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454A -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454A
KR20130053454A KR1020110087089A KR20110087089A KR20130053454A KR 20130053454 A KR20130053454 A KR 20130053454A KR 1020110087089 A KR1020110087089 A KR 1020110087089A KR 20110087089 A KR20110087089 A KR 20110087089A KR 20130053454 A KR20130053454 A KR 20130053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cking
area
list
selection
targe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162B1 (ko
Inventor
기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8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162B1/ko
Priority to US13/595,786 priority patent/US20130174089A1/en
Publication of KR2013005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는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1 플리킹(flicking)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부 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상기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컨트롤러와, 명령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신호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LIST SELECTION USING FLICKING}
본 발명은 플리킹을 이용하여 리스트 내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선택 해제 또는 그룹화를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다양한 장치(예컨대, 스마트폰)에 적용됨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한 다양한 기능의 UI(User Interface)가 필요하다.
예컨대,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일반적으로 오브젝트가 배열된 리스트를 제공하고, 선택 모드로의 진입 요청에 연동하여,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및 선택 해제를 입력할 수 있는 UI(예컨대, 체크 박스(checkbox), 색 변화, 특정 마커(marker))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폰에서의 리스트에 대한 오브젝트 선택 및 선택 해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은 오브젝트가 배열된 리스트를 제공하고, 선택 모드로의 진입 요청에 연동하여, 오브젝트에 대해 선택 및 선택 해제를 입력할 수 있는 체크 박스(101)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해, 선택 모드로의 진입 요청을 수행 함에 따라 번거로움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오브젝트가 배열된 리스트에서의 오브젝트 선택 및 선택 해제가 용이한 UI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 내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플리킹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를 선택, 선택 해제 또는 그룹화하여, 선택 모드로의 진입 단계 절차를 생략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리킹 입력에 따라, 다중구조의 선택 또는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을 지원하여, 명령 이벤트를 적용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는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1 플리킹(flicking)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부 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상기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컨트롤러와, 명령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신호 처리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은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1 플리킹(flicking)을 입력 받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부 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상기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단계와, 명령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신호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내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플리킹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를 선택, 선택 해제 또는 그룹화하여, 선택 모드로의 진입 단계 절차를 생략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리킹 입력에 따라, 다중구조의 선택 또는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을 지원하여, 명령 이벤트를 적용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폰에서의 리스트에 대한 오브젝트 선택 및 선택 해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복수 그룹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숨김 및 숨김해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숨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숨김해제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다중구조 선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플리킹'은 임의의 좌표점을 터치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200)는 인터페이스(201), 컨트롤러(203) 및 처리부(205)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201)는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예, item)에 대한 제1 플리킹(flicking)을 입력 받는다. 이때, 인터페이스(201)는 상기 제1 플리킹을, 상기 오브젝트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scroll) 방향과 구별되는 방향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201)는 스크롤 방향이 '↑' 또는 '↓'일 경우, 제1 플리킹을 '←' 또는 '→'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01)는 제1 플리킹 입력과 연관하여 형성된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제2 플리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203)는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으면,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 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상기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한다. 여기서, 컨트롤러(203)는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3)는 제1 플리킹이 우측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하고, 제1 플리킹이 좌측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컨트롤러(203)는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을 입력 받으면, 입력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03)는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일 경우, 상기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로 복원하고,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이 아닐 경우, 디스플레이부 내 다른 일부를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여,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3)는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된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제2 플리킹을 입력 받으면,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 즉,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일 경우,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오브젝트로 복원하여, 상기 제1 플리킹 입력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3)는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 즉,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이 아닐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킴으로써, 다중구조의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와 선택대상 표시영역의 연관 시, 컨트롤러(203)는 오브젝트를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오브젝트가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점유(즉, 오브젝트를 확장하여 리스트 영역 및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함께 위치시킴)하도록 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03)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 중에서, 제1 플리킹 입력에 의해 선택된 그룹 오브젝트만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3)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펼침 이벤트, 또는 리스트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그룹 오브젝트를 선택대상 표시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03)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펼침명령 이벤트, 또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그룹 오브젝트를 선택대상 표시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203)는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 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그룹 오브젝트가 배열된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03)는 그룹 오브젝트만을 표시한 상태에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제1 플리킹이 입력되지 않은 오브젝트 및 제1 플리킹 입력에 의해 선택된 그룹 오브젝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3)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 숨김 처리된 리스트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좁힘명령 이벤트, 또는 리스트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해제 처리하고, 오브젝트를 리스트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03)는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03)는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이 제1,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이고,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열된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이,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갱신 표시 함으로써,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03)는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제1 그룹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에 배열되며, 제2 그룹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에 배열된 상태에서, 제1 영역 상에 배열된 제1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이,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제1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갱신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203)는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제1 그룹 오브젝트를 제1 영역에서 제거하는 동시에, 설정된 배열 기준(예컨대, 오브젝트 명, 오브젝트 생성일 등)에 기초하여, 제2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처리부(205)는 명령 이벤트 발생에 따라,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신호 처리한다. 예컨대, 처리부(205)는 삭제 또는 업로드 이벤트 발생에 따라,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삭제 또는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은 예컨대, 리스트영역(301)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 방향(303)과 구별되는 제1 방향(305)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으면, 디스플레이부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307)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 즉, '오브젝트 08'(309)이 선택대상 표시영역(307)을 점유하도록 하여, '오브젝트 08'(309)과 선택대상 표시영역(307)을 연관시킴으로써, 오브젝트를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오브젝트 11'(311)에 대해 제1 방향(313)으로 제1 플리킹이 입력된 경우, '오브젝트 11'(311) 또한 선택대상 표시영역(307)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단말은 메뉴 요청에 따라, 제공된 메뉴 중 선택 입력과 연관된 기능 1(315)을,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된 '오브젝트 08'(309),'오브젝트 11'(311)에 대해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그룹 오브젝트 즉, '오브젝트 08'(309) 또는 '오브젝트 11'(311)에 대한 제2 플리킹이 리스트 영역(301)의 제2 방향(317, 319)으로 입력된 경우, '오브젝트 08'(309) 또는 '오브젝트 11'(311)을 복원하여, 리스트영역(301)에 오브젝트를 배열 함으로써, 제1 플리킹 입력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복수 그룹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예컨대, 리스트영역(401)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 방향(403)과 구별되는 제1 방향(405)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음에 따라,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 즉, '오브젝트 08'(409)을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선택대상 표시영역(407)과 연관시켜 제1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리스트영역(401)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 방향(405)과 구별된 제2 방향(411)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음에 따라,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 즉, '오브젝트 10'(413)을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선택대상 표시영역(415)과 연관시켜 제2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리스트영역(401)에 배열된 오브젝트의 일부를, 제1 그룹 오브젝트와 제2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 함으로써, 각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숨김 및 숨김해제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리스트영역(501)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해, 제1 방향(503)으로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선택대상 표시영역(505)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한 상태에서, 선택대상 표시영역(505)에 대한 터치-펼침 이벤트(507), 또는 리스트영역(501)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509)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501)을 숨김 처리하고, 그룹 오브젝트(511)을 확장된 선택대상 표시영역(513) 상에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메뉴 요청에 따라, 제공된 메뉴 중 선택 입력과 연관된 기능을, 그룹 오브젝트(511)에 대해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선택대상 표시영역(513) 상에 배열된 그룹 오브젝트(511)에 대해 제1 방향(503)과 구별된 리스트 영역(501)의 제2 방향(515)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 즉, '오브젝트 11'(517)을 오브젝트로 복원하여, 그룹 오브젝트(511)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그룹 오브젝트(511)이 배열된 선택대상 표시영역(513)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519)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501)을 숨김해제 처리하고, 오브젝트를 리스트영역(501) 상에 배열하여 제1 플리킹이 입력되지 않은 오브젝트 및 제1 플리킹 입력에 의해 선택된 그룹 오브젝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숨김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선택대상 표시영역(601)에 대한 터치-펼침 이벤트(603) 외에, 선택대상 표시영역(601)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펼침명령 이벤트, 또는 선택대상 표시영역(601)에 뷰 포인트(603)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605)을 숨김 처리하고, 그룹 오브젝트(607)을 확장된 선택대상 표시영역(609) 상에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상기 터치와 연관된 펼침명령 이벤트로서 예컨대, ⅰ)선택대상 표시영역(601) 내 그룹 오브젝트가 점유하지 않은 임의의 지점(611)에서 리스트영역(605) 방향으로의 플리킹이 입력된 경우, ⅱ)선택대상 표시영역(601) 내 그룹 오브젝트가 점유하지 않은 임의의 지점(613)이 더블 클릭된 경우, ⅲ)선택대상 표시영역(601) 내 복수의 지점(615)에서 리스트영역(605) 방향으로의 플리킹이 입력된 경우, 또는 ⅳ)메뉴 요청에 따라, 제공된 메뉴 중 펼침명령 이벤트(617)가 선택된 경우, 리스트영역(605)을 숨김 처리하고, 그룹 오브젝트(607)을 선택대상 표시영역(609) 상에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숨김해제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은 선택대상 표시영역(701)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703) 외에, 숨김 처리된 리스트영역(705)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좁힘명령 이벤트, 또는 리스트영역(705)에 뷰 포인트(707)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705)을 숨김해제 처리하고, 오브젝트를 리스트영역(705) 상에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상기 터치와 연관된 좁힘명령 이벤트로서 예컨대, ⅰ)숨김 처리된 리스트영역(705) 내 임의의 지점(709)에서 리스트영역(705)의 반대 방향으로의 플리킹이 입력된 경우, ⅱ)선택대상 표시영역(701) 내 임의의 지점(711)이 더블 클릭된 경우, ⅲ) 리스트영역(705) 내 복수의 지점(713)에서 리스트영역(705)의 반대 방향으로의 플리킹이 입력된 경우, 또는 ⅳ)메뉴 요청에 따라, 제공된 메뉴 중 좁힘명령 이벤트(715)가 선택된 경우, 리스트영역(705)을 숨김해제 처리하고, 오브젝트를 리스트영역(705) 상에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다중구조 선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은 선택대상 표시영역(801)에 대한 터치-펼침 이벤트(803)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805)이 숨김 처리되고, 그룹 오브젝트(807)이 선택대상 표시영역(809) 상에 배열된 상태에서, 그룹 오브젝트(807)에 대해 제2 플리킹이 리스트 영역(805)의 반대 방향의 제2 방향(811)으로 입력된 경우, 선택대상 표시영역(809)과 다른 일부를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813)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 즉, '오브젝트 06'(815)을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813)과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오브젝트 06'(815)에 대한 플리킹이 리스트 영역(805) 방향으로 입력된 경우, '오브젝트 06'(815)을 복원하여, 선택대상 표시영역(809)에 그룹 오브젝트를 배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리스트영역(901)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903)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901)을 숨김 처리하고, 제1, 2 그룹 오브젝트(905, 907)을 제1,2 선택대상 표시영역(909, 911) 상에 각각 배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제2 선택대상 표시영역(911) 상에 배열된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 즉, '오브젝트 09'(913)에 대한 제2 플리킹이, 제1 선택대상 표시영역(909)을 향하는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오브젝트 09'(913)을 제2 선택대상 표시영역(911)에서 제거하는 동시에, 제1 선택대상 표시영역(909) 상에 배열하여 표시 함으로써,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리스트영역(1001)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 방향(1003)과 구별되는 제1 방향(1005)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으면, 디스플레이부내 제1 방향(1005)과 연관된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1007)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 즉, '17'의 오브젝트(1009)을 리스트영역(1001)에서 선택대상 표시영역(1007)으로 이동하여, '17'의 오브젝트(1009)과 선택대상 표시영역(1007)을 연관시킴으로써, '17'의 오브젝트(1009)을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23'의 오브젝트(1011)에 대해 제1 방향(1013)으로 제1 플리킹이 입력된 경우, '23'의 오브젝트(1011) 또한 선택대상 표시영역(1007)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메뉴 요청에 따라, 제공된 메뉴 중 선택 입력과 연관된 기능 1(1015)을,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된 '17', '23'의 오브젝트(1009, 1011)에 대해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그룹 오브젝트 즉, '23'의 오브젝트(1011)에 대한 제2 플리킹이 리스트 영역(1001)의 제2 방향(1017)으로 입력된 경우, '23'의 오브젝트(1011)을 복원하여, 리스트영역(1001)에 오브젝트를 배열 함으로써, 제1 플리킹 입력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단말은 '23'의 오브젝트(1011)에 대해 제1 방향(1005)과 구별된 제2 방향(1019)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으면, 디스플레이부내 제2 방향(1019)과 연관된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1021)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 즉, '23'의 오브젝트(1011)을 리스트영역(1001)에서 선택대상 표시영역(1021)으로 이동하여, '23'의 오브젝트(1011)과 선택대상 표시영역(1021)을 연관시킴으로써, '23'의 오브젝트(1011)을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에서의 리스트 선택 또는 선택 해제에 대한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리스트영역(1101)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해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 입력과 연관된 오브젝트 즉 '5'의 오브젝트(1103)를 활성화하여, 'Photo 5'의 사진(1105)을 표시하고, 사진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 방향(1107)으로의 플리킹 입력에 따라, 다음 오브젝트에 연관된 'Photo 6'의 사진(1109)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은 'Photo 6'의 사진(1109)이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방향(1107)과 구별되는 제1 방향(1111)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으면, 디스플레이부내 제1 방향(1111)과 연관된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1113)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Photo 6'의 사진(1109)에 대한 '6'의 오브젝트(1115)을 선택대상 표시영역(1113)으로 이동하여, '6'의 오브젝트(1115)과 선택대상 표시영역(1113)을 연관시킴으로써, '6'의 오브젝트(1115)을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1201에서, 단말 장치는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는다. 이때,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플리킹을, 상기 오브젝트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scroll) 방향과 구별되는 방향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1203에서,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한다.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는 제1 플리킹이 우측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하고, 제1 플리킹이 좌측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에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1205에서, 단말 장치는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한다. 이때, 단말 장치는 오브젝트를 리스트영역에서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오브젝트가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점유(즉, 오브젝트를 확장하여 리스트 영역 및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함께 위치시킴)하도록 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킬 수 있다.
단계 1207에서, 단말 장치는 명령 이벤트 발생에 따라,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신호 처리한다. 예컨대, 단말 장치는 삭제 또는 업로드 이벤트 발생에 따라,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삭제 또는 업로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205에서, 단말 장치는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제2 플리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일 경우, 상기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로 복원하고,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이 아닐 경우, 디스플레이부 내 다른 일부를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여,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된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 즉,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일 경우, 그룹 오브젝트를 오브젝트로 복원하여, 상기 제1 플리킹 입력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리스트 영역 즉, 디스플레이부의 좌측이 아닐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우측에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킴으로써, 다중구조의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205에서, 단말 장치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 중에서, 플리킹 입력에 의해 선택된 그룹 오브젝트만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장치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펼침 이벤트, 또는 리스트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그룹 오브젝트를 선택대상 표시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펼침명령 이벤트, 또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그룹 오브젝트를 선택대상 표시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그룹 오브젝트만을 표시한 상태에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플리킹이 입력되지 않은 오브젝트 및 플리킹 입력에 의해 선택된 그룹 오브젝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는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 숨김 처리된 리스트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좁힘명령 이벤트, 또는 리스트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해제 처리하고, 오브젝트를 리스트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는 단계 1201, 1203, 1205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되,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해, 처음으로 입력되는 제1 플리킹과 구별되는 방향으로 제1 플리킹을 입력 받음에 따라, 제1,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하고, 제1 영역과 연관된 제1 그룹 오브젝트 및 제2 영역과 연관된 제2 그룹 오브젝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는 제1 영역 상에 배열된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이,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를 제2 영역 상에 배열하여 디스플레이부에 갱신 표시 함으로써,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을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내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플리킹 입력에 따라, 오브젝트를 선택, 선택 해제 또는 그룹화하여, 선택 모드로의 진입 단계 절차를 생략한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리킹 입력에 따라, 다중구조의 선택 또는 그룹 간 그룹 오브젝트 이동을 지원하여, 명령 이벤트를 적용하고자 하는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201: 인터페이스 203: 컨트롤러
205: 처리부

Claims (17)

  1.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1 플리킹(flicking)을 입력 받는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부 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고,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상기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으로 전환하는 컨트롤러; 및
    명령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신호 처리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을 입력 받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상기 리스트 영역일 경우, 상기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로 복원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을 입력 받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상기 리스트 영역이 아닐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 다른 일부를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키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오브젝트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scroll) 방향과 구별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리킹을 입력 받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리스트영역에서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점유하도록 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키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펼침 이벤트, 또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상기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펼침명령 이벤트, 또는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상기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 상기 숨김 처리된 리스트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좁힘명령 이벤트, 또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해제 처리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리스트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이 제1,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열된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이,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갱신 표시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10. 리스트영역에 배열된 오브젝트에 대한 제1 플리킹(flicking)을 입력 받는 단계;
    디스플레이부 내 일부를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된 오브젝트를 상기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단계; 및
    명령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해 신호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상기 리스트 영역일 경우, 상기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오브젝트로 복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되는 방향이 상기 리스트 영역이 아닐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내 다른 일부를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할당하여, 상기 제2 플리킹이 입력된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서브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켜 그룹 오브젝트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리스트영역에서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기 오브젝트가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을 점유하도록 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과 연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펼침 이벤트, 상기 리스트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펼침명령 이벤트, 또는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 처리하고, 상기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에 대한 터치-좁힘 이벤트, 상기 숨김 처리된 리스트영역에서의 터치와 연관된 좁힘명령 이벤트, 또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뷰 포인트가 위치하도록 하는 모션 이벤트 중 어느 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상기 리스트영역을 숨김해제 처리하고,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리스트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대상 표시영역이 제1,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영역 상에 배열된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에 대한 제2 플리킹이, 상기 제2 영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임의의 그룹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 상에 배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갱신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방법.
KR1020110087089A 2011-08-30 2011-08-30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1351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89A KR101351162B1 (ko) 2011-08-30 2011-08-30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US13/595,786 US20130174089A1 (en) 2011-08-30 2012-08-27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ist sel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089A KR101351162B1 (ko) 2011-08-30 2011-08-30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454A true KR20130053454A (ko) 2013-05-24
KR101351162B1 KR101351162B1 (ko) 2014-01-14

Family

ID=4866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089A KR101351162B1 (ko) 2011-08-30 2011-08-30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74089A1 (ko)
KR (1) KR101351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DE202013012233U1 (de) 2012-05-09 2016-01-18 Apple Inc. Vorrichtung und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m Anzeigen zusätzlicher Informationen in Antwort auf einen Benutzerkontakt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8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DE112013002387T5 (de) 2012-05-09 2015-02-12 Apple Inc.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oberfläche für die Bereitstellung taktiler Rückkopplung für Operationen i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KR101952177B1 (ko) * 2012-07-30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729695B2 (en) * 2012-11-20 2017-08-08 Dropbox Inc. Messaging client application interface
JP6158947B2 (ja) 2012-12-29 2017-07-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入力からディスプレイ出力への関係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AU2013368441B2 (en) 2012-12-29 2016-04-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KR102301592B1 (ko) 2012-12-29 2021-09-10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계층을 내비게이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4105277A2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US10025461B2 (en) * 2014-04-08 2018-07-17 Oath Inc. Gesture input for item selection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WO2019087942A1 (ja) * 2017-10-31 2019-05-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操作装置、その作動方法および作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268B1 (ko) 2005-12-26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 인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자통신 기기
US20090278806A1 (en) * 2008-05-06 2009-11-12 Matias Gonzalo Duarte Extended touch-sensitive control area for electronic device
KR101503835B1 (ko) * 2008-10-13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터치를 이용한 오브젝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640463B1 (ko) * 2009-05-19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23783B1 (ko) * 2009-10-08 2016-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데이터 추출 방법
KR20110061285A (ko) * 2009-12-01 201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디바이스 및 이의 터치 패널 운용 방법
KR20110073857A (ko) * 2009-12-24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539384B2 (en) * 2010-02-25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US8595645B2 (en) * 2010-03-11 2013-11-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rquee scrolling within a display area
KR20110107143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입력을 이용한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63560B1 (ko) * 2012-02-29 2014-02-18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 및 이의 동작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162B1 (ko) 2014-01-14
US20130174089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162B1 (ko) 플리킹을 이용한 리스트 선택 지원 단말 장치 및 방법
JP570482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30064B (zh) 管理用户界面中的项的方法和系统以及计算设备
KR101685529B1 (ko) 화면 구성 방법,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저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N103164157B (zh) 在便携式终端中用于提供多点触摸交互的方法和设备
KR102266198B1 (ko) 이종 애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그룹을 나타내는 탭 윈도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9274686B2 (en) Navigation framework for visual analytic displays
CN105378597B (zh) 用于显示的方法及其电子装置
KR102027879B1 (ko)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030487A (zh) 用于控制屏幕的组成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00676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totyping too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8198083A (ja) アニメーションのモーションシーケンス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150019979A1 (en) Signal distribution interface
CN105573615A (zh) 用于通过应用选择屏幕来运行应用的方法和装置
JP2017194364A (ja) 地図表示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198675A1 (en) Display with shared control panel for different input sources
US9501200B2 (en) Smart display
EP3734431A1 (en) Image panning method
JP2014002678A (ja) 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JP6747262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30630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CN104081333A (zh) 包括均描绘图形用户界面的区域的输入镜头的远程显示区
CN111052070B (zh) 用户接口开发支持装置与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2009043009A (ja) ウィンドウ表示制御装置、ウィンドウ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