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924A -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924A
KR20130057924A KR1020120009180A KR20120009180A KR20130057924A KR 20130057924 A KR20130057924 A KR 20130057924A KR 1020120009180 A KR1020120009180 A KR 1020120009180A KR 20120009180 A KR20120009180 A KR 20120009180A KR 20130057924 A KR20130057924 A KR 2013005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lotus root
root
longitud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819B1 (ko
Inventor
조영순
김세윤
Original Assignee
조영순
김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순, 김세윤 filed Critical 조영순
Publication of KR2013005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8Protection for the ears, e.g. removable ear muff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6Balaclav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재배조와, 재배조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조커버와, 재배조 또는 방조커버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종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종근지지대와, 재배조 또는 방조커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재배조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방조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APPARATUS FOR CULTIVATING LOTUS ROOT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근은 연(蓮, lotus)의 땅속줄기를 지칭한다. 연은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식용, 약재용, 관상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중 3 내지 4종 정도가 식용으로 재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용으로 사용되는 부분은 주로 땅속줄기 중 가을철에 양분이 저장되어 굵어진 부분이므로, 재배 후 수확을 할 때 이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채취한다.
연의 파종 및 수확은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연의 파종 시에는 종근의 정상적인 성장을 위하여 재배지의 토양에 종근이 묻히는 깊이 및 각도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수확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연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많은 숙련을 요한다.
한편, 연의 생장에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므로, 연근을 얻기 위한 연은 얕은 연못이나 깊은 논에서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연의 파종 및 수확은 보통 토양에 다량의 물이 포함된 상태로 행해지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할 뿐만 아니라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연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다.
또한, 종근을 파종한 후 두루미나 청둥오리와 같은 야생동물이 종근 및 종근으로부터 자란 새 순을 먹거나 손상시켜 연근의 재배에 피해를 입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리고, 재배지의 토양에 포함된 자갈이나 단단하게 뭉친 흙덩어리인 토괴와 같은 장애물들이 종근의 성장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종근이 자갈이나 토괴를 우회하며 성장하게 되므로 추후 연근의 형상이 고르지 못하여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연근의 파종이나 수확은 여전히 수작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7562호(공개일: 2011년 10월 04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29200호(공개일: 2011년 12월 01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근의 파종 및 수확에 필요한 수작업량을 최소화 함으로써 연근재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이 절약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재배조와, 상기 재배조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조커버와,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종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종근지지대와,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재배조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방조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원통 형상의 윗면 및 밑면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원통 형상의 중심부 반대 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배조의 횡단면은,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호 및 상기 한 쌍의 반원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나란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 네 꼭지점 부분이 원호인 직사각형 및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배조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 및 상기 방조커버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은 망구조체로 각각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근재배장치에서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홈 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조커버 또는 상기 재배조에는 상기 체결홈 또는 상기 체결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형상의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근지지대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의 폭이 확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종근지지부와, 상기 종근지지부에 결합 또는 상기 종근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근지지부의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개방된 부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종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근이 상기 종근지지부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종근 표면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근이 상기 다리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상기 종근지지대에 의해 경사지도록 지지되어, 상기 종근의 일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근의 타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하측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조 내측 하면에는 상기 다리부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결합구가 형성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는, 선형의 연결구본체와, 상기 연결구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의 후크와, 가요성을 갖고 상기 후크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형상으로 상기 후크에 결합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연근재배장치 또는 복수의 상기 재배조를 재배지로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종근지지대에 상기 종근을 고정하는 종근고정단계와, 재배토가 상기 방조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재배조에 충전되도록 하는 복토단계와, 상기 재배지에 물을 대는 관개단계와,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의 상기 복수의 방조커버를 상기 복수의 재배조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방조커버분리단계와, 상기 종근지지대로부터 연근을 분리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단계 이전에는, 상기 재배지로부터 물을 빼는 배수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조커버분리단계 이전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상승시켜 상기 재배조 내의 상기 재배토 및 상기 물이 상기 재배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근의 재배 과정 중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상당 부분을 농업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연근의 재배에 소요되는 막대한 노동력 및 시간이 절약되도록 함으로써, 연근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조커버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이 종근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재배토에 섞인 토괴나 자갈 등이 종근의 생장 영역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근의 손실이 감소되고 연근이 곧은 형상으로 성장하여 상품가치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근 수확에 쇠스랑 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성장한 연근이 재배조 내에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연근이 수확 과정에서 손상될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에 연결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가 서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연결체를 재배지에 배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연결체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도 8에 표시된 X-X'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에 표시된 Y-Y'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
도 12는 연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 연결체를 재배지에 배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내에 종근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 내에 재배토가 충전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가 물에 잠긴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포클레인으로 상승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100)에는 재배조(110), 방조커버(120), 종근지지대(130) 및 지지대결합구(150)가 포함된다.
재배조(110)에는 재배조본체(111) 및 체결돌기(114)가 포함된다. 재배조본체(11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반원통 형상의 망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망구조체는 그물과 같은 형상을 가진 구조체를 지칭한다.
재배조본체(111)의 상측에는 복수의 체결돌기(114)가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본체(111)는 반원통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조본체(111)의 하측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평면 형상을 갖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재배지의 지면 상에 재배조본체(111)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방조커버(120)에는 방조커버본체(121), 체결부(123), 체결홈(124) 및 연결부(125, 126)가 포함된다. 방조커버본체(121)는 재배조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통 형상의 망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조커버본체(121)는 반원통 형상 외에도 재배조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124)을 갖는 체결부(123)는 방조커버본체(121)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체결돌기(114) 및 체결홈(124)은 상응하는 수 및 상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재배조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방조커버본체(121)로 커버한 다음 체결돌기(114)가 체결홈(124)에 삽입되도록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돌기(114) 및 체결홈(124)이 다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면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홈을 갖는 체결부는 재배조본체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체결부에는 체결홈 대신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체결홈이 재배조본체 또는 방조커버본체에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결합된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 내에는 종근(10)이 수용되어 성장할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재배공간은 종근(10)이 도시되지 않은 연근으로 충분히 성장했을 때 필요한 공간을 의미한다. 성장한 연근이 필요로 하는 재배공간은 종근(10)이 재배될 지역의 기후나 토양, 수질 등에 의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의 길이, 폭 및 형상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종근(10)은 연의 땅속줄기 중 일부분으로, 연밥이라 칭하는 연의 종자를 발아시키거나, 도시되지 않은 연근으로부터 채취될 수 있다. 연의 종근(10)을 얻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재배조본체(111)의 내부 하측에는 종근(10)을 지지하는 종근지지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종근지지대(130)는 다리부(131), 종근지지부(132) 및 종근가이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종근지지부(132)는 종근(10)을 재배조(110) 내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근지지부(132)는 일측이 개방되고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갖는데,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술한 중공부로 종근(10)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종근지지부(132)는 삽입되는 종근(10)의 굵기가 상술한 중공부보다 굵거나, 종근(10)이 성장하여 그 굵기가 중공부보다 증가하는 경우, 개방된 부분의 폭이 확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종근(10) 또는 성장한 연근(도시되지 않음)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리부(131)는 별도로 제조되어 종근지지부(132)에 결합되거나, 종근지지부(132)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131)의 단부는 재배조본체(111)의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종근지지부(132)가 재배조본체(111) 내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다리부(131)의 단부가 재배조본체(1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재배조본체(111)의 내측 하면에는 지지대 결합구(150)가 형성 또는 결합된다. 지지대 결합구(150)에는 다리부(131)의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지지대 결합구(15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대 결합구(150)는 방조커버본체(121)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다리부(131)가 방조커버본체(1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종근지지부(132)는 다리부(131)에 의하여 재배조본체(111) 및 방조커버본체(121) 내에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근재배장치(100) 내에 삽입된 종근(10)은 재배조(110) 및 방조커버(120) 내의 일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종근(10)의 재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종근가이드부(133)는 종근지지부(132)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된다. 이때, 종근가이드부(13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근(10)이 종근지지부(132)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그 중공부에 삽입될 때 종근(1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종근가이드부(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근지지부(132)의 개방된 부분이 확장될 경우, 그 확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종근(10)과 접촉되는 부위가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명하지 않은 연결부(125, 126)에 대해서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에 연결구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연결구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연결구(160)에는 연결구본체(161), 후크(162, 164) 및 이탈방지돌기(163, 165)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구본체(161)로는 벨트, 체인, 로프, 와이어 등과 같이 선형을 갖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연결구본체(161)의 양측에는 후크(162, 164)가 결합될 수 있으며, 후크(162, 164)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162, 164)에는 이탈방지돌기(163, 165)가 각각 형성 또는 결합되고, 이탈방지돌기(163, 165)는 후크(162, 164)의 개방된 부분을 각각 폐쇄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돌기(163, 165)는 가요성을 갖도록 제조되거나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후크(162, 164)에 결합된 물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연결구(160)가 연결부(125, 126)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125, 126)는 방조커버본체(도 1의 121 참조)에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60)의 후크(도 4의 162, 164)가 결합될 수 있는 형성을 갖는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125, 126)는 도시된 고리형상 외에도 후크(162, 164)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25, 126)는 연결구(16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연결부(125, 126)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방조커버본체(1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결부(125, 126)는 재배조(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구(160)에 의해 연근재배장치(100)는 인접하게 배치된 연근재배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100)는 연결구(16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연근재배장치(10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60)에 의해 연쇄적으로 연결된 것을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라 칭하기로 한다.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의 양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에 해당되는 연결구(160)에는 견인고리(170)가 결합될 수 있다. 견인고리(170)는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를 견인할 수 있는 견인수단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재배지에 배치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에 결합된 견인고리(170)가 포클레인(50)의 삽(5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포클레인(50)을 이동시킴에 따라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할 재배지(20)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참고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의 견인에는 도시된 포클레인(50) 외에도 윈치, 중장비 및 농업용 장비 등 다양한 견인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되는 견인수단에 따라 견인고리(170)의 형상 또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견인수단의 대표적인 예로서 포클레인(50)을 도시한 이유는, 종래의 수작업으로 연근을 수확하기 전에는 연 잎을 제거하고 재배지(20) 표면의 토양을 일부 제거하여 연근이 묻혀있는 깊이를 부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연근의 수확 작업을 조금이나마 용이하도록 하는 작업에 포클레인(50)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근재배 농가의 포클레인(50) 보유율이 높기 때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에 포함된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이 각각 하나씩 배치된 상태일 경우에는,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에 재배토(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뿌려서 재배토(도시되지 않음)가 각각의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를 통과한 후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각각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재배토로는 유기질이 많은 양토(壤土)나 점질양토(粘質壤土)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이 배치되지 않은 상태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재배지(20) 상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에 재배토(도시되지 않음)를 충전시키기 전에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의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를 각각 개방하고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종근지지대(도 3의 130 참조)에 각각 고정시키는 과정을 선행한다.
여기서, 재배토(도시되지 않음)가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은 재배토(도시되지 않음) 내에 포함된 자갈이나 토괴가 방조커버(도 3의 120 참조)에 의해 걸러져서 연근재배장치(도 3의 100 참조) 내의 재배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방조커버본체(도 1의 121 참조)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의 크기 또는 망구조체의 눈의 크기는 다음의 두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하고자 하는 지역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중 종근(도 1의 10 참조) 및 종근(도 1의 10 참조)에서 자란 새 눈을 먹거나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통공의 크기가 야생동물이 종근(도 1의 10 참조)에 접근할 수 없을 정도가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하고자 하는 재배지에 포함된 자갈이나 토괴 중 종근(10)의 성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최소 크기를 고려하여 그보다 작은 정도의 크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두 조건 중 통공의 크기 또는 망구조체의 눈의 크기가 더 작은 것을 기준으로 하면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및 재배토에 혼입된 이물질에 의한 피해를 모두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재배조본체(도 1의 111 참조) 및 방조커버본체(도 1의 121 참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견인되는 과정에서 상당한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실외에서 장기간 물과 토양 속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은 내구성이 높으면서도 내수성 및 내후성 등을 갖는 소재를 선택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포클레인(50)과 같은 견인수단에 의해 재배지(20)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지(20)에 용이하게 파종할 수 있다. 또한,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 및 재배토에 혼합된 이물질에 의한 피해가 모두 예방될 수 있으므로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손실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견인고리(170)가 포클레인(50)의 삽(51)에 결합되고, 포클레인(50)이 이동함에 따라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가 재배지(20) 외부로 이동되고 있다.
이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충분히 성장하여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수확하기 위한 것으로, 재배지(20) 내의 토양에 비해 지면이 견고한 영역으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를 이동시킴으로써 연근(도시되지 않음)의 수확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연근재배장치 연결체(101)를 재배지(20) 외부로 이동시킨 후에는 복수의 재배조(도 1의 110 참조) 및 복수의 방조커버(도 1의 120 참조)를 각각 분리한 후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성장하여 형성된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수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은, 연근(도시되지 않음)의 수확을 위하여 작업자가 재배지(20) 내를 이동하면서 쇠스랑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근(도시되지 않음) 수확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근 수확에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이 크게 감소되며, 수확 과정에서 연근이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연근의 손실률이 매우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연근재배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8에 표시된 X-X'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8에 표시된 Y-Y'직선에 따른 재배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200)에는 재배조(210), 방조커버(220), 종근지지대(230, 240) 및 지지대결합구(251, 253, 255, 257)가 포함된다.
재배조(210)에는 재배조본체(211), 거름부재(213), 체결돌기(214) 및 연결부(215, 216)가 포함된다. 재배조본체(21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면의 일부분 이상에 개방부(212)가 형성되며, 거름부재(213)는 개방부(212)를 커버하며 재배조본체(211)의 하측부에 결합된다. 거름부재(213)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재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구조체가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다공판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210)에 형성된 개방부(212)를 거름부재(213)로 커버하는 대신, 재배조(210)에 개방부(212)를 형성하지 않고 재배조(210)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 복수의 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재배조본체(211)의 모서리 부분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호 및 반원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나란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본체(211)는 그 횡단면이 타원 또는 네 꼭지점이 원호인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재배조본체(211)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재배조본체(211) 내에서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성장하는 도중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의 단부가 재배조본체(211)에 접하게 되었을 때 완만하게 우회하며 성장하게 함으로써 종근(도 1의 10 참조)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재배조본체(211) 내에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수용되어 성장할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재배공간은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연근으로 충분히 성장했을 때 필요한 공간을 의미한다. 성장한 연근이 필요로 하는 재배공간은 종근(도 1의 10 참조)이 재배될 지역의 기후나 토양, 수질, 종근의 품종 등에 의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재배조본체(211)의 길이(L), 폭(W) 및 높이(H)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재배조본체(211)의 상측부에는 복수의 체결돌기(214)가 형성된다. 체결돌기(214)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조본체(211)의 상측부 양측에는 연결부(215, 216)가 형성된다. 연결부(215, 216)는 앞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연결부(125, 126)와 같이, 강한 인장력이 작용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재배조본체(21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방조커버(220)에는 방조커버본체(221) 및 체결부(223) 가 포함된다. 방조커버본체(221)는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방조커버본체(2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부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조커버본체(221)는 그 외에도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방조커버본체(2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망구조체로 형성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방조커버본체(211) 자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체결부(223)는 방조커버본체(221)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체결부(223)에는 복수의 체결홈(224)이 형성되는데, 체결홈(224)은 재배조본체(211)에 형성된 체결돌기(214)와 상응하는 수 및 상응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재배조본체(211)의 개방된 상측을 방조커버본체(221)로 커버한 다음 체결돌기(214)가 체결홈(224)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재배조본체(211) 및 방조커버본체(2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홈을 갖는 체결부는 재배조본체의 상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체결부에는 체결홈 대신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는 체결홈이 재배조본체 또는 방조커버본체에 형성되는 등 재배조본체(211) 및 방조커버본체(22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재배조본체(211)의 내부 하측에는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는 앞에서 설명한 종근지지대(도 1의 13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종근지지대(230)가 제2 종근지지대(240)에 비하여 길이가 긴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는 거름부재(213)에 형성 또는 결합되어,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가 재배조본체(211) 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부(212)가 작은 경우에는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가 재배조본체(211)의 하면 내측에 형성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에는 각각 삽입공(242, 254, 246, 25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는 연결구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구(260)에는 연결구본체(261), 후크(262, 264) 및 이탈방지돌기(263, 265)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구본체(2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구본체(261)의 양단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을 갖는 후크(162, 16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크(162, 164)의 개방된 부분에는 이탈방지돌기(163, 16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260)가 용이하게 제조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구본체(261), 후크(262, 264) 및 이탈방지돌기(263, 265)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구(260) 전체를 한 번의 사출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때 연결구(260)가 강한 인장력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 후크부(262, 264) 및 연결구본체(261) 내에 강선 등의 심재가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구(26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구(260)를 재배조본체(도 8의 211 참조)에 형성된 연결부(도 8의 215, 216)에 각각 연결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재배조(210)를 연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재배조 연결체가 재배지에 배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복수의 재배조(210)가 연결구(260)에 의해 연결된 결합체의 양단부에는 견인고리(270)가 결합되고, 견인고리(270)는 포클레인(50)의 삽(5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포클레인(50)을 이동시킴에 따라 복수의 재배조(210)들이 재배지(20) 상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견인고리(27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견인고리(170)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복수의 재배조(210) 내에는 종근(도 1의 10 참조)을 각각 고정시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내에 종근이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 내에 재배토가 충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5에 도시된 연근재배장치가 물에 잠긴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지(도 13의 20 참조) 상에 배치된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 중 하나를 대표로 나타낸 것으로, 이 설명으로 도 13에 도시된 나머지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에 대한 설명을 갈음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200) 내에 종근(1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종근(10)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지(20)의 지면(21) 상에 재배조(210)가 배치된 다음, 제1 종근지지대(230) 및 제2 종근지지대(240)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다. 이후, 재배조(210)에 방조커버(220)를 결합시키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종근지지대(230, 240)에는 다리부(231, 241), 종근지지부(232, 242) 및 종근가이드부(233, 243)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단, 종근지지대(230, 240)의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은 각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200)에는 하나의 종근(10)이 한 쌍의 종근지지대(230, 24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제1 종근지지대(230)의 다리부(231)의 길이가 제2 종근지지대(240)의 다리부(24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종근(10)은 지면(21)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지지된다.
이는 종근(10)의 일단부는 재배조본체(211)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재배조본체(211)의 하측을 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재배조본체(211) 내에 재배토(30)가 충전되어 있다. 재배토(30)는 방조커버본체(221)를 통과하여 재배조본체(211) 내에 충전되도록 하는데, 이때 종근(1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눈은 재배토(3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D)에 배치되고, 종근(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잎은 재배토(30)의 표면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참고로, 종근(10)의 타단부에 형성된 눈은 연의 뿌리줄기가 성장하는 부분이고, 일단부에 형성된 잎은 지상으로 성장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종근(10)의 눈은 최대한 장애물이 근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므로, 종근(10)의 잎은 눈에 비해 재배조본체(211)의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깊이(D)는 12 내지 15 센티미터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당업자들이 실험 등에 의해 얻은 값이며, 종근(10)의 품종, 재배환경, 종근(10)의 용도 등에 따라 이 깊이(D)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배조본체(211)의 높이(H)는 종근(10)의 타단부의 위치(D) 및 종근(10)이 성장하는 데에 필요한 공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종근지지대(230, 240)는 종근(10)의 원활한 성장을 위하여 종근(10)이 재배토(30) 내에서 일정한 깊이 및 각도를 유지하도록 종근(10)을 고정한다.
재배조본체(211) 내에 재배토(30)를 충전하는 복토작업은, 작업자가 삽 등을 이용하거나 포클레인(도 6의 50 참조)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재배토(30)를 방조커버(220) 상에 뿌리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종근(10)의 재배토(20) 내에서의 위치는 제1 종근지지대(230)의 다리부(231)의 길이, 제2 종근지지대(240)의 다리부의 길이(241) 및 종근지지대(230, 240) 사이 거리(G)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231, 241)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다리부(231, 241)가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구(251, 253) 사이의 거리(G) 또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참고로, 재배조본체(211) 내에 다수의 지지대 결합구(251, 253, 255, 257)가 설치된 것은 재배조본체(211)가 배치된 방향과 상관없이 종근(10)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점선으로 나타낸 다른 종근(10a) 및 종근지지대(230a, 240a)와 같이, 필요한 경우 하나의 재배조본체(211) 내에서 한 쌍의 종근(10, 10a)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200) 내에 재배토(30)를 충전시키는 복토작업 후에는 재배지(20)에 물을 대는 관개작업이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재배지(20)에는 관개작업이 행해져서 물(40)이 재배토(3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W)가 되도록 공급된다. 이때, 물(40)의 깊이(W)는 15 내지 20 센티미터가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일반적인 재배방법에 따라 종근(10)이 성장하도록 하고, 연근이 충분히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면 연근을 수확한다.
연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포클레인(도 13의 50 참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연근재배장치(200)가 연결구(260)에 의해 연쇄적으로 연결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17의 201 참조)를 재배지(20) 외부로 이동시킨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를 포클레인으로 상승시킨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근재배장치 연결체(201)를 재배지(20)의 지면(21) 및 물(40)보다 높게 상승시키면, 재배조본체(211) 내의 재배토(30) 및 물(40)이 재배토본체(211)에 형성된 개방부(212)를 통하여 연근재배장치(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재배조본체(211) 내에 있던 연근(도시되지 않음) 또한 개방부(212)를 통하여 배출되는 경우에는 수확해야 할 연근(도시되지 않음)이 분산되거나 손상되어서, 연근의 수확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손실률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개방부(212)를 커버하는 거름부재(도 16의 213)에 형성된 통공의 크기는, 재배조본체(211) 내의 재배토(30) 및 물(40)은 원활히 통과할 수 있지만 연근(도시되지 않음)은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재배지(도 16의 20 참조) 외부로 이동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201)의 재배조(210) 및 방조커버(220)를 분리한 다음, 재배조(2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 도 18은 종근의 파종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9는 재배된 연근의 수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중 종근의 파종방법에는, 배치단계(S11), 종근고정단계(S12), 방조커버결합단계(S13), 복토단계(S14) 및 관개단계(S15)가 포함된다.
배치단계(S1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참조) 또는 연쇄적으로 연결된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를 재배지(도 7 또는 도 13의 20 참조) 상에 배치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종근고정단계(S1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조(도 1의 110, 도 8의 210 참조) 내에 종근(도 1의 10 참조)을 고정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방조커버결합단계(S1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조(도 1의 110, 도 8의 210 참조)에 방조커버(도 1의 120, 도 8의 220)를 결합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복토단계(S14)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토(도 15의 30 참조)가 방조커버(도 1의 120, 도 15의 220 참조)를 통과하여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15의 200 참조) 내에 충전되도록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관개단계(S15)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지(도 6, 도 16의 20 참조)에 물(도 16의 40 참조)을 공급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8의 200 참조)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연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를 재배지(도 13의 20 참조)에 배치(S11)하고, 복수의 재배조(도 13의 210 참조) 내에 종근(도 14의 10 참조)을 각각 고정(S12)한 후, 재배조(도 14의 210 참조)에 방조커버(도 14의 220 참조)를 결합(S13)시킨 다음 복토단계(S14) 및 관개단계(S15)를 행하여 종근(도 14의 10 참조)을 재배지(도 13의 20 참조)에 파종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조(110) 내에 고정(S12)하고, 방조커버(도 1의 120 참조)를 재배조(도 1의 110 참조)에 결합(S13)한 후,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6의 101 참조)를 재배지(도 6의 20 참조)에 배치(S11)한 다음 복토단계(S14) 및 관계단계(S15)를 행하여 종근(도 1의 10 참조)을 재배지(도 6의 20 참조)에 파종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즉,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의 구조에 따라 종근(도 1의 10 참조)의 파종 순서가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중 연근의 수확방법에는, 이동단계(S21), 방조커버분리단계(S22) 및 수확단계(S23)가 포함된다.
이동단계(S2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재배지(도 7 또는 도 13의 20 참조) 외부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방조커버분리단계(S2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배조(도 1의 110, 도 8의 210 참조)에 결합된 방조커버(도 1의 120, 도 8의 220)를 각각 분리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수확단계(S23)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15의 200 참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연근(도시되지 않음)을 수확하는 작업을 행하는 단계이다.
연근의 수확방법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참조) 및 도 8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에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의 상태 등에 따라 상술한 연근수확작업의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단계(S21) 이전에는, 앞에서 설명한 관개단계(도 18의 S15 참조)에서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에 공급한 물(도 16의 40 참조)을 빼는 작업을 행하는 배수단계가 더 행해질 수 있다.
이동단계(S21)에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포클레인(도 7, 도 17의 50 참조) 등의 견인수단을 이용하여 이동시킬 때,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의 물(도 16의 40 참조)에 의해 토양이 매우 무른 상태일 경우에는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각각에 가해지는 저항력이 매우 강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연결구(도 4의 160, 도 12의 260 참조)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크게 증가되어 연결구(도 4의 160, 도 12의 260 참조)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에 물(도 16의 40 참조)이 있는 상태에서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이동시키면, 재배지(도 7, 도 13의 20) 내의 물(도 16의 40 참조)에 재배토(도 16의 30 참조)가 다량 부유된 상태가 되므로, 이런 상황에서 배수를 하면 다량의 재배토(도 16의 30 참조)가 물(도 16의 40 참조)과 함께 유실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 후 재배지(도 7, 도 13의 20 참조)에 양토나 점질양토를 보충하는 작업이 필요하거나, 배수하기 전까지 물(도 16의 40 참조)에 부유된 재배토(도 16의 30 참조)가 침전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을 대기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배수단계는 이동단계(S21) 이전에 행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방조커버분리단계(S22) 이전에는 연쇄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연근재배장치 연결체(도 7의 101, 도 17의 201 참조)를 견인수단 등을 이용하여 상승시킴으로써,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내에 충전된 재배토(도 16의 30 참조) 및 물(도 16의 40)이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연근재배장치(도 1의 100, 도 8의 200 참조) 내에 수용된 연근을 더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300)에는 재배조(310), 방조커버(320), 종근지지대(330, 340) 및 지지대결합구(351, 353, 355, 357)가 포함된다.
여기서, 체결돌기(314), 체결부(323) 및 체결홈(324)은 앞에서 설명한 체결돌기(도 1의 114), 체결부(도 1의 123) 및 체결홈(도 1의 124)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연결부(315, 316), 종근지지대(330, 340) 및 지지대 결합구(351, 353, 355, 357) 또한 앞에서 설명한 연결부(도 8의 215, 216), 종근지지대(도 8의 230, 240) 및 지지대 결합구(251, 253, 355, 257)와 각각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재배조(310)에는 재배조본체(311), 체결돌기(314) 및 연결부(315, 316)가 포함된다. 재배조본체(311)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일부분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구조체(313)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방조커버(320)에는 방조커버본체(321) 및 체결부(323)가 포함된다. 방조커버본체(321)는 재배조본체(3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조커버본체(321)의 일부분은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구조체(322)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반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재배조본체(311)가 반원통 형상이 아닌 원통의 일부의 형상을 가질 경우, 방조커버본체(321)는 원통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면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재배조본체(311)의 하측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평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시되지 않은 재배지의 지면 상에 재배조본체(311)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는 원통 형상의 윗면 및 밑면에 해당되는 부분, 즉, 원통 형상의 양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서로 결합된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의 내부에 형성되는 재배공간의 가장자리가 둥근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성장하던 종근(10)이 재배공간의 가장자리에 접했을 때 둥근 형상을 따라 성장방향이 원활하게 전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재배조본체(311) 및 방조커버본체(321)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짐으로써 연근재배장치(3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포클레인(도 6의 50 참조)과 같은 견인수단에 의해 지면 상에서 이동될 때, 지면과의 마찰이 최소화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근재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종근 20: 재배지
30: 재배토 40: 물
100, 200, 300: 연근재배장치 110, 210, 310: 재배조
111, 211, 311: 재배조본체 114, 214, 314: 체결돌기
120, 220, 320: 방조커버 121, 221, 321: 방조커버본체
123, 223, 323: 체결부 124, 224, 324: 체결홈
160, 260: 연결구 170, 270: 견인고리
125, 126, 215, 216, 315, 316: 연결부
130, 230, 240, 330, 340: 종근지지대
150, 251, 253, 255, 257, 351, 353, 355, 357: 지지대결합구

Claims (14)

  1.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재배조;
    상기 재배조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방조커버;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종근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종근지지대; 및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재배조 또는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방조커버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 및 상기 방조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는 상기 원통 형상의 윗면 및 밑면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원통 형상의 중심부 반대 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의 횡단면은, 마주보는 한 쌍의 반원호 및 상기 한 쌍의 반원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나란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인 도형, 네 꼭지점 부분이 원호인 직사각형 및 타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상기 연결구가 결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 및 상기 방조커버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은 망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 또는 상기 방조커버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홈 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방조커버 또는 상기 재배조에는 상기 체결홈 또는 상기 체결돌기에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형상의 체결돌기 또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근지지대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부분의 폭이 확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종근지지부; 및
    상기 종근지지부에 결합 또는 상기 종근지지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근지지부의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개방된 부분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종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종근이 상기 종근지지부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종근 표면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근이 상기 다리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한 쌍의 상기 종근지지대에 의해 경사지도록 지지되어, 상기 종근의 일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근의 타단부는 상기 재배조의 하측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 내측 하면에는 상기 다리부의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결합구가 형성 또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선형의 연결구본체;
    상기 연결구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 또는 결합되고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상의 후크; 및
    가요성을 갖고 상기 후크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하는 형상으로 상기 후크에 결합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
  12. 상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으로서,
    복수의 상기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연근재배장치 또는 복수의 상기 재배조를 재배지로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종근지지대에 상기 종근을 고정하는 종근고정단계;
    재배토가 상기 방조커버를 통과하여 상기 재배조에 충전되도록 하는 복토단계;
    상기 재배지에 물을 대는 관개단계;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재배지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의 상기 복수의 방조커버를 상기 복수의 재배조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방조커버분리단계; 및
    상기 종근지지대로부터 연근을 분리하는 수확단계를 포함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 이전에는,
    상기 재배지로부터 물을 빼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조커버분리단계 이전에는,
    상기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연근재배장치를 상승시켜 상기 재배조 내의 상기 재배토 및 상기 물이 상기 재배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근재배장치를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KR1020120009180A 2011-11-24 2012-01-30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KR101337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14 2011-11-24
KR20110123314 2011-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924A true KR20130057924A (ko) 2013-06-03
KR101337819B1 KR101337819B1 (ko) 2013-12-06

Family

ID=4885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180A KR101337819B1 (ko) 2011-11-24 2012-01-30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2479A (zh) * 2013-07-30 2013-11-20 山西五洲昕宇农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节水莲菜浅池网格栽培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3786B (zh) * 2015-05-08 2016-08-24 苏州市农业科学院 船载深水植藕器
CN106034704B (zh) * 2016-06-28 2019-04-19 重庆星溪海农业科技有限责任公司 莲藕种收方法
CN108738561B (zh) * 2018-04-26 2021-08-03 凤冈县高山有机莲藕种植专业合作社 一种盛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4356U (ko) * 1986-02-18 1987-08-24
JPH03128084U (ko) * 1990-04-04 1991-12-24
JPH0928181A (ja) * 1995-07-24 1997-02-04 Muneo Hiratani 常開花袋
KR100863673B1 (ko) * 2008-01-21 2008-10-15 신순규 수생식물 종근블록 및 그 식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2479A (zh) * 2013-07-30 2013-11-20 山西五洲昕宇农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节水莲菜浅池网格栽培方法
CN103392479B (zh) * 2013-07-30 2015-02-11 山西五洲昕宇农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节水莲菜浅池网格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819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3507B2 (ja) 浅床栽培槽による蓮根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JP4399093B2 (ja) 蔓性植物の栽培棚の支持構造
KR101337819B1 (ko) 연근재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연근재배방법
WO2017078400A1 (en) Agricultural air injection apparatus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CN109673436A (zh) 一种绿色水稻种植与鱼混养方法
KR101262677B1 (ko) 식물재배장치
US20160309670A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KR101168995B1 (ko) 병충해 방지용 고설 재배 포트
JP2009296927A (ja) 自然薯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KR102129109B1 (ko) 조립형 재배장치
CN207201433U (zh) 西番莲栽培装置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JP3195767B2 (ja) 稲倒れ防止方法
GB2527150A (en) A propagator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JP2017029069A (ja) 蓮根の栽培方法
KR102009570B1 (ko) 잡초방지 및 수확을 위한 다기능 그물
GB2558545B (en)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CN213603550U (zh) 一种鱼、青蛙、水稻种植生态共养系统
CN214155630U (zh) 一种作物幼苗栽培用防护装置
CN211746257U (zh) 一种稻田养殖泥鳅专用的防敌害系统
RU2200383C2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KR200335260Y1 (ko) 옹벽 식재용 넝쿨 식물 재배기
KR101389938B1 (ko) 잔디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