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5410A - 음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55410A KR20130055410A KR1020110121149A KR20110121149A KR20130055410A KR 20130055410 A KR20130055410 A KR 20130055410A KR 1020110121149 A KR1020110121149 A KR 1020110121149A KR 20110121149 A KR20110121149 A KR 20110121149A KR 20130055410 A KR20130055410 A KR 201300554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signal
- quality evaluation
- sound quality
- volu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69—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evaluating synthetic or decoded voic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또한 테스트 음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하고, 주파수 영역 내의 기준 주파수와 기준 주파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조파에 기초하여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한다.
또한 무향실 환경을 구축하지 않고 생산/제조 현장에서 음질 평가를 자동화 할 수 있어 무향실 환경 구축에 필요한 공간적/비용적 투자 및 평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산업재해의 발생을 줄 일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이루어지던 음질 평가를 정량화 시킴으로써 불량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불량 정도를 수치화하여 표시함으로써 불량의 정도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방법 중 묵음 감사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방법 중 끊김음 검사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방법 중 화이트 노이즈 검사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방법 중 떨림음 검사 예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질 평가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120: 테스트 음 측정부 130: 평가부
140: 제1제어부 150: 알림부
200: 사운드 입출력 장치 210: 원음 측정부
220: 제2제어부 230: 테스트 음 출력부
300: 음질 평가 장치 310: 제1입력부
320: 테스트 음 측정부 330: 평가부
400: 사운드 출력 장치 410: 제2입력부
420: 제2제어부 430: 테스트 음 출력부
440: 저장부
Claims (35)
- 원음을 발생하는 원음 발생부;
음질 평가 대상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을 측정하는 테스트 음 측정부;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주파수 영역 내의 기준 주파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조파에 기초하여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원음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떨림음의 발생 정도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음질 평가 대상에서 발생된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판단부는,
고조파별로 주변 주파수의 평균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고조파별로 고조파의 크기에서 주변 주파수의 평균 크기를 차감하여 피크를 각각 산출하고, 각 피크를 합산하여 피크 섬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피크 섬에 기초하여 상기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중심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중심 주파수와 상기 원음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음색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묵음 검사 시 상기 원음 발생부의 정지 및 상기 테스트 음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원음 발생부의 정지 시간에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묵음 시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데시벨 단위의 음량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비교하여 끊김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대한 자기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자기상관계수에 기초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원음을 발생하는 원음 발생부;
음질 평가 대상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을 측정하는 테스트 음 측정부;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가 일정 주기씩 지연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와 각 지연 신호를 비교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원음의 발생을 제어하고 상기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음질 평가 대상의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와 각 지연 신호를 비교하여 자기상관계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자기상관계수의 변화에 기초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어느 하나 지연 신호인 제1 지연신호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비교하여 산출된 제1자기상관계수와, 상기 제1지연 신호보다 한 주기 더 지연된 제2지연 신호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비교하여 산출된 제1자기상관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제2자기상관계수가 상기 제1자기상관계수보다 더 크면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에 의한 불량으로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자기상관계수보다 상기 제2자기상관계수가 일정값 이상 크면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에 의한 불량으로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데시벨 단위의 음량과 기준 음량을 비교하여 음량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중심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중심 주파수와 상기 원음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음색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 내의 기준 주파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조파의 크기에 기초하여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묵음 검사 시 상기 원음 발생부의 정지 및 상기 테스트 음 측정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원음 발생부의 정지 시간에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묵음 시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시벨 단위의 음량을 시간에 따라 복수 구간으로 구분하고, 각 구간의 최소음량과 최대 음량의 차이의 비율을 산출하여 끊김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원음을 발생하고,
음질 평가 대상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를 시간 영역으로 분석하고,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가 일정 주기씩 지연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와 각 지연 신호를 매칭시켜 매칭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매칭 정도에 기초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출력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도에 기초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와 각 지연 신호의 매칭 정도에 대응되는 자기상관계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와 매칭된 지연 신호의 지연된 주기 횟수별로 자기상관계수를 구분하고 구분된 자기상관계수에 기초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정도에 기초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서로 연속된 자기상관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연속된 자기상관계수 중 어느 하나의 자기상관계수가 다른 하나의 자기 상관계수보다 일정값 이상 크면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에 의한 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데시벨 단위의 음량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데시벨 단위의 음량과 기준 음량을 비교하고,
상기 판단된 데시벨 단위의 음량이 기준 음량을 초과하면 음량의 불량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데시벨 단위의 음량을 시간에 따라 복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의 최소음량과 최대 음량의 차이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각 구간의 비율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각 구간의 비율과 일정 비율을 비교하고,
상기 일정 비율 미만인 구간이 있으면 끊김음의 발생에 의한 불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끊김음의 발생에 의한 불량을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묵음 검사가 요청되면 원음 발생을 정지시키고,
상기 음질 평가 대상을 통해 출력되는 테스트 음을 측정하고,
상기 원음 발생의 정지 시간에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묵음 시 노이즈의 발생으로 판단하고,
상기 묵음 시 노이즈의 발생에 의한 불량으로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 내의 기준 주파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조파의 크기에 기초하여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음질 평가 대상에서 발생된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복수의 고조파의 크기에 기초하여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는 것은,
고조파별로 주변 주파수의 평균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고조파별로 고조파의 크기에서 주변 주파수의 평균 크기를 차감하여 피크를 각각 산출하고, 각 피크를 합산하여 피크 섬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피크 섬에 기초하여 상기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피크 섬이 기준 피크 섬을 초과하면 비정상적인 떨림음의 발생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영역의 중심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중심 주파수와 상기 원음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상기 음색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색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음질 평가 방법. - 미리 저장된 원음을 테스트 음으로 출력하는 음질 평가 대상의 음질을 평가하는 음질 평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질 평가 대상에서 출력된 테스트 음을 측정하는 테스트 음 측정부;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를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주파수 영역 내의 기준 주파수에 대응되는 복수의 고조파의 크기에 기초하여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에 대한 자기상관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자기상관계수에 기초하여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떨림음의 발생 정도 및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음질 평가 대상에서 발생된 떨림음의 발생 정도 및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고조파별로 주변 주파수의 평균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고조파별로 고조파의 크기에서 주변 주파수의 평균 크기를 차감하여 피크를 각각 산출하고, 각 피크를 합산하여 피크 섬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피크 섬에 기초하여 상기 떨림음의 발생 정도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의 중심 주파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중심 주파수와 상기 원음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음색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음질 평가 대상으로부터 묵음에 대한 테스트 음 출력 시 출력된 테스트 음을 측정하고,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가 허용 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묵음 시 노이즈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음량을 상기 측정된 테스트 음의 신호에 기초하여 데시벨 단위의 음량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데시벨 단위의 음량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비교하여 끊김음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가 일정 주기씩 지연된 복수의 지연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지연 신호 중 어느 하나 지연 신호인 제1 지연신호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비교하여 산출된 제1자기상관계수와, 상기 제1지연 신호보다 한 주기 더 지연된 제2지연 신호와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를 비교하여 산출된 제1자기상관계수를 비교하고, 상기 제2자기상관계수가 상기 제1자기상관계수보다 더 크면 화이트 노이즈의 발생에 의한 불량으로 판단하는 음질 평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149A KR20130055410A (ko) | 2011-11-18 | 2011-11-18 | 음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US13/658,195 US9025781B2 (en) | 2011-11-18 | 2012-10-23 | Sound qual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EP12190750.5A EP2595153A1 (en) | 2011-11-18 | 2012-10-31 | Sound qual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1149A KR20130055410A (ko) | 2011-11-18 | 2011-11-18 | 음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5410A true KR20130055410A (ko) | 2013-05-28 |
Family
ID=4729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1149A Ceased KR20130055410A (ko) | 2011-11-18 | 2011-11-18 | 음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025781B2 (ko) |
EP (1) | EP2595153A1 (ko) |
KR (1) | KR2013005541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07540A (zh) * | 2014-01-28 | 2015-07-29 |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 噪声检验方法及系统 |
CN116337212A (zh) * | 2023-03-07 | 2023-06-27 | 广东盈科电子有限公司 | Pcba蜂鸣音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79555B2 (en) * | 2013-06-26 | 2017-06-13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speech signal quality |
KR102248071B1 (ko) * | 2014-09-15 | 2021-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오디오 신호 처리방법 |
WO2016183837A1 (zh) * | 2015-05-21 | 2016-11-24 | 华为技术有限公司 | 调节电视音量的方法和数字电视设备 |
CN106571150B (zh) * | 2015-10-12 | 2021-04-16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识别音乐中的人声的方法和系统 |
CN107342877A (zh) * | 2016-04-29 | 2017-11-10 |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 移动终端音频质量的测试方法及系统 |
CN108663115A (zh) * | 2017-03-31 | 2018-10-16 | 华晨汽车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汽车车内怠速噪声客观量化评价方法 |
CN109238450A (zh) * | 2018-09-28 | 2019-01-18 |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 声音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
US11153043B2 (en) * | 2019-10-24 | 2021-10-19 | Roku, Inc. | Measuring and evaluating a test signal generated by a device under test (DUT) |
CN110913305B (zh) * | 2019-12-05 | 2021-08-24 | 广东技术师范大学 | 一种车载音响的自适应均衡器补偿方法 |
US12182909B2 (en) * | 2020-02-20 | 2024-12-31 | Nissan Motor Co., Ltd.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 sound image |
WO2021243084A1 (en) * | 2020-05-27 | 2021-12-02 |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 Transient multi-tone test signal and method for audio speakers |
US11115766B1 (en) * | 2020-05-28 | 2021-09-07 |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 Automated audio assembly performance assessment |
EP4297708A4 (en) * | 2021-09-09 | 2024-08-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DIO CONTENT DELIVERY MANAGEMENT |
CN113782036B (zh) * | 2021-09-10 | 2024-05-31 | 北京声智科技有限公司 | 音频质量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
CN113938806B (zh) * | 2021-10-12 | 2024-08-27 | 台湾立讯精密有限公司 | 噪音检测装置及其方法 |
TWI792607B (zh) * | 2021-10-12 | 2023-02-11 | 台灣立訊精密有限公司 | 雜音偵測裝置及其方法 |
CN115412111B (zh) * | 2022-07-12 | 2023-07-04 | 北京中科睿谱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频谱感知能力的自适应时频域接收机 |
CN116793653B (zh) * | 2023-06-21 | 2024-02-27 | 北京谛声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基于声信号的旋转设备全生命周期监测方法和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9187A (ko) * | 2004-03-04 | 2005-09-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오디오 기기에서의 스피커 특성 보상장치 및 방법 |
JP2007047539A (ja) * | 2005-08-11 | 2007-02-22 | Sony Corp | 音場補正装置及び音場補正方法 |
US8682002B2 (en) | 2009-07-02 | 2014-03-25 | Conexant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ducer calibration and tuning |
JP5602309B2 (ja) * | 2010-08-18 | 2014-10-08 |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 オーディオ信号の臨界周波数帯域における歪みを制御する方法とシステム |
CN102866296A (zh) * | 2011-07-08 | 2013-01-09 | 杜比实验室特许公司 | 估计非线性失真的方法和系统、调节参数的方法和系统 |
-
2011
- 2011-11-18 KR KR1020110121149A patent/KR20130055410A/ko not_active Ceased
-
2012
- 2012-10-23 US US13/658,195 patent/US902578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10-31 EP EP12190750.5A patent/EP2595153A1/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07540A (zh) * | 2014-01-28 | 2015-07-29 |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 噪声检验方法及系统 |
CN104807540B (zh) * | 2014-01-28 | 2018-03-23 | 惠州超声音响有限公司 | 噪声检验方法及系统 |
CN116337212A (zh) * | 2023-03-07 | 2023-06-27 | 广东盈科电子有限公司 | Pcba蜂鸣音测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595153A1 (en) | 2013-05-22 |
US9025781B2 (en) | 2015-05-05 |
US20130129097A1 (en) | 2013-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55410A (ko) | 음질 평가 장치 및 그 방법 | |
US8731206B1 (en) | Measuring sound quality using relative comparison | |
US8538032B2 (en) | Electrical load detection apparatus | |
US10872593B2 (en) | Ambient noise sense auto-correction audio system | |
CN101729969A (zh) | 电子装置的麦克风测试方法与系统 | |
JPWO2009087772A1 (ja) | スピーカラインの検査装置 | |
JPH03500583A (ja) | オーディオ信号処理システムを点検する装置 | |
JP2008015443A (ja) | 雑音抑圧音声品質推定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090304195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the operating state of a sound system | |
CN116055975A (zh) | 一种基于心理声学的耳机质量的评估方法 | |
Hromadová et al. | Frequency response of smartphones at the upper limit of the audible range | |
CN105764008B (zh) | 一种调试扩声系统传输频率特性的方法及装置 | |
WO2021203654A1 (zh) | 一种电子产品的音频检测系统和音频检测方法 | |
JP2012015715A (ja) | エコー判定システム | |
KR101413085B1 (ko) | 리시버 시험 장치 및 방법 | |
US20090220097A1 (en) | Sound testing device for mobile phon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Irrgang et al. | Loudspeaker Testing at the Production Line | |
KR101327214B1 (ko) | 스피커 이상음 검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 검사장치 | |
US11882414B2 (en) | Audio playback system faul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20050091192A (ko) | 스피커의 특성을 계측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
US12156002B2 (en) | Procede d'auto-diagnostic d'un equipement de restitution audio | |
KR101496911B1 (ko) | 사운드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240379115A1 (en) | Detection and attenuation of vocal artifacts in audio | |
TWI475870B (zh) | 電話裝置的測試裝置以及測試方法 | |
US20220155137A1 (en) | Acoustic nois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ing vibration sensor to detect acoustic noi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