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22Y1 -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922Y1
KR0134922Y1 KR2019960000722U KR19960000722U KR0134922Y1 KR 0134922 Y1 KR0134922 Y1 KR 0134922Y1 KR 2019960000722 U KR2019960000722 U KR 2019960000722U KR 19960000722 U KR19960000722 U KR 19960000722U KR 0134922 Y1 KR0134922 Y1 KR 0134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um
deodorizing
food waste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150U (ko
Inventor
정재옥
Original Assignee
정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옥 filed Critical 정재옥
Priority to KR2019960000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922Y1/ko
Publication of KR970049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1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분야.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주로 가정이나 업소등지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음식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임.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탈취드럼(4)의 내부 상측에는 대략 역삿갓형의 댐퍼(6)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배기관(16)을 관출하며, 하방으로는 오버플로우(10)와 1차드레인(11)과 최종드레인(12)을 순서적으로 각각 관출하고, 인접한 측방에는 약품드럼(13)과 펌프모터(7)를 설치하여 탈취드럼(4)과 연결하며, 펌프모터(7)의 선단에는 공급관(14)을 접속하여 냉각장치(8)와 연결하고, 냉각장치(8)에는 급수관(9)을 접속하여 탈취드럼(4)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5)과 상호 연결하며, 오버플로우(10)와 1차드레인(11) 및 최종드레인(12)은 배수구(18)와 동일 라인으로 연결하여 최종 배수될 수 있게 구성하고, 최종드레인(12)의 내측 상부에는 필터(15)를 착설한 것임.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용도.

Description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구성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인 정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취장치 2 : 처리장치
3 : 흡입관 4 : 탈취드럼
5 : 분사노즐 6 : 댐퍼
7 : 펌프모터 8 : 냉각장치
9 : 급수관 10 : 오버플로어
11 : 1차드레인 12 : 최종드레인
13 : 약품드럼 14 : 공급관
15 : 필터 16 : 배기관
17 : 연결관 18 : 배수구
본 고안은 주로 가정이나 업소등지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처리하는 과정에 있어서, 음식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음식쓰레기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의 업소나 일반 가정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음식물의 찌꺼기등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다수 안출되어 실용화되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는 쓰레기의 처리는 비교적 양호하게 이루어지나 처리 과정에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여 음식쓰레기의 효율적인 탈취를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경우는 음식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많은 종류의 음식쓰레기에 함유된 수분과 양념이 각각 상이하고, 또한 보관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이 되는 경우가 잦아서 이를 처리할 시 매우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있으나, 주로 이러한 악취의 제거는 행하지 않고 단순히 건조상태의 입자상으로 처리를 완료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심한 악취가 발생함에 따라 처리를 기피하는 현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주위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품을 투입하여 악취의 발생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역시 약품에 의해 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계속적인 약품의 투입으로 인해 비용이 과도히 소요되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비합리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통상의 음식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나오는 악취를 탈취장치측으로 자동 유도할 수 있게 구성하여 유입된 증기상의 악취를 강제 분사형식의 냉각수를 고압으로 분사하므로서 수증기가 수분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악취의 발생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하여 각종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와 연결하여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각종 음식쓰레기 탈취장치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로서, 통상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2)에서 발생하는 증기상의 악취를 유도할 수 있는 흡입관(3)을 연결한 탈취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대략 원기둥형으로 구성된 탈취드럼(drum:4)을 구성하여 이의 내부 상측에는 대략 역삿갓형의 댐퍼(damper:6)를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는 다시 배기관(16)을 관출한다.
그리고 이의 하방으로는 오버플로우(over flow:10)와 1차드레인(drain:11) 및 최종드레인(drain:12)을 순서적으로 각각 관출하고, 인접한 측방에는 약품드럼(drum:13)과 펌프모터(pump motor:7)를 설치하여 탈취드럼(drum:4)과 상호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펌프모터(pump motor:7)의 선단에는 공급관(14)을 접속하여 냉각장치(8)와 상호 연결하고, 상기한 냉각장치(8)는 급수관(9)을 접속하여 탈취드럼(drum:4)의 내측으로 접속하여 흡입관(3)의 선단 상부에 일치되도록 설치된 분사노즐(5)과 상호 연결하여 흡입관(3)측으로 흡입되는 수증기상의 악취를 급수관(9)을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의 스프레이 분사에 의해 액상으로 변화되게 구성한다.
또한 오버플로우(over flow:10)와 1차드레인(drain:11) 및 최종드레인(drain:12)은 배수구(18)와 동일한 라인으로 연결하여 최종 배수될 수 있게 구성하며, 최종드레인(drain:12)의 내측 상부에는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filter:15)를 착설하여 내부의 물을 정화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탈취드럼(drum:14)과 펌프모터(pump moter:7)를 상호 연결하여 내부의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연결관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작동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2)에서 쓰레기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양념이나 수분에 의해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을 작동함에 있어서는 먼저 전원을 공급하면 펌프모터(7)가 작동을 하게 되고, 이와 연동적으로 1차드레인(11)이 개방되어 내부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시간만큼 배수되고, 다음으로는 약품드럼(13)이 작동을 하여 내부에 저장된 박테리아의 일종인 오도다이제스터가 일정량 함유된 약품이 설정된 양만큼 탈취드럼(4)의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은 제어장치(도시생략)에 입력된 회로의 구성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작동할 수 있게 적의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시간이나 투입의 양은 쓰레기의 종류에 따라 가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탈취장치(1)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동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처리장치(2)의 작동으로 음식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고열로 인해 수증기상으로 변화되어 흡입관(3)을 통해 탈취드럼(4)측으로 흡입되는 바,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모터(7)가 작동을 하여 내부의 오도다이제스트가 함유된 물이 연결관(17)과 공급관(14)을 통해 냉각장치(8)를 경유하여 냉각된 상태에서 급수관(9)을 통해 분사노즐(5)측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강력한 스프레이 현상으로 분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냉각수가 스프레이 형식으로 강력하게 분사되면 흡입관(3)을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상의 악취는 냉각수와 희석이 되면서 액상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악취는 자연적으로 탈취가 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탈취드럼(4)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품드럼(13)내부에 동시에 투입되는 박테리아의 일종인 오도다이제스트에 의해 자연적으로 소멸이 되어 악취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음식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분사노즐(5)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된 댐퍼(6)에 의해 미탈취된 악취는 1차적으로 상부로의 이동을 차단하므로서 2중으로 탈취가 되는 것으로, 즉 이는 흡입관(3)을 통해 유입되는 수증기상의 악취는 고열로 공급되므로 분사노즐(5)에 의해 완전 탈취가 되지 않을 경우는 상부측에 설치된 배기관(16)측으로 곧바로 배기가 될 가능성이 있으나, 상기한 댐퍼(6)에 의해 일차적으로 차단이 되어 완전히 탈취가 완료되고 난 후 나머지의 배기가스는 상측의 배기관(16)으로 배기되어 완전 탈취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탈취드럼(4)의 내부에 저장된 물은 분사노즐(5)의 작동으로 항상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 바, 물의 유동에 따라 일정량 이상의 물이 유동될 경우에는 상측에 설치된 오버플로어(10)에 의해 내부의 물이 자동적으로 배출이 되어 내부에는 항상 일정수위 만큼의 물이 잔류하게 되어 탈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작동이 완료되어 탈취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후에는 1차드레인(11)을 개방하여 배수를 수행하고 특히 탈취드럼(4)의 내부 하측에는 필터(15)가 설치되어 처리장치(2)에서 수증기상의 악취와 동시에 공급된 먼지나 이물질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므로서 탈취드럼(4)의 내부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되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정확하게 탈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탈취가 완료되거나 장기간 사용을 하게 되어 탈취드럼(4)의 내부에 슬러지 등이 모여지게 되면 하부의 최종드레인(12)을 개방하여 내부의 물을 완전히 배수를 하므로서 탈취드럼(4)의 내부는 항상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중 고장의 발생률을 최소로 줄이므로서 탈취의 기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각각의 물을 배수할 경우는 오버플로어(10)와 1차드레인(11) 및 최종드레인(12)은 각각 배수구(18)와 동일한 선상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물을 배수할 경우 최종 방류되는 위치는 항상 배수구(18)측으로 모여지게 되어 배수구(18)의 설정위치에 따라 배수가 가능하여 환경의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상에 함유된 악취를 방지하는 수단을 기구적인 일련의 시스템에 의해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익을 일층 증대할뿐만 아니라 특히 악취를 제거하는 공정을 종전과 같이 약품에 의존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오도다이제스트를 사용하므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악취의 제거를 냉각수에 의해 강제 분사방식의 스프레이 분사를 행하므로서 잔류된 악취가 거의 없이 완벽한 탈취를 행할 수 있으므로 각종의 음식쓰레기 탈취장치로서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통상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2)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유도할 수 있게 흡입관(3)을 연결한 탈취장치(1)을 구성함에 있어서, 탈취드럼(drum:4)의 내부 상측에는 대략 역삿갓형의 댐퍼(damper:6)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배기관(16)을 관출하며, 하방으로는 오버플로우(over flow:10)와 1차드레인(drain:11)과 최종드레인(drain:12)을 순서적으로 관출하고, 인접한 측방에는 약품드럼(drum:13)과 펌프모터(pump moter:7)를 설치하여 탈취드럼(drum:4)과 연결하며, 펌프모터(pump moter:7)의 선단에는 공급관(14)을 접속하여 냉각장치(8)와 연결하고, 냉각장치(8)에는 급수관(9)을 접속하여 탈취드럼(drum:4)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분사노즐(5)과 상호 연결하므로서 흡입관(3)측으로 흡입되는 증기상의 악취를 냉각수의 스프레이 분사에 의해 액상으로 변화되게 구성하며, 오버플로우(over flow:10)와 1차드레인(drain:11) 및 최종드레인(drain:12)은 배수구(18)와 동일 라인으로 연결하여 최종 배수될 수 있게 구성하고, 최종드레인(drain:12)의 내측 상부에는 필터(filter:15)를 착설하여 내부의 물을 정화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KR2019960000722U 1996-01-16 1996-01-16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KR0134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722U KR0134922Y1 (ko) 1996-01-16 1996-01-16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722U KR0134922Y1 (ko) 1996-01-16 1996-01-16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150U KR970049150U (ko) 1997-08-12
KR0134922Y1 true KR0134922Y1 (ko) 1999-01-15

Family

ID=1944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722U KR0134922Y1 (ko) 1996-01-16 1996-01-16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9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069B1 (ko) * 2011-11-23 2013-08-12 이동언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069B1 (ko) * 2011-11-23 2013-08-12 이동언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150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2162077B1 (ko) 하폐수 및 분뇨처리장 악취 제거장치
KR0134922Y1 (ko) 음식쓰레기 탈취장치
KR102094708B1 (ko) 복합악취 제거 다기능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1018369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냄새 제거 장치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102221037B1 (ko) 악취 가스 내 악취 유발 성분 세정식 탈취기
KR102345774B1 (ko) 세정액 재이용 다단 탈취기
KR200255822Y1 (ko) 주방쓰레기의 탈수장치
KR101296069B1 (ko)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JP2003010632A (ja) 生ゴミ処理機における脱臭装置
KR10029850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572317B2 (ja) 排水処理装置
CN215463223U (zh) 一种蒸汽除臭箱
KR100344060B1 (ko) 천연중화탈취제를 이용한 스크러버형 건식 분사 탈취장치
KR19990005299U (ko) 활성부식질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021307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0175774B1 (ko) 대형 음식물처리기 탈취장치
KR102332563B1 (ko) 약품 분할 주입형 탈취기
KR1017834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
KR101299892B1 (ko) 음식물 처리기용 다단 탈취 필터장치
KR2005009748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581944B2 (ja) オゾンによる脱臭装置
KR20010054665A (ko) 음식물 발효기의 악취제거 장치
KR960004313Y1 (ko) 탈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