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4097A -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4097A
KR20130054097A KR1020120002688A KR20120002688A KR20130054097A KR 20130054097 A KR20130054097 A KR 20130054097A KR 1020120002688 A KR1020120002688 A KR 1020120002688A KR 20120002688 A KR20120002688 A KR 20120002688A KR 20130054097 A KR20130054097 A KR 20130054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information
us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3639B1 (ko
Inventor
서명원
하혜숙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2007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EP2595405B1/en
Priority to EP12007563.5A priority patent/EP2595406A1/en
Priority to US13/676,908 priority patent/US9066146B2/en
Priority to US13/678,233 priority patent/US9204197B2/en
Priority to CN201210460424.7A priority patent/CN103108247B/zh
Priority to CN201210460770.5A priority patent/CN103108224B/zh
Publication of KR20130054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제어부는 중계 서버로 방송 순위의 요청을 제어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방송 순위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는 수신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eated to broadcasting viewing}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수신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방송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방송 수신기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방송 수신기는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기능에 추가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 Social Networking Service)는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서비스이며, 미국의 트위터,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한국의 싸이월드, 미투데이 같은 1인 미디어와 정보공유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현재 많은 사람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정보를 공유하거나 검색하는데 SNS를 일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용자는 SNS를 통해 인맥을 새롭게 쌓거나, 기존 인맥과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들 간의 컨텐츠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추천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들 간의 방송 시청 현황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집계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들 간에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 및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션 식별자는 세션 아이디, 토큰(Token) 및 쿠키(cook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SNS 서버에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SNS 서버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통해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로그인 요청 메시지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SNS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와 연관된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웹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캡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는 상기 캡처된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일부를 더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는 상기 더빙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빙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더빙을 중지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 저장을 중지하고, 상기 저장된 영상 프레임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편집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편집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는 상기 GUI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가 디스플레이된 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는 연관된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메뉴 객체로 자동으로 이동하며 사라질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들 간에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 및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튜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 간에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추천된 컨텐츠의 컨텐츠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SNS 서버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SNS 서버의 주소로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정보에 메타데이터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 아이디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은,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 간에 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계 서버로 방송 순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리스트는 사용자의 사진 및 사용자의 SNS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SNS 계정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명(Channel Name),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시작 시간(Start Time) 및 방송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는 사용자의 수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의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은, 피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된 채널로 수신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은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수는 동일 국가에서 상기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의 수일 수 있다.
상기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는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된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는 국가 정보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 간에 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중계 서버로 방송 순위의 요청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은,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 간에 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생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 중 하나는 하나의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되고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추천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SNS 계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SNS 계정 및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연관시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영역을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션 식별자는 세션 아이디, 토큰(Token) 및 쿠키(cook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추천 대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고, 소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공유하므로,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들 간의 컨텐츠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추천할 수 있고, 추천된 내용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시청 정보를 자동으로 취합하고, 소셜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취합한 시청 정보를 공유하므로,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들은 방송 시청 현황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집계하고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초기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용자 등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초기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아웃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상태에서 SNS 서버와 계정 연동 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상태에서 SNS 서버와 계정 연동 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아웃 상태에서 SNS 서버와 계정 연동 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아웃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SNS 서버와 계정 연동 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의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정보 편집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정보 편집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풀 스크린 모드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풀 스크린 모드에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가 사라지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실시간 방송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VOD(Video On Demand)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를 추천한 내용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를 추천한 내용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데이터 흐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데이터 흐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0은 디스플레이 페이지 상에 시청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1은 시청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 상의 피드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이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데이터 흐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일부를 더빙하는 수행 과정의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
도 45는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Activity Electronic Program Guide)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46은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Activity 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소개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전자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공간 리모컨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및 오픈하이브리드TV(OH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 PC 및 가전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1)은 제1 서버(10), 제2 서버(20),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10), 제2 서버(20),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는 네트워크(2)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2)는 백본망과 가입자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백본망은 X.25 망, Frame Relay 망, ATM망,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및 GMPLS(Generalized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망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통합된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망은 FTTH(Fiber To The Home),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망, Wireless LAN(IEEE 802.11b, IEEE 802.11a, IEEE802.11g, IEEE802.11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 및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네트워크(2)는 인테넷망일 수 있고,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제1 서버(10)는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 간의 연결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서버(10)는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가 제2 서버(20)로의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10)는 고정 IP 주소를 가질 수 있고,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는 상기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제1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제2 서버(20)는 제1 방송 수신기(100), 제2 방송 수신기(110), 퍼스널 컴퓨터(120), 노트북(130) 및 이동통신 단말기(140)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 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버(20)는 기존의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TV(100) 및 제2 디지털 TV(110)는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 3DTV 및 OHTV 등이다.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은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4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는 제2 서버(20)로부터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의 각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 시스템(200)은 제1 서버(10)의 실시예일 수 있다. 중계 시스템(200)은 SNS 게이트웨이(210) 및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는 메타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한다.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정보 및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게시 정보 및 컨텐츠 재생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게시 정보는 국가 코드, 지역 코드, 세션 식별자, 세션 식별자 시크릿, 컨텐츠명, 컨테츠 모듈 명, 컨텐츠 설명, 컨텐츠 섬네일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컨텐츠 섬네일 바이너리, 추천 메시지 및 웹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국가 코드는 국가를 식별하기 위해 각 국가에 부여된 코드이고, 지역 코드는 지역을 식별하기 위해 각 지역에 부여된 코드이며, 세션 식별자는 SNS 서버와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여기서 세션 식별자는 세션 아이디, 토큰(Token) 및 쿠키(cook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식별자 시크릿은 해당 세션 식별자 시크릿이고, 컨텐츠명은 컨텐츠의 명칭을 의미하고, 컨텐츠 모듈 명은 컨텐츠의 타입을 의미하며, 컨텐츠 설명은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의미한다. 또한 컨텐츠 섬네일 URL은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피드에 포함될 컨텐츠 섬네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이다. 컨텐츠 섬네일 바이너리는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피드에 포함될 섬네일의 이미지 데이터이고, 추천 메시지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추천시에 입력한 내용이며, 웹 URL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 페이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이다.
컨텐츠 재생용 정보는 컨텐츠 타입 정보, 오디오 ID(또는 오디오 식별자), 컨텐츠 ID(또는 컨텐츠 식별자), 채널명, 물리 채널 번호(Physical Number),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소스 인덱스(Source Index), 시작 시간(Start Time) 및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타입 정보는 해당 컨텐츠 타입을 지시한다. 컨텐츠 타입은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타입은 컨텐츠의 출처를 더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타입은 서치 결과를 포함할 수 있고, 웹 상에서 판매되는 컨텐츠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컨텐츠 모듈 명은 컨텐츠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컨텐츠 정보는 방송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정보는 채널명(Channel Name), 물리 채널 번호(Physical Number),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소스 인덱스(Source Index),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시작 시간(Start Time) 및 방송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컨텐츠 별 또는 트랜잭션 별로 메타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식별자 또는 메타데이터 아이디(ID)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는 SNS 게이트웨이(210)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는 메타데이터 ID로 검색이 가능하도록 수산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는 메타데이터 ID를 인덱스로 하여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는 SNS 게이트웨이(210)가 메타데이터를 요청하면, 요청한 메타데이터를 검색하여, SNS 게이트웨이(210)에 제공한다. 여기서 SNS 게이트웨이(210)는 메타데이터 ID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는 수신한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ID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한 메타데이터를 SNS 게이트웨이(210)에 전송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식별자 및 사용자의 SNS ID을 연관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자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의 사용자 계정일 수 있고, 사용자의 SNS ID는 SNS 서버의 계정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SNS ID는 복수개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사용자 식별자와 복수의 SNS ID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SNS 서버에 대한 IP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SNS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가 SNS 서버에 로그인한 경우에는, 사용자 식별자 및 로그인된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를 연관시켜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로부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는 컨텐츠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자, 현재 사용자의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 및 현재 사용자의 세션 식별자 시크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정보의 컨텐츠 게시 정보 중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은 식별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SNS 서버 주소를 획득한다. 일부 실시예로, SNS 게이트웨이(210)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타입을 기초로 SNS 서버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의 타입은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 및 방송 순위 요청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획득된 SNS 서버 주소가 지시하는 SNS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NS 게이트웨이(210)는 세션 식별자가 지시하는 세션을 통해 컨텐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일 수 있고,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의 일부일 수 있고,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가 가공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전송되는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게시 중계 메시지에 포함되어 SNS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한된 컨텐츠 정보 및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에 전송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메타데이터 ID를 부여하고, 부여된 메타데이터 ID와 함께 상기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NS 게이트웨이(210)는 메타데이터 ID와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중 방송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SNS 게이트웨이(210)는 메타데이터 ID와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SNS 게이트웨이(210)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SNS 계정을 획득하고, 획득한 SNS 계정과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중 방송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전자 장치로부터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SNS 게이트웨이(210)는 수신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SNS 게이트웨이(210)는 하나의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되는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에 포함된 피드에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사용자의 수를 해당 피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SNS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피드에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해당 피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방송 정보와 SNS 계정이 연관된 저장 영역을 액세스하여 상기 수신한 방송 정보와 연관된 SNS 계정을 획득하고, 획득한 SNS 계정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리스트를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로 상기 피드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리스트는 SNS 계정의 섬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네일은 사용자의 사진일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전자 장치로 생성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방송 순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전자 장치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300)는 제1 서버(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서버(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 서버(10) 및 제2 서버(2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전송된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2)를 통해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패킷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및 TCP(Transport Control Protocol)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킷은 등록 요청 신호, 응답 신호, 연결 요청 신호, 연결 설정 신호, 동영상스트리밍, 웹페이지, 파일,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 방송 순위 요청 메시지, 디스플레이 페이지 및 메타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FTP(File Transfer Protocol),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및 MMS(Multi Media Streaming)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통신부(210)의 패킷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20)는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데이터에 따라 서버(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로부터 방송 순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320)는 상기 전자 장치로 디스플레이 페이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제어부(320)는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 ID를 생성하고, 생성한 메타데이터 ID와 함께 상기 컨텐츠 정보가 메타데이터 관리 서버(220) 또는 서버(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메타데이터 ID, 메타데이터, SNS 계정, SNS 계정 인증 정보, SNS 서버 주소, 사용자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인증 정보 및 수신된 메시지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메시지 타입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제1 방송 수신기(100), 제2 방송 수신기(110), 퍼스널 컴퓨터(120), 노트북(130)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40)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튜너부(405), 복조부(410), 역다중화부(4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 외부 신호 입력부(425), 비디오 디코더(430), 오디오 디코더(435), 제어부(440), 저장부(445), 스케일러(450), 믹서(Mixer)(460), 포맷터(formatter)(470), 통신부(480) 및 음성 감지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촬영장치(401), 디스플레이(402), 안경(403) 및 리모컨(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40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선택된 RF 방송 신호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및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410)는 튜너부(40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41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41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41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역다중화부(415)는 복조부(4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 및 외부 신호 입력부(425)로부터 스트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부(415)는 수신된 스트림 신호를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비디오 디코더(430), 오디오 디코더(435) 및 제어부(440)로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430)는 역다중화부(415)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원하여 스케일러(450)로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 신호를 입체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435)는 역다중화부(415)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음성을 디스플레이(402) 또는 스케일러(450)로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네트워크(2)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2)로 패킷을 전송한다. 네크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제2 서버(20),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스트림, 동영상 파일, 음악 파일, 그림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네트워크(2)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전달하는 IP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데이터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 데이터 및 인터넷 서비스 데이터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IP패킷이 스트림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IP패킷에서 스트림 신호를 추출하여 역다중화부(415)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림 신호는 제2 서버(20), 제1 디지털 TV(100), 제2 디지털 TV(110),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120), 노트북(130) 및 이동 단말기(14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신호 및 수신한 컨텐츠를 제어부(440)로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425)는 외부 장치와 전자 장치(400)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켐코더, 컴퓨터(노트북)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400)는 외부 신호 입력부(425)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는 촬영 장치(401)일 수 있다. 촬영 장치(401)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장치(401)는 사람을 촬상할 수 있다. 촬영 장치(401)는 사람의 손 영역을 인식하여 손 영역에 초점을 맞추고, 줌인하여 촬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된 손 모양은 공간 제스처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제어부(440)는 촬상된 손 모양을 공간 제스처로 인식하고 인식된 공간 제스처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간 제스처는 하나 이상의 특정의 컴퓨팅 동작에 매핑되는, 촬영 장치(401)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프레임 또는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전자 장치(400)는 촬영 장치(401)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425)는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402)와 일체로 되어 수 있거나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402)와 일체로 된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명명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402)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지 제어될 객체 상에 그의 손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다.
터치패드에 있어서, 터치패드는 디스플레이(402)로부터 떨어져 일반적으로 다른 평면에 놓여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2)는 일반적으로 수직 평면에 위치해 있고, 터치패드는 일반적으로 수평 평면에 위치해 있다. 이것은 그의 사용을 덜 직관적이게 하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과 비교할 때 더 어렵다.
또한,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은 다중점 입력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외부 신호 입력부(425)에 가해지는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이 터치 제스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제스처는 하나 이상의 특정의 컴퓨팅 동작에 매핑되는, 외부 신호 입력부(425)와의 양식화된 상호작용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제스처는 여러 가지 손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터치 제스처는 스타일러스로 행해질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터치 제스처를 일으키는 대상을 객체라고 명명한다.
외부 신호 입력부(425)는 터치 제스처를 수신하고, 제어부(440)는 터치 제스처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게다가, 저장부(445)는 운영 체제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일 수 있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제스처(터치 제스처 또는 공간 제스처)의 발생을 인식하고 그 제스처 및/또는 제스처에 응답하여 무슨 조치(들)이 취해져야 하는지를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에게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제스처를 행할 때, 외부 신호 입력부(425)는 제스처 정보를 제어부(440)로 전달한다. 저장부(445)로부터의 명령어, 보다 상세하게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어부(440)는 터치 제스처를 해석하고 디스플레이(402), 역다중화부(4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 외부 신호 입력부(425), 저장부(445), 스케일러(450), 믹서(460), 포맷터(470) 및 음성 감지부(490) 등의 전자 장치(400)의 서로 다른 컴포넌트를 제어한다. 제스처는 저장부(445)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402) 상에 나타난 GUI 객체를 수정하며, 저장부(445)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하고, 역다중화부(41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 스케일러(450), 믹서(460) 및 포맷터(470)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명령은 줌잉, 패닝, 스크롤링, 페이지 넘김, 회전, 크기조정, 영상 채널 변경, 컨텐츠 수신, 인터넷 접속 등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광범위한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터치 제스처는 단일점(single point) 또는 다중점(multipoint) 제스처, 정적 또는 동적 제스처, 연속적(continuous) 또는 구분된(segmented) 제스처, 및/또는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단일점 제스처는 단일의 접촉점으로 수행되는 제스처이다, 예를 들어, 이 제스처는 예를 들어 하나의 손가락, 손바닥 또는 스타일러스로부터와 같이 단일의 터치로 수행된다. 다중점 제스처는 다수의 점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제스처이다, 예를 들어, 이 제스처는 예를 들어 다수의 손가락, 손가락과 손바닥, 손가락과 스타일러스, 다수의 스타일러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와 같이 다수의 터치로 수행된다. 정적 제스처는 움직임을 포함하지 않는 제스처이고, 동적 제스처는 움직임을 포함하는 제스처이다. 연속적 제스처는 단일의 스트로크로 수행되는 제스처이고, 구분된 제스처는 별개의 스텝 또는 스트로크의 시퀀스로 수행되는 제스처이다.
객체와 터치 스크린의 접촉은 통상적으로 여러 상이한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단일점 제스처는 다운 이벤트(down event) 및 그에 뒤이은 다운 이벤트와 동일한 위치 또는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의 업 이벤트(up event)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동적 제스처는 다운 이벤트와 그에 뒤이은 적어도 하나의 드래깅 이벤트(dragging event), 그리고 그 다음에 오는 이벤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접근하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접촉하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멀어져가는 프로세스를 기술하기 위해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이 파라미터는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누르는 압력,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간의 접촉 면적,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간의 전압,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커패시턴스, 또는 물리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파라미터(예를 들어,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이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넘을 때, 다운 이벤트가 일어나고, 이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넘고 있는 동안에 손가락의 대응하는 커서 위치가 위치 A로부터 위치 B로 이동할 때, 드래깅 이벤트가 일어나며, 이 파라미터가 문턱값 레벨 아래로 떨어질 때 업 이벤트가 일어난다.
제어부(440)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전자 장치(4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445)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4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단일 칩, 다수의 칩, 또는 다수의 전기 부품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단일 목적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 기타 등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아키텍처가 제어부(44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 조치(User Action)를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조치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조치는 디스플레이기기 또는 리모컨의 물리적인 버튼의 선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면상의 소정의 터치 제스처의 실시 또는 소프트 버튼의 선택 및 촬상 장치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인식되는 소정의 공간 제스처의 실시 및 음성 감지부(490)가 수신한 음성에 대한 음성 인식에 의해 인식되는 소정의 발성의 실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 조치를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로 해석할 수 있다. 해석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400)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4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전자 장치(4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운영 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44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445)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445)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40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예로서, 저장부(445)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전자 장치(4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스케일러(450)는 비디오 디코더(430) 및 오디오 디코더(435)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스플레이(402) 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크기 조절(스케일링: scaling)한다.
또한, 스케일러(450)는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종류 또는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영상, 입체영상의 화면비(aspect ratio), 및 이들 중의 적어도 두개의 조합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화면비 값은 21:9, 16:9, 4:3, 또는 3:2 등의 값이 될 수 있으며, 스케일러(450)는 가로 방향의 화면 길이 비와 세로 방향의 화면 길이 비가 특정 비율이 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믹서(460)는 스케일러(450) 및 제어부(440)의 출력을 믹싱하여 출력한다.
포맷터(formatter)(470)는 믹서(460)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들을 디스플레이(402)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환한다. 여기서, 포맷터(470)는 2D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 기능 수행 없이 입력받은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포맷터(470)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입체영상의 포맷 및 디스플레이(402)의 출력 주파수 등에 맞게 3D 포맷으로 처리하는 3D 포맷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포맷터(470)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402)로 출력하고, 출력되는 입체영상 신호에 관한 동기 신호(Sync signal)를 생성하여 통신부(48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 신호는 입체영상 신호에 따른 좌안 시점 영상 또는 우안 시점 영상의 디스플레이 시점과 셔터 안경(403)의 좌안 렌즈 또는 우안 렌즈의 개폐 시점을 동기 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통신부(480)는 양방향의 무지향성(또는, 비지향성)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모듈로서, 소정의 통신규격에 따른 통신방식으로 다른 통신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규격은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무선 랜(Wireless Lan)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는 전자 장치(400), 안경(403) 및 리모컨(404)일 수 있다.
통신부(480)는 리모컨(404)으로부터 적외선을 수신할 수 있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감지부(490)는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한 음성을 제어부(44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음성 감지부(490)가 출력한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한 음성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초기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5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500)은 전자 장치(400)의 초기 화면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가 첫 부팅되는 경우에 초기 화면(5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 등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6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600)은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 등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GUI(600)을 통해 사용자 식별자(또는 사용자 아이디)(610) 및 비밀번호(610)를 입력할 수 있다. GUI(600)로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는 전자 장치(400) 및 서버(10)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는 전자 장치(400) 및 서버(10)의 로그인 정보를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초기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7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700)은 전자 장치의 로그인 초기 화면이다.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의 로그인이 성공한 경우에는, 화면(7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화면(70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710) 및 액티브 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710)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액티브 영역(720)은 SNS 서버 또는 서비스 선택하기 위한 메뉴 영역(721) 및 서비스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표시하는 페이지 영역(725)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영역(721)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731, 732, 733, 734)을 포함하고, 페이지 영역(725)은 디스플레이 페이지에 포함된 피드(741, 742)를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아웃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8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800)은 전자 장치의 로그아웃 화면이다. 제어부(440)는 로그아웃된 경우에는, 화면(8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화면(80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810) 및 로그인 GUI 영역(820)을 포함할 한다. 로그인 GUI 영역(820)은 새로운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821) 및 기존에서 생성된 사용자 식별자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825, 826, 827, 828)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전자 장치(400)는 복수의 사용자별로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900)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440)는 도 8의 화면(800)의 버튼(82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9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화면(900)은 선택된 버튼(825)과 연관된 사용자 식별자(910)를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식별자(910)의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박스(920)를 표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1000)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440)는 화면(1000)을 로그인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가 부팅된 경우에 화면(10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화면(1000)은 사용자 식별자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박스(1010), 비밀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박스(1020) 및 자동 사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체크 박스(1030)를 포함한다.
체크 박스(1030)에 체크가 된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자동 사인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자동 사인 기능은 사용자 식별자 연관된 SNS 계정으로 SNS 서버에 자동으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110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1100)은 전자 장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이다. 화면(1100)은 도 7의 화면(700)의 아이콘(731, 732, 733, 734)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는 화면(1100)은 전자 장치의 로그인 초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화면(110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1110), 액티브 영역(1120) 및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추천 버튼(1160)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추천 버튼(1160)을 눌러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1120)은 메뉴 영역(1121) 및 페이지 영역(1125)을 포함한다. 페이지 영역(1125)은 선택된 아이콘(1131)이 지시하는 SNS 서버에 로그인을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1140)를 표시한다.
GUI(1140)에 입력된 인증 정보는 저장부(445)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445)는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식별자와 GUI(1140)에 입력된 인증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40)는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식별자 및 GUI(1140)에 입력된 인증 정보가 서버(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자 및 인증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12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1200)은 도 11의 화면(1100)의 메뉴 영역(1121)에서 아이콘(1133)이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일 수 있다. GUI(1240)는 선택된 아이콘(1133)이 지시하는 SNS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13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1300)은 도 11의 화면(1100)의 메뉴 영역(1121)에서 아이콘(1132)이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일 수 있다. GUI(1340)는 선택된 아이콘(1132)이 지시하는 SNS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상태에서 SNS 서버와 계정 연동 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 식별자가 Michha(1410)로 전자 장치에 로그인이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4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141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화면에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420)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420)는 사용자 식별자(142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42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423), OK 버튼(1424) 및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425)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420)는 사용자 식별자(142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42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423), OK 버튼(1424),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42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OK 버튼(1424)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42)에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42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420)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고우 체크 버튼(142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43)에는, 화면(14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1430)은 액티브 모드로 디스플레이된 화면으로,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1431) 및 페이지 영역(1435)을 포함한다. 페이지 영역(1435)은 단계 S141에서 추천된 컨텐츠와 연관된 피드(145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인 상태에서 SNS 서버와 계정 연동 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식별자가 Michha로 전자 장치에 로그인이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5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151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SNS 서버에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SNS 서버에 로그인이 안 된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SNS 서버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메시지(15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40)는 텍스트 입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52)에는, 가상 키보드(1530)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NS 서버로의 로그인을 위한 인증 정보 입력이 완료된 경우(S153)에는, 제어부(440)는 화면에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540)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540)는 사용자 식별자(154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54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543), OK 버튼(1544) 및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545)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540)는 사용자 식별자(154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54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543), OK 버튼(1544),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54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OK 버튼(1544)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54)에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52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540)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고우 체크 버튼(152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55)에는, 화면(155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155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1551) 및 페이지 영역(1555)을 포함한다. 페이지 영역(1555)은 단계 S151에서 추천된 컨텐츠와 연관된 피드(156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단계 S153에서 입력된 인증 정보로 로그인된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아웃 상태에서 SNS 서버와 계정 연동 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에 로그인이 안 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6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161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에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전자 장치에 로그인이 안 된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메시지(16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40)는 로그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62)에는,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163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로의 로그인을 위한 인증 정보 입력이 완료된 경우(S163)에는, 제어부(440)는 화면에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640)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640)는 사용자 식별자(164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64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643), OK 버튼(1644) 및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6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자(1641)는 GUI(1630)을 통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640)는 사용자 식별자(164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64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643), OK 버튼(1644),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64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OK 버튼(1644)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64)에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64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640)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로그아웃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SNS 서버와 계정 연동 전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에 로그인이 안 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17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171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에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전자 장치에 로그인이 안 된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전자 장치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메시지(172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40)는 로그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72)에는,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GUI(1730)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로의 로그인을 위한 인증 정보 입력이 완료된 경우(S173)에는, 제어부(440)는 SNS 서버에 로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SNS 서버에 로그인이 안 된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SNS 서버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메시지(174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40)는 텍스트 입력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74)에는, 가상 키보드(1750)를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NS 서버로의 로그인을 위한 인증 정보 입력이 완료된 경우(S175)에는, 제어부(440)는 화면에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760)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760)는 사용자 식별자(176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76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763), OK 버튼(1764) 및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765)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자(1761)는 GUI(1730)을 통해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760)는 사용자 식별자(176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76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1763), OK 버튼(1764), 고우 체크(Go check) 버튼(17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OK 버튼(1764)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76)에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76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760)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고우 체크 버튼(176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177)에는, 화면(177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177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1771) 및 페이지 영역(1775)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페이지 영역(1775)은 단계 S171에서 추천된 컨텐츠와 연관된 피드(178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단계 S175에서 입력된 인증 정보로 로그인된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18은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의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18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1800)은 액티브 모드로 컨텐츠(1801)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810)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800)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1811), 섬네일(1813) 및 편집 실행 버튼(18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섬네일(1813)은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 시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이미지를 캡처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편집 실행 버튼(181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하여, 컨텐츠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도 19는 정보 편집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19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1900)은 도 18의 화면(1800)의 편집 실행 버튼(181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화면(1900)은 정보 편집을 위한 GUI(1910)를 포함한다.
GUI(1910)는 이미지 편집 탭(1911) 및 텍스트 편집 탭(1915)을 포함한다. 화면(1900)에는 이미지 편집 탭(1911)이 선택된 GUI(1910)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GUI(1910)를 이용하여 섬네일(1920)을 삭제, 다른 섬네일로 대체 및 편집할 수 있다.
도 20은 정보 편집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0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000)은 도 18의 화면(1800)의 편집 실행 버튼(181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화면(2000)은 정보 편집을 위한 GUI(2010)를 포함한다.
GUI(2010)는 이미지 편집 탭(2011) 및 텍스트 편집 탭(2015)을 포함한다. 화면(2000)에는 텍스트 편집 탭(2015)이 선택된 GUI(2010)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GUI(2010)을 이용하여 컨텐츠 설명(2020)을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다.
도 21은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일실시예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1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100)은 디스플레이 페이지(2110)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페이지(2110)는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페이지(2110)는 복수의 피드(2111, 2112, 2113)를 포함한다. 피드(2111)는 도 18의 화면(1800)의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810)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1811) 및 섬네일(1813)을 포함한다. 또한 피드(2111)는 도 20의 화면(2000)의 컨텐츠 설명(2020)을 포함한다.
도 22는 풀 스크린 모드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2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200)은 풀 스크린 모드로 컨텐츠(2201)를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200)은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라이크 버튼(2210)을 포함한다. 풀 스크린 모드에서 사용자는 라이크 버튼(2210) 또는 리모컨 상의 특정키를 눌러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행할 수 있다.
도 23은 풀 스크린 모드에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3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300)은 풀 스크린 모드에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310)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제어부(440)는 도 22의 화면(22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가 감지된 경우에 화면(23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310)는 화면(220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2201)의 이미지(2315)를 섬네일 형태로 포함한다.
도 24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가 사라지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410)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사라질 수 있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410)는 메뉴 영역(2420)의 특정 아이콘(2422)이 존재하는 위치(2451)를 향하는 방향(2455)으로 이동하며 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아이콘(2422)은 SNS 서버의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410)가 추천하는 컨텐츠를 추천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피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51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510)은 비디오 컨텐츠(2511)에 대한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는 웹 페이지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일 수 있다.
화면(25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5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251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화면(25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2511)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화면에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520)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520)는 사용자 식별자(252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252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2523), OK 버튼(2524) 및 고우 체크(Go check) 버튼(25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자(2521)는 전자 장치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일 수 있고, 섬네일(2523)은 섬네일(2511)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OK 버튼(2524)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252)에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52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520)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2510)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고우 체크 버튼(2525)은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253)에는, 화면(25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2530)은 디스플레이 영역(2531) 및 페이지 영역(2535)을 포함한다. 페이지 영역(2535)은 단계 S251에서 추천된 컨텐츠와 연관된 피드(256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61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610)은 애플리케이션(2611)에 대한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는 웹 페이지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일 수 있다.
화면(26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6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261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화면(26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2611)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화면에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620)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620)는 사용자 식별자(262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262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2623), OK 버튼(2624) 및 고우 체크(Go check) 버튼(26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자(2621)는 전자 장치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일 수 잇고, 섬네일(2623)은 섬네일(2611)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OK 버튼(2624)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262)에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62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620)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2610)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고우 체크 버튼(262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263)에는, 화면(26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2630)은 디스플레이 영역(2631) 및 페이지 영역(2635)을 포함한다. 페이지 영역(2635)은 단계 S261에서 추천된 컨텐츠와 연관된 피드(266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71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710)은 VOD(video on demand) 컨텐츠(2711)에 대한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는 웹 페이지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일 수 있다.
화면(27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251).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271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화면(2710)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2711)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화면에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720)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720)는 사용자 식별자(2721), 추천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2722), 추천된 컨텐츠의 섬네일(2723), OK 버튼(2724) 및 고우 체크(Go check) 버튼(27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자(2721)는 전자 장치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일 수 잇고, 섬네일(2723)은 섬네일(2711)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OK 버튼(2724)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272)에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720)가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2720)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의 화면(2710)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고우 체크 버튼(272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S273)에는, 화면(27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2730)은 디스플레이 영역(2731) 및 페이지 영역(2735)을 포함한다. 페이지 영역(2735)은 단계 S271에서 추천된 컨텐츠와 연관된 피드(276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SNS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도 28은 실시간 방송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8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800)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281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8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280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화면(2800)에 디스플레이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2810)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화면에 도 18의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810)의 컨텐츠 정보(1811)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2810)에 대한 방송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섬네일(1813)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2810)의 섬네일 수 있다.
도 29는 VOD(Video On Demand)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29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900)은 VOD 컨텐츠(2810)를 디스플레이한다.
화면(290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라이크 버튼(2905)을 선택하는 조치일 수 있다. 여기서 추천된 컨텐츠는 화면(2900)에 디스플레이된 VOD 컨텐츠(2910)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화면에 도 18의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1810)의 컨텐츠 정보(1811)는 VOD 컨텐츠(2910)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섬네일(1813)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2910)의 섬네일 수 있다.
도 30은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를 추천한 내용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30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3000)은 액티브 모드의 화면에서 컨텐츠 추천 통지 메시지(3010)가 디스플레이된 예의 화면이다. 컨텐츠 추천 통지 메시지(3010)는 컨텐츠를 추천한 사용자 이름(3011), 추천한 컨텐츠명(3012) 및 사용자의 섬네일(301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로, 컨텐츠 추천 통지 메시지(3010)는 추천한 사용자 이름(3011), 추천한 컨텐츠명(3012) 및 사용자의 섬네일(30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SNS 서버로부터 컨텐츠 추천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컨텐츠를 추천한 사용자 이름, 컨텐츠명, 사용자의 섬네일 및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피드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 지시자는 사용자가 추천한 컨텐츠와 연관된 피드를 지시한다. 제어부(440)는 상기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컨텐츠 추천 통지 메시지(30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NS 서버는 서버(10)로부터 컨텐츠 게시 중계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컨텐츠 추천을 알리는 메시지를 SNS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40)가 사용자가 컨텐츠 추천 메시지(30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컨텐츠 추천 메시지(3010)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피드에 포커스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관된 피드는 상기 컨텐츠 추천을 알리는 메시지에 포함된 피드 지시자가 지시하는 피드일 수 있다.
도 31은 다른 사용자가 컨텐츠를 추천한 내용을 알리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310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3000)은 풀 스크린 모드에서 컨텐츠 추천 통지 메시지(3110)가 디스플레이된 예의 화면이다.
제어부(440)가 사용자가 컨텐츠 추천 메시지(31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화면 모드를 풀 스크린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컨텐츠 추천 메시지(3110)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피드에 포커스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관된 피드는 상기 컨텐츠 추천을 알리는 메시지에 포함된 피드 지시자가 지시하는 피드일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데이터 흐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애플리케이션(3210), 시스템 매니저(3220) 및 중계 매니저(3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3210), 시스템 매니저(3220) 및 중계 매니저(3230)는 제어부(440)에 실행된 프로세스일 수 있다.
애플케이션(3210)은 컨텐츠(3211)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3210)은 웹브라우저, 컨텐츠 플레이어 및 전용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애플케이션(3210)은 컨텐츠(3211)를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3210)은 컨텐츠(3211)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3210)은 디스플레이된 컨텐츠(3211)의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캡처한다.
애플리케이션(3210)은 추출한 컨텐츠 정보 및 캡처한 이미지를 시스템 매니저(32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게시 정보 및 컨텐츠 재생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게시 정보는 국가 코드, 지역 코드, 컨텐츠명, 컨테츠 모듈 명 및 웹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용 정보는 컨텐츠 타입 정보, 오디오 ID(또는 오디오 식별자), 컨텐츠 ID(또는 컨텐츠 식별자), 채널명, 물리 채널 번호(Physical Number),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소스 인덱스(Source Index), 시작 시간(Start Time) 및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처한 이미지는 컨텐츠 섬네일 바이너리에 포함될 수 있다.
시스템 매니저(3220)는 전자 장치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전자 장치에 로그인이 안 된 경우에는, 전자 장치의 로그인 사용자 인터페이스(Login UI)(3221)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로그인 UI(3221)는 도 16에 도시된 GUI(1630)일 수 있다. 시스템 매니저(3220)는 도 16에 도시된 수행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시스템 매니저(3220)는 SNS 서버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SNS 서버에 로그인이 안 된 경우에는, SNS 서버의 로그인 사용자 인터페이스(Login UI)(3225)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로그인 UI(3225)는 도 15에 도시된 메시지(1520)일 수 있다. 시스템 매니저(3220)는 도 15에 도시된 수행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시스템 매니저(3220)는 애플리케이션(3210)이 전달한 컨텐츠 정보, 이미지, 전자 장치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 중 적어도 하나를 중계 매니저(3230)로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3210)이 전자 장치 및 SNS 서버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고 로그인 UI(3221) 및 로그인 UI(322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중계 매니저(3230)가 전자 장치 및 SNS 서버로의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고, 로그인 UI(3221) 및 로그인 UI(322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중계 매니저(3230)는 시스템 매니저(3220)가 전달한 컨텐츠 정보, 이미지, 사용자 식별자,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을 SNS 게이트웨이(210)로 전송한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중계 매니저(3230)로부터 컨텐츠 정보, 이미지, 사용자 식별자,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을 수신한다. 그리고 SNS 게이트웨이(210)는 수신한 컨텐츠 정보에 메타데이터 아이디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 아이디, 컨텐츠 정보, 이미지 및 사용자 식별자를 메타데이터 관리서버(220)로 전송한다. 메타데이터 관리서버(220)는 저장영역(3250)에 수신한 메타데이터 아이디, 컨텐츠 정보, 이미지 및 사용자 식별자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한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메타데이터 아이디, 사용자 식별자, 세션 식별자와 연관된 SNS 계정 및 컨텐츠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영역(3240)에 저장한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 아이디, 컨텐츠 정보, 이미지를 세션 식별자가 지시하는 세션을 통해 SNS 서버(20)로 전송한다. SNS 서버(20)는 컨텐츠 정보에 컨텐츠 ID가 지시하는 컨텐츠를 추천하는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생성 또는 상기 피드를 포함하도록 기존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갱신한다. SNS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부여된 메타데이터 아이디, 컨텐츠 정보,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게시 중계 메시지를 SNS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1)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330).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비디오 컨텐츠,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웹 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된 것일 수 있고, 서치 결과일 수 있으며, 컨텐츠에 대한 상세 설명이 디스플레이된 페이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풀 스크린 모드 또는 액티브 모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31).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추출한다(S332). 여기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게시 정보 및 컨테츠 재생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추천한 사용자의 사진, 사용자 이름, 컨텐츠 추천을 지시하는 액티브 타입 정보, 제목, 방송 화면,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지시하는 컨텐츠 타입 정보,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번호,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방송사명 및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추천한 사용자의 사진, 사용자 이름, 컨텐츠 추천을 지시하는 액티브 타입 정보, 제목, 애플리케이션 사진, 애플리케이션을 지시하는 컨텐츠 타입 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디,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VOD 컨텐츠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추천한 사용자의 사진, 사용자 이름, 컨텐츠 추천을 지시하는 액티브 타입 정보, URL, VOD 컨텐츠 사진, VOD 컨텐츠를 지시하는 컨텐츠 타입 정보 및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검색 결과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추천한 사용자의 사진, 사용자 이름, 컨텐츠 추천을 지시하는 액티브 타입 정보,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 제목,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 사진,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의 타입을 지시하는 컨텐츠 타입 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디, 컨텐츠 아이디 및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가 컨텐츠의 상세 설명을 디스플레이하는 페이지인 경우에는, 상기 컨텐츠 정보는 추천한 사용자의 사진, 사용자 이름, 컨텐츠 추천을 지시하는 액티브 타입 정보,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 제목,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 사진,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컨텐츠의 타입을 지시하는 컨텐츠 타입 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디, 컨텐츠 아이디 및 UR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2)는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33). 여기서 추천 확인 메시지는 도 14의 추천 확인 메시지(1420), 도 15의 추천 확인 메시지(1540), 도 16의 추천 확인 메시지(1640), 도 17의 추천 확인 메시지(1760) 및 도 18의 추천 확인 메시지(18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3의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4의 수행과정, 도 15의 수행과정, 도 16의 수행과정 및 도 17의 수행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3은 제어부(440)가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333은 제어부(440)가 로그인된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에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3은 제어부(440)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캡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일부 구간을 더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편집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34).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18의 추천 확인 메시지(1810)의 편집 실행 버튼(1815)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편집을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335).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GUI는 도 19의 GUI(1910) 또는 도 20의 GUI(2010)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GUI를 통해 컨텐츠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 정보, 상기 획득된 식별정보 및 상기 편집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S33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상기 생성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중계 서버(10)로 전송한다(S337).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SNS 서버(20)로부터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한다(S338).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와 연관된 피드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는 단계 S33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SNS 서버(20)로부터 자동으로 수신될 수 있고, 요청시에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2)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39).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도 21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110), 도 25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535), 도 26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635) 및 도 27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7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4는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 페이지(3400) 중 피드(34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3460) 또는 화면(3470)이 디스플레이된 되도록 제어한다. 화면(3460)은 액티브 모드로 피드(3410)가 추천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3470)은 풀 스크린 모드로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피드(3410)가 추천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은 "무한도전1"이다.
만일 피드(3410)가 추천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348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3480)는 지역이 달라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는 내용을 지시한다.
도 35는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 페이지(3400) 중 피드(342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3560)이 디스플레이된 되도록 제어한다. 화면(3560)은 피드(3420)가 추천하는 컨텐츠가 실행 또는 구매하기 위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일 수 있다. 피드(3420)가 추천하는 컨텐츠는 "소녀시대 도쿄 뮤직 페스티발 2010"를 제목으로 갖는 뮤직 비디오이다.
도 36은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 페이지(3400) 중 피드(343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366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3660)은 피드(3430)가 추천하는 컨텐츠가 실행 또는 구매하기 위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일 수 있다. 피드(3430)가 추천하는 컨텐츠는 "iChristmas"를 제목으로 갖는 앱이다.
도 37은 피드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된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 페이지(3400) 중 피드(344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3760)이 디스플레이된 되도록 제어한다. 화면(3760)은 피드(3440)가 추천하는 컨텐츠의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일 수 있다. 피드(3440)가 추천하는 컨텐츠는 "Transformer 1"를 제목으로 갖는 앱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데이터 흐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SNS 게이트웨이(210)로 전송한다(S38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SNS 서버(20)로부터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한다(S382).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상기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와 연관된 피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는 도 33의 단계 S33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페이지(3800)는 단계 S382에서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이다. 디스플레이 페이지(3800)의 피드들은 각각 연관된 메타데이터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SNS 서버로 직접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NS 서버로부터 직접 디스플레이 페이지(3800)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피드(38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선택된 피드(3810)와 연관된 메타데이터 아이디를 중계 매니저(3230)로 전달한다(S383). 중계 매니저(3230)는 상기 메타데이터 아이디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관리서버(210)에 요청한다(S384).
메타데이터 관리서버(210)는 상기 메타데이터 아이디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중계 매니저(3230)로 전송한다(S385).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중계 매니저(3230)로 전달한다.
중계 매니저(3230)는 상기 전송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3861)를 화면(3860)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3860)은 컨텐츠에 대한 상세 설명 페이지, 서치 결과, 컨텐츠의 실행 화면,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화면(3860)은 도 25의 화면(2510), 도 26의 화면(2610) 및 도 27의 화면(2710)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90).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도 33의 단계 S338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고, 도 38의 단계 S382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도 21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110), 도 25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535), 도 26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635) 및 도 27의 디스플레이 페이지(2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에 포함된 피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391).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디바이스 타입을 확인한다(S392). 여기서 디바이스 타입은 디지털 TV,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 노트북,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피드와 연관된 기능을 다르게 수행한다(S393). 여기서 피드와 연관된 기능은 도 34에서 전술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도 35에서 전술된 뮤직 비디오 컨텐츠를 실행 또는 구입을 위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도 36에 전술된 앱 컨텐츠를 실행 또는 구입을 위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도 37에 전술된 VOD 컨텐츠에 대한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타입이 이동 단말기이고, 선택된 피드의 기능이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인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지털 TV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도 38의 단계 385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다. 디바이스 타입이 디지털 TV이고, 선택된 피드의 기능이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인 경우에는, 제어부(440)는 디스플레이(402)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도 40은 디스플레이 페이지 상에 시청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20)는 화면(4000)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440)는 방송 순위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400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4000)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4010) 및 액티브 영역(402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4010)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액티브 영역(4020)은 SNS 서버 또는 서비스 선택하기 위한 메뉴 영역(4021) 및 서비스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표시하는 페이지 영역(4025)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영역(4021)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4031, 4032, 4033, 4034)을 포함하고, 페이지 영역(4025)은 디스플레이 페이지에 포함된 피드(4041, 4042, 4043)를 표시한다. 방송 순위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는 파퓰러 나우(Popular Now)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4031)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파퓰러 나우(Popular Now) 서비스는 시청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의미한다.
피드(4041, 4042, 4043)는 각각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한다. 피드(4041)의 사용자의 수는 395이고, 피드(4042)의 사용자의 수는 123이며, 피드(4043)의 사용자의 수는 33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수는 동일 국가에서 상기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의 수일 수 있다. 사용자의 수에 따라 피드(4041, 4042, 4043)는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피드(4041, 4042, 4043)는 각각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피드(4041)는 상기 사용자의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의 사진(4051, 4052, 4053)을 나열한다. 상기 사용자의 리스트는 사용자의 사진 및 사용자의 SNS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피드(4041, 4042, 4040)는 각각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 정보는 채널명(Channel Name),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시작 시간(Start Time) 및 방송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피드(4041)는 방송 프로그램명이 "무한도전"인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명(Channel Name),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방송 시작 시간(Start Time) 및 방송 종료 시간(End Time)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 정보는 국가 정보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1은 시청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 상의 피드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이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피드(4115)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이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411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41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다운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411).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피드(4115)에 위치한 지시자(4113)를 피드(4116)로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402)는 화면(4120)을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4111)에 디스플레이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4121)에서 계속 디스플레이되고,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4111)에 디스플레이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피드(4115)는 다른 피드(4116, 4117)가 구별되는 바탕색을 갖는다.
화면(412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업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412).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지시자(4123)를 위치(4113)로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402)는 화면(411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412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선택 키(예를 들면, OK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413).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402)는 화면(4130)을 디스플레이한다.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 영역(4131)은 피드(4116)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피드(4116)는 다른 피드(4115, 4116)와 구별되는 바탕색으로 변경된다. 또한 피드(4115)는 피드(4117)와 동일한 바탕색으로 변경된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 정보 제공 방법의 수행과정에서 데이터 흐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SNS 게이트웨이(210)로 방송 순위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21).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NS 게이트웨이(210)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SNS 게이트웨이(210)가 전송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한다(S422).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도 40의 디스플레이 페이지(4025)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페이지(4200)는 상기 수신한 디스플레이 페이지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피드(4210)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 피드(4210)를 선택하는 방식은 도 41에서 전술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선택한 피드(4210)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정보를 중계 매니저(210)로 전송한다(S423). 여기서 방송 정보는 채널명, 주 채널 번호, 보조 채널 번호,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 매니저(210)는 제어부(440)가 전송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중단시키고 수신된 방송 정보가 지시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4241)이 화면(42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S424). 여기서 화면(4240)은 도 41의 화면(4110) 또는 화면(4130)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방송 순위를 요청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430).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4010의 아이콘(4031)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중계 서버(10)로 방송 순위를 요청한다(S431).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중계 서버(10)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전송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수는 동일 국가에서 상기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의 수일 수 있다.
상기 피드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리스트는 사용자의 사진 및 사용자의 SNS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방송 정보는 채널명(Channel Name),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시작 시간(Start Time) 및 방송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중계 서버(10)가 전송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한다(S432).
디스플레이(402)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33).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페이지의 피드들은 사용자의 수를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도 4000의 디스플레이 페이지(4025) 및 도 42의 디스플레이 페이지(4200) 중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피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434). 사용자는 도 41에 전술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조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제어부(440)는 선택된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는 채널명, 주 채널 번호, 보조 채널 번호,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405)는 상기 추출된 방송 정보가 지시하는 채널로 채널을 튜닝하고, 튜닝된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 정보가 지시하는 실시간 방송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402)는 상기 수신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S436). 여기서 디스플레이(402)는 도 41의 화면(4110) 또는 화면(41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피드에 포함된 사용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S437). 여기서 상기 사용자 조치는 도 40의 섬네일(4051)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선택된 사용자의 SNS 계정과 연결한다(S438). 상기 연결을 통해, 전자 장치(400)의 사용자는 선택된 사용자와 채팅, 메시지 교환 및 동시시청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20)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중계 서버(10)로 전송한다(S439). 제어부(440)는 상기 방송 정보가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된 경우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명(Channel Name),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방송 프로그램명, 방송 시작 시간(Start Time) 및 방송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는 국가 정보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계 서버(10)는 상기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정보를 기초로 각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산출한다. 그리고, 중계 서버(10)는 상기 방송 정보 및 상기 산출한 사용자 수를 이용하여 각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생성한다.
도 44는 디스플레이된 컨텐츠의 일부를 더빙하는 수행 과정의 일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402)는 화면(441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4410)에서 포인터(4401)는 라이크 버튼(4411)에 위치한다.
화면(44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컨텐츠 추천을 위한 버튼을 누르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추천을 위한 버튼은 OK 버튼(4405)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402)는 화면(442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4420)은 더빙 진행 사항을 나타내는 진행바(4421)를 포함한다. 진행바(4421)는 상기 컨텐츠 추천을 위한 버튼(4405)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 동안 눌러진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상기 컨텐츠 추천을 위한 버튼(4405)의 누름이 유지되는 동안, 화면(4420)의 컨텐츠 디스플레이 영역(4425)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저장부(445)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402)는 화면(443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4430)은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4431)를 디스플레이한다. 컨텐츠 추천 메시지(4431)는 더빙된 부분을 볼 수 있는 버튼(4435)을 포함한다. 제어부(440)는 상기 컨텐츠 추천을 위한 버튼을 놓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의 저장을 중지하고, 컨텐츠 추천 확인 메시지(4431)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40)는 저장부(445)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미디어 파일 또는 비디오 파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2)는 화면(4440)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4440)은 화면(4410) 내지 화면(4430)에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를 추천하는 피드(4441)를 디스플레이한다. 피드(4441)는 상기 생성된 비디오 파일 또는 미디어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버튼(4445)을 포함한다.
도 45는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Activity Electronic Program Guide)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는 월별(Dec 2011, Nov 2011, Oct 2011, Sept 2011, Aug 2011)로 생성된 피드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들은 각각 추천된 컨텐츠와 연관된다.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는 플레이 올(Play All) 버튼(4511) 및 애드 바스킷(Add Basket) 버튼(4512)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의 플레이 올(Play All) 버튼(4511)을 선택하는 조치를 행하여,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의 각 피드들과 연관된 컨텐츠를 연속적으로 실행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애드 바스킷 버튼(4512)을 선택하는 조치를 행하여,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의 피드와 연관된 컨텐츠를 저장부(445) 또는 사전에 설정된 웹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SNS 서버가 전송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이용하여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중계 서버(10)는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 및 SNS 서버가 전송한 디스플레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SNS 서버가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500) 생성하고, 전자 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6은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Activity Electronic Program Guide)에서 소개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액티비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4600)의 플레이 올(Play All) 버튼(4610)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화면(462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4620)은 피드(4611)와 연관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상기 컨텐츠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화면(4630)이 디스플레이된다. 화면(4630)은 상기 컨텐츠의 상세 설명을 포함하는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화면(463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어부(440)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특별한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지 못 한 경우에는, 다른 피드와 연관된 컨텐츠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화면(4640)은 피드(4613)와 연관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Claims (20)

  1.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 간에 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계 서버로 방송 순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리스트는 사용자의 사진 및 사용자의 SNS 계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리스트에 포함된 사용자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SNS 계정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채널명(Channel Name), 주 채널 번호(Major Number), 보조 채널 번호(Minor Number), 방송 프로그램 명, 방송 시작 시간(Start Time) 및 방송 종료 시간(End Ti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는 사용자의 수를 기준으로 정렬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피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치 감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된 채널로 수신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수는 동일 국가에서 상기 피드와 연관된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된 경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국가 정보 및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4.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 간에 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중계 서버로 방송 순위의 요청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페이지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튜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소셜 네트워킹 환경의 사용자 간에 시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피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생성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 중 하나는 하나의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되고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수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디스플레이 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드 중 하나는 연관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추천한 사용자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추천된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게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SNS 계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SNS 계정 및 상기 방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연관시켜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 영역을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사용자 식별자, SNS 서버와의 세션을 식별하기 위한 세션 식별자 및 세션 식별자 시크릿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식별자는 세션 아이디, 토큰(Token) 및 쿠키(cooki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정보 제공 방법.
KR1020120002688A 2011-11-15 2012-01-09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 KR10190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7533.8A EP2595405B1 (en) 2011-11-15 2012-11-0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EP12007563.5A EP2595406A1 (en) 2011-11-15 2012-11-07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viewing
US13/676,908 US9066146B2 (en) 2011-11-15 2012-11-14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viewing
US13/678,233 US9204197B2 (en) 2011-11-15 2012-11-15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CN201210460424.7A CN103108247B (zh) 2011-11-15 2012-11-15 提供内容推荐服务的电子装置和方法
CN201210460770.5A CN103108224B (zh) 2011-11-15 2012-11-15 提供与广播观看相关的信息的电子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0239P 2011-11-15 2011-11-15
US61/560,239 2011-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097A true KR20130054097A (ko) 2013-05-24
KR101903639B1 KR101903639B1 (ko) 2018-10-04

Family

ID=486631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88A KR101903639B1 (ko) 2011-11-15 2012-01-09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
KR1020120002689A KR101923441B1 (ko) 2011-11-15 2012-01-09 전자 장치 및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689A KR101923441B1 (ko) 2011-11-15 2012-01-09 전자 장치 및 컨텐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9036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29A1 (ko)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소셜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8523B1 (ko) * 2018-12-05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16740A1 (ko) * 2018-12-07 2020-06-11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편집 시스템 및 편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3795B2 (en) * 2013-07-18 2016-08-09 Facebook,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action buttons for viewing media content
KR101384668B1 (ko) * 2013-10-15 2014-04-14 조용상 하이브리드앱을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라이브방송을 제공하는 솔루션 시스템 및 방법
KR101961094B1 (ko) * 2017-07-25 2019-03-25 (주)사람인에이치알 구인구직 사이트에서의 채용공고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3081A1 (en) * 2007-11-16 2009-05-21 Yusuke Sakai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20090293079A1 (en) * 2008-05-20 2009-11-26 Verizon Business Network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ocial networking for television view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7395B2 (en) * 2008-04-22 2012-11-06 Porto Technology, Llc Publishing key frames of a video content item being viewed by a first user to one or more second us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3081A1 (en) * 2007-11-16 2009-05-21 Yusuke Sakai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20090293079A1 (en) * 2008-05-20 2009-11-26 Verizon Business Network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ocial networking for television view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5729A1 (ko) * 2017-02-21 2018-08-30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소셜 방송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8523B1 (ko) * 2018-12-05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16776A1 (ko) * 2018-12-05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16740A1 (ko) * 2018-12-07 2020-06-11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편집 시스템 및 편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639B1 (ko) 2018-10-04
KR101923441B1 (ko) 2018-11-29
KR20130054098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540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CN107087224B (zh) 内容同步设备和方法
CN110647303B (zh) 一种多媒体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903639B1 (ko) 전자 장치 및 시청 정보 제공 방법
CN107979772B (zh) 共用和个人装置协作提供个性化用户功能的方法和设备
US20150100463A1 (en) Collaborative home retailing system
KR101783115B1 (ko) 명령 처리를 위한 텔레스트레이션 시스템
US967457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about service provider
US2022039144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ambiguating user input based on detection of ensembles of items
KR101903637B1 (ko) 전자 장치 및 채널맵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101971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ty service
CN104903844A (zh) 用于呈现网络和相关联的移动设备中的数据的方法
WO2015131813A1 (zh) 一种进行设备操作的方法和系统
CN103108224B (zh) 提供与广播观看相关的信息的电子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