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803A -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803A
KR20130036803A KR1020110100950A KR20110100950A KR20130036803A KR 20130036803 A KR20130036803 A KR 20130036803A KR 1020110100950 A KR1020110100950 A KR 1020110100950A KR 20110100950 A KR20110100950 A KR 20110100950A KR 20130036803 A KR20130036803 A KR 2013003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pplications
application
user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철
장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6803A/ko
Publication of KR2013003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제1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에 대한 것이다.
최근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방향 서비스가 아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TV가 등장하고 있다. 스마트TV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와 같은 전통적은 TV의 기능과 함께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한 TV로 정의된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TV는 TV라는 속성으로 인하여 소정의 공간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다수의 사용자가 스마트 TV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에 따라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매번 이전 사용자 계정을 로그오프시키고, 해당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입력부의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따라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제1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제2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2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키의 설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을 설정하는 제1메뉴버튼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UI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UI생성부는,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입력부의 제1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제2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2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키의 설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을 설정하는 제1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을 더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제2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법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으로 인코딩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명령이 수행될 때, 상기 명령은 입력 영상을 렌더링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입력부의 제1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제2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2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키의 설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을 설정하는 제1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을 더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제2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법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입력부의 특정 키 입력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따라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UI생성부(170)를 통하여 표시되는 UI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저장부(16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계층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통신부(120), 신호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사용자입력부(160), UI생성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방송신호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방송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미도시)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스마트 TV를 포함한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이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외부의 방송신호 송신장치(미도시)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튜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무선/유선, 즉 공중파 또는 케이블 방식을 통해 수신한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방송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공중파 방식에 따라 RF 신호로 구현된 방송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케이블 방식에 따라 컴포지트/컴포넌트 비디오 신호로 구현된 방송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HDMI 규격 등과 같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미도시)는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선택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종래 알려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LAN 또는 WLA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는 통신부(120)는 소정의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고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외부의 전자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서, 외부 전자장치(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장치(미도시)와 DLAN(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형성하여, DLAN 내의 외부 전자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3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로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하여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는 신호처리부(130)는 상기 방송신호 이외에 통신부(120)를 통하여 수신되는 다양한 컨텐츠에 대하여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영상처리 프로세서는 처리할 영상신호에 따라 ADC(analog/digital convertion), 디모듈레이팅(demodulating),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디테일(detail) 강화 등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단독 또는 조합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30)는 상기 각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는 개별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일체형 구성인 시스템 온 칩(system-on chip, SoC)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신호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0)의 구현방식은 한정되지 않은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제어동작과 관련된 기 설정 커맨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일측에 버튼의 형식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의 형식으로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원격으로 설치되어 통신이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러, 리모트 컨트롤러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등의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를 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선택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즉, SNS 어플리케이션, 금융 어플리케이션,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은 사용자 계정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후술할 UI 생성부(170)에서 생성한 UI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제1 그룹으로 지정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그룹에 대응하는 제1 키 입력을 설정할 수 있고, 저장부(160)는 이를 함께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그룹은 복수 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 그룹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키 입력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UI생성부(170)에서 생성한 UI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여 제2그룹으로 지정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2그룹에 대응하는 제2키 입력을 설정할 수 있고, 저장부(160)는 이를 함께 저장한다. 이에 대하여는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UI 생성부(170)는 후술할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및 제2 키의 설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을 설정하는 제1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UI 생성부(17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상기 제1 그룹 및/또는 제2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을 더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상기 제1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면,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 인증 확인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제2UI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2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한다.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부(180)의 제어동작은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UI생성부(170)를 통해서 표시되는 UI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입력부(150)의 기 설정된 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UI 생성부(170)에서 제1메뉴버튼(171)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다. 이때 제1메뉴버튼은 현재 디스플레이부(140)에서 표시되고 있는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되거나 도 2와 같이 현재 화면의 표시가 중단되어 아무 화면도 표시되지 않은 검은 화면 상에 중첩되는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뉴버튼(171)은 핫키 설정 메뉴버튼(171a),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버튼(171b) 및 사용자 계정 정보 입력 메뉴버튼(171c)을 포함하고, 이들은 단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의 기 설정된 키 입력이 수신되면, 핫키 설정 메뉴버튼(171a)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의 문자, 기호 또는 숫자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핫키 설정이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 선택 메뉴버튼(171b)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 계정에 따라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계정 정보 입력 메뉴버튼(171c)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선택 단계 및 사용자 계정 정보 입력단계는 수 회 반복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선택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핫키 설정 메뉴버튼(171a)을 통하여 설정된 핫 키에 대응하는 하나의 그룹이 된다. 또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173)을 통하여 상기 설정된 핫 키에 대응하는 그룹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무분별한 핫 키 입력으로 인하여 상기 설정한 그룹에 대한 타인의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한 공간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전자장치기에, 상기 과정은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기재한 과정을 통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저장부(16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기재한 UI 생성부(170)에서 생성된 제1 메뉴버튼을 통하여 설정된 핫 키,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계정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되며, 이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제1메뉴버튼을 통하여 핫 키를 번호 키 “1”로 설정하고, 어플리케이션으로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뉴스 어플, 및 주식거래 어플을 A그룹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함께 저장한다. 또한, 제2 메뉴버튼을 통하여 A그룹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함께 설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 또는 다른 사용자가 제1메뉴버튼을 통하여 핫 키를 번호 키 “2”로 설정하고, 구글+, 카카오톡, 은행거래 어플을 포함하는 B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함께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제2 메뉴버튼을 통하여 B그룹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를 함께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어플리케이션들은 SNS 또는 금융 관련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 계정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로그인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TV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에서 제1사용자가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후, 제2사용자가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제1 사용자의 계정을 로그오프하고, 제2사용자의 계정을 로그인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핫 키의 입력 한 번으로 핫 키에 대응하는 그룹에 속하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하고, 또한 다른 사용자가 다른 핫 키의 입력 한번으로, 기존에 로그인 되었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 오프가 수행되고, 다른 핫 키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도모된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프트웨어 계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바람직한 구현 예는 스마트 TV이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서, 스마트 TV에서의 소프트웨어 계층도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어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프트웨어 계층은 커널(Kernel) 계층; 드라이버(Driver) 및 마이컴(MICOM) 계층; 다운로드 스택 및 네트워크 계층; 미들웨어 계층;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2UI를 통하여 그룹에 대한 사용자 인증이 설정된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핫 키 입력이 수신되고, 상기 핫 키에 대응하는 그룹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를 다운로드 스택 계층으로 전송하여 기 저장된 상기 핫 키에 대응하는 그룹의 비밀번호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동일 한 것으로 판단되면,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상기 다운로드 스택 계층으로부터 상기 핫 키에 대응하는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사용자 계정 정보(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불러오고,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를 미들웨어 계층의 API를 거쳐 네트워크 계층을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가 외부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동일하다는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 계층을 통하여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상기 핫 키에 대응하는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50)를 통하여 기설정된 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UI생성부(170)에서 생성된 제1메뉴버튼을 통하여 제1 키 입력이 설정(S201) 및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여 제1그룹을 설정한다(S202). 또한 선택적으로 제2 메뉴버튼을 통하여 제1그룹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설정할 수도 있다(S203). 상기 설정된 제1키와 제1그룹(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및 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부(160)에 저장된다.
도 5의 동작은 복수 회 반복되어 동일 사용자의 복수 개의 그룹 설정 또는 다수 사용자 각각을 위한 복수 개 그룹 설정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면(S211), 선택적으로 상기 제1키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S212). S212 단계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설정한 경우에만 수행된다. 상기 제 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 상기 제1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1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 로그인을 수행한다(S213).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하여 제2키 입력이 수신되면(S214), 선택적으로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S215). S215 단계는, S212단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설정한 경우에만 수행된다. 상기 제 2 키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 로그인을 수행한다(S216).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방송신호 수신부
120: 통신부 130: 신호처리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사용자입력부
160: 저장부 170: UI생성부
180: 제어부

Claims (18)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입력부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제1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제2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2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키의 설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을 설정하는 제1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UI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I생성부는,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을 더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신호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
  7.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입력부의 제1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의 제2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2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키의 설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을 설정하는 제1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을 더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제2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컴퓨터로 실행가능한 명령으로 인코딩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명령이 수행될 때, 상기 명령은 입력 영상을 렌더링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여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입력부의 제1 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그룹 및 상기 제1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키 입력이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제1 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제1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부의 제2키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2그룹 및 상기 제2그룹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상기 제2 키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제2키 입력에 대응하는 제2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키의 설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룹을 설정하는 제1 메뉴버튼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 및 제2그룹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증 설정을 위한 제2 메뉴버튼을 더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제2메뉴버튼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로그인 단계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계정 정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제1그룹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인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8. 제13항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10100950A 2011-10-05 2011-10-05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KR20130036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50A KR20130036803A (ko) 2011-10-05 2011-10-05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950A KR20130036803A (ko) 2011-10-05 2011-10-05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03A true KR20130036803A (ko) 2013-04-15

Family

ID=4843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950A KR20130036803A (ko) 2011-10-05 2011-10-05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68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7753A (zh) * 2017-10-13 2018-01-05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界面定制化显示的方法和系统
EP3346406A1 (en) * 2017-01-06 2018-07-11 Hung-Chien Chou Data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data input method
WO2021025322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 계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6406A1 (en) * 2017-01-06 2018-07-11 Hung-Chien Chou Data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data input method
JP2018116698A (ja) * 2017-01-06 2018-07-26 宏建 周 データ入力方法及びデータ入力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電子装置及びシステム
CN107547753A (zh) * 2017-10-13 2018-01-05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界面定制化显示的方法和系统
WO2021025322A1 (ko) * 2019-08-06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키 계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전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9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US11665388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thereof, external device remotely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control screen thereof
US990684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and controlling the same
US1172744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CN105657465B (zh) 多媒体装置及其控制方法
US8032918B2 (en) Application gadgets
WO20160538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to merge search queries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CN103975603A (zh) 网络tv及其操作方法
CN109997141A (zh) 用于使用双因素认证来控制对媒体资产访问的系统和方法
US2016021066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KR20100066932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963935A1 (en) Multi screen display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s
WO201706287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US119100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the display of inputs on a user input device
KR20150049900A (ko)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467031B2 (en)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via a GUI executed on a separate mobile device
KR20130036803A (ko)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저장매체
KR20120022156A (ko) 기기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CN107710252A (zh) 用于向消费媒体的用户提醒其它消费媒体的进度的系统和方法
CN112040299A (zh) 一种显示设备、服务器及直播显示方法
CN104038833A (zh) 显示装置、服务器及其控制方法
KR2013005759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00922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91627A (ko) 유튜브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201404464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