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725A -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5725A
KR20130055725A KR1020110121293A KR20110121293A KR20130055725A KR 20130055725 A KR20130055725 A KR 20130055725A KR 1020110121293 A KR1020110121293 A KR 1020110121293A KR 20110121293 A KR20110121293 A KR 20110121293A KR 20130055725 A KR20130055725 A KR 20130055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isplay area
information
dimensio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홍종철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5725A/ko
Publication of KR2013005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력 대상 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출력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컨버팅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출력 대상 정보가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대응하여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된 차량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한 출력방식을 처리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전방에는 차속이나 엔진 회전수 등의 차량운행상황과 연료량, 냉각수 온도 등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계기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계기판은 운전석의 인스트루먼트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계기판은 자동차의 주행 상태와 장치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정비 및 점검을 예고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자동차에는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이용한 디지털 방식의 계기판을 탑재하고, 주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3차원 영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주간/야간의 시야성을 높여주고 있다.
한편, 상기 계기판은 일반 정보 외 차량에 구비된 각종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나 과속단속 등 차량안전운행 정보 등 부가적인 정보들의 출력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개번호 제10-2009-0129018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같은 3차원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계기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일반 정보와 각종 부가정보들이 전체 화면 상에 3차원 영상으로 일방적으로 출력됨에 따른 거부감을 느끼거나 안전 운전 상의 방해를 호소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계기판 등 차량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출력되는 각종 정보들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서,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나 성상, 또는 크기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공하는 동시에 안전 운전 효율을 높이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는, 출력 대상 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출력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컨버팅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출력 대상 정보가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출력 대상 정보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되,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별로 구분하고, 각 조건별로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메모리 상에 기 저장된 각각의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확인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또는 성상이 위험 또는 경고 또는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 영역 중 2/3이상 영역으로 출력되는 크기인 경우,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는, 전류량에 따라 밝기 조절이 가능한 백라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처리부 또는 콘트롤러는,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 조절을 통해 2차원 및 3차원 간 변환에 따른 휘도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앞 또는 뒷면에 위치하며, 투과부와 차단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스위칭 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위칭 패널에 구성된 차단부의 활성 및 비활성 조정을 통해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콘트롤러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과 렌티큘러 렌즈 방식과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 방식과 VHOE(Volume HOE) 방식과 직접영상 방식과 홀로그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3차원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곡면부를 통해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리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변위각을 통해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는, 상기 출력 대상 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각종 ECU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각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출력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ECU연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력 대상 정보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과속단속 정보와 차량안전운행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부가정보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용되는 영상정보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ECU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상태 경고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의 각각의 구성부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의 각각의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되는 각종 정보들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보다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공할 수 있어, 계기판 전면 3차원 영상 출력에 따른 운전자의 거부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출력영역의 위치와 출력방식의 시각적 차이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에 대한 상태나 위험상황을 보다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운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의 구성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의 또 다른 구성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대응하여 출력방식을 가변하는 실시사례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차량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출력되는 각종 정보들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가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해주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구성요소만 도시하였으며, 본 도면상에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의 구성은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의 주요 기능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구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120)와, 스위칭 패널(130)과, 통신부(140)와, ECU연동부(150)와, 저장부(160)와, 메모리(170)와, 판단부(180)와, 처리부(190)와, 콘트롤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상기 각 구성부는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출력 대상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방식 등 모든 디스플레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대상 정보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과속단속 정보와 차량안전운행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부가정보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용되는 영상정보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ECU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상태 경고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구분된 정보 출력을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따라 중앙부와 좌/우 측면부를 통해 각각 분리하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하여,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각각 분리/구분되어 지며, 패널 전체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면서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을 분리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변위각을 통해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을 분리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전체 평면 영역을 임의로 3등분 하여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은 물리적으로 각각 별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분리되거나, 하나의 단일 디스플레이 패널(110) 내에서 임의의 경계를 설정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 따른 백라이트(12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빛을 발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류량에 따라 밝기 조절이 가능하여, 콘트롤러(200)를 통해 3차원/2차원 간 출력방식 변환에 따른 휘도 차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 따른 스위칭 패널(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해 출력되는 각종 정보가 2차원 내지 3차원 중 어느 하나의 차원으로 출력되도록 조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패널(130)은 3차원 출력방식-패럴랙스 방식과, 렌티큘러 렌즈 방식과,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방식과, VHOE(Volume HOE) 방식과, Volumetric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의 일종인 직접영상 방식 및 홀로그램 방식, 기타 3차원 출력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참조로, 패럴랙스 방식의 경우,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부와 차단부가 교대로 배열된 배리어를 두고 운전자의 양쪽 눈이 보는 각도에 따라 반대쪽(즉, 왼쪽 눈에는 우안 영상을, 오른쪽 눈에는 좌안 영상을) 영상을 각각 차단해 주는 방식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 배리어 방식 외 액정 기술을 이용하여 스위칭이 가능한 능동형 배리어를 활용하여 2차원 및 3차원모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 방식은 좌/우안 영상의 분리를 특수한 형태의 렌즈를 통해서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렌즈에 능동형 액정 렌즈를 이용하여 2차원 및 3차원모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HOE 방식은 홀로그래픽 광학소자를 이용하여 빛의 정보(amplitude, phase)를 변화시켜 원하는 빛의 형태로 출력을 하는 것이며, 빛의 진행향방을 바꾸는 회절격자가 기록된 광학 필터 형태로 제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 앞에서 장착하고, 투과한 빛은 특정 위치에서 시청 시 좌안과 우안에 들어오는 이미지를 분리하여 주는 방식이며, VHOE(Volume HOE) 방식은 체적 홀로그램의 다중화 기록 특성을 이용하여 필요한 시점의 개수 만큼의 회절격자를 체적 홀로그램에 다중 기록하여 VHOE 광학판을 구현한 후, 고속의 평판 디스플레이 소자에 입력된 다시점 영상들을 다중화된 회절격자의 기준 빔과 동기를 맞추어 시분할 적으로 입사시킴으로서 다시점의 입체 영상을 공간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또한, 집적영상 방식은 차량에 구비된 여러 대의 카메라를 통한 픽업 과정을 통해 3차원 물체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서로 다른 영상들을 렌즈 어레이를 이용하여 기초 영상 형태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이들 기초 영상을 렌즈 어레이를 통하여 원래의 광파로서 재생하는 방식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패널(130)은 패럴랙스 방식과, 렌티큘러 렌즈 방식과,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방식과, VHOE(Volume HOE) 방식과, 직접영상 방식 등을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죄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에 각종 정보를 출력시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패널(13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120) 중간에 삽입되거나, 또는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앞단에 위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 패널(130)은,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방식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120) 중간에 삽입된 것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앞단에 위치하는 것 2개로 구성 가능하여, 야간 운행중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백라이트(120) 중간에 삽입된 스위칭 패널(130)을 활성화 시키고, 주간 운행 중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앞단에 위치한 스위칭 패널(130)을 활성화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죄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에 각종 정보를 출력시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패널(130)은 깊이(Depth)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황에 따른 3차원/2차원 변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통신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 중 외부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해 출력시킬 정보의 요청을 외부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통신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각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출력되는 정보 중 과속단속 등을 포함하는 차량안전운행 정보 등 각종 부가적인 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ECU연동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각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출력되는 정보 중 차량에 구비된 각종 ECU를 통해 차량상태 위험/경고상황 정보 등을 수집하고,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정보 등을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저장부(160)는, 상기 출력 대상 정보를 메모리(170) 상에 저장하되,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별로 구분하고, 각 조건별로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식에 따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내지 상기 ECU연동부(150)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메모리(170) 저장과정 없이 실시간으로 출력시키는 경우, 상기 저장부(160)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메모리(170)는, 상기 저장부(160)를 통해 저장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이 외 상기 차량의 운행 및 관리에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나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판단부(180)는,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판단부(180)는 저장부(160)를 통해 상기 메모리(170) 상에 기 저장된 각각의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확인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판단하거나, 또는 기 정해진 정책-정보의 종류별, 성상별, 크기별 출력방식 정책-에 따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내지 상기 ECU연동부(150)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에 대한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출력방식을 실시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180)를 통한 판단 사례를 살펴보면,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또는 성상이 위험 또는 경고 또는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를 합한 영역 중 2/3 이상 영역으로 출력되는 크기인 경우,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처리부(190)는, 상기 판단부(180)의 판단결과에 따라, 메모리(170)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부(140) 내지 ECU연동부(150)를 통해 실시간 수신 또는 수집된 정보가 콘트롤러(200)를 통해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190)는 콘트롤러(200)로 출력 대상 정보와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영역 및 출력방식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콘트롤러(200)가 주어진 출력영역 및 출력방식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를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른 콘트롤러(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컨버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처리부(190)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영역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이 3차원인지 2차원인지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 패널(130)을 조정하여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3차원 또는 2차원으로 가변화 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방식에 따라 스위칭 패널(130)이 투과부와 차단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방식인 경우, 상기 콘트롤러(200)는 2차원으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앞 또는 뒷단에 위치하는 스위칭 패널(130)의 차단부를 비활성화 시키고, 3차원으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영역 앞 또는 뒷단에 위치하는 스위칭 패널(130)의 차단부를 활성화 시킴으로서,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트롤러(200)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과 렌티큘러 렌즈 방식과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 방식과 VHOE(Volume HOE) 방식과 직접영상 방식과 홀로그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190)와 콘트롤러(200) 중 하나는, 상기 백라이트(120)의 밝기 조절을 통해 2차원 및 3차원 간 변환에 따른 휘도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의 구성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도면 2는 백라이트(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스위칭 패널(130)의 구성사례 중 하나로서, 백라이트(120)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스위칭 패널(130)이 각각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각각 구분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도면 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앞단에 위치하는 스위칭 패널(130)을 각각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각각 구분 또는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면 2 내지 도면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트롤러(200)를 통한 스위칭 패널(130)의 중앙부, 좌/우측부로 각각 구분되는 차단부 조정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출력되는 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를 통해 각종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각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출력되는 정보 중 과속단속 등을 포함하는 차량안전운행 정보 등 각종 부가적인 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ECU연동부(15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의 각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으로 출력되는 정보 중 차량에 구비된 각종 ECU를 통해 차량상태 위험/경고상황 정보 등을 수집하고, 차량에 설치된 복수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정보 등을 수집한다(S410).
이후,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는 도면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방식 중 하나에 따라, 저장부(160)를 통해 상기 출력 대상 정보를 메모리(170) 상에 저장하되,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별로 구분하고, 각 조건별로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후, 통신부(140)와 ECU연동부(150) 등을 통해 수신 및 수집된 정보 또는 메모리(170) 상에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출력해야 하는 경우(S420),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는 판단부(180)를 통해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한다(S430).
여기서, 상기 판단부(180)를 통한 출력방식의 판단은, 저장부(160)를 통해 상기 메모리(170) 상에 기 저장된 각각의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확인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판단하거나, 또는 기 정해진 정책-정보의 종류별, 성상별, 크기별 출력방식 정책-에 따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내지 상기 ECU연동부(150)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에 대한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출력방식을 실시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정보처리 장치(100)는 처리부(190)를 통해 상기 판단부(180)의 판단결과에 따라, 메모리(170)에 기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부(140) 내지 ECU연동부(150)를 통해 실시간 수신 또는 수집된 정보가 콘트롤러(200)를 통해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440).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S440)과정은,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는 콘트롤러(200)를 통해 상기 출력 대상 정보가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위칭 패널(130)을 조정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과속에 따른 경고 정보를 출력시키는 경우, 출력방식이 3차원임을 판단한 후, 정보처리 장치(100)는 콘트롤러(200)를 통해 차단부가 모두 비활성화된 스위칭 패널(130)의 전체 영역 중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에 해당하는 영역의 차단부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과속에 따른 경고 정보가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에 3차원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를 통해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 대응하여 출력방식을 가변하는 실시사례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 5는 상기 도면 4의 (S430)과정에 대한 실시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100)가 판단부(180)를 통해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하는 경우(S430),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나 성상 또는 크기를 확인한다(S510).
상기 (S510)과정을 통한 확인결과, 상기 출력 대상 정보가 위험/경고/위급상황 정보인 경우(S520), 상기 정보처리 장치(100)의 판단부(180)는,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한 후, 상기 처리부(190)와 콘트롤러(200)를 통해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출력방식에 부합되도록 상기 출력대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530).
만약, 상기 출력 대상 정보가 위험/경고/위급상황 정보가 아닌 경우(S540), 상기 정보처리 장치(100)의 판단부(180)는, 출력 대상 정보의 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 영역 중 2/3 이상의 영역에 걸쳐 출력되는 크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출력 대상 정보의 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 영역 중 2/3 이상의 영역에 걸쳐 출력되는 크기인 경우(S550),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한 후, 상기 처리부(190)와 콘트롤러(200)를 통해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출력방식에 부합되도록 상기 출력대상 정보가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560).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일실시예도 이다.
도면 6은 ECU연동부(160)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타이어의 공기압 부족 정보인 경우, 해당 정보가 위험정보임을 판단하여, 3차원으로 출력시켜 주는 일실시예도 이다.
도면 7은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한 교통위험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정보의 종류가 위험상황 정보임을 확인함으로써, 정보 출력시,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 상에 3차원으로 출력시켜 주는 일실시예도 이다.
도면 8은 ECU연동부(150)를 통해 후방 카메라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정보의 종류가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이고, 해당 카메라의 위치가 후방 카메라인 것을 확인하고, 정보의 크기가 전체 화면 크기 중 2/3을 초과하는 크기임을 확인함으로써, 정보 출력시,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110a)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b)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110c) 전체에 걸쳐 3차원으로 출력시켜 주는 일실시예도 이다.
100 :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백라이트 130 : 스위칭 패널
140 : 통신부 150 : ECU연동부
160 : 저장부 170 : 메모리
180 : 판단부 190 : 처리부
200 : 콘트롤러

Claims (13)

  1. 출력 대상 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출력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분리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컨버팅하는 콘트롤러;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출력되는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여,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대응하여,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상기 출력 대상 정보가 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상 정보를 메모리 상에 저장하되,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성상, 크기 중 하나 이상의 조건별로 구분하고, 각 조건별로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 방식-2차원 출력방식과 3차원 출력 방식 중 하나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메모리 상에 기 저장된 각각의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확인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출력방식을 판단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종류 또는 성상이 위험 또는 경고 또는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하는,
    정보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출력 대상 정보의 크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 영역 중 2/3이상 영역으로 출력되는 크기인 경우, 출력방식을 3차원 방식으로 판단하는,
    정보처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전류량에 따라 밝기 조절이 가능한 백라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처리부 또는 콘트롤러는,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 조절을 통해 2차원 및 3차원 간 변환에 따른 휘도 차이를 조정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앞 또는 뒷면에 위치하며, 투과부와 차단부가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스위칭 패널을 더 구비하며,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스위칭 패널에 구성된 차단부의 활성 및 비활성 조정을 통해 상기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표시되는 정보의 출력방식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제각기 분리하여 출력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패널은,
    깊이(Depth)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과 렌티큘러 렌즈 방식과 HOE(Holographic Optical Element) 방식과 VHOE(Volume HOE) 방식과 직접영상 방식과 홀로그램 방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3차원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곡면부를 통해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리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변위각을 통해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리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상 정보를 통신망 상의 서버 또는 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된 각종 ECU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의 각각의 중앙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우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과 좌측면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출력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ECU연동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대상 정보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과속단속 정보와 차량안전운행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부가정보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용되는 영상정보와 상기 차량에 구비된 ECU를 통해 수집되는 차량상태 경고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 구성부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121293A 2011-11-20 2011-11-20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30055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93A KR20130055725A (ko) 2011-11-20 2011-11-20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293A KR20130055725A (ko) 2011-11-20 2011-11-20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725A true KR20130055725A (ko) 2013-05-29

Family

ID=48664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293A KR20130055725A (ko) 2011-11-20 2011-11-20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57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1626A1 (zh) * 2013-12-06 2015-06-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ed 升压转换器及应用其的背光源led驱动装置
US9489898B2 (en) 2013-12-06 2016-11-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ED boost converter and backlight LED driver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1626A1 (zh) * 2013-12-06 2015-06-1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Led 升压转换器及应用其的背光源led驱动装置
GB2535100A (en) * 2013-12-06 2016-08-10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 LED boost converter and backlight LED driving device applying same
US9489898B2 (en) 2013-12-06 2016-11-08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ED boost converter and backlight LED driver device using the same
GB2535100B (en) * 2013-12-06 2020-11-1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 LED boost converter and backlight LED driver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17834B (zh) 仪表3d显示系统
JP6717856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217792B (zh) 用于机动车辆的人机接口
JP6304628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CN112074774A (zh) 平视显示器上的提高的增强现实体验
CN104827967A (zh) 平视显示设备
JP2016147652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及び車両用表示ユニット
CN103650015A (zh) 车辆用信息传递装置
CN104417369A (zh) 车辆用显示装置
DE10242262A1 (de) Stereo-Nachtsichtsystem für Fahrzeuge
JP2015219782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25313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6748947B2 (ja) 画像表示装置、移動体、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09645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用制御プログラム
JP2016107947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用制御プログラム
US20190166357A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JP2019147546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用制御プログラム
KR101592304B1 (ko) 시차 화상 표시 장치, 시차 화상 생성 방법, 및 시차 화상 프린트
KR20130055725A (ko) 차량용 정보처리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190166358A1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mirr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JP2018058521A (ja) 仮想表示ミラー装置
EP3258305A1 (en) Laser projection arrangement and process for the generation of virtual images
KR20130055460A (ko) 차량용 표시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80046567A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6400507A (zh) 显示方法、显示设备、交通工具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