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265A -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 Google Patents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265A
KR20130052265A KR1020110117617A KR20110117617A KR20130052265A KR 20130052265 A KR20130052265 A KR 20130052265A KR 1020110117617 A KR1020110117617 A KR 1020110117617A KR 20110117617 A KR20110117617 A KR 20110117617A KR 20130052265 A KR20130052265 A KR 2013005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al
container bottle
hot melt
film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322B1 (ko
Inventor
김태서
이기붕
이봉주
권두한
오세천
최상식
이재남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65C3/1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 B65C3/163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where the label is of the wrap-around type
    • B65C3/16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where the label is of the wrap-around type the label being shrunken after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65C9/25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by thermo-activating the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병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이송하는 운반부와; 상기 용기병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무회전이송부와; 상기 무회전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기병에 핫멜트를 형성하는 핫멜트형성부와; 상기 무회전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기병의 핫멜트 형성 부위에 설명서를 접착하는 설명서부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병이 상기 핫멜트 형성부 및 상기 설명서부착부를 회전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상기 용기병의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에 설명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제공하여, 기존에 연속 자동 생산 라인으로 구성되지 못하였던 설명서 부착 및 수축비닐 삽입 및 비닐수축 공정을 공정 순서에 맞게 설비를 연속라인으로 구성할 수가 있어 사람의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생산라인의 자동화가 실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A manual attatchment machine for bottle}
본 발명은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에 관한 것이다.
원기둥 형상의 약품 용기병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보관 및 이동을 위하여 사각 케이스에 설명서와 함께 동봉하거나 용기병의 외부에 비닐을 패킹한다.
종래에는 미국등록특허 제 5,082,520호나, 미국등록특허 제 6,164,359호에서는 자동으로 용기병에 라벨을 부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지만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병에 수축비닐을 자동으로 씌워 포장하는 기술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의약품은 그 용법이나 약리기전 등을 설명하는 사용설명서가 수반되어야 하는 바, 종래에는 약품 용기병에 최소한의 설명을 라벨 방식으로 용기병의 외부에 부착하고 상세한 설명은 설명서를 별도로 동봉하는 방식을 취하여 왔다.
다시말해, 종래에는 용기병과 설명서를 사각 케이스에 함께 넣어 포장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나 이는 사각 케이스로 인해 제품의 부피를 키우고 개봉 후 불필요한 사각케이스가 휴지화 됨으로써 제조단가 상승 및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기병과 설명서를 손수 사람이 수작업으로 동봉함으로써 생산 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제공함으로써, 사람의 수작업에 의한 것이 아닌 연속적이고 자동적인 생산라인으로 설명서를 부착한 후 수축터널에서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병을 패킹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위생적으로 용기병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병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이송하는 운반부와; 상기 용기병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무회전이송부와; 상기 무회전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기병에 핫멜트를 형성하는 핫멜트형성부와; 상기 무회전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기병의 핫멜트 형성 부위에 설명서를 접착하는 설명서부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병이 상기 핫멜트 형성부 및 상기 설명서부착부를 회전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상기 용기병의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에 설명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회전이송부는 상기 운반부의 상부에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용기병이 상기 운반부와 상기 무회전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무회전이송부는 상기 용기병에 접촉하는 회전패드의 이동속도가 상기 운반부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명서부착부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설치되며 진공패드가 형성된 복수개의 휠과; 상기 휠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설명서가 적재된 매거진과; 상기 휠의 궤적을 따라 상기 휠의 외측으로 설치된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는 상기 설명서가 접착된 용기병에 비닐필름을 씌우는 필름삽입부와; 상기 필름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비닐필름이 씌워진 용기병에 열을 가하여 상기 비닐필름을 수축시키는 수축터널부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병이 상기 핫멜트형성부 및 상기 설명서부착부를 회전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상기 용기병의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에 설명서를 부착한 이후에 상기 용기병에 상기 수축필름이 상기 용기병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름삽입부는 수축비닐을 안내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 유입되어 절단된 수축비닐을 토출하는 다리부로 구성되면서 수축비닐을 안내하는 포머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는 상기 용기병에서 상기 설명서가 부착된 방향으로 편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명서가 부착된 상기 용기병을 상기 필름삽입부로 이송하는 보조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병에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부착영역과; 상기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공간에 핫멜트를 형성하는 핫멜트형성영역과; 상기 핫멜트가 형성된 영역에 설명서를 접착하는 설명서부착영역과; 상기 설명서가 접착된 용기병에 비닐필름을 씌우는 필름삽입영역과; 상기 비닐필름이 씌워진 용기병에 열을 가하여 상기 비닐필름을 수축시키는 수축영역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라벨부착영역, 핫멜트형성영역, 설명서부착영역, 필름삽입영역, 수축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기병이 상기 라벨부착영역, 핫멜트형성영역 및 설명서부착영역으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용기병에 라벨 및 설명서가 부착된 이후에 상기 필름삽입영역 및 수축영역으로 전달되어 수축필름이 상기 용기병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방법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반부와 무회전이송부와 핫멜트형성부, 설명서부착부, 필름삽입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에 연속 자동 생산 라인으로 구성되지 못하였던 설명서 부착 및 수축비닐 삽입 및 비닐수축 공정을 공정 순서에 맞게 설비를 연속라인으로 구성할 수가 있어 사람의 수작업에 의하지 않고 생산라인의 자동화가 실현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가이드가 설치됨으로써 휠이 회전할 때 설명서가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셋째, 필름삽입부가 설명서가 부착된 용기병에 자동으로 수축비닐을 자동으로 씌울 수 있게 된다.
넷째, 보조밸트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병에 부착된 설명서가 흐트러지지 않고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포머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용기병을 다양한 크기의 설명서와 함께 포장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벨부 및 무회전이송부 및 핫멜트형성부 및 설명서부착부 및 필름삽입부와 운반부가 배치된 전체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벨부 및 무회전이송부 및 설명서부착부 및 운반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삽입부의 전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삽입부의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머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가 제외된 포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전체적인 배치를 먼저 설명한 뒤 각각의 파트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벨부(100) 및 무회전이송부(200) 및 핫멜트형성부(300) 및 설명서부착부(400) 및 필름삽입부(500)와 운반부(700)가 배치된 전체 개념도이다.
용기병(B)은 운반부(700) 위에 올려진 채로 이송된다. 좌측에는 용기병(B)에 라벨(L)을 붙이는 라벨부(100)가 형성된다. 라벨부(100)의 우측에는 용기병(B)에서 라벨(L)이 부착되지 않은 공간에 핫멜트(330)를 형성하는 핫멜트형성부(300)가 배치된다. 핫멜트형성부(300)의 우측에는 핫멜트(330)가 형성된 영역에 설명서(M)를 부착하는 설명서부착부(400)가 배치된다. 라벨부(100)와 설명서부착부(400) 사이에는 라벨(L)이 부착된 용기병(B)이 회전하지 않고 이송되도록 하는 무회전이송부(200)가 설치된다. 무회전이송부(200)의 우측에는 도3과같이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에 수축비닐(F)을 씌우는 필름삽입부(500)가 설치된다. 필름삽입부(500)의 우측에는 수축비닐(F)이 씌워진 용기병(B)에 열을 가하여 수축비닐(F)을 수축시키는 수축터널부(600)가 형성된다. 운반부(700)에는 용기병(B)을 라벨부(100)로부터 수축터널부(600)까지 운반하는 컨베이어(720)가 형성된다.
다시말해, 운반부(700)에 의해 이송되는 용기병(B)은 라벨부(100)가 형성된 라벨영역과, 핫멜트형성부(300)가 마련된 핫멜트형성영역과, 설명서부착부(400)가 형성된 설명서부착영역과, 필름삽입부(500)가 형성된 필름삽입영역과 , 수축터널부(600)가 형성된 수축영역을 순차적으로 지나는 공정을 따르게 된다.
앞서 언급한 라벨부(100)착영역, 핫멜트형성영역, 설명서부착영역, 필름삽입영역, 수축영역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용기병(B)이 라벨부착영역과 핫멜트형성영역 및 설명서부착영역으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용기병(B)에 라벨(L) 및 설명서(M)가 부착된 이후에 용기병(B)은 필름삽입영역 및 수축영역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수축필름이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을 밀착하여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파트영역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벨부(100) 및 무회전이송부(200) 및 설명서부착부(400) 및 운반부(700)의 사시도이다.
라벨부(100)는 외부에 아무것도 부착되지 않은 용기병(B)을 회전시키는 회전벨트(110)를 형성한다. 회전벨트(110)는 제1가드(111)를 따라 회전하면서 용기병(B)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용기병(B)은 접착제가 형성된 라벨(L)의 일단에 접촉하고 라벨(L)이 용기병(B)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1가드(111)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제1고정부(120)에서 구름접촉하면서 라벨(L)이 용기병(B)에 부착된다.
라벨부(100)에 형성된 제1핸들(130)은 제1고정부(120)와 회전밸트(110) 사이 간격을 조절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지름을 갖는 용기병(B)에 라벨(L)을 붙일 수가 있게 된다.
라벨(L)이 부착된 용기병(B)은 운반부(700)의 컨베이어(720)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운반되어 무회전이송부(200)에 진입하게 된다. 무회전이송부(200)는 용기병(B)이 회전하지 않도록 용기병(B)의 뚜껑에 접촉하여 용기병(B)을 이송하는 회전패드(230)를 형성한다. 회전패드(230)는 구동부(220)에 의하여 제2가드(210)를 따라 회전하게 되고 운반부(700)의 컨베이어(720)와 동일 속도를 형성하여 라벨(L)이 부착된 용기병(B)이 회전하지 않고 운반되어 핫멜트형성부(300)로 진입하게 된다.
핫멜트형성부(300)는 핫멜트(330)를 이송하는 튜브(320)와, 튜브(320)에 연결되어 튜브(320)로부터 이송된 핫멜트(330)를 발사하는 발사부(310)와, 핫멜트(330)의 발사시기를 결정하는 제1센서(340)를 형성한다.
발사부(310)는 세로방향으로 이격된 두개의 노즐을 형성하는데, 발사부(310)로 이송된 용기병(B)은 라벨(L)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를 발사부(310)가 정면으로 바라보도록 이송된다. 제1센서(340)가 운반된 용기병(B)을 감지하면 발사부(310)가 핫멜트(330)를 발사하게 되고 라벨(L)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는 세로 방향으로 두 군데에 핫멜트(330)가 점착되게 된다. 핫멜트(330)가 점착된 용기병(B)은 회전패드(230)와 컨베이어(720)에 의하여 회전하지 않은 채로 운반되어 설명서부착부(400)로 진입하게 된다.
설명서부착부(400)는 회전드럼(430)과, 회전드럼(430)에 설치되면서 진공패드(433)가 형성된 복수개의 휠(432)과, 휠(432)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설명서(M)가 적재된 매거진(450)과, 휠(432)의 궤적을 따라 휠(432)의 외측으로 설치된 가이드(4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명서부착부(400)는 제1베이스(425)에 설치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드럼(430)을 형성하고 여섯 개의 칼럼(431)은 회전드럼(430)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각 칼럼(431)에는 에어흡착이 가능한 휠(432)이 형성된다. 각 칼럼(431) 및 휠(432)의 개수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휠(432)은 용기병(B)에 세로방향으로 두 군데 점착된 핫멜트(330)에 대응되도록 두 개의 진공패드(433)를 형성하고 칼럼(431)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매거진(450)은 운반부(700)와 회전드럼(430) 사이에서 설치되어 포개진 설명서(M)를 휠(432)에 공급한다. 매거진(450)은 제1베이스(425) 위에 설치되는 제2베이스(424)를 형성하고 제2베이스(424)는 설명서(M)를 안내하는 제3가드(423)를 형성하며, 설명서(M)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제2고정부(421)를 형성함으로써 설명서(M)가 휠(432)에 공급될 때 흐트러짐이 없도록 한다. 매거진(450)은 제2베이스(424)에 제2핸들(420)을 형성하여 설명서(M)가 휠(432)에 공급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설명서(M)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매거진(450)은 제3핸들(422)을 형성하여 설명서(M)의 사이즈에 맞도록 제3가드(423)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크기의 설명서(M)를 탑재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410)는 제1베이스(425) 위에 설치되되 횔(432)이 회전하면서 그리는 궤적을 따라 두께가 얇은 반원판 형상을 하면서 휠(432)과 발사부(310) 사이에 배치되는데 가이드(410)의 높이는 휠(432)에 형성된 두개의 진공패드(43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휠(432)은 매거진(450)에서 공급되는 설명서(M)를 진공패드(433)가 에어흡착방식으로 흡착한 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휠(432)이 설명서(M)를 에어흡착할 때 휠(432)은 칼럼(431)을 중심으로 뒤로 밀려났다가 앞으로 전진하면서 설명서(M)에 접촉한다. 가이드(410)는 설명서(M)를 에어흡착한 휠(432)이 회전드럼(430)이 회전할 때 설명서(M)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명서(M)를 안내한다.
제2센서(440)는 휠(432)이 운반부(700)에 최근접하는 위치의 맞은편의 운반부(700) 상부에 설치된다. 제2센서(440)가 무회전이송부(200)와 컨베이어(720)에 의해 운반된 용기병(B)을 감지하면 회전드럼(430)이 휠(432)에서 에어흡착된 설명서(M)를 용기병(B)의 핫벨트(330)에 부착시킨다.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보조밸트(731)와 제2보조밸트(732) 및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보조밸트(733)와 제4보조밸트(734)와 컨베이어(720)에 의해 필름삽입부(500)로 진입한다.
용기병(B)의 설명서(M)는 제1보조밸트(731)와 제3보조밸트(733)에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이송됨에 따라 설명서(M)는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다시말해 제1보조밸트(731) 내지 제4보조밸트(734)가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용기병(B)이 컨베이어(720)에 의해 운반되는 과정 동안 용기병(B)은 회전하지 않고 운반될 수 있게 되어 용기병(B)에 부착된 설명서(M)가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삽입부(500)의 전체사시도이다.
필름삽입부(500)는 수축비닐(F)을 안내하는 머리부(810)와 머리부(810)로 유입되어 절단된 수축비닐(F)을 토출하는 다리부(820)로 형성되어 수축비닐(F)을 안내하는 포머(800)를 포함한다.
비닐공급부(560)는 포머(8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포머(800)에 수축비닐(F)을 공급하고, 제1롤러(840)는 포머(800)의 상측면에 접촉하여 수축비닐(F)을 하부로 이송한다. 디스크(830)는 포머(800)에 씌워진 수축비닐(F)을 절단한다. 제2롤러(821)는 포머(800)의 하측면에 접촉하여 절단된 수축비닐(F)을 토출하게 된다.
필름삽입부(500)는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에 수축비닐(F)을 씌우는 영역에서 형성되고 제3베이스(540)에 설치되는 프레임(530)에는 수직방향으로 포머(800)가 형성된다.
수축비닐(F)은 비닐공급부(560)를 지나 포머(800)에 안내되는데 롤러형상의 제3공급부(563)를 위로 지나고 다시 롤러형상의 제2공급부(562)의 아래를 지나 다시 롤러형상의 제1공급부(561)의 상부를 지나 수직으로 형성된 포머(800) 머리부(810)에 삽입된다. 수축비닐(F)이 포머(800)의 머리부(810)를 지나 제1롤러(840)에 의해 하부로 이송되고, 디스크(830)가 이송된 수축비닐(F)을 간헐적으로 절단한다. 절단된 수축비닐(F)은 포머(800)의 다리부(820)에서 제2롤러(821)에 의해 아래로 토출된다.
운반부(700)에 설치된 제3센서송신부(516)와 포머(800)의 하부의 제5가드(518)에 설치된 제3센서수신부(515)가 컨베이어(720)에 의해 운반된 설명서(M) 부착된 용기병(B)을 감지하는 순간 디스크(830)에서 잘려진 수축비닐(F)이 제2롤러(821)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신속히 토출되면서 설명서(M) 가 부착된 용기병(B)에 씌워지게 된다.
홀더(511)는 디스크(830)의 상부와 포머(800)의 측면에 고정설치되어 포머(8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프레임(530)은 포머(800)가 형성되는 측면에서 제1롤러(840)를 구동하는 롤러밸트(5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높이조절부(521) 및 제2높이조절부(522)를 형성한다. 또한, 제3높이조절부(550)는 프레임(53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3베이스(540)에 설치된다. 제4높이조절부(517)는 포머(800)가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2롤러(82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프레임(530)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삽입부(500)의 정면도이다.
비닐공급부(560)는 프레임(530)의 상단에 형성되고 비닐공급부(560)의 우측에는 수축비닐(F)이 권취된 비닐공급롤(570)이 형성된다.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이 제3센서송신부(516)에 의해 감지되면 제2롤러(821)가 절단되어 있는 수축비닐(F)을 순간적으로 아래로 토출하여 설명서(M)와 함께 용기병(B)을 씌우게 된다.
프레임(530)은 하부에 지지부(580)를 형성한다. 지지부(580)는 이동바퀴(581)와 고정다리(582)를 형성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머(800)의 사시도이다.
포머(800)는 수축비닐(F)을 최초로 안내하는 도입부(811)를 형성하는데, 도입부(811)는 얇은 판상으로 그 너비는 포머(800)의 단면 장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입부(811)의 하부에는 수축비닐(F)을 벌려주는 경사부(812)가 형성된다. 제3롤러(813)는 경사부(812)에 설치되어 제1롤러(840)에 접촉하여 수축비닐(F)을 아래로 이송하도록 형성되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830)는 제3롤러(813)의 아래에 형성되어 하부에 커팅날(834)이 형성되는 제1디스크(833)를 형성한다. 제2디스크(832)는 제1디스크(833)의 상부에 형성된다. 보조디스크(831)는 제2디스크(832)의 상부에 형성된다. 커팅홈(850)은 제1디스크(833)에 형성된 커팅날(83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리부(820)는 커팅홈(850)의 아래로 형성되어 절단된 수축비닐(F)을 최종 안내한다.
디스크(83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디스크(832)는 제1디스크(833)를 함께 회전하면서 간헐적으로 제1디스크(833)가 순간적으로 멈추도록 하는데, 제1디스크(833)가 순간적으로 멈출 때 커팅날(834)이 커팅홈(850)에 삽입된 채로 적어도 1회전 이상하게 되어 수축비닐(F)을 절단하게 된다.
필름삽입부(500)에서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이 수축비닐(F)이 씌워진채로 운반부(700)에 의해 수축터널부(600)로 진입하면 수축터널부(600)에서는 수축비닐(F)에 열을 가하여 수축비닐(F)이 설명서(M) 및 용기병(B)에 수축되면서 접착되어 용기병(B)이 포장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830)가 제외된 포머(800)의 사시도이다.
포머(800)는 다리부(820)는 설명서(M)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 편평면(827)을 형성하고 편평면(827)에는 제1홈(828)이 형성된다. 제1홈(828)의 맞은편에는 제2홈(822)이 포머(800)의 다리부(820)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편평면(827)의 일측에는 우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1직선부(82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좌상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2직선부(825)가 마련된다. 제1직선부(826) 및 제2직선부(825)와 제2홈(822) 사이에는 곡선부(829)가 형성되고 곡선부(829)와 제1직선부(826) 및 제2직선부(825) 사이에는 제4롤러(824)가 형성된다.
제1홈(828) 또는 제2홈(822)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다리부(820)로부터 토출되어 나가는 수축비닐(F)을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에 보다 정확하게 씌우기 위한 가이드핀(860)이 설치된다. 가이드핀(860)은 얇은 판상의 막대부재로서 끝부분이 포머(800)의 하방향을 따라 포머(800)의 내측으로 휘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작동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용기병(B)은 운반부(700)의 컨베이어(720)에 의해 라벨부(100)로 운반된다. 용기병(B)은 라벨부(100)에서 공급되는 라벨(L)을 옆면에 부착한 채로 회전밸트(110)에 의해 회전하고 용기병(B)에 부착된 라벨(L)은 용기병(B)이 제1고정부(120)를 구름접촉하면서 용기병(B)에 견고히 밀착되게 된다.
라벨(L)이 부착된 용기병(B)이 컨베이어(720)에 의해 이송되어 무회전이송부(200)로 진입하는데, 용기병(B)이 무회전이송부(200)로 진입할 때 라벨(L)은 회전밸트(110)방향이 아닌 제1고정부(120)방향을 유지한 채로 진입하게 된다. 무회전이송부(200)는 회전패드(230)가 용기병(B)의 뚜껑부위를 접촉하면서 컨베이어(720)와 이송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용기병(B)이 회전하지 아니하고 운반된다.
제1센서(340)가 무회전이송부(200)를 지나는 용기병(B)의 라벨(L)을 감지하면 제1센서(340)의 맞은편 핫멜트형성부(300)에 설치되는 발사부(310)가 용기병(B)의 라벨(L)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에 핫멜트(330)를 발사하여 점착시킨다.
핫멜트(330)는 용기병(B)의 옆면에서 라벨(L)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 세로로 두 군데 점착되게 된다. 핫멜트(330)가 점착된 용기병(B)은 무회전이송부(200)와 운반부(700)에 의해서 여전히 회전하지 않은 채로 설명서부착부(400)로 진입하게 되고, 제2센서(440)가 용기병(B)을 감지하면 매거진(450)으로부터 설명서(M)를 나르는 휠(432)이 설명서(M)를 용기병(B)의 핫멜트(330) 점착부위에 운반하여 부착한다.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은 여전히 회전하지 않으면서 이송되고 설명서(M)가 제1보조밸트(731)에 접촉하고, 라벨(L)이 제2보조밸트(732)에 접촉한 채로 운반되는데, 제1보조밸트(731)와 제2보조밸트(732)는 서로 맞은편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컨베이어(720)와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은 이송되는 과정에서 설명서(M)가 용기병(B)에서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은 서로 맞은편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되 컨베이어(720)와 동일 속도로 회전하는 제3보조밸트(733)와 제4보조밸트(734)로 진행되면서 필름삽입부(500)로 진입한다.
비닐공급부(560)는 수축비닐(F)을 포머(800)로 안내하고 포머(800)에 안내된 수축비닐(F)은 롤러밸트(520)에 의해 회전하는 제1롤러(840)가 포머(800)에 씌워진 수축비닐(F)을 포머(80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송한다. 디스크(830)는 포머(800)에 삽입된 수축비닐(F)을 절단하고 절단된 수축비닐(F)은 포머(800)의 다리부(820)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제3센서송신부(516)와 제3센서수신부(515)가 운반부(700)에 의해 운반된 용기병(B)을 감지하면 제2롤러(821)가 순간적으로 다리부(820)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절단된 수축비닐(F)을 다리부(820) 아래로 토출시킨다. 토출된 수축비닐(F)은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에 삽입되게 되는데 포머(800)의 편평면(827)이 설명서(M)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가이드핀(860) 때문에 수축비닐(F)을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에 잘 씌울 수 있게 된다.
용기병(B)이 컨베이어(720)에 의해 수축터널부(600)로 안내되면 수축터널부(600)에서는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에 씌워진 수축비닐(F)에 열을 가하여 수축비닐(F)이 용기병(B)을 밀폐하여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설명서(M)가 부착된 용기병(B)이 포장된다.
본 발명은 그 목적과 기술적인 사상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창작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 수준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예속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본 발명으로부터 상업적인 설계변경의 수준, 모양의 변화, 재질의 변화, 부품의 숫자 증감, 색상의 변화 등 본 발명의 기술과 균등범위에 있거나 하위개념에 속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일일이 언급하지 않음을 부언한다.
100 : 라벨부 110 : 회전밸트
111 : 제1가드 120 : 제1고정부
130 : 제1핸들 200 : 무회전이송부
210 : 제2가드 220 : 구동부
230 : 회전패드 300 : 핫멜트형성부
310 : 발사부 320 : 튜브
330 : 핫멜트 340 : 제1센서
400 : 설명서부착부 410 : 가이드
420 : 제2핸들 421 : 제2고정부
422 : 제3핸들 423 : 제3가드
424 : 제2베이스 425 : 제1베이스
430 : 회전드럼 431 : 칼럼
432 : 휠 433 : 진공패드
440 : 제2센서 450 : 매거진
500 : 필름삽입부 511 : 홀더
515 : 제3센서수신부 516 :제3센서송신부
517 : 제4높이조절부 518 : 제5가드
520 : 롤러밸트 521 : 제1높이조절부
522 : 제2높이조절부 530 : 프레임
540 : 제3베이스 550 : 제3높이조절부
560 : 비닐공급부 561 : 제1공급부
562 : 제2공급부 563 : 제3공급부
570 : 비닐공급롤 580 : 지지부
581 : 이동바퀴 582 : 고정다리
600 : 수축터널부 700 : 운반부
710 : 제4가드 720 : 컨베이어
731 : 제1보조밸트 732 : 제2보조밸트
733 : 제3보조밸트 734 : 제4보조밸트
800 : 포머 810 : 머리부
811 : 도입부 812 : 경사부
813 : 제3롤러 820 : 다리부
821 : 제2롤러 822 : 제2홈
823 : 곡면부 824 : 제4롤러
825 : 제2직선부 826 : 제1직선부
827 : 편평면 828 : 제1홈
830 : 디스크 831 : 보조디스크
832 : 제2디스크 833 : 제1디스크
834 : 커팅날 840 : 제1롤러
850 : 커팅홈
B : 용기병 F : 수축비닐
L : 라벨 M : 설명서

Claims (7)

  1. 용기병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이송하는 운반부와;
    상기 용기병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무회전이송부와;
    상기 무회전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기병에 핫멜트를 형성하는 핫멜트형성부와;
    상기 무회전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용기병의 핫멜트 형성 부위에 설명서를 접착하는 설명서부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용기병이 상기 핫멜트 형성부 및 상기 설명서부착부를 회전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상기 용기병의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에 설명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회전이송부는 상기 운반부의 상부에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용기병이 상기 운반부와 상기 무회전이송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무회전이송부는 상기 용기병에 접촉하는 회전패드의 이동속도가 상기 운반부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부착부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에 설치되며 진공패드가 형성된 복수개의 휠과;
    상기 휠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설명서가 적재된 매거진과;
    상기 휠의 궤적을 따라 상기 휠의 외측으로 설치된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는,
    상기 설명서가 접착된 용기병에 비닐필름을 씌우는 필름삽입부와;
    상기 필름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비닐필름이 씌워진 용기병에 열을 가하여 상기 비닐필름을 수축시키는 수축터널부을 포함하여,
    상기 용기병이 상기 핫멜트형성부 및 상기 설명서부착부를 회전하지 않으면서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상기 용기병의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부위에 설명서를 부착한 이후에 상기 용기병에 상기 수축필름이 상기 용기병을 감싸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삽입부는 수축비닐을 안내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 유입되어 절단된 수축비닐을 토출하는 다리부로 구성되면서 수축비닐을 안내하는 포머를 포함하되,
    상기 다리부는 상기 용기병에서 상기 설명서가 부착된 방향에서 편평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가 부착된 상기 용기병을 상기 필름삽입부로 이송하는 보조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7. 용기병에 라벨을 부착하는 라벨부착영역과;
    상기 라벨이 부착되지 않은 공간에 핫멜트를 형성하는 핫멜트형성영역과;
    상기 핫멜트가 형성된 영역에 설명서를 접착하는 설명서부착영역과;
    상기 설명서가 접착된 용기병에 비닐필름을 씌우는 필름삽입영역과;
    상기 비닐필름이 씌워진 용기병에 열을 가하여 상기 비닐필름을 수축시키는 수축영역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라벨부착영역, 핫멜트형성영역, 설명서부착영역, 필름삽입영역, 수축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용기병이 상기 라벨부착영역, 핫멜트형성영역 및 설명서부착영역으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용기병에 라벨 및 설명서가 부착된 이후에 상기 필름삽입영역 및 수축영역으로 전달되어 수축필름이 상기 용기병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병 설명서 부착방법.
KR1020110117617A 2011-11-11 2011-11-11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KR101310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617A KR101310322B1 (ko) 2011-11-11 2011-11-11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617A KR101310322B1 (ko) 2011-11-11 2011-11-11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265A true KR20130052265A (ko) 2013-05-22
KR101310322B1 KR101310322B1 (ko) 2013-09-23

Family

ID=4866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617A KR101310322B1 (ko) 2011-11-11 2011-11-11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96Y1 (ko) 2002-02-27 2002-05-18 최상식 라벨 부착기
KR200337759Y1 (ko) 2003-10-09 2004-01-13 송영태 라벨부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322B1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876B2 (en) Apparatus for forming packaging units
US4931122A (en) Straight through labelling machine
JP6120868B2 (ja) 包装ユニットを構成するための装置
KR102140447B1 (ko) 복용량의 고체 약품들의 포장 시스템 및 방법
US4041677A (en) Packaging apparatus
NL2010272C2 (en) Container sleeving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a sleeve around a container.
US4709800A (en) Bottle conveyor with brush spacer
US9637256B2 (en) Apparatus for forming packaging units
US8046978B2 (en) Equipment and method for packaging multiple packets of cigarettes
US5022954A (en) Apparatus for applying labels to containers
CZ296247B6 (cs) Zarízení na pripevnování brcek
CZ290890B6 (cs) Způsob strojního umís»ování vylévacích prvků do obalů s plochým vrąkem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US20190009937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ackaging piece goods and in particular containers
KR101310322B1 (ko) 용기병 설명서 부착기
KR101849977B1 (ko) 제약용기의 설명서 및 라벨 연속 부착장치
EP0131852A2 (en) An automatic labelling machine for incorporation to case packaging machines for pharmaceutical, cosmetic, and the like products, both of the continuous and intermittent feed types
JPS6034306A (ja) 商品、集合体の伸張フイルム包装法
JP7289505B2 (ja) 緩衝材包装方法と緩衝材包装装置
US3618289A (en) Automatic wrapping apparatus
KR20010077906A (ko) 음용 스트로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
US3431701A (en) Article-wrapping machine
US20210214108A1 (en) Piece good combination with spirally mounted carrier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20170132389A (ko) 물티슈용 라벨 자동 생성기
JP2568336Y2 (ja) 縦型横シーラー用の被包装物の搬送装置
KR101244146B1 (ko) 커피스틱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