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443A -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443A
KR20130057443A KR1020130036202A KR20130036202A KR20130057443A KR 20130057443 A KR20130057443 A KR 20130057443A KR 1020130036202 A KR1020130036202 A KR 1020130036202A KR 20130036202 A KR20130036202 A KR 20130036202A KR 20130057443 A KR20130057443 A KR 2013005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kin
lesion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138B1 (ko
Inventor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루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루다
Priority to KR102013003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1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5R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rmat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피부 개선을 위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여 분석함으로써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치료 광이 해당 좌표에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는, 카메라 유닛과, 선택투과미러와, 광좌표 조절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이미지 처리부와, 치료광 출력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TREATMENT DEVICE USING LIGHTING THROUGH ANALYSIS OF IMAGE FOR LESION AND HAND-PIECE USED TO THE SAME}
본 발명은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레이저와 같은 특정 광을 이용하여 제모(除毛), 기미, 잡티, 주근깨 등의 제거, 각종 피부질환 치료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시술자의 피부를 통해 드러나는 기미, 주근깨, 잡티 등의 색소성 병변 등의 제거는 물론 제모(除毛)나 각종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광(光)을 이용한 치료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광을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는 단일 또는 복합적인 파장의 광을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피부 질환을 치료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치료 장치는 소정 파장을 가지는 광을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영구적인 제모, 얼굴의 모세혈관 확장 또는 안면홍조, 주근깨, 기미 등의 색소질환 등의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 질환 등의 치료를 위한 치료 광은 특정 파장의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거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치료 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제모, 색소, 혈관등과 같은 각종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피부 개선을 위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병변을 인식하고 해당 병변의 좌표 정보를 정확히 산출하여 치료 광이 해당 좌표에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피부 광치료 장치가 피부 발색단에 선택적으로 반응은 하지만 정상피부에도 작용되어 피시술자에게 심한 통증과 부작용이 일어 났던 문제를 본 발명을 통해 인종 별 피부색상과 모발의 색상에 상관없이 병변 영상의 확대 분석으로 시술자의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미세 병변까지도 목표하는 병변에만 광이 정확하게 조사되어 안정적이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는,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영역 상에 구비되어 특정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선택투과미러와,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에 조사되기 위한 치료 광의 좌표를 조절하는 광좌표 조절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치료 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치료광 출력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치료광 출력부를 작동시켜 치료 광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광좌표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치료 광이 상기 산출된 병변 부위의 좌표에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핸드피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치료광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치료 광이 상기 핸드피스로 전달되도록 하는 암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취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카메라 유닛, 선택투과미러 및 광좌표 조절부를 내장하는 몸체부와, 피시술자의 피부에 하단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가 변화한 경우 자동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AF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를 추출하여 해당 부분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좌표상에 병변 부위임을 표시하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유닛은 지속적으로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가 변화한 경우 또는 상기 핸드피스의 흔들림 또는 떨림에 따라 취득되는 이미지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넘는 경우, 새롭게 취득되는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병변 부위의 위치 좌표 정보를 다시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시술자의 피부의 특정 병변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광을 이용하여 치료하도록 하는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며, 치료 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치료광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에 대해 암으로 연결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로서,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영역 상에 구비되어 특정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선택투과미러와,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에 조사되기 위한 치료 광의 좌표를 조절하는 광좌표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이미지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상기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가 산출되고 상기 치료광 출력부를 작동하여 치료 광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광좌표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치료 광이 상기 산출된 병변 부위의 좌표에 조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시술자의 피부의 특정 병변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광을 이용하여 치료하도록 하는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며, 치료 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치료광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에 대해 암으로 연결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이미지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병변 부위를 추출하여 그 위치 좌표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영역 상에 구비되어 특정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선택투과미러;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에 조사되기 위한 치료 광의 좌표를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와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광좌표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취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상에 병변 부위임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유닛은,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에 특정 조명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취득한 이미지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처리된 이미지에서 병변 부위를 추출하여 그 추출된 부위에 대한 위치 좌표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하단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 중 어느 한 곳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면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 중 다른 한 곳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단계적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트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볼트 결합부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 결합부를 내면에 형성하는 회전 작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 작동부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 결합된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길이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작동부는 그 둘레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작동부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부와 상기 기어치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상기 회전 작동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는 제모, 색소, 혈관등과 같은 각종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피부 개선을 위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병변을 인식하고 해당 병변의 좌표 정보를 정확히 산출하여 치료 광이 해당 좌표에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인종 별 피부색상과 모발의 색상에 상관없이 병변 영상의 확대 분석으로 시술자의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미세 병변까지도 목표하는 병변에만 광이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의 몸체부 구동 방식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는, 본체(100), 암(200) 및 핸드피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피시술자에 대한 각종 피부 병변의 치료 및 피부 개선에 필요한 치료 광을 생성 및 출력하는 수단이 구비되며, 광 치료를 위한 영상의 분석 수단 및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 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핸드피스(300)는 시술자가 핸들링하는 부분으로,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해 직접 대고 치료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핸드피스(300)는 몸체부(301)와, 가이드부(302)와, 디스플레이부(3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301) 내부에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를 위한 카메라 유닛, 선택투과미러, 광좌표 조절부 등의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는 구성이고, 상기 몸체부(301)는 가이드부(302)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한 구성이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된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3)를 통해 화상 출력되는 구성으로서,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제어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300)는 카메라 유닛(310), 선택투과미러(330), 광좌표 조절부(340) 등의 구성요소를 몸체부(301) 내부에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301)의 상단에 디스플레이부(30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01)는 가이드부(302)에 대해 상하 이동함으로써 길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유닛(310)은 피시술자의 피부(S)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부(311)와, 상기 카메라부(311)의 영상 취득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11)가 취득하는 영상은 상기 가이드부(302)에 의해 제한되는 부분의 피부(S) 부분으로서 몸체부(301)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부(304)를 통해 카메라부(311)로 입사되는 빛에 의해 영상을 취득한다.
여기서 카메라부(311)의 피부(S) 부위에 대한 촬영 영역 확보를 위해 피부(S)에서 반사된 빛이 카메라부(311)로 입사하도록 개구부(304)가 형성된 경우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부(304)에 투명 재질의 투과판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특정 파장의 빛만을 투과하도록 하는 필터를 개구부(304)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가 특정 파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필터(320)가 카메라부(311)와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 구성에 대해 나타내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304)에 필터(32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필터(320)는 일정한 파장의 빛을 필터링함으로써 피부(S)에 대해 취득되는 영상이 불필요한 영상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명부(312)는 LED 소자 등에 의해 구현할 수 있는데, 단순히 특정 조도의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카메라부(311)가 취득하는 영상이 더욱 선명하게 되도록 할 수도 있고 특정 파장의 조명을 선택적으로 방사하도록 구성되어 일반적인 영상에서는 쉽게 보이지 않는 부분이 조명부(312)의 조명에 의해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피부(S)를 통해 혈관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명부(312)가 특정 파장의 조명을 방사함으로써 해당 조명 하에서 카메라부(311)가 취득하는 영상에 피부상의 혈관이 선명하게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 유닛(310)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바로 디스플레이부(303)로 전송되어 화상 출력되며 시술자는 핸드피스(300)를 들고 시술을 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303)를 보면서 병변 여부를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선택투과미러(330)는 카메라부(311)의 촬영 영역 내에 설치되어 카메라부(311)로 입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부(311)가 피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치료 광은 반사시켜 피부의 병변 부위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선택투과미러(330)는 일반적인 가시광선의 성질을 같는 빛은 투과시키면서 치료 광으로 이용되는 레이저 광과 같은 특수한 광은 반사시킴으로써 촬영 영역 내의 피부에 대해 영상 취득 및 치료 광 조사가 모두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투과미러(330) 자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광좌표 조절부(340)는 본체(100)로부터 출력되는 치료 광을 적절히 반사시켜 정확한 좌표 위치에 치료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치료 광의 조사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광좌표 조절부(340)는 시술되는 피부(S) 부위를 x-y 좌표 평면으로 볼 때 치료 광이 조사되는 x-y 좌표 평면 상의 x좌표 위치 및 y좌표 위치를 각각 조절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2에서는 제1반사미러(341) 및 제2반사미러(342)를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시켜 치료 광의 반사각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요구되는 좌표 위치에 정확하게 치료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반사미러(341) 및 제2반사미러(342)에 의해 각각 반사된 치료 광은 상기한 선택투과미러(330)에 의해 반사되어 피부(S) 상의 병변 부위(이미지 분석을 통해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는 미리 산출되어 있음)에 정확하게 조사된다.
즉, 2 개의 반사미러(341, 342)에 의해 치료 광이 조사되는 x좌표 위치 및 y좌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302)는 피시술자의 피부(S)에 상기 가이드부(302)의 하단이 접촉되도록 하여 몸체부(301)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301)의 피시술자의 피부(S)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30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302)는 피부(S)에 접촉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몸체부(3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302)가 피부(S)의 지지력을 받아 몸체부(3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시술자의 실수 등에 의해 핸드피스(300)가 흔들리거나 떨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302)의 지지에 의해 몸체부(301)가 피부(S)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02)가 피부(S)에 접촉되어 사용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02) 내부와 피부(S) 사이의 암실(D)을 형성하여 주변 환경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암실(D) 내부로 새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데, 이는 특히 특정 조명 하에서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얻고자 하는 경우, 즉 조명부(312)에서 특정 파장대의 조명을 방사하는 경우에 주변의 빛의 유입을 방지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부(301)는 돌기부(305) 및 홈부(306)의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302)에 대해 단계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피부(S)에 대한 영상의 줌인/줌아웃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본체(100)는 이미지 처리부(110), 제어부(120) 및 치료광 출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부(110)는 상기 핸드피스(300)의 몸체부(301)에 내장된 카메라 유닛(310)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예컨대 상기 카메라 유닛(310)에 의해 취득된 소스 이미지에 대해 그레이 스케일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소정의 쓰레숄드(Threthold)에 따른 노멀라이제이션(Normalization) 처리를 하거나 소스 이미지 상의 각종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등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치료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상기 이미지 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상에서 병변 부위를 추출해 내고 그 추출된 병변 부위의 x-y 평면 상에서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여 그 산출된 좌표 위치에 정확하게 치료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광좌표 조절부(3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1반사미러(341) 및 제2반사미러(342)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 회전 구동하여 치료 광의 반사각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20)가 피부(S)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면, 상기 치료광 출력부(130)를 제어하여 치료 광이 생성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이미지로부터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면 이를 디스플레이부(303)에 화상 출력된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 상에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산출된 병변 부위의 위치가 정확한지 시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시술자가 디스플레이부(303) 상에 표시된 병변 부위를 보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카메라 유닛(310)은 핸드피스(300)에 구비되고 이미지 처리부(110)는 본체(100)에 구비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이와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카메라 유닛을 카메라부와, 조명부와, 이미지 처리부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위 이미지 처리부는 카메라부가 취득한 피부의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이미지 처리는 물론 그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병변 부위의 위치 좌표까지 산출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위 이미지 처리부가 이미지 처리하여 산출한 병변 부위의 위치 좌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하고 제어부는 이에 기초하여 광좌표 조절부를 조절한 후 치료광 출력부를 통해 치료 광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됨으로써 정확한 병변 위치에 치료 광이 조사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본 실시예의 경우 이미지 처리부가 본체가 아닌 핸드피스의 카메라 유닛과 함께 구성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300)에서 가이드부(302)에 대한 몸체부(301)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의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1)는 가이드부(302)의 지지를 받으면서 피부(S)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몸체부(301)의 양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돌기부(305)와, 이들 돌기부(305)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부(302)의 내면에 복수개의 홈부(306)를 구비함으로써, 도 4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b)에 도시된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즉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몸체부(301)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301)를 가이드부(302)에 대해 길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부(311) 자의에 줌인/줌아웃 기능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부(311)를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몸체부(301)의 피부(S)에 대한 거리 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초점 조정을 위해 상기 카메라부(311)에 오토포커싱(Auto-Focusing) 기능이 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301)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취득되는 피부(S)의 영상이 달라지는데,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이전에 취득된 피부의 이미지와 현재 취득된 피부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현재의 이미지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새롭게 변경된 피부의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부가 다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그로부터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를 다시 산출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면상으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몸체부(301)의 이동을 감지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하고, 제어부가 해당 수단을 통해 몸체부(301)가 이동한 것으로 감지한 경우에 이미지의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변화된 이미지에 대해 다시 이미지 처리 및 병변 부위의 위치 좌표 정보의 산출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300)에서 가이드부(302)에 대한 몸체부(301)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의 다른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301)는 그 외면 둘레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볼트 결합부(308)를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가이드부(302)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안착홈(307)을 형성하여 그 안착홈(307)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볼트 결합부(308)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 결합부(362)를 형성하는 회전 작동부(360)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작동부(360)는 마치 볼트에 너트가 결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몸체부(301)에 결합된 상태로 있으며, 내면에는 너트 결합부(362)를 형성하고 외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기어치(364)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조작부(370)를 가이드부(30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전 조작부(370)의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기어부(372)가 상기 회전 작동부(360)의 기어치(364)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조작부(370)를 시술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기어치(364) 및 기어부(372)의 맞물린 구성에 의해 회전 조작부(36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 조작부(360)와 나사 결합된 상태인 몸체부(301)는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회전 조작부(370)의 조작에 의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상기 몸체부(3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30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미지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처리는 상기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는 각종 피부 병변의 치료 또는 피부 개선을 위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취득하여 분석함으로써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치료 광이 해당 좌표에 정확하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의 실수 등에 의해 영상이 변화하거나 치료 광이 잘못된 부분에 조사되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정확한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저렴한 구성에 의해 줌인/줌아웃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100:본체, 110:이미지 처리부
120:제어부, 130:치료광 출력부
200:암, 300:핸드피스
301:몸체부, 302:가이드부
303:디스플레이부, 310:카메라 유닛
320:필터, 330:선택투과미러
340:광좌표 조절부

Claims (13)

  1.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영역 상에 구비되어 특정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선택투과미러와,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에 조사되기 위한 치료 광의 좌표를 조절하는 광좌표 조절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와, 상기 치료 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치료광 출력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치료광 출력부를 작동시켜 치료 광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광좌표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치료 광이 상기 산출된 병변 부위의 좌표에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핸드피스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치료광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치료 광이 상기 핸드피스로 전달되도록 하는 암;
    을 포함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취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카메라 유닛, 선택투과미러 및 광좌표 조절부를 내장하는 몸체부와,
    피시술자의 피부에 하단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가 변화한 경우 자동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AF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를 추출하여 해당 부분의 좌표 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좌표상에 병변 부위임을 표시하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지속적으로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가 변화한 경우 또는 상기 핸드피스의 흔들림 또는 떨림에 따라 취득되는 이미지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넘는 경우, 새롭게 취득되는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병변 부위의 위치 좌표 정보를 다시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7. 피시술자의 피부의 특정 병변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광을 이용하여 치료하도록 하는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며, 치료 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치료광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에 대해 암으로 연결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로서,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 유닛과,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영역 상에 구비되어 특정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선택투과미러와,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에 조사되기 위한 치료 광의 좌표를 조절하는 광좌표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의 이미지 처리가 수행되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핸드피스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상기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의 좌표 정보가 산출되고 상기 치료광 출력부를 작동하여 치료 광이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광좌표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치료 광이 상기 산출된 병변 부위의 좌표에 조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8. 피시술자의 피부의 특정 병변에 대한 영상을 분석하여 특정 광을 이용하여 치료하도록 하는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며, 치료 광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치료광 출력부를 포함하는 본체에 대해 암으로 연결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핸드피스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이미지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병변 부위를 추출하여 그 위치 좌표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의 촬영 영역 상에 구비되어 특정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선택투과미러;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의 병변 부위에 조사되기 위한 치료 광의 좌표를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와 일치되도록 조절하는 광좌표 조절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유닛에서 취득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산출된 위치 좌표상에 병변 부위임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피시술자의 피부의 일부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취득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영역에 특정 조명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취득한 이미지에 대해 소정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처리된 이미지에서 병변 부위를 추출하여 그 추출된 부위에 대한 위치 좌표 정보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10. 제8항에 있어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하단이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몸체부의 피시술자의 피부에 대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 중 어느 한 곳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면 및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 중 다른 한 곳에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단계적으로 길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면 둘레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트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의 볼트 결합부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 결합부를 내면에 형성하는 회전 작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 작동부가 회전함에 따라 나사 결합된 상기 몸체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대해 길이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작동부는 그 둘레를 따라 기어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작동부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부와 상기 기어치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상기 회전 작동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KR1020130036202A 2013-04-03 2013-04-03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KR101351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02A KR101351138B1 (ko) 2013-04-03 2013-04-03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02A KR101351138B1 (ko) 2013-04-03 2013-04-03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443A true KR20130057443A (ko) 2013-05-31
KR101351138B1 KR101351138B1 (ko) 2014-01-14

Family

ID=4866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202A KR101351138B1 (ko) 2013-04-03 2013-04-03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13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075B1 (ko) * 2015-01-23 2016-01-21 김용한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병변 영상 분석에 의한 병변 위치 검출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33322A (ko) * 2014-09-17 2016-03-28 전자부품연구원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의료용 레이저 장치
KR101636365B1 (ko) * 2015-05-06 2016-07-21 주식회사 하이로닉 피부 미용 시술 장치 및 시술 방법
KR20180008734A (ko) * 2015-05-20 2018-01-24 제트더블유엑스쥐 (베이징)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프랙셔널 레이저 시각화 장비
KR101855214B1 (ko) * 2017-02-10 2018-06-14 주식회사 이루다 광치료 핸드피스 및 이에 이용되는 광치료 가이드
KR101953258B1 (ko) * 2017-08-22 2019-02-28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휴대용 광 피부 치료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7628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이루다 레이저를 이용한 라인스캔 방식의 타깃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077B1 (ko) * 2019-07-01 2021-06-11 주식회사 리메드 의료용 네비게이션 장치
KR102483205B1 (ko) * 2021-03-12 2023-01-03 주식회사 메디셀 광 조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803A (ja) * 1995-09-27 1997-03-31 Terumo Corp レーザ治療装置
JP2002000745A (ja) 2000-06-16 2002-01-08 Nidek Co Ltd レーザ治療装置
KR20090059667A (ko) * 2007-12-07 2009-06-11 (주) 디바이스이엔지 영상인식 자동 레이저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44434B1 (ko) 2012-07-27 2013-03-18 김진왕 피부 병변, 피부 신생물 및 피부암, 피부혈관, 통증완화, 다모증완화, 두피모발재생, 피부재생, 피부미백, 피부회춘, 노화방지, 국소지방세포감소, 지방조직감소, 줄기세포 병행치료, 안면 및 전신에 관한 단순치료 혹은 복합광선치료, 공기압 맛사지치료, 공기압 광선역학치료, 고주파, 초음파기기 복합치료, 성형외과, 피부과, 스파병행 시술등에 있어 앨이디, 오앨이디, 레이저 ,레이저 다이오드, 광선, 광선역학 치료방법 및 광선역학 치료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322A (ko) * 2014-09-17 2016-03-28 전자부품연구원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의료용 레이저 장치
KR101580075B1 (ko) * 2015-01-23 2016-01-21 김용한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이에 이용되는 병변 영상 분석에 의한 병변 위치 검출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6117969A3 (ko) * 2015-01-23 2016-09-22 김용한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이에 이용되는 병변 영상 분석에 의한 병변 위치 검출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525276B2 (en) 2015-01-23 2020-01-07 Ilooda Co., Ltd. Light treatment device using lesion image analysis, method of detecting lesion position through lesion image analysis for use therein, and computing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the same recorded therein
KR101636365B1 (ko) * 2015-05-06 2016-07-21 주식회사 하이로닉 피부 미용 시술 장치 및 시술 방법
KR20180008734A (ko) * 2015-05-20 2018-01-24 제트더블유엑스쥐 (베이징)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프랙셔널 레이저 시각화 장비
KR101855214B1 (ko) * 2017-02-10 2018-06-14 주식회사 이루다 광치료 핸드피스 및 이에 이용되는 광치료 가이드
KR101953258B1 (ko) * 2017-08-22 2019-02-28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휴대용 광 피부 치료 장치 및 시스템
KR2019007628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이루다 레이저를 이용한 라인스캔 방식의 타깃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138B1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138B1 (ko) 병변 영상 분석을 통한 광 치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JP5066094B2 (ja) 虚像照準装置を使った光学医療治療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60253176A1 (en) Dermatological treatment device with deflector optic
US8092447B2 (en) Handpiece for tissue treatment
US7309335B2 (en) Dermatological treatment with visualization
JP4493491B2 (ja) 多目的画像化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アダプター
US9962557B2 (en) Aesthetic treatment device and method
EP1736098A1 (en) Face imaging device
JP6449549B2 (ja) 美容治療装置及び方法
KR101163497B1 (ko) 의료용 헤드램프
US20100130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CN112912026A (zh) 美容激光美容的皮肤治疗过程的实时监测
US201402727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imaging, magnification, fluorescence, and reflectance
WO2010102197A2 (en) Thermal surgical monitoring
KR20130133969A (ko) 영상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시술영역 및 조사강도가 조절되는 레이저 시술장치
JP7032529B2 (ja) 椅子型光治療装置
KR20160050529A (ko) 적외선을 이용한 혈관 투영 장치
JP7314941B2 (ja) 眼科用レーザ治療装置
WO2004006793A1 (en) An apparatus for tissue treatment
CA3162310A1 (en) Retinal imaging system
JP6494343B2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撮影方法及び撮影装置で用いられる支持部材
KR20160122585A (ko) 영상분석과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컨트롤러 모듈을 이용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컨트롤러 모듈을 이용한 치료부위 영상 분석 방법
KR20230053061A (ko) 객체인식을 활용한 장치 및 방법
WO20240424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and analyzing skin condition
WO2019220439A1 (en) High intensity light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