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599A -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599A
KR20130056599A KR1020110122282A KR20110122282A KR20130056599A KR 20130056599 A KR20130056599 A KR 20130056599A KR 1020110122282 A KR1020110122282 A KR 1020110122282A KR 20110122282 A KR20110122282 A KR 20110122282A KR 20130056599 A KR20130056599 A KR 2013005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chamber
sealing
insulation panel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375B1 (ko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동일자동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자동화(주) filed Critical 동일자동화(주)
Priority to KR102011012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3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단열패널에 대한 진공처리 및 실링처리를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는, 하나 이상의 메인진공라인이 연결되고,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밀폐테두리가 연장된 제1진공챔버;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밀폐테두리가 연장된 제2진공챔버;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진공단열패널의 외피재를 실링하는 실링유닛(sealing unit); 및 상기 제1 및 제2 진공챔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메인진공라인 측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을 가진 펌프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부에는 제1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진공챔버의 하부에는 제2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진공챔버가 상기 제1진공챔버 측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밀폐테두리가 상호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밀폐공간은 외부공간에 대해 밀폐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밀폐공간 내에는 상기 실링유닛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THE VACCUM INSULATION PANEL}
본 발명은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단열패널에 대한 진공처리 및 실링처리를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단열패널(Vaccum Insulation Panel, VIP)은 기밀성을 갖는 외피재 내에 심재를 넣은 후에, 내부를 진공상태로 처리한 단열성능이 극히 우수한 단열재로서, 진공단열패널은 기존 대비 단열성능이 5~10배 이상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진공단열패널은 고급 냉장고, 보온용기, 저온창고, LNG저장탱크 등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내구성과 시공성을 강화하여 고효율 건축용 단열재의 용도로 확대하여 사용되고 있다.
진공단열패널의 심재로는 연속 기포형 경질 폴리우레탄(PUR) 발포체, 연속 기포형 압출 성형 폴리스티렌 발포체, 실리카 겔, 유리 섬유, 중합체의 베드, 가압 분쇄형 경질 또는 반경질 PUR 발포체 또는 펄라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진공단열패널이 높은 단열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째 패널의 내부를 고진공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둘째 패널의 내부가 고진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패널의 형상유지를 위해서 내부에 들어가는 심재에서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셋째 외피재의 기밀성능이 우수하여 내부로 가스가 빨려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한편, 이러한 진공단열패널의 외피재 내로 심재를 넣은 후에 외피재의 개구를 기밀하게 실링(sealing)하기 위한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는 진공펌프, 유공압장비 등과 같은 주변 보조장비가 실링장치의 주변에 산개되어 있으므로 진공단열패널의 내부를 진공처리하기 위한 진공라인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고, 이에 진공도달시간이 오래 걸려 그 진공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진공단열패널의 진공화, 가압, 가열에 의한 실링작업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진공챔버 내에서 한 쌍의 진공단열패널을 동시에 진공 및 실링처리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진공효율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는,
하나 이상의 메인진공라인이 연결되고,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밀폐테두리가 연장된 제1진공챔버;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밀폐테두리가 연장된 제2진공챔버;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진공단열패널의 외피재를 실링하는 실링유닛(sealing unit); 및
상기 제1 및 제2 진공챔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메인진공라인 측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을 가진 펌프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부에는 제1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진공챔버의 하부에는 제2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진공챔버가 상기 제1진공챔버 측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밀폐테두리가 상호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밀폐공간은 외부공간에 대해 밀폐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밀폐공간 내에는 상기 실링유닛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진공챔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진공챔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진공챔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진공챔버의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스크류 및 상기 복수의 이송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 측에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동축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동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측으로부터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복수의 이송스크류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의 밸런싱실린더가 대칭적으로 설치되고, 각 밸런싱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제2진공챔버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룸 내에는 제1진공펌프 및 제2진공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진공라인 측에 상기 제1 및 제2 진공펌프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1진공펌프는 부스터펌프이고, 상기 제2진공펌프는 오일펌프이며, 상기 제2진공펌프의 배출 측에 오일 미스트 필터(oil mist filter)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진공챔버에는 하나 이상의 고진공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고진공라인에는 고진공펌프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진공라인의 도중에는 스위칭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칭밸브는 상기 메인진공라인과 상기 고진공라인 사이에서 진공흐름을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유닛은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압착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압착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중간 실링바, 상기 제1진공챔버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실링바, 및 상기 제2진공챔버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실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실링바, 상기 상부 실링바, 상기 하부 실링바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 각각에는 히터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부 압착플레이트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와 하부 압착플레이트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진공챔버 측에는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링바는 상기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진공챔버 측에는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실링바는 상기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는 복수의 조절나사에 의해 그 상하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사운동하는 제1나사부 및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사운동하는 제2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는 서로 반대되는 나선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조절나사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 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절나사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 측에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동축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전동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측으로부터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복수의 이송스크류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 및 각 지지플레이트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부 압착플레이트 및 하부 압착플레이트에 의해 한 쌍의 진공단열패널을 동시에 진공 및 실링처리함으로써 그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진공단열패널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처리하는 진공챔버 및 펌프룸을 통합형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진공라인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진공도달시간의 단축 및 진공효율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진공챔버는 메인프레임 측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스크류 및 복수의 밸런싱실린더에 의해 제2진공챔버의 상하 이동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B부분에 대한 단면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1 및 제2 진공챔버의 밀착 및 실링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화살표 E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의 메인프레임 상부에 위치한 이송유닛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는 서로에 대해 이격가능하게 밀착되어 내부에 밀폐공간(11a, 12a)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 사이의 밀폐공간(11a, 12a) 내에서 진공단열패널(90)의 외피재(91)의 개구(93)를 실링하는 실링유닛(20)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진공 및 실링처리되는 진공단열패널(90)은 외피재(91)의 개구(93)를 통해 심재(92)가 내장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피재(91)의 내부가 진공처리된 후에 외피재(91)의 개구(93, 도 3 참조)가 실링(S, 도 4 참조)처리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진공챔버(11)는 메인프레임(5)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1진공챔버(11)의 하측 내부에는 제1밀폐공간(11a)이 형성되며, 제1진공챔버(11)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밀폐테두리(11b)가 연장되고, 제1밀폐테두리(11b)는 하부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진공챔버(12)는 메인프레임(5)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진공챔버(12)는 제1진공챔버(11)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진공챔버(12)의 상측 내부에는 제2밀폐공간(12a)이 형성되고, 제2진공챔버(12)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밀폐테두리(12b)가 연장되며, 제2밀폐테두리(12b)는 상부방향으로 돌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진공챔버(12)가 제1진공챔버(11)측으로 하향으로 이동하여 제2진공챔버(12)의 제2밀폐테두리(12b)가 제1진공챔버(11)의 제1밀폐테두리(11b) 측에 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은 외부에 대해 밀폐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진공챔버(11)에는 제1밀폐공간(11a)과 소통하는 메인진공라인(30, main vaccum line)이 연결되고, 메인진공라인(30)의 흡입구(30a)는 서로 밀착된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과 소통하도록 구성된다. 메인진공라인(30)은 제1진공챔버(11)의 하측에 배치되고, 메인진공라인(30)에는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31, 32)가 연결되며, 진공펌프(31, 32)는 펌프룸(33) 측에 배치된다. 펌프룸(33)은 메인프레임(5)의 좌우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이에 펌프룸(33)은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측에 통합형으로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메인진공라인(30)의 길이를 대폭 감축하며, 이를 통해 진공도달시간의 단축 및 진공효율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31, 32)는 제1진공펌프(31) 및 제2진공펌프(32)로 구성되고, 제1진공펌프(31)와 제2진공펌프(32)는 메인진공라인(30)에 직렬로 연결된다. 특히, 제1진공펌프(31)는 부스터 진공펌프로 이루어지고, 제2진공펌프(32)는 오일식 진공펌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공펌프(32)의 배출 측에는 오일 미스트 필터(35)가 연결되고, 이러한 오일 미스트 필터(35)에 의해 제2진공펌프(32)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필터링된 후에 제2진공펌프(32) 측으로 재순환될 수 있다.
이에,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가 서로 밀착됨에 따라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진공펌프(31, 32)의 작동에 의해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에서 메인진공라인(3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단열패널(90)의 내부를 진공처리한다.
또한, 제1진공챔버(11)에는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의 진공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고진공라인(34)이 연결되고, 고진공라인(34)의 흡입구(34a)는 서로 밀착된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과 소통하도록 구성된다. 고진공라인(34) 및 고진공펌프(35)는 제1진공챔버(11)의 하측에 위치하고, 고진공라인(34)에는 고진공펌프(35)가 설치되며, 고진공펌프(35)는 오일 확산펌프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에 대한 고진공도를 대폭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메인진공라인(30)의 도중에는 스위칭밸브(36)가 설치되고, 스위칭밸브(36)는 메인진공라인(30)과 고진공라인(34) 사이에서 진공흐름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즉, 스위칭밸브(36)가 개방작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 진공펌프(31, 32)에 의해 메인진공라인(30)을 통해 진공 흡입작동이 이루어지고, 스위칭밸브(36)가 폐쇄작동하는 경우, 고진공펌프(35)에 의해 고진공라인(34)을 통해 진공 흡입작동이 이루어진다.
제2진공챔버(12)는 메인프레임(5)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유닛(15)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유닛(15)은 제2진공챔버(12)의 상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이송스크류(16) 및 복수의 이송스크류(16)를 구동시키는 구동메커니즘(17a, 17b, 17c)을 포함한다.
각 이송스크류(16)의 이송나사(16a)의 단부가 제2진공챔버(12)의 상측에 연결되고, 복수의 이송스크류(16)의 이송작동에 의해 제2진공챔버(1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메커니즘(17a, 17b, 17c)은 구동모터(17a) 및 구동모터(17a) 측에 복수의 기어박스(17b)를통해 대칭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동축(17c)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전동축(17c)은 구동모터(17a)의 출력 측으로부터 복수의 기어박스(17b)를 매개로 복수의 이송스크류(16) 측에 연결되며, 이에 구동모터(17a)의 구동력이 복수의 기어박스(17b) 및 복수의 전동축(17c)을 통해 복수의 이송스크류(16)측으로 전달되어 복수의 이송스크류(16)가 회전함에 따라 메인프레임(5)의 상부에서 제2진공챔버(12)를 대칭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메인프레임(5)의 상부에는 복수의 밸런싱실린더(18)가 대칭적으로 설치되고, 각 밸런싱실린더(18)의 로드(18a)가 제2진공챔버(12)의 상측에 연결되며, 복수의 밸런싱실린더(18)는 이송유닛(15)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제2진공챔버(12)의 전체적인 균형을 적절히 맞춰주도록 작동한다.
또한, 제2진공챔버(12)의 좌우 양측에는 복수의 가이드롤러(41)가 각각 설치되고, 메인프레임(5)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판(45)이 각각 설치된다. 이에 제2진공챔버(12)는 그 상하이동이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실링유닛(20, sealing unit)은 서로 밀착된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 내에 위치하여 진공단열패널(90)의 외피재(91)의 일측 개구를 실링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실링유닛(20)은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21, 22), 지지플레이트(21, 2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압착플레이트(23), 지지플레이트(21, 22)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압착플레이트(24), 지지플레이트(21, 22)의 일측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중간 실링바(40), 제1진공챔버(11)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실링바(41), 및 제2진공챔버(12)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실링바(42)를 가진다.
지지플레이트(21, 22), 상부 압착플레이트(23), 하부 압착플레이트(24)는 진공단열패널(90)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중간 실링바(41, 42), 상부 실링바(43), 하부 실링바(44)는 진공단열패널(90)의 외피재(91)의 개구를 덮을 수 있는 길이 및 면적을 가진다.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21, 22)는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21, 22)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제1지지플레이트(21)와 상부 압착플레이트(23)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2지지플레이트(22)와 하부 압착플레이트(24)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21, 22)는 복수의 조절나사(27)에 의해 그 상하위치가 조절되고, 복수의 조절나사(27)는 제1진공챔버(11) 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각 조절나사(27)는 제1지지플레이트(21)에 대해 상대적인 나사운동하는 제1나사부(27a) 및 제2지지플레이트(22)에 대해 상대적인 나사운동하는 제2나사부(27b)를 가진다.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일측에는 제1조절너트(2792)가 구비되고, 제2지지플레이트(22)의 일측에는 제2조절너트(27d)가 구비된다. 조절나사(27)의 제1나사부(27a)는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제1조절너트(27c)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사운동함에 따라 제1지지플레이트(21)는 그 상하위치가 조절된다. 조절나사(27)의 제2나사부(27b)는 제2지지플레이트(22)의 제2조절너트(27d)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사운동함에 따라 제2지지플레이트(22)는 그 상하위치가 조절된다.
한편, 제1나사부(27a)와 제2나사부(27b)는 서로 반대되는 나선방향으로 가지고, 이에 조절나사(27)의 시계 또는 반시계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조절플레이트(21, 22)는 서로 이격 또는 근접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조절나사(27)는 구동메커니즘(28a, 28b, 28c)에 의해 구동하고, 구동메커니즘(28a, 28b, 28c)은 구동모터(28a) 및 구동모터(28a) 측에 복수의 기어박스(28b)를 통해 대칭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동축(28c)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전동축(28c)은 구동모터(28a)의 출력 측으로부터 복수의 기어박스(28b)를 매개로 복수의 조절나사(27)에 연결된다. 이에 구동모터(28a)의 구동력이 복수의 기어박스(28b) 및 복수의 전동축(28c)을 통해 복수의 조절나사(27) 측으로 동시에 전달되어 복수의 조절나사(27)가 회전하고, 복수의 조절나사(27)가 동시에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21, 22)는 그 상하위치가 적절히 조절된다.
상부 압착플레이트(23)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승강용 실린더(25)가 연결되고, 승강용 실린더(25)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상부 압착플레이트(23)가 상하이동한다. 승강용 실린더(25)는 제1진공챔버(11) 측에 설치되어 있고, 승강용 실린더(25)의 구동로드(25a) 단부가 상부 압착플레이트(23)의 가장자리 측에 고정된다. 이에, 상부 압착플레이트(23)는 승강용 실린더(25)에 의해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부 압착플레이트(24)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승강용 실린더(26)가 연결되고, 승강용 실린더(26)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하부 압착플레이트(24)가 상하이동한다. 승강용 실린더(26)는 제1진공챔버(11) 측에 설치되어 있고, 승강용 실린더(26)의 구동로드(26a) 단부가 하부 압착플레이트(24)의 가장자리 측에 고정된다. 이에, 하부 압착플레이트(23)는 승강용 실린더(26)에 의해 제2지지플레이트(22)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중간 실링바(40)는 제1진공챔버(11)의 상측에 브라켓(49)을 매개로 설치되고, 특히 중간 실링바(40)는 지지플레이트(21, 22)의 일측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부 실링바(43)는 제1진공챔버(11)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13)는 제1진공챔버(11)의 전방측 및 후방측 각각에 배치되고, 상부 실링바(43)는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13) 측에 연결되며,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13)에 의해 상부 실링바(4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실링바(44)는 제2진공챔버(12)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14)는 제2진공챔버(12)의 전방측 및 후방측 각각에 배치되고, 하부 실링바(44)는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14) 측에 연결되며,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14)에 의해 하부 실링바(4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중간 실링바(40), 제1실링바(43), 제2실링바(44)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 각각에는 히터(41, 42, 43a, 44a)가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간 실링바(40)의 상면에는 제1히터(41)가 구비되며, 중간 실링바(40)의 하면에는 제2히터(42)가 구비되고, 상부 실링바(43)의 하면에는 상측 히터(43a)가 구비되며, 하부 실링바(44)의 상면에는 하측 히터(44a)가 구비된다.
한편, 중간 실링바(40), 상부 실링바(43), 하부 실링바(44)는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전방측 및 후방측 각각에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진공단열패널(90)의 외피재(91)의 개구(93)가 전방 및 후방 측에 각각 형성된 경우에 외피재(91)의 각 개구(93)를 개별적으로 실링처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의 작동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제1지지플레이트(21)의 상면 및 하부 압착플레이트(24)의 상면 각각에 한 쌍의 진공단열패널(90)을 각기 올려 놓은 다음에, 도 4와 같이 제2진공챔버(12)가 제1진공챔버(11)측으로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제2진공챔버(12)의 제2밀폐테두리(12b)가 제1진공챔버(11)의 제1밀폐테두리(11b) 측에 밀착됨으로써 제1 및 제2 진공챔버(11, 12)의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은 외부에 대해 밀폐된다.
이런 상태에서, 제1 및 제2 진공펌프(31, 32)의 작동에 의해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에서 메인진공라인(3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단열패널(90)의 내부를 진공처리한다.
부가적으로, 보다 높은 진공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고진공펌프(35)를 작동시켜 고진공라인(34)을 통해 제1 및 제2 밀폐공간(11a, 12a) 내의 진공단열패널(90)의 내부를 고진공처리한다.
이렇게 진공처리된 진공단열패널(90)의 외피재(91) 개구를 실링유닛(20)에 의해 실링(91ealing)처리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21, 22)의 상하 위치를 복수의 조절나사(27)에 의해 적절히 조절한 후에, 상부 압착플레이트(23)를 하향 이동시켜 상측의 진공단열패널(90)을 제1지지플레이트(21)측으로 압착시키고, 하부 압착플레이트(24)를 상향 이동시켜 하측의 진공단열패널(90)을 제2지지플레이트(22)측으로 압착시킨다.
그런 다음, 상부 실링바(43)를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13)에 의해 하향 이동시켜 상부 실링바(43)의 상측 히터(43a)와 중간 실링바(40)의 제1히터(41) 사이에 상측 진공단열패널(90)의 외피재(91)의 개구(93)를 실링(S)처리한다.
이와 더불어 하부 실링바(44)를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14)에 의해 상향 이동시켜 하부 실링바(44)의 하측 히터(44a)와 중간 실링바(40)의 제2히터(42) 사이에 하측 진공단열패널(90)의 외피재(91)의 개구(93)를 실링(S)처리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단열패널(9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처리하는 진공챔버(11, 12) 및 펌프룸(33)을 통합형으로 일체화함으로써 진공라인(30)의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진공도달시간의 단축 및 진공효율의 향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진공챔버(12)는 메인프레임(5) 측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스크류(16) 및 복수의 밸런싱실린더(18)에 의해 제2진공챔버(12)의 상하 이동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1, 22) 및 각 지지플레이트(21, 22)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부 압착플레이트(23) 및 하부 압착플레이트(24)에 의해 한 쌍의 진공단열패널(90)을 동시에 진공 및 실링처리함으로써 그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5: 메인프레임 11: 제1진공챔버
12: 제2진고챔버 13: 제1실링용 실린더
14: 제2실링용 실린더 15: 이송유닛
16: 이송스크류 17a, 17b, 17c: 이송메커니즘
18: 밸런싱실린더 20: 실링유닛
21: 제1지지플레이트 22: 제2지지플레이트
23: 상부 압착플레이트 24: 하부 압착플레이트
30: 메인진공라인 31: 제1진공펌프
32: 제2진공펌프 33: 펌프룸
34: 고진공라인 35: 고진공펌프
36: 스위칭밸브 40: 중간실링바
41: 제1히터 42: 제2히터
43: 상부 실링바 43a: 상측 히터
44: 하부 실링바 44a: 하측 히터

Claims (9)

  1. 하나 이상의 메인진공라인이 연결되고,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밀폐테두리가 연장된 제1진공챔버;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제2밀폐테두리가 연장된 제2진공챔버;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측에 설치되어 진공단열패널의 외피재를 실링하는 실링유닛(sealing unit); 및
    상기 제1 및 제2 진공챔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메인진공라인 측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펌프을 가진 펌프룸;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진공챔버의 상부에는 제1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진공챔버의 하부에는 제2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진공챔버가 상기 제1진공챔버 측으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밀폐테두리가 상호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밀폐공간은 외부공간에 대해 밀폐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밀폐공간 내에는 상기 실링유닛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챔버는 메인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진공챔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진공챔버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진공챔버의 상측에 설치된 복수의 이송스크류 및 상기 복수의 이송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구동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메커니즘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 측에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동축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동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측으로부터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복수의 이송스크류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는 복수의 밸런싱실린더가 대칭적으로 설치되고, 각 밸런싱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제2진공챔버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룸 내에는 제1진공펌프 및 제2진공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진공라인 측에 상기 제1 및 제2 진공펌프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제1진공펌프는 부스터형 진공펌프이고, 상기 제2진공펌프는 오일식 진공펌프이며, 상기 제2진공펌프의 배출 측에 오일 미스트 필터(oil mist filter)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챔버에는 하나 이상의 고진공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고진공라인에는 고진공펌프가 연결되며, 상기 메인진공라인의 도중에는 스위칭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칭밸브는 상기 메인진공라인과 상기 고진공라인 사이에서 진공흐름을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유닛은 하나 이상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압착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압착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중간 실링바, 상기 제1진공챔버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실링바, 및 상기 제2진공챔버 측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부 실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실링바, 상기 상부 실링바, 상기 하부 실링바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 각각에는 히터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와 상부 압착플레이트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와 하부 압착플레이트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진공챔버 측에는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링바는 상기 복수의 제1실링용 실린더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진공챔버 측에는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2실링바는 상기 복수의 제2실링용 실린더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는 복수의 조절나사에 의해 그 상하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조절나사는 상기 제1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사운동하는 제1나사부 및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나사운동하는 제2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나사부는 서로 반대되는 나선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절나사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플레이트 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조절나사는 구동메커니즘에 의해 구동하며,
    상기 구동메커니즘은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 측에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동축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전동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 측으로부터 복수의 기어박스를 매개로 복수의 이송스크류 측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KR1020110122282A 2011-11-22 2011-11-22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KR10134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282A KR101340375B1 (ko) 2011-11-22 2011-11-22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282A KR101340375B1 (ko) 2011-11-22 2011-11-22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599A true KR20130056599A (ko) 2013-05-30
KR101340375B1 KR101340375B1 (ko) 2013-12-11

Family

ID=4866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282A KR101340375B1 (ko) 2011-11-22 2011-11-22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6280A (zh) * 2016-12-29 2017-05-24 安徽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封口机的封口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814B1 (ko) 2016-11-30 2017-06-28 (주)브이아이테크 복층 진공단열재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8339B2 (ja) * 1992-09-21 1999-1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ポンプ
JPH0868592A (ja) * 1994-08-29 1996-03-12 Toshiba Corp 真空断熱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472555B1 (ko) * 1997-12-31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시스템의 진공압 형성 방법
KR100960903B1 (ko) * 2009-12-14 2010-06-04 엔알티 주식회사 진공판넬단열재의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6280A (zh) * 2016-12-29 2017-05-24 安徽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封口机的封口箱
CN106696280B (zh) * 2016-12-29 2023-08-29 安徽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真空封口机的封口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375B1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9884B2 (en) Multi-level laminating press
CN105275777A (zh) 可携式打气机设备组
CN101776063B (zh) 大型高真空抽气机组
CN102959172B (zh) 装配具有三个互相平行玻璃板的中空玻璃窗格的方法
KR101340375B1 (ko) 진공단열패널 가공장치
WO2020082493A1 (zh) 多模具热弯成型设备
CN105317666B (zh) 气动隔膜泵
CN115101615B (zh) 封闭式光伏组件层压机、层压设备及层压方法
CN203237431U (zh) 批量生产真空制品的抽气系统
CN202727329U (zh) 真空压力成型机
CN216377958U (zh) 玻璃预排气装置
CN215169339U (zh) 真空玻璃生产线
CN211762988U (zh) 一种泡沫塑料板材生产用成型装置
CN210642789U (zh) 一种生产效率高的鞋面热压成型设备
CN109129838B (zh) 一种建材板压板装置
CN113898564A (zh) 一种隔膜真空泵
CN109318499B (zh) 一种建筑板材压制工艺
CN210298395U (zh) 一种快速散热专用变频控制柜
KR101326861B1 (ko) 기판 처리에 이용되는 게이트 개폐 장치
CN113202384B (zh) 一种全钢化真空玻璃生产用排气装置及其实施方法
CN220008785U (zh) 一种具有节能效果的吸塑成型装置
CN113880460B (zh) 真空玻璃封边抽真空封口一体化加热炉和连续生产线
CN219972167U (zh) 一种中空玻璃加工用抽真空设备
CN220482352U (zh) 一种真空高温压机
CN111441972B (zh) 一种具有防护机构的通风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