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002A -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002A
KR20130057002A KR1020110122697A KR20110122697A KR20130057002A KR 20130057002 A KR20130057002 A KR 20130057002A KR 1020110122697 A KR1020110122697 A KR 1020110122697A KR 20110122697 A KR20110122697 A KR 20110122697A KR 20130057002 A KR20130057002 A KR 20130057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flow body
water supply
supply pipe
wet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069B1 (ko
Inventor
이동언
Original Assignee
아인텍(주)
이동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인텍(주), 이동언 filed Critical 아인텍(주)
Priority to KR102011012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0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부에서 건조공정 중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어진 습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몸체의 상측에 연통된 물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냄새입자가 포집되어 유입몸체의 하측에 설치된 배수구로 흐르면서 바로 하수정화시설로 배수됨과 아울러 배수되지 못하는 습증기는 배기 연결관에 설치되어진 배기팬에 의해 강제배출되도록 하여 탈취공정 중 물이 수용되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도 탈취공정을 수행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는 습증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몸체(100)와; 상기 제1유입몸체(100)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입몸체(100) 쪽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제1물공급관(200)과; 상기 제1유입몸체(100)의 타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물공급관(20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를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수구(110)과; 상기 제1배수구(110)로 배출되지 않은 습증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1유입몸체(100)에 설치되어진 배기 연결관(102)과; 상기 배기 연결관(102)에 설치되어 습증기를 강제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Deodorization device of food treater}
본 발명은 건조부에서 건조공정 중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어진 습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몸체의 상측에 연통된 물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냄새입자가 포집되어 유입몸체의 하측에 설치된 배수구로 흐르면서 바로 하수정화시설로 배수됨과 아울러 배수되지 못하는 습증기는 배기 연결관에 설치되어진 배기팬에 의해 강제배출되도록 하여 탈취공정 중 물이 수용되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도 탈취공정을 수행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부피가 크고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를 동반하고 있어 처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위해 통상 음식물 쓰레기 저장용기나 쓰레기봉투에 일정 기간 동안 모아서 배출해야만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등으로 인해 심한 악취 발생 및 세균의 온상이 되고 있어 청결해야 할 주방 등이 오염되고, 자원 재활용이 되지 않는 폐기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소하고자, 음식물을 건조하여 처리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출원번호; 10-2011-0016136)된 것으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장치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A)는, 음식물 처리기를 이루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0),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파쇄부(20),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키는 탈수부(30) 및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의 후단에 배치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배치되는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A)는 크게 가습조(50) 및 수조(6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가습조(50)는, 유입구(51), 무화부(52) 및 배출구(53)로 이루어져, 건조부(40)와 연통된 배기팬(1)이 유입구(51)와 연통되어 있어, 배기팬(1)을 통해 건조부(40)에서 야기되는 냄새입자가 강제배기되면서 유입구(51)로 유입되고, 그 유입된 냄새입자는 무화부(52)에서 물을 무화시켜 발생되는 가습 입자에 포집되고, 냄새입자를 포집한 가습입자는 배출구(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배출구(53)에는 배출호스(53a)가 연통되되, 그 연통되는 배출호스(53a)는 코일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배출호스(53a)를 통과하는 가습입자가 냄새입자를 포집하여 액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액상으로 변화된 상태로 하수구(54)로 배출되게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냄새입자가 대기 중으로 방출하는 것을 최소화시키면서 악취를 제거하여 준다.
그리고 가습조(50)에는 무화를 시켜주기 위한 일환으로, 수조(60)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물의 공급량이 설정기준보다 많거나 적을 경우 무화부(52)의 무화 효율이 반감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장치 자체의 사용이 불가능한 폐해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가습조측 수위감지센서부(55)를 설치하여 가습조(50)에 수용되어 있는 수위가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제어단(도시하지 않음)에서 이를 인지하여 수조(60)와 가습조(50) 간의 연통로(2)에 설치된 연통용 전자밸브(3)가 폐쇄 또는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수조(60)는 가습조(50)와 연통로(2)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해주는 부재로, 통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량의 물이 수용되어 있다가 가습조(50)로 공급해주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수조(60)에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61)가 연통되어 있고, 물 공급 시 수조(60) 내부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유동구(62)가 형성되어 있고, 물공급구(61) 및 공기유동구(62)에는 각각 물공급용 전자밸브(61a) 및 공기유동용 전자밸브(62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60)에도 가습조(50)에 원활하게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수조측 수위감지센서부(63)를 설치하여 수조(60)에 수용되어 있는 수위가 기준치를 벗어날 경우 물공급용 전자밸브(61a) 및 공기유동용 전자밸브(62a)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냄새입자를 가습조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가습입자로 포집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입자에 미세한 가습입자를 혼합시켜 냄새입자를 액상화하여 하수구로 배출시킴으로써 악취를 감소시켜 주고, 가습조 및 수조에 물이 부족하거나 넘칠 경우 이를 인지하여 자동으로 물의 공급을 중단하거나 또는 공급하여 줌으로써, 악취 감소 효율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는 구성이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부(52)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무화부를 구동하기 위해 가습조(50)나 수조(60)에 수용되는 물의 수위가 기준치를 벗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가습조측 수위감지센서부(55), 연통용 전자밸브(3), 물공급용 전자밸브(61a), 공기유동용 전자밸브(62a) 및 수조측 수위감지센서부(63)를 구비해야 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알고리즘까지 프로그래밍되어야 하기 때문에 추가로 더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부에서 건조공정 중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어진 습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몸체의 상측에 연통된 물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냄새입자가 포집되어 유입몸체의 하측에 설치된 배수구로 흐르면서 바로 하수정화시설로 배수됨과 아울러 배수되지 못하는 습증기는 배기 연결관에 설치되어진 배기팬에 의해 강제배출되도록 하여 탈취공정 중 물이 수용되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도 탈취공정을 수행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는 습증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몸체와; 상기 제1유입몸체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입몸체 쪽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제1물공급관과; 상기 제1유입몸체의 타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물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를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수구와; 상기 제1배수구로 배출되지 않은 습증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1유입몸체에 설치되어진 배기 연결관과; 상기 배기 연결관에 설치되어 습증기를 강제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물공급관에는, 공급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시키는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유입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을 설치하되, 상기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통과하면서 상기 유입몸체로 유입되는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은 사선으로 기울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 연결관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입몸체로부터 잔존하는 냄새입자가 유입되는 제2유입몸체와; 상기 제2유입몸체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잔존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입몸체 쪽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제2물공급관과; 상기 제2유입몸체의 타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물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물공급관에는, 공급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시키는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
또한, 상기 제2유입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을 설치하되, 상기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 연결관으로 유입되는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은 사선으로 기울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부에서 건조공정 중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어진 습증기가 유입되는 유입몸체의 상측에 연통된 물 공급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냄새입자가 포집되어 유입몸체의 하측에 설치된 배수구로 흐르면서 바로 하수정화시설로 배수됨과 아울러 배수되지 못하는 습증기는 배기 연결관에 설치되어진 배기팬에 의해 강제배출되도록 하여 탈취공정 중 물이 수용되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도 탈취공정을 수행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공급관에 설치된 스프레이형 분사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냄새입자의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 몸체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집 증가용 배수판이 설치하되, 상기 포집 증가용 배수판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스프레이형 분사노즐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통과하면서 유입몸체로 유입되는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도록 하여 냄새입자의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장치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취장치가 장착된 음식물 처리기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탈취장치가 장착된 음식물 처리기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음식물 처리기를 이루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0),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키는 파쇄부(20),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키는 탈수부(30) 및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40)의 후단에 배치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배치되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는 크게 제1유입몸체(100), 제1물공급관(200), 제1배수구(110), 제2유입몸체(400), 제1물공급관(500), 제2배수구(41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유입몸체(100)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어진 습증기가 유입되는 부재로서, 측부에 연결된 연결관(101)을 통해 건조부(40)와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건조부(40)에서 건조공정 중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된 습증기가 연결관(101)을 통해 제1유입몸체(100)로 유입되어져 후술되는 제1물공급관(20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되어 제거될 수 있는 환경을 유도하여 준다.
상기 제1물공급관(200)은 제1유입몸체(100)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제1유입몸체(100) 쪽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부재로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유입몸체(100)의 상측에 연통되어 물을 분사시키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유입몸체(100)의 측면에 연통되어서 물을 분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물공급관(200)에는 공급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시키는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을 설치하여 그 설치된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을 통해 물이 방사상으로 분사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냄새입자의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켜 준다.
즉,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은 외부로부터 액체 공급라인을 통해 노즐 몸체의 내부로 액체가 공급되는 중에 별도의 공압 라인을 통해 노즐 몸체의 내부로 공기가 공급되어 액체가 공기와 함께 방사상으로 퍼지면서 미세하게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은 주지기술로서 여기서는 자세한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제1유입몸체(100)에 유입되는 냄새입자의 포집 효율을 더욱더 높이고자 제1유입몸체(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300)을 설치하되, 상기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300)는 복수의 배수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통과하면서 상기 유입몸체로 유입되는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도록 하느 것이다.
또한,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켜 주기 위해 제1유입몸체(100)에 설치되는 포집 증가용 제 1 배수판(300)은 사선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도록 즉, 제1물공급관(200)의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부딪히는 포집 증가용 제 1 배수판(300)의 표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배수판(300)은 복수개가 제1유입몸체(100)의 내측벽에 교호(交互) 배치되게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구(110)는 제1유입몸체(100)의 타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물공급관(20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가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는데 제1유입몸체(100)의 하부 측면에 연통되어진 제1배수구를 하수구(54)와 연통되어 있어, 하수정화시설로 배출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제1유입몸체(100)의 다른 측부에는 배기 연결관(102)의 일측이 연통되고, 배기 연결관(102)의 타측이 상기 제2유입몸체(400)로 연통된 구조를 갖아 제1유입몸체(100)에서 처리하지 못한 잔존하는 냄새입자가 유입되어 재차 탈취공정이 수행되어진다.
이때, 배기 연결관(102)에는 배기팬(103)이 구비되어, 제1유입몸체(100)에 존재하는 냄새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강제적으로 제2유입몸체(400) 쪽으로 유입될 수 있게 제공한다.
즉, 건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습증기가 내부에 가득 채워져 포화상태가 되면 더 이상 증발하지 않는 포화증기 상태가 되어 음식물의 건조효과가 저하되는데 습증기를 강제적으로 제1유입몸체(100) 및 제2유입몸체(200)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탈취제거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도, 제2물공급관(500)이 제2유입몸체(100)의 일측에 연통되어, 유입되는 잔존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제2유입몸체(400) 쪽으로 물을 분사시켜 주고, 제2배수구(410)가 제2유입몸체(400)의 타측에 연통되어, 제2물공급관(50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가 하수구(54)를 통해 하수정화시설로 배출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때, 제2물공급관(500)에도 공급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시키는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510)이 설치되어 지고, 제2유입몸체(4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600)을 설치하되, 상기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600)에는 복수의 배수공(61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510)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 연결관(102)으로 유입되는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도, 포집 효율을 극대화시켜 주기 위해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600)은 사선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가 제2유입몸체(100)의 내측벽에 교호(交互) 배치되는 구조, 하나가 제2유입몸체(100)의 내측을 폐쇄시키는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유입몸체(400)의 다른 측부에는 배기관(401)을 연통시켜 냄새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처럼, 건조부(40)에서 건조공정 중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제1유입몸체(100) 및 제2유입몸체(400)를 통해 유동되면서 각각 연통된 제1물공급관(200) 및 제2물공급관(50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바로 포집되고, 그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는 제1배수구(110) 및 제2배수구(410)로 흐르면서 바로 하수정화시설로 배수되기 때문에 탈취공정 중 물이 수용되는 현상이 없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도 탈취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는 투입부(1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부(20)에서 잘게 파쇄된다.
이후,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탈수부(30)로 이송되어 탈수되고,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부(40)로 이송되어 건조된다.
여기서, 건조공정 중 악취인 냄새입자가 발생되며, 그 발생된 냄새입자는 습증기 형태로 연결관(101)을 통해 제1유입몸체(100)로 유입된다.
이후, 유입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제1유입몸체(100)의 상측에 연통된 제1물공급관(200)의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에서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시킴으로써, 냄새입자를 포집한다.
이때, 제1유입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300)에 제1물공급관(200)의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부딪혀 분무 형태로 분사되는 물이 보다 오래 제1유입몸체(10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고,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문화되어 냄새입자의 포집 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배기 연결관(102)에 구비된 배기팬(103)에 의해 제1유입몸체(100)에 존재하는 냄새입자를 포함하는 습증기를 강제적으로 제2유입몸체(400) 쪽으로 유입되게 한다.
이후, 제2유입몸체(400)에서도 제2물공급관(500)의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510)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잔존하는 냄새입자가 포집되며 이후, 제2유입몸체(400)의 다른 측부를 통해 연통된 배기관(401)을 통해 냄새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방사상으로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는 제1배수구(110) 및 제2배수구(410)을 통해 하수구(54)로 배출됨으로써, 탈취공정을 완료한다.
1,103 : 배기팬 10 : 투입부
20 : 파쇄부 30 : 탈수부
40 : 건조부 50 : 가습조
51: 유입구 52: 무화부
53: 배출구 53a: 배출호스
54: 하수구 55: 가습조측 수위감지센서부
60: 수조 61: 물공급구
61a: 물공급용 전자밸브 62: 공기유동구
62a: 공기유동용 전자밸브 63: 수조측 수위감지센서부
100 : 제1유입몸체 101 : 연결관
102 : 배기 연결관 200 : 제 1물 공급관
210 :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 300 :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
310,610 : 배수공 400 : 제 2 유입몸체
401 : 배기관 500 : 제2물공급관
510 :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 600 :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
A :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Claims (8)

  1.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냄새입자가 포함되는 습증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몸체(100)와;
    상기 제1유입몸체(100)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입몸체(100) 쪽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제1물공급관(200)과;
    상기 제1유입몸체(100)의 타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물공급관(20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를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수구(110)와;
    상기 제1배수구(110)로 배출되지 않은 습증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1유입몸체(100)에 설치되어진 배기 연결관(102)과;
    상기 배기 연결관(102)에 설치되어 습증기를 강제배출되도록 하는 배기팬(1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공급관(200)에는, 공급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시키는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몸체(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300)을 설치하되, 상기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300)는 복수의 배수공(3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스프레이형 분사노즐(210)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통과하면서 상기 유입몸체로 유입되는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집 증가용 배수판(300)은 사선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연결관(102)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1유입몸체(100)로부터 잔존하는 냄새입자가 유입되는 제2유입몸체(400)와;
    상기 제2유입몸체(100)의 일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유입되는 잔존하는 냄새입자를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입몸체(400) 쪽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제2물공급관(500)과;
    상기 제2유입몸체(400)의 타측에 연통되는 것으로, 상기 제2물공급관(500)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포집된 냄새입자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수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물공급관(500)에는, 공급되는 물을 방사상으로 퍼지게 분사시키는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5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몸체(4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600)을 설치하되, 상기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600)에는 복수의 배수공(610)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프레이형 분사노즐(510)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물이 통과하면서 상기 배기 연결관(102)으로 유입되는 습증기와 혼합되어 분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집 증가용 배수판(600)은 사선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20110122697A 2011-11-23 2011-11-23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1296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97A KR101296069B1 (ko) 2011-11-23 2011-11-23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97A KR101296069B1 (ko) 2011-11-23 2011-11-23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002A true KR20130057002A (ko) 2013-05-31
KR101296069B1 KR101296069B1 (ko) 2013-08-12

Family

ID=4866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697A KR101296069B1 (ko) 2011-11-23 2011-11-23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08B1 (ko) * 2013-06-12 2014-12-11 박갑순 배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1661A (zh) * 2019-09-24 2020-01-21 邳州市铁富九龙公共服务有限公司 钢管喷漆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922Y1 (ko) * 1996-01-16 1999-01-15 정재옥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KR100236158B1 (ko) * 1997-08-01 1999-12-15 박문찬 세정식 공기 여과 방법 및 그 장치
KR101203799B1 (ko) * 2010-03-05 2012-11-22 천아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08B1 (ko) * 2013-06-12 2014-12-11 박갑순 배기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069B1 (ko) 201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7206B (zh) 衣服处置装置及其控制方法
CN107774107A (zh) 垃圾中转站恶臭净化系统
CN106824589A (zh) 一种自清洗防堵塞智能雾化除臭装置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101494696B1 (ko) 냄새 및 분진 제거장치
KR101296069B1 (ko)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CN207899833U (zh) 一种自清洁餐厨垃圾处理机
CN207237593U (zh) 一种用于膏药制膏过程的除烟除臭装置
KR10141736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07253791B (zh) 智能环保厕所用的污物分离干燥装置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1018369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냄새 제거 장치
CN211537200U (zh) 一种垃圾中转站除臭装置
JP2002177723A (ja) 木材乾燥排ガスのための処理装置
CN209322646U (zh) 一种污水喷雾除臭消毒系统
KR101440157B1 (ko) 이중투입구조 싱크볼 음식물 처리기용 복합 개수장치
CN211635824U (zh) 垃圾分拣用除臭装置
CN106914126A (zh) 一种生物除臭箱
CN208545231U (zh) 一种生活污水再利用用水器
CN105413419A (zh) 垃圾填埋场臭气处理装置
CN205235730U (zh) 垃圾填埋场臭气处理装置
KR101582846B1 (ko) 동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침출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1500557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CN206701535U (zh) 一种自清洗防堵塞智能雾化除臭装置
KR100515502B1 (ko) 수처리장의 세정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