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596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596A
KR20130057596A KR1020110123388A KR20110123388A KR20130057596A KR 20130057596 A KR20130057596 A KR 20130057596A KR 1020110123388 A KR1020110123388 A KR 1020110123388A KR 20110123388 A KR20110123388 A KR 20110123388A KR 20130057596 A KR20130057596 A KR 20130057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mage
list
application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현
이상희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596A/ko
Priority to EP12182278.7A priority patent/EP2597841A1/en
Priority to US13/684,615 priority patent/US20130138772A1/en
Publication of KR20130057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및 이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기 위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리스트에 대한 영상에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표시되도록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이력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PROVID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및 수신 가능하도록 상호 통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가능하게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영상의 표시 구성을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제공한다.
기술의 발전 및 컨텐츠의 증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서,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 및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접속된 클라이언트로서 서버와의 사이에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로부터 게임,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실행시킨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서버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 및 다운로드할 수 있게 마련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하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리스트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기 위해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대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시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때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됨을 나타내는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삭제이력 정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에 표시되게 상기 리스트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대한 영상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표시된 리스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은, 기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삭제됨을 나타내는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복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삭제이력 정보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삭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게 상기 리스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리스트에 대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처리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를 생성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 사이에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에 관한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영상의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6은 도 1의 서버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서버(2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서버(200)와 통신하며 서버(200)와의 사이에 한정되지 않은 신호/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4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기 설정된 커맨드/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입력부(150)와, 한정되지 않은 신호/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6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 또는 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장치로 구현이 가능한 바, TV,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모바일 폰(mobile-phone) 등 다양한 형식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통신하는 서버통신부(210)와, 서버(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처리부(220)와, 서버처리부(220)에 의해 억세스되며 한정되지 않은 신호/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서버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외부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유선/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 컴포지트(composite)/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에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모바일 폰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영상수신부(110)의 구성 대신에 통신부(140)를 통한 영상데이터 패킷이 영상처리부(120)에 전달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제어부(160)와 함께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기 설정된 유선/무선 통신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서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동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200)와의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영상처리부(120)가 서버(200)와의 사이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60)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에 의해 억세스되며, 제어부(1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또한, 저장부(160)는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제어부(170)는 소프트웨어적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프로그램(program)을 실행시킨다. 이러한 운영체제 및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제어동작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서버(200)에 포함된 각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서버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의 사이에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서버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서버처리부(220)에 전달하며, 또는 서버처리부(22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서버통신부(210)는 통신부(140)에 대응하도록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르는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다.
서버처리부(220)는 서버통신부(210)에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하며, 이를 위해 서버처리부(220)는 서버저장부(2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 및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마련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처리부(220)는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구매 및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구매 및 다운로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때, 서버처리부(22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이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정보가 해당 리스트에 포함되도록 처리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서버저장부(230)는 서버처리부(22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되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이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버(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을 구매 및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예시에 관해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서버(200) 사이에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의 다운로드 및 설치에 관한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은 제어부(170)가 동작의 주체가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20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서버(200)에 전달하며, 서버(200)는 사용자 프로파일의 인증을 완료하면 해당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의 구매 및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버(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요청에 따라서, 구매가 수행된 어플리케이션(311)의 다운로드를 허용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311)을 다운로드받고(A),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311)을 저장부(160)에 저장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311)을 저장부(160)에 저장 시에, 해당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저장부(160)에 기 저장된 운영체제(미도시) 상에 인스톨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160)에서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312)을 다운로드받아 저장부(160)에 설치한 후(B), 현재 시점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312)을 저장부(160)에서 삭제한 상태(320)이다.
즉, 서버(200)에 구비된 복수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 중에서 제1어플리케이션(311) 및 제2어플리케이션(312)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구매 및 다운로드된 상태이나, 제1어플리케이션(311)은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반면, 제2어플리케이션(312)은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삭제된 상태(320)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사용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다운로드 및 설치한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의 수는 수십 내지 수백 종류가 될 수 있다. 더구나, 저장부(160)의 용량을 고려하면,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이 새로 다운로드 및 설치되기 위해서는 이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을 삭제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하여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상에서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을 선택할 때에, 해당 리스트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312)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다운로드되었으나 현재 삭제된 상태(320)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311, 312) 중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312)의 삭제가 발생하면, 이를 나타내는 삭제이력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삭제이력정보와 함께 서버(200)에 전달한다.
삭제이력정보의 전송은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312)이 삭제될 때에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삭제이력정보를 일단 저장해 두고, 이후 서버(200)에 로그인 접속할 때에 삭제이력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삭제이력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삭제이력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서버(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한 로그인 접속이 수행되면, 해당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서버저장부(23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의 리스트를 생성한다.
해당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리스트의 생성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버(200)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따라서, 리스트 상의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및 다운로드 이력이 리스트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서버(200)는 연령, 계층 등의 다양한 패러미터에 따라서 리스트에 수록되는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기 저장된 삭제이력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를 처리한다. 즉, 서버(200)는 생성된 리스트 상의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 중에서, 이전 수신한 삭제이력정보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312)의 항목에 해당 어플리케이션(312)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표시되게 처리한다. 서버(200)는 이와 같이 처리된 리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리스트 정보에 대한 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는 리스트에 대한 영상에서 어떤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이 다운로드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삭제된 것인지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대한 영상에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이력이 표시되는 예시에 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대한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는 리스트 영상(400)은 복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한다. 각 어플리케이션의 항목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칭, 카테고리, 구매가격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소정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다운로드 및 삭제된 상태인 경우, 리스트 영상(400) 내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항목(420)에는 이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421)가 나타난다.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이전에 구매 및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이후, 현재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삭제된 것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영상(400)은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구매 및 다운로드받아 현재도 설치되어 있는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411)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항목에 포함할 수도 있다.
정보(411)는 정보(421)의 경우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되었으나, 정보(421)의 경우와 상이하게 현재 시점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삭제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서버(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의해 구매 및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삭제이력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이러한 정보(411)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리스트 영상(40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항목(420)을 선택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311, 312, 313, 314)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개별 어플리케이션 정보영상(500)이 디스플레이부(130)에 전환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어플리케이션 정보영상(500)은 도 3의 리스트 영상(400)에 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별 어플리케이션 정보영상(5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다운로드 및 삭제된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5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영상들은, 서버(200)에서 리스트 정보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제공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공받은 리스트 정보의 영상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표시된 이러한 영상을 통해, 서버(20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이전에 구매 및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 또한 이전에 구매 및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현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삭제된 상태의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에 관해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판단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서버(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160)에서 삭제한다(S10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였음을 지시하는 삭제이력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과 함께 서버(200)에 전송한다(S110).
이후,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가지고 서버(200)에 로그인 접속한다(S120).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200)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선택 가능한 복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 영상을 요청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요청에 따라서 서버(200)로부터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S130).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수신하는 리스트 정보에는 앞서 삭제이력정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나타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된 리스트 정보의 영상을 표시한다(S140). 이 영상은 앞서 S100 단계에서 삭제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삭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삭제이력정보를 수신한다(S200). 서버(200)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삭제이력정보를 저장한다(S210).
서버(200)는 사용자 프로파일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로그인 접속이 수행되면(S220),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생성한다(S230).
이 때, 서버(200)는 앞서 S200 단계에서 수신된 삭제이력정보에 따라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리스트에 표시되게 처리한다(S240). 그리고, 서버(200)는 이와 같이 처리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한다(S250).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이력이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대한 영상이, 해당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통신부
150 : 사용자입력부
160 : 저장부
170 : 제어부
200 : 서버
210 : 서버통신부
220 : 서버처리부
230 : 서버저장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기 위해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대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시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때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게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삭제됨을 나타내는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삭제이력 정보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에 관한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에 표시되게 상기 리스트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13.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대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선택 가능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에 대한 영상 상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표시되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가 표시된 리스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이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삭제됨을 나타내는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도록 선택 가능하게 마련된 상기 복수 어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삭제이력 정보에 따라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삭제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리스트에 표시되게 상기 리스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처리된 리스트에 대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처리된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항목을 함께 표시하는 제1영상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제2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삭제 여부는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이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사용자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를 생성 및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상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대한 영상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도록 구매한 경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구매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123388A 2011-11-24 2011-11-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7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88A KR20130057596A (ko) 2011-11-24 2011-11-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2182278.7A EP2597841A1 (en) 2011-11-24 2012-08-29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provid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684,615 US20130138772A1 (en) 2011-11-24 2012-11-26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provid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88A KR20130057596A (ko) 2011-11-24 2011-11-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96A true KR20130057596A (ko) 2013-06-03

Family

ID=4685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388A KR20130057596A (ko) 2011-11-24 2011-11-24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38772A1 (ko)
EP (1) EP2597841A1 (ko)
KR (1) KR201300575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019A (ko) * 2014-05-28 2015-12-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249A (ko) * 2015-04-30 2016-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3375B1 (en) * 1998-11-25 2003-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 based handheld application and database management
CA2327159C (en) * 2000-11-30 2008-10-07 Ibm Canada Limited-Ibm Canada Limitee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displaying html form elements
JP2005157657A (ja) * 2003-11-25 2005-06-16 Nec Corp 携帯端末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データ管理方法及び携帯端末
US7710912B1 (en) * 2005-07-11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content synchronization between a data service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US20080136784A1 (en) * 2006-12-06 2008-06-12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vely activating a function thereof
WO2008094508A2 (en) * 2007-01-26 2008-08-07 Fusionone,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backing up content for use on a mobile device
CN104184973A (zh) * 2007-02-02 2014-12-03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和方法
US9104438B2 (en) * 2009-12-03 2015-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pping computer desktop objects to cloud services with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TW201136429A (en) * 2010-04-08 2011-10-16 Inventec Corp Network storage system for application and method thereof
EP2556679B1 (en) * 2010-04-09 2017-05-10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584624B2 (en) * 2010-04-15 2017-02-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 application to a device
KR101660746B1 (ko) * 2010-08-24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US8762985B2 (en) * 2010-09-30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EP2710487A4 (en) * 2011-05-09 2015-06-17 Google Inc GENERATING APPLICA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USER INSTALLED APPLICATIONS
US9606629B2 (en) * 2011-09-09 2017-03-28 Cloudon Ltd.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 interaction with cloud-based appl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019A (ko) * 2014-05-28 2015-12-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8772A1 (en) 2013-05-30
EP2597841A1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388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thereof, external device remotely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control screen thereof
EP3005649B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US10033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UI
EP2741464A1 (en) Management server, device, and method of synchronizing applications of the same
US8832770B2 (en) Backup and restore of network configuration data using a remote controller device
KR10192202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188561A (zh) 显示设备、升级设备、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20089000A (ko)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 자동 인스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28486B2 (en) Smart television playing method and device
US2013019450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5342B1 (ko) 디스플레이장치, 외부장치 및 그 제어방법,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301696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5759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169876A1 (en) Display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30036803A (ko)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CN103167351B (zh) 广播接收设备和服务器及其控制方法
US9397889B2 (en) Display apparatus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CN112911359A (zh) 一种资源显示方法、显示设备及遥控器
KR2012004029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외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763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6230A (ko) 영상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04881B1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1117843A (ja) 情報配信システム
US20110126152A1 (en)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ntents supplying system, and contents supplying method thereof
KR2013005372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