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324A -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324A
KR20130053324A KR1020110119094A KR20110119094A KR20130053324A KR 20130053324 A KR20130053324 A KR 20130053324A KR 1020110119094 A KR1020110119094 A KR 1020110119094A KR 20110119094 A KR20110119094 A KR 20110119094A KR 20130053324 A KR20130053324 A KR 20130053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hole
rudder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세형
이창영
조신일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324A/en
Publication of KR20130053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3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PURPOSE: A lifting device for repairing of a rudder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reduce an anchorage period without a dry dock for repairing of the rudder and to safely separate and move the rudder which is a heavy object. CONSTITUTION: A lifting device for repairing of a rudder(50) comprises a lug plate(10), a lifting plate(20), and a fastening rod. A lifting hole(51) of the rudder is fitted into a fastening hole(11) on the lug plate, and the fastening rod penetrates the holes. A rope unit(60) is inserted into a hole for rope penetration of the lifting plate and is connected to a chain block. The rudder is lifted and is separated by a lug(70) which is attached to an external plate of a vessel body.

Description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 및 방법{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other repairs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본 발명은 선박용 타를 수리하기 위해 이를 선박에서 분리해 낼 경우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서, 안벽조건에서 타 양면에 부착하여 곧바로 타를 분리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hen separating a ship's rudder from the ship, and provides a lifting device and method that can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other in the quay wall conditions to immediately remove and repair the rudder.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선박용 타(rudder)(50)의 몸체에는 상부 좌측과 하부 우측에 리프팅 홀(hole)(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프팅 홀(5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50)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타(50)를 선박으로부터 분리해 내기 위하여 타(50)를 리프팅 할 때 사용하는 수단이다.
As shown in (a) of FIG. 4, generally, a lifting hole 51 is formed at an upper left side and a lower right side of a body of a ship rudder 50. The lifting hole 51 is a means used for lifting the rudder 50 in order to separate the rudder 50 from the ship when it is necessary to repair the rudder 50 as described below.

이러한 리프팅 홀(51)의 내부로는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tube) 형태의 관(52)이 타(50)를 관통하여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52)의 양쪽 입구는 타판과 동일한 재질의 리프팅 홀 커버(53)로 용접되므로 타(50)는 전체적으로 표면이 매끈하게 처리된다.
As shown in (b) of FIG. 4, a tube 52 in the form of a tube is welded through the other 50 into the lifting hole 51. And both the inlet of the tube 52 is welded by the lifting hole cover 53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udder plate, the rudder 50 is treated with a smooth surface as a whole.

한편, 선박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타(50)의 리프팅을 위한 별도의 부가장치는 수리조선소에서 제공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60) 또는 리프팅 홀(51)을 관통하는 장치와 체인블록을 연결하고 선체 외판에 부착된 러그(70)를 사용하여 타(50)를 리프팅 해 선박으로부터 분리해 내거나, 대차(propeller and rudder truck)를 사용하여 타(50)를 분리해 낸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hip, the additional device for the lifting of the other 50 is provided by the repair shipyard, generally as shown in Figure 5 penetrating through the wire rope 60 or lifting hole 51 The device is connected to the chain block and the rudder (50) attached to the hull shell is lifted to separate the rudder (50) from the ship, or the rudder (50) is removed using the propeller and rudder truck. .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수리 과정은 일반적으로 수리조선소의 드라이도크에서 이루어진다. 작업자가 타(50)에 접근하여 타(50)를 리프팅하고 분리하기 위한 작업환경을 드라이도크가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the repair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performed in the dry dock of the repair shipyard. This is because the dry dock may provide a working environment for the worker to approach the rudder 50 to lift and detach the rudder 50.

하지만 이처럼 수리조선소의 드라이도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주가 드라이도크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므로 선주의 입장에서 보면 수리비용에 대한 손실이 아주 크게 발생한다. 또한 드라이도크에서 대차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용접된 리프팅 홀 커버(53)를 분리하고 리프팅 홀(51)에 와이어 로프(60) 또는 임의의 장치를 부착해야 하는데 이러한 와이어 로프(60) 또는 임의의 장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간이 소요되며 만약 대차가 중량물인 타(50)를 위한 전용 장치가 아니라면 타(50)를 분리 및 수리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일단 드라이도크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도크가 빌 때가지 기다려야 하므로 여기에 소요되는 시간도 만만치 않다.
However, in order to use the dry dock of the repair shipyard, ship owners have to pay a dry dock fee, so from the owner's point of view, the loss of repair cost is very large. In addition, when working with a bogie on a dry dock, the welded lifting hole cover 53 must be removed and the wire rope 60 or any device attached to the lifting hole 51. Such a wire rope 60 or any I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the device and if the truck is not a dedicated device for the rudder 50 that is heavy,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repairing the rudder 50. Also, it takes a while for the dock to wait until the dock is empty.

따라서 만약 드라이도크가 아닌 안벽에서 곧바로 타(50)의 리프팅 및 수리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면 상술한 비용 및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대차 없이 작업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안벽조건에서 곧바로 타(50)를 분리 및 수리할 수 있게 하는 리프팅 장치를 타(50) 양면에 부착할 수 있다면 많은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the lifting and repair work of the rudder 50 can be performed directly on the quay, not the dry dock, the cost and time described above will be significantly reduced. It also means that you can work without a balance. In other words, if the lifting device can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rudder 50 so that the rudder 50 can be separated and repaired immediately under the quay wall con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save a lot of cost and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안벽조건에서 타 양면에 부착하여 곧바로 타를 분리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other in the quay wall conditions to immediately remove and repair the oth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과 동일한 크기의 체결용 홀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용 홀을 통하여 상기 타 표면에 체결되는 판 형상의 러그 플레이트;A plate-shaped lug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having the same size as a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fastened to the other surface through the fastening hole;

상기 러그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타를 리프팅 하기 위한 로프 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로프 관통용 홀을 구비하는 리프팅 플레이트 및;A lifting plate attached to the lug plate to form an integrated body and having a rope through hole through which rope means for lifting the rudder can pass;

상기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 및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을 관통하는 체결용 봉;A fastening rod penetrating a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a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을 포함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It provides a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 comprising a.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리프팅 방법으로서,As a lifting method using a lifting device for the other repair,

상기 타의 리프팅 홀과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을 맞추는 단계;Matching the other lifting hole with the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상기 체결용 봉을 상기 타의 리프팅 홀과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에 관통시키는 단계;Passing the fastening rod through the other lifting hole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로프 관통용 홀에 로프 수단을 끼우고 이를 체인블록과 연결하는 단계 및;Inserting a rope means into a rope through hole of the lifting plate and connecting it with a chain block;

선체 외판에 부착된 러그를 이용하여 상기 타를 리프팅 및 분리하는 단계;Lifting and separating the rudder using lugs attached to the hull shell;

를 포함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lifting method for other repair comprising a.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물인 타를 안전하게 분리 및 이동시킬 수 있으며, 타 수리를 위해 드라이도크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타 수리를 위한 선박의 정박기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separate and move the heavy rudder, and do not need to prepare a dry dock for other repair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anchoring period of the ship for other repai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의 구성 및 타에 설치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작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용 봉이 타에 설치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 및 그 단면구조를 보여준다.
도 5는 기존에 타 수리를 위하여 타를 분리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device for repairing o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te installed in the other.
Figure 2 is a manufacturing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other.
Figure 4 shows a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its cross-sectional structure.
5 shows a situation of separating the rudder for repair of the existing rudd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의 구성 및 설치 모습을 보여주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작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용 봉이 타에 설치된 상태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is a manufacturing draw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rod according to the installed state on the other.

본 발명은 안벽조건에서 선박의 타(50) 양면에 부착하여 곧바로 타(50)를 분리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러그 플레이트(10), 리프팅 플레이트(20) 및 체결용 봉(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lifting device that can b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rudder 50 of the ship in the quay wall conditions to immediately remove and repair the rudder 50,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lug Plate 10, lifting plate 20 and fastening rods 30 are made.

러그 플레이트(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생긴 부재인데, 몸체 가운데 부분에 타(50)에 형성된 리프팅 홀(51)과 동일한 크기의 체결용 홀(11)을 구비한다. 이 체결용 홀(11)을 통하여 후술하는 체결용 봉(30)이 관통하게 되는데, 러그 플레이트(10)는 이러한 체결용 홀(11), 보다 명확하게는 체결용 홀(11) 및 체결용 봉(30)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50)의 표면에 단단히 부착된다.
The lug plate 10 is a plate-shaped member as shown in FIG. 2, and has a fastening hole 11 having the same size as the lifting hole 51 formed in the other 50 in the center of the body. The fastening rod 30 to be described later penetrat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11, and the lug plate 10 has such a fastening hole 11, more specifically, a fastening hole 11 and a fastening rod. By the interaction of 30, it is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udder 50 as shown in FIG.

리프팅 플레이트(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러그 플레이트(10)에 용접 등으로 부착되어 일체를 이룬다. 이러한 리프팅 플레이트(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50)를 리프팅 하기 위한 로프 수단, 예를 들면 와이어 로프(60) 등이 관통할 수 있는 로프 관통용 홀(21)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러그 플레이트(10) 및 리프팅 플레이트(20)는 타(50)의 표면에 단단히 체결된 상태이므로 이 상태에서 리프팅 플레이트(20)의 로프 관통용 홀(21)에 와이어 로프(60) 등을 끼우고 위로 당기면 타(50)를 리프팅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프팅 플레이트(20)는 러그 플레이트(10)에 대하여 1개만 부착될 수도 있으나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 이상 부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lifting plate 2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lug plate 10 by welding or the like as shown in FIGS. 1 and 2. As shown in FIG. 2, the lifting plate 20 includes a rope through hole 21 through which rope means for lifting the rudder 50, for example, a wire rope 60,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ug plate 10 and the lifting plate 20 are firmly fastened to the surface of the rudder 50, the wire rope 60 is inserted into the rope through hole 21 of the lifting plate 20 in this state. Pull back and pull back to be able to lift the rudder (50). Meanwhile, although only one lifting plate 20 may be attached to the lug plate 10, two or more lifting plates 20 may be attached as shown in FIGS. 1 and 2 to increase structural stability.

체결용 봉(3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50)에 형성된 리프팅 홀(51) 및 러그 플레이트(10)의 체결용 홀(11)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러그 플레이트(10) 및 리프팅 플레이트(20)를 타(50)의 표면에 단단히 부착시킨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체결용 봉(30)이 타(50)에 형성된 리프팅 홀(51) 및 러그 플레이트(10)의 체결용 홀(11)을 관통한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체결용 봉(30)의 양 끝단을 단단히 고정하는 체결용 와셔 및 너트(40)를 더욱 포함한다. 그리고 이 때의 체결용 봉(30)의 양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체결용 봉(30)이 일종의 볼트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에는 안벽조건에서 작업자가 체결용 봉(3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타(50)의 리프팅 홀(51) 입구에 리프팅 홀 커버(53)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용 봉(30)의 길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황에 맞는 다양한 길이의 체결용 봉(30)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fastening rod 30 is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51 formed in the other 50 and the fastening hole 11 of the lug plate 10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3 to thereby lug the plate 10 and the lifting. The plate 20 is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udder 50.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fastening rod 30 so that the fastening rod 30 does not escape from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51 formed in the other 50 and the fastening hole 11 of the lug plate 1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washer and nut 40 for firmly fixing both ends of the (30). And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30 is formed with a thread. The fastening rod 30 will be a kind of bolt action.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hole cover 53 is not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lifting hole 51 of the other 50 so that the worker can fasten the fastening rod 30 quickly and easily in the inner wall condition. desirable. Since the length of the fastening rod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may manufacture and use a fastening rod 30 having various lengths suitable for a situation as shown in FIG.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타(50)를 리프팅 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타(50)의 리프팅 홀(51)과 러그 플레이트(10)의 체결용 홀(11)을 맞추고 체결용 봉(30)과 체결용 와셔 및 너트(40)를 이용하여 러그 플레이트(10) 및 리프팅 플레이트(20)를 타(50)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그 다음으로 리프팅 플레이트(20)의 로프 관통용 홀(21)에 와이어 로프(60) 등을 끼우고 이를 체인블록과 연결한다. 그리고 선체 외판에 부착된 러그(70)를 이용하여 타(50)를 리프팅 및 분리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lifting the rudd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align the lifting hole 51 of the rudder 50 with the fastening hole 11 of the lug plate 10, and use the fastening rod 30, the fastening washer and nut 40, and the lug plate 10 and The lifting plate 20 is firmly fixed to the rudder 50. Next, the wire rope 60 is inserted into the rope through hole 21 of the lifting plate 20 and connected to the chain block. Then, the rudder 50 is lifted and separated using the lug 70 attached to the hull shel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물인 타(50)를 안전하게 분리 및 이동시킬 수 있으며, 타(50) 수리를 위해 드라이도크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타(50) 수리를 위한 선박의 정박기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separate and move the rudder 50, which is heavy, and do not need to prepare a dry dock for the rudder 50 repair. The perio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러그 플레이트 11 : 체결용 홀
20 : 리프팅 플레이트 21 : 로프 관통용 홀
30 : 체결용 봉 40 : 체결용 와셔 및 너트
50 : 타 51 : 리프팅 홀
52 : 튜브 형태의 관 53 : 리프팅 홀 커버
60 : 와이어 로프 70 : 선체 외판에 부착된 러그
10 lug plate 11: fastening hole
20: lifting plate 21: hole for rope penetration
30: fastening rod 40: fastening washer and nut
50: other 51: lifting hole
52: tube in the form of a tube 53: lifting hole cover
60 wire rope 70 lug attached to the hull shell

Claims (7)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과 동일한 크기의 체결용 홀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용 홀을 통하여 상기 타 표면에 체결되는 판 형상의 러그 플레이트;
상기 러그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타를 리프팅 하기 위한 로프 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로프 관통용 홀을 구비하는 리프팅 플레이트 및;
상기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 및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을 관통하는 체결용 봉;
을 포함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
A plate-shaped lug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having the same size as a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fastened to the other surface through the fastening hole;
A lifting plate attached to the lug plate to form an integrated body and having a rope through hole through which rope means for lifting the rudder can pass;
A fastening rod penetrating a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a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봉이 상기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 및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상기 체결용 봉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체결용 와셔 및 너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astening washer and a nut for fixing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so that the fastening rod does not pass through the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end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Lifting device for repai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봉의 양 끝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ad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는 상기 러그 플레이트에 대하여 1개 또는 2개 이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plate is attached to one or more than the lu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의 리프팅 홀 입구에는 리프팅 홀 커버를 설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Lifting device for other rep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ing hole cover is not installed at the other lifting hole entrance.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과 동일한 크기의 체결용 홀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용 홀을 통하여 상기 타 표면에 체결되는 판 형상의 러그 플레이트;
상기 러그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타를 리프팅 하기 위한 로프 수단이 관통할 수 있는 로프 관통용 홀을 구비하는 리프팅 플레이트 및;
상기 타에 형성된 리프팅 홀 및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을 관통하는 체결용 봉;
을 포함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리프팅 방법으로서,
상기 타의 리프팅 홀과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을 맞추는 단계;
상기 체결용 봉을 상기 타의 리프팅 홀과 상기 러그 플레이트의 체결용 홀에 관통시키는 단계;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의 로프 관통용 홀에 로프 수단을 끼우고 이를 체인블록과 연결하는 단계 및;
선체 외판에 부착된 러그를 이용하여 상기 타를 리프팅 및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방법.
A plate-shaped lug plate having a fastening hole having the same size as a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fastened to the other surface through the fastening hole;
A lifting plate attached to the lug plate to form an integrated body and having a rope through hole through which rope means for lifting the rudder can pass;
A fastening rod penetrating a lifting hole formed in the other and a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As a lifting method using a lifting device for repair, including;
Matching the other lifting hole with the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Passing the fastening rod through the other lifting hole and the fastening hole of the lug plate;
Inserting a rope means into a rope through hole of the lifting plate and connecting it with a chain block;
Lifting and separating the rudder using lugs attached to the hull shell;
Lifting method for other repair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체결용 와셔 및 너트로 상기 체결용 봉의 양 끝을 체결하여 상기 러그 플레이트 및 상기 리프팅 플레이트를 상기 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 수리를 위한 리프팅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fastening both ends of the fastening rod with a fastening washer and a nut to fix the lug plate and the lifting plate to the rudder.
KR1020110119094A 2011-11-15 2011-11-15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KR201300533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94A KR20130053324A (en) 2011-11-15 2011-11-15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94A KR20130053324A (en) 2011-11-15 2011-11-15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324A true KR20130053324A (en) 2013-05-23

Family

ID=48662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094A KR20130053324A (en) 2011-11-15 2011-11-15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32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637A (en) * 2020-12-07 2021-03-26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Ship rudder bearing whar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637A (en) * 2020-12-07 2021-03-26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Ship rudder bearing wharf maintenance and replace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5750B1 (en) Method for inspecting an inside room of a ship and/or performing works therein
CN106218811A (en) A kind of ship stern tube shaft wears axle method
RU2679791C2 (en) Elevator with tubular motor and divided motor mount
CN105275253A (en) Equal-diameter rod erect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1121801B1 (en) jig for transferring large size cylinder
KR20130053324A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rudder maintenance
JP2009247126A (en) Personnel safety net
CN210418914U (en) Hoisting wrap angle
CN203201149U (en) Electric lifting discharging platform
KR101334309B1 (en) CMC fracture test system
KR20130007409U (en) Safety belt apparatus for working at high place
KR20120007135U (en) Winch seat apparatus for ship
CN205589414U (en) Embedded equipment base structure of boats and ships
KR101466021B1 (en) Lifting apparatus for reactor internal
KR101429551B1 (en) Installation module of trolley hoist for vessel or marine structur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it
KR101446587B1 (en) Winch for laying cables in the ship
KR20140026831A (en) Vibration reduction device of lashing bridge in containership
CN204001751U (en) Super high steel structure construction overhanging unloading platform
CN102583149B (en) Removing method of lifting cover for hoisting
CN204689169U (en) A kind of fuel manipulator crane telescopic shaft anchor fitting
KR101781395B1 (en) Device for protecting a falling accident of opening
CN106536399A (en) Security system for operations in wind generators
CN204674797U (en) A kind of hatch railing deck
KR20120007540U (en) Jig for bollard
KR101973038B1 (en) Installation module of trolley hoist for vessel or marine structure and the operating method of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