내포된 기초콘크리트층(40)이 방수층(20)상에 밀착 접촉되며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는 버림콘크리트층(10) 상에 방수층(20)이 형성되는 단계로, 버림콘크리트층(10)의 바탕면에 방수재가 소정두께로 도포/건조(경화)되어 방수층(20)이 형성되거나, 방수시트가 설치되어 소정두께의 방수층(20)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재는 그 성분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스팔트계 방수재, 수용성 수지계 방수재, 아스팔트-수용성 수지계 방수재 중 선택된 하나의 방수재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는 공지의 방수시트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층(20)은 2액형 아스팔트 방수조성물의 혼합반응에 의해 고체 또는 반고체 상의 점탄성물질로 형성된 도막방수층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도막방수층이 구비된 방수시트(2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액형 아스팔트 방수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콜(PVA)를 포함하는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붕사를 포함하는 제2 아스팔트 방수재를 포함하고, 제1 아스팔트 방수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 아스팔트 방수재가 10∼100 중량부로 혼합 도포되어, 고체(또는 반고체)상의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막방수층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은,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제2 아스팔트 방수재의 혼합 도포에 따른 반응경화에 의해 콘크리트 바탕면 등의 방수 대상면에 고체(또는 반고체)상의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막방수층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일 예로, 즉, 상기 2액형 아스팔트 방수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콜(PVA)를 포함하는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붕사를 포함하는 제2 아스팔트 방수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아스팔트 방수재는, 아스팔트 100 중량부, 광물성 오일 20∼30중량부, PVA 수용액 50∼110중량부, 계면활성제 1∼2중량부, 점착부여제 10∼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스팔트 방수재는, 아스팔트 100 중량부, 광물성 오일 20∼30중량부, 수용성 합성고무 10∼30중량부, 붕사 수용액 5∼50 중량부, 계면활성제 1∼2중량부를 포함하여, 제1,2 아스팔트 방수재의 혼합 도포에 의해 고체(또는 반고체)상의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막방수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또는, 블로운 아스팔트 또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블로운 아스팔트의 화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사용된다. 이때,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침입도 60∼100, 연화점 42∼55℃ 사이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물성 오일은 나프탄계 프로세스 오일 또는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나프탄계 프로세스 오일이 사용된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그 성분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소르비탄(솔비톨의 탈수물)과 지방산인 라우르산이 에스테르를 결합시킨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가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도막방수층에 대한 점·접착력과 내구성 및 저온굴곡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폴리부텐,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폴리텔펜, 디사이클로벤타디엔계 수지, 하이드록시 에틸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실란계 점착부여제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부텐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부텐은 분자량이 다양한 비극성 탄화수소 폴리머로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빛이나 열에 쉽게 산화되지 않고, 지방족, 방향족, 염소계 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및 점착력이 높은 특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폴리부텐은 -이소부틸렌을 메인 구조로 한 평균분자량 250∼1,280의 액상 폴리머로, 점도 80∼640 cst@100℃, 유동점 -13℃∼2℃, 증발감량 0.14∼ 0,07 Wt% 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합성고무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NBR(Acronitrile Butadiene Rubber) 및 NR(천연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이나 또는 이들이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합성고무는, 스티렌모노머와 부타디엔의 중합에 의해 이루어진 SBR(Styrene Butadiene Rubber)이 바람직하고, 고형분 40∼50% 것이 첨가된다.
상기 PVA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PVA 분말 2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22∼2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중량부가 첨가되어, 약 75℃∼95℃, 바람직하게는 약 80℃∼85℃ 정도에서 교반된 것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PVA 는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88.0∼99.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의 것이 첨가된다.
상기 PVA 수용액은,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5.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와,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9.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가 각각 1 : 0.5∼1 의 중량비로 약 80℃∼85℃ 정도에서 용해되어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화도가 특정된 PVA 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화열 즉, 약 30℃∼40℃ 에서 가장 많은 용해가 이루어지는 특성을 구비하게 된다.
즉,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9.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는, 약 40℃ 에서 약 3% 정도, 약 60℃ 에서 약 60% 정도가 용해되고,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5.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는, 약 20℃에서 약 50% 정도 용해되어 끈적(접착성)해지는 특성을 구비하고 있어,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5.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와,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9.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가 각각 1 : 0.5∼1 의 중량비로 용해되어 혼합될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의 수화열(약 30℃∼40℃) 에서 많은 용해가 이루어지게 되어, 도막방수층의 점착성이 유지될 뿐 아니라,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이 완전건조되면, 점착 또는 경화형태로 콘크리트 표면(버림콘크리트 또는 기초콘크리트)에 도막방수층이 일체로 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PVA 수용액은,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5.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와,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9.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가 각각 1 : 0.5 또는, 1 : 1 의 중량비로 용해되어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VA 수용액은 검화도가 특정되도록 하여, 15℃ 이하의 낮은 온도를 구비하는 지하수 또는 우수 등에 대하여 우수한 용해 저항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재용해 현상이 방지되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붕사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붕사 5∼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8∼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15 중량부가 첨가되어 약 45℃∼55℃, 바람직하게는 약 50℃에서 교반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붕사는 제1 아스팔트 방수재내의 폴리비닐알코올(PVA)의 -OH 와 반응(가교결합)하여, 고체(또는 반고체)상의 점 탄성물질로 전환 즉, 겔(Gel)화 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PVA 수용액과 붕사 수용액의 배합비 및 혼합교반온도는,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제2 아스팔트 방수재의 혼합도포 시, PVA와 붕사의 반응 즉, 도막방수층의 겔(Gel)화 및, 점 탄성물질(gel)의 재용해도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제1,2 아스팔트 방수재의 혼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제2 아스팔트 방수재로 이루어진 2액형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은, 제1,2 아스팔트 방수재가 각각의 노즐을 통해 혼합믹싱부내로 유입되어 혼합된 후, 2액형 분사노즐 또는 롤러 또는 톱니 흙손 등에 의해 콘크리트 바탕면에 도포된다.
이때, 제1 아스팔트 방수재내 PVA 와, 제2 아스팔트 방수재내 붕사는, 조직내에 물을 가두며 가교 결합을 일으켜 고체 또는 반 고체 상태로 전환되므로, 버림콘크리트 및 콘크리트 바탕면에 대하여,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소정두께의 도막 방수층이 형성되며, 도막 방수층의 경화 후 도막 방수층내에 있는 수분은 아스팔트와 오일을 감싸게 되므로, 탈유 현상이 경감되어 방수재의 내구성이 더욱 증가되는 효과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은, 방수시트로 제조되어 시공되거나, 현장에서 도막이 형성되도록 혼합도포되어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아스팔트 방수재와 제2아스팔트 방수재는 혼합반응에 의해 점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면 충분하므로, 그 혼합비율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나, 제1 아스팔트 방수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 아스팔트 방수재가 10∼100 중량부로 혼합 도포되어, 고체(또는 반고체)상의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막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아스팔트 방수재는 경화시간에 차이가 있을 뿐 혼합반응에 의해 점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막방수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현장 도포되거나 또는 방수시트로 제조될 시, 제1,2아스팔트 방수재의 혼합비율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층이 구비된 방수시트(21)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직포(22a)가 구비된 베이스 시트(22)와, 베이스 시트(22) 상에 적층형성된 도막방수층(23)을 포함하되,
상기 도막방수층(23)은, 폴리비닐알콜(PVA)를 포함하는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붕사를 포함하는 제2 아스팔트 방수재로 이루어진 2액형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이 1.0∼1.8㎜ 두께로 베이스 시트의 직포(22a) 상에 분사도포되어 형성된 고체 또는 반고체 상의 점 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22)는, 필름(22c), 고무 아스팔트층(22b) 및, 직포(22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직포(22a)는 베이스 시트(22)의 중심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베이스 시트(22)의 인장 강도를 유지시키면서 본 발명에 따른 2액형 아스팔트 방수조성물이 도포 될 시, 요철결합(직포와 도막방수층의 부착결합)되어 도막방수층(23)이 베이스 시트의 고무 아스팔트층(22b)에 일체화 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직포(22a)는 약 0.2㎜ 이내의 두께를 구비하고, 고무 아스팔트층(22b)은 약 1㎜ 이내의 두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22c)은 방수시트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공지의 필름이 설치된다. 일예로 상기 필름은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아스팔트층(22b)은 공지의 아스팔트 방수시트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고무화 아스팔트에 의해 형성되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수시트(21)는 2액형 아스팔트 방수 조성물에 의해 생성된 점 탄성물질의 도막방수층(23) 상에 이형지(24)가 부착되어 롤 타입으로 이송 및 운반되어 시공될 수 있으며, 도막방수층(23) 상으로 기초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도록 버림콘크리트층(10) 상에 설치된다.
상기 보호판 설치단계는, 방수층(20)의 손상없이 또는 손상이 최소화되면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기초콘크리트층(40)가 형성되도록 보호판(30)이 설치되는 단계로, 다수의 보호판(30)이 방수층(20) 상에 연속하여 연결설치된다.
상기 보호판(3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타설홀(51)이 구비된 지지판(50)과, 지지판(50)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50)은 콘크리트 타설시 작업자의 발판기능 및, 기초콘크리트층내에 매립설치되어 기초콘크리트층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다수의 타설홀(51)이 관통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지지판(5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대(52)와, 테두리대(52)와 일체화되도록 테두리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53)와,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타설홀(51)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바둑판 구조(격자구조) 또는, 벌집구조 또는, 마름모구조(크로스 패널구조) 등등,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고 다수의 타설홀이 형성된 패널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테두리대(52)는 다수의 지지판(50)이 이격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접촉 배열되며 설치될 수 있도록 삼각구조, 사각구조, 오각구조, 육각구조, 팔각구조 등등의 다각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지지판(50)의 연속적인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각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53)는 테두리내(52)에 다수개가 상호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양단이 테두리대(5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호 교차되도록 테두리대(52)내에 다수개가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층(40)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53)는 사각형상의 타설홀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지지대가 가로/세로 방향으로 직각 교차되어 테두리대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형성되거나, 마름모 형상의 타설홀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지지대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상호 교차되어 테두리대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형성되거나, 다수의 지지대가 가로/세로방향으로 직각 교차 및 경사교차되도록 테두리대에 양단이 일체로 연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대(52)와 지지대(53)는, 기초콘크리트층의 타설작업 시, 지지판(50) 표면에 콘크리트가 쌓이게 되어, 타설홀(51)을 통해 사이공간(S)내로 콘크리트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소정 폭(w)을 구비할 뿐 아니라, 작업자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두께(h)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테두리대(52)와 지지대(53)는, 각각 높이두께(h)가 폭(w)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테두리대(52)와 지지대(53)의 폭(w)이 는 1∼10㎜로 이루어질 경우, 높이두께(h)는 10∼20㎜의 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폭(w)이 약 1∼5㎜로 이루어질 경우, 높이두께(h)가 약 10∼15㎜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판(50)은 테두리대(52)와 다수의 지지대(53)에 의해 다수의 타설홀(51)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50)은 전체적으로 창살문 구조, 그물망 구조, 바둑판 구조, 크로스 패널 구조 등등의 형상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설홀(51)은 지지판(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이 곳을 통해, 지지판(50)과 방수층(20) 사이의 사이공간(S)으로 콘크리트가 충전된다. 즉, 상기 타설홀(51)은 테두리대(52)와 지지대(53) 또는, 지지대(53)간의 상호교차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공간을 의미하며, 정방형 또는 마름모형 또는 육각형 등등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설홀(51)은 지지판(50)과 방수층(20) 사이로 콘크리트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진행하는 작업자의 발이 빠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타설홀(51)은 그 크기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나, 타설홀(51)내의 대각선 길이가 50∼2,800㎜, 바람직하게는 약 70∼2,000㎜를 구비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작업자의 발이 타설홀(51)을 통해 방수층(20) 상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50)은 테두리대(52)의 일측에 연결돌기(54)가 돌출형성되고, 연결돌기(54)에 대응되는 연결홈(55)이 테두리대(52)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측 지지판(50)에 구비된 연결돌기(54)와 또다른 지지판(50)에 구비된 연결홈(55)의 결합에 의해 지지판(50)이 상호 연결되어, 다수의 보호판(30)이 방수층(20)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돌기(54)와 연결홈(55)은 지지대(53)가 교차연결되는 테두리대(52)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돌기(60)는 지지판(50)을 방수층(20)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지지하는 것으로, 상단(62)이 지지판(50)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63)이 방수층(20)에 면접촉되도록 폐쇄되며, 내부에 상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61)를 구비하되, 상단(62)에서 하단(63)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돌기(60)는 그 형상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 예로, 내부에 개구부(61)가 구비된 역 원뿔대, 역 삼각뿔대, 역 사각뿔대, 역 오각뿔대 등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수층에 면접촉되는 하단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L2) : 개방된 상단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L1)가 약 1 : 1.5∼2.5 의 비율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기초콘크리트층(40)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지지돌기(60)를 통해 방수층(20)으로 전달되는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해 방수층(20)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개구부(61)내로의 콘크리트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보호판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방수층에 면접촉되는 하단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L2)가 약 10∼20㎜를 구비하고, 개방된 상단의 직경 또는 대각선 길이(L1)가 약 25∼40㎜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60)는 지지판(50)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가 형성되며,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3)가 상호 교차되는 지점 및, 지지대(53)와 테두리대(52)가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60)는 형성개수가 특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지지판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가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지지돌기(60)는 일측 지지돌기의 중심에서 정방향으로 인접한 또다른 지지돌기의 중심까지 거리가 약 100∼200㎜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60)는, 지지판(50)에 의한 간섭현상없이 지지판과 방수층 사이공간(S)으로 콘크리트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대(53)와 테두리대의 높이두께(h)에 대하여, 1.5(h)∼2.0(h)의 높이(H)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지지대(53)와 테두리대의 높이두께(h)가 약 15㎜ 일 경우, 지지돌기의 높이(H)는 약 25㎜ 정도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53)와 테두리대의 높이두께(h)는 지지판의 높이두께에 해당되고, 지지돌기의 높이(H)는 보호판의 높이에 해당될 수 있다 .
상기와 같은 지지돌기(60)의 구조 및 형상은 기초콘크리트층(40)이 방수층(20)에 최대한 접촉되며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개구부(61)내로 콘크리트의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타설홀을 구비한 지지판(50)과 개구부를 구비한 지지돌기(60)로 구성된 보호판(30)은 방수층 상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도록, 지지판(50)의 테두리대(52)가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테두리대(52)가 서로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호판은 일 예로, 지지판의 테두리대가 일변 길이 500㎜인 정방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지지판의 두께(테두리대 및 지지대의 높이두께)는 10∼15㎜, 지지돌기 간 거리(일측 지지돌기의 중심에서 정방향으로 인접한 또다른 지지돌기의 중심까지 거리)는 약 100㎜, 지지돌기의 높이(보호판의 높이)는 약 20∼30㎜, 지지대 간 거리는 약 50㎜ 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는,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방수층(20)에 일체로 접촉되도록 기초콘크리트(구조물)이 형성되는 단계로, 방수층(20) 상에 배열설치된 보호판(30)을 발판으로 하여, 작업자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보호판의 타설홀(51)을 통해 방수층과 지지판의 사이공간(S)내로 충전될 뿐 아니라,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충전된다.
이때, 개구부(61)내로 충전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보호판의 위치가 지지되어, 사이공간(S)내로 충전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보호판(30)의 유동 또는 들뜸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안정적인 타설작업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균일한 기초콘크리트층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기초콘크리트층(40)는, 방수층(20)에 일체로 접촉되면서 보호판(30)이 내포되도록 즉, 보호판(30) 상측으로 소정높이를 구비하도록 타설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 설치단계 후,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 이전에, 보호판에 철근 배치홈이 구비된 철근스페이서가 설치되는 철근스페이서 설치단계; 철근스페이서의 철근 배치홈에 철근이 얹혀져 철근이 배열되는 배근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스페이서 설치단계는, 보호판(30) 상에 철근(41)을 안정적으로 배근하기 위한 철근스페이서(70)를 설치하는 단계로, 상기 철근스페이서(70)는, 철근(41)이 안착되는 철근지지부(80)와, 철근지지부(80)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수층(20)에 면접촉지지되도록 보호판(30)에 결합되는 다리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철근지지부(80)는 상면에 철근이 안착되는 철근안착홈(81)이 소정깊이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철근안착홈(81)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또는, 상호 교차되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철근안착홈(81)은 배근되는 철근(41)이 모두 삽입안착되도록 소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철근(41)의 배근 위치만 특정되도록 하면 충분하므로, 철근(41)이 안착되어 이동되지 않을 정도의 소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90)는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다리(91)로 이루어지거나,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삽입결합되`는 결합다리(91)와, 방수층(20)에 면접촉되도록 타설홀(51)내로 끼움결합되는 지지다리(9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다리(91)는 개구부(6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지지다리(92)는 타설홀(5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결합다리(91)와 개구부(61), 지지다리(92)와 타설홀(51) 간에 틈새없이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철근스페이서(70)는, 보호판에 결합설치되어 일정한 배근이 이루어지도록 도 1,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7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70)는, 철근이 안착되는 철근지지부(80a)와, 철근지지부(80a)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수층(20)에 접촉지지되도록 보호판(30)이 결합되는 다리부(90a)를 포함하는 철근스페이서(70a)로 이루어지되,
상기 철근지지부(80a)는 중앙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는 관통홀(8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82)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철근안착홈(81)이 형성된 고리구조(환형상)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90a)는,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삽입결합되도록 철근지지부(80a)의 하면 모서리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4개의 결합다리(91)와, 결합다리와 결합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철근지지부(80a)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판의 타설홀(51)을 통해 방수층(20)에 접촉지지되는 4개의 지지다리(9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다리(92)는 지지판의 지지대(53)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슬릿홈(93)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철근스페이서(70a)는 철근지지부(80a)의 하측에 위치하는 보호판의 타설홀(51)이 관통홀(82)과 연통되고, 지지돌기의 개구부(61)에 결합다리(91)가 끼움결합되며, 지지다리(92)가 타설홀(51)에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사이공간(S)내로 빈공간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7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지지부(80a)의 높이두께(h2)가 다양하도록 구성된 철근스페이서(7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70)는, 도 5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철근안착홈(81)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철근지지부(80b)와, 철근지지부(80b)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수층에 접촉지지되도록 보호판(30)이 결합되는 다리부(90b)를 포함하는 철근스페이서(70b)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부(90b)는,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삽입결합되도록 철근지지부의 양단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결합다리(91)와, 결합다리와 결합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철근지지부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판의 타설홀(51)을 통해 방수층(20)에 접촉되는 하나의 지지다리(9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다리(92)는 지지판의 지지대(53)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슬릿홈(93)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스페이서(70)는, 도 5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안착홈이 십자형상으로 관통되어 교차되도록 형성된 철근지지부(80c)와, 철근지지부(80c)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수층(20)에 접촉지지되도록 보호판(30)이 결합되는 다리부(90c)를 포함하는 철근스페이서(70c)로 이루어지되,
상기 다리부(90c)는,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삽입결합되도록 철근지지부(80c)의 하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결합다리(91)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지지부(80c)는 측면에 지지판의 지지대(53)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슬릿홈(93`)이 하향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스페이서(70b,70c)의 철근지지부(80b,80c) 역시, 높이두께(h2)가 다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철근스페이서(70)는 도 1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판의 지지돌기에 구비된 개구부(61) 및 타설홀(51)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배근단계는, 철근스페이서(70)에 의해 철근(41)을 일정간격으로 배근되는 단계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스페이서의 철근안착홈(81)내에 위치하도록 철근(41)이 배치되고, 상기 철근(41)에 교차되도록 또다른 철근(41`)이 배근된다. 이때, 상기 철근(411)은 철근스페이서의 철근안착홈 상측에 위치하도록 철근(41)상에 배근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기재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버림콘크리트층 (20) : 방수층
(30) : 보호판 (40) : 기초콘크리트층
(41,41`): 철근 (50) : 지지판
(51) : 타설홀 (52) : 테두리대
(53) : 지지대 (54) : 연결돌기
(55) : 연결홈 (60) : 지지돌기
(61) : 개구부 (70) : 철근 스페이서
(80) : 철근지지부 (81) : 철근안착홈
(90) : 다리부 (91) : 결합다리
(92) : 지지다리 (93,93`): 슬릿홈

Claims (12)

  1. 버림콘크리트층(10)에 방수층(20)이 형성되는 방수층 형성단계;
    방수층(20)의 상부에 보호판(30)이 배열설치되는 보호판 설치단계;
    보호판에 철근 배치홈이 구비된 철근스페이서가 설치되는 철근스페이서 설치단계;
    철근스페이서의 철근 배치홈에 철근이 얹혀져 철근이 배열되는 배근단계;
    보호판(30)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초콘크리트층(40)이 형성되는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호판(30)은 다수의 타설홀(51)이 구비된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과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판(50)을 소정높이로 지지하고 상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돌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스페이서는, 철근이 안착되도록 철근안착홈이 구비된 철근지지부와, 철근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수층에 면접촉지지되도록 보호판에 결합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기초콘크리트 형성단계 시, 지지판의 타설홀(51)을 통해 지지판(50)과 방수층(20) 사이공간(S)로 콘크리트가 충전되고, 지지돌기의 개구부(61)내로 콘크리트가 충전되며, 지지판(50) 상측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보호판(30)이 내포된 기초콘크리트층(40)이 방수층(20)상에 밀착 접촉되며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보호판(30)은, 다수의 타설홀(51)이 구비된 지지판(50)과, 지지판(50)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돌기(6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50)은, 테두리대(52)와, 테두리대(52)와 일체화되도록 테두리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대(53)와,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충전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타설홀(51)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60)는, 상단(62)이 지지판(50)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63)이 방수층(20)에 면접촉되도록 폐쇄되며, 내부에 상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62)에서 하단(63)으로 갈 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타설홀(51)은, 타설홀(51)내의 대각선 최대길이가 50∼2,800㎜ 를 구비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작업자의 발이 타설홀(51)을 통해 방수층(20) 상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지지판(50)은, 테두리대(52)의 일측에 연결돌기(54)가 돌출형성되고, 연결돌기(54)에 대응되는 연결홈(55)이 테두리대(52)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측 지지판(50)에 구비된 연결돌기(54)와 또다른 지지판(50)에 구비된 연결홈(55)의 결합에 의해 다수의 보호판(30)이 방수층(20) 상에 연속적으로 배열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철근지지부는 중앙에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철근안착홈이 형성된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는, 지지돌기의 개구부내로 삽입결합되도록 철근지지부의 하면 모서리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4개의 결합다리와, 결합다리와 결합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철근지지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판의 타설홀을 통해 방수층에 접촉지지되는 4개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는 지지판의 지지대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철근지지부는, 철근이 안착되도록 다수의 철근안착홈이 교차되어 관통되도록 형성된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부는, 지지돌기의 개구부내로 삽입결합되도록 철근지지부의 양단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결합다리와, 결합다리와 결합다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철근지지부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판의 타설홀을 통해 방수층에 접촉되는 하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는 지지판의 지지대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철근지지부는 철근안착홈이 십자형상으로 교차되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측면에 지지판의 지지대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슬릿홈이 하향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는, 지지돌기의 개구부내로 삽입결합되도록 철근지지부의 하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결합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9. 청구항 1 에 있어서;
    방수층(20)은, 2액형 아스팔트 방수조성물의 혼합반응에 의해 고체 또는 반고체 상의 점탄성물질로 형성된 도막방수층으로 이루어지거나,
    2액형 아스팔트 방수조성물의 혼합반응에 의해 고체 또는 반고체 상의 점탄성물질로 형성된 도막방수층이 일체로 구비된 방수시트(21)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2액형 아스팔트 방수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콜(PVA)를 포함하는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붕사를 포함하는 제2 아스팔트 방수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제1 아스팔트 방수재는, 아스팔트 100 중량부, 광물성 오일 20∼30중량부, PVA 수용액 50∼110중량부, 계면활성제 1∼2중량부, 점착부여제 10∼15중량부를 포함하고,
    제2 아스팔트 방수재는, 아스팔트 100 중량부, 광물성 오일 20∼30중량부, 수용성 합성고무 10∼30중량부, 붕사 수용액 5∼50 중량부, 계면활성제 1∼2중량부를 포함하여,
    제1 아스팔트 방수재와 제2 아스팔트 방수재의 혼합반응에 의해, 고체(또는 반고체)상의 탄성물질로 이루어진 도막방수층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PVA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PVA 분말 20∼30 중량부가 첨가되어, 75℃∼95℃에서 교반된 것이고,
    상기 붕사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붕사 5∼15 중량부가 첨가되어 45℃∼55℃에서 교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12.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PVA 수용액은,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5.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와, 검화도(degree of saponification) 99.0 ㏖%의 PVA(폴리비닐 알코올)가 각각 1 : 0.5∼1 의 중량비로 용해되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KR1020210134972A 2021-10-12 2021-10-12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KR102635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972A KR102635407B1 (ko) 2021-10-12 2021-10-12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972A KR102635407B1 (ko) 2021-10-12 2021-10-12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956A KR20230051956A (ko) 2023-04-19
KR102635407B1 true KR102635407B1 (ko) 2024-02-13

Family

ID=8614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972A KR102635407B1 (ko) 2021-10-12 2021-10-12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4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325B1 (ko) * 2006-03-02 2007-03-16 태원건설화학 주식회사 미끄럼방지용 배수판
JP3957601B2 (ja) * 2002-09-26 2007-08-15 田島ルーフィング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ルーフィングの施工方法
KR101325717B1 (ko) * 2013-05-14 2013-11-08 홍종인 배수판 조립체
KR101360132B1 (ko) * 2013-10-11 2014-02-12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와 역타설 구간의 방수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21B1 (ko) 2007-07-11 2009-12-14 (주)리뉴시스템 콘크리트 역 타설 구간 방수시공방법
KR101117743B1 (ko) 2011-06-23 2012-03-07 (주)리뉴시스템 역타설이 가능한 수반응형 탄성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재
KR101302469B1 (ko) 2013-01-18 2013-09-02 고삼석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와 그 시공방법
KR101980154B1 (ko) 2018-02-01 2019-05-20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역타설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7601B2 (ja) * 2002-09-26 2007-08-15 田島ルーフィング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ルーフィングの施工方法
KR100695325B1 (ko) * 2006-03-02 2007-03-16 태원건설화학 주식회사 미끄럼방지용 배수판
KR101325717B1 (ko) * 2013-05-14 2013-11-08 홍종인 배수판 조립체
KR101360132B1 (ko) * 2013-10-11 2014-02-12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지하구조물의 외방수와 역타설 구간의 방수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956A (ko)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136B1 (ko) 친환경 아크릴계 균열 주입제 및 이를 이용한 균열 콘크리트 보수공법
CN101939493B (zh) 用于升起建筑物结构的方法和系统
US7842739B2 (en) Method of applying a compact hardened coating to a building surface and a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ating
AU2003231691A1 (en) Waterproof Cladding
US20120198787A1 (en) Pre-pave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JP2012207519A (ja) 補強材及び補強構造
CN104251140A (zh) 一种地下工程用复合防水层及其制备和施工方法
KR101733535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95845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하 외부 방수공법
KR102635407B1 (ko) 보호판에 의해 방수층 손상이 방지되는 역타설 방수공법
JP5076584B2 (ja) 通気性複合防水工法
EP1451128A1 (de)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s zementhaltigen formteiles
KR20170088555A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20100021831A (ko) 점착성 수팽창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889329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
KR101380782B1 (ko) 친환경 복합형 강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300406B1 (ko) 연질 고무아스팔트계 도막재를 이용한 선택형 비노출 복합방수구조
KR101438727B1 (ko) 지하구조물의 합벽부 방수공법
JP6281001B1 (ja) 排水桝の補修方法
KR101752214B1 (ko) 침투식 액체 방수제, 아스팔트 및 보강그리드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US20110252557A1 (en) Soil solidifier and related methods
KR101684629B1 (ko) 벽체용 방수층 이중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70108616A (ko) 아스팔트계 방수재 및 벨크로파스너 부직포시트 적층 복합 방수구조 및 그 시공공법
KR20010090026A (ko) 폴리에스터 개량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529504B1 (ko) 지하구조물 합벽 배수 및 방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