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236A -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236A
KR20130049236A KR1020110099085A KR20110099085A KR20130049236A KR 20130049236 A KR20130049236 A KR 20130049236A KR 1020110099085 A KR1020110099085 A KR 1020110099085A KR 20110099085 A KR20110099085 A KR 20110099085A KR 20130049236 A KR20130049236 A KR 20130049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er
amount
foo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녹스
Priority to KR102011009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236A/ko
Publication of KR20130049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환자의 의료적 치료와 병행해 환자의 운동상황과 체중, 체지방 등과 같은 정보를 환자의 일상생활 속에서 수집하고 이 정보를 활용해 환자가 하루에 해야 할 운동량과 섭취해야 할 음식량을 자동으로 환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비만환자가 효과적으로 비만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용 통신기기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서버, 이용자 클라이언트, 체중계, 병원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네트웍 매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소정의 네트웍 매체는 유무선 인터넷, WiFi 등의 통신망이며, 이용자 및 병원 클라이언트는 PC, 스마트폰, 휴대전화 등이다.

Description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Obesity management system, and a server and applic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비만환자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기기(가령, 스마트폰) 및 전자 체중계를 이용하여 서버에 운동기록과 식사기록 및 생체기록을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보내온 각종 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표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기기용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비만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비만해소를 위해 사회적으로, 개인적으로 다양한 노력들을 하고 있다. 비만해소 방법으로서, 전통적인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이 있지만, 최근에는 인공적인 시술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서 비만을 해소하더라도 그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 관리해나가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만환자의 의료적 치료와 병행해 환자의 운동상황과 체중, 체지방 등과 같은 정보를 환자의 일상생활 속에서 수집하고 이 정보를 활용해 환자가 하루에 해야 할 운동량과 섭취해야 할 음식량을 자동으로 환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비만환자가 효과적으로 비만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서버, 이용자 클라이언트, 체중계, 병원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네트웍 매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소정의 네트웍 매체는 유무선 인터넷, WiFi 등의 통신망이며, 이용자 및 병원 클라이언트는 PC, 스마트폰, 휴대전화 등이다.
서버는 기회 탭(opportunity tab)을 통해 기회를 생성하여, 1개의 기회에 환자 1명의 모든 데이터(운동량, 식사량, 체중, 체지방, 예약기록 등)를 저장하며, 기회에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다이어트에 필요한 정보데이터로 변형한다(기초신진 대사량과 활동 대사량 산정을 통한 권장식사량 산정, 운동량 정보 제공 등).
서버에는 또한 홈페이지가 포함된다. 여기에는 본 시스템의 전반적인 개요, 홍보기능, 아이디 생성, 어플리케이션 사용료 수납 기능 등이 탑재된다. 로그인을 하면, 이용자의 모든 활동기록을 볼 수 있으며, 데이터의 수동 입력도 가능하다. 이용자 클라이언트(예컨대 이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는 운동기록 측정 및 전송, 식사기록 측정 및 전송 기능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체중 및 체지방 관련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서 표시하고, 모든 활동 기록을 하나의 그래픽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병원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한 의료진이 환자에게 보내는 메시지나 관리 방안 등을 전송한다.
이상의 개념에 입각하여 구현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비만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1)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하며, 2) 상기 서버는 해당 이용자가 운동한 양, 즉, 운동량을 계산하는 운동량계산부와, 해당 이용자에게 필요한 1일 필요운동량을 산정하는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를 포함하고, 3)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또한, 상기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에서 산정된 1일 필요운동량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1일 필요운동량 표시부를 포함하고, 4)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체중계로부터 전송된 이용자의 체중/근육량/체지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와,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로 전송된 데이터로써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기초대사량 계산부와,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로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이용자의 체중이 기준일로부터 얼마나 감량되었는지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체중감량율 계산부를 포함하고, 5)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의 체중감량율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체중 감량율을 표시하는 감량율 표시부를 포함하고, 6)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또한, 이용자가 섭취한 음식 섭취량과 음식 종류를 입력하고 입력된 식사기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식사기록 입력부를 포함하고, 7)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식사기록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기초대사량 계산부에서 계산한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이용자의 1일 필요음식량을 계산하는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를 포함하고, 8)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의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로부터 수신한 1일 필요음식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1일 필요음식량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른, 비만관리 시스템용 서버는,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해당 이용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계산하는 운동량계산부, 해당 이용자에게 필요한 1일 필요운동량을 산정하는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 상기 체중계로부터 전송된 이용자의 체중/근육량/체지방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기초대사량 계산부, 해당 이용자의 체중이 기준일로부터 얼마나 감량되었는지를 계산하는 체중감량율 계산부,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해당 이용자의 음식 섭취량과 음식 종류를 수신하는 식사기록 입력부, 상기 식사기록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기초대사량 계산부에서 계산한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이용자의 1일 필요음식량을 계산하는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른, 비만관리 시스템용 휴대 통신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운동량측정부, 서버의 운동량계산부와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운동량 표시부와 1일 필요운동량 표시부, 서버의 체중감량율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체중 감량율을 표시하는 감량율 표시부, 이용자가 섭취한 음식 섭취량과 음식 종류를 입력하고 입력된 식사기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식사기록 입력부, 서버의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로부터 수신한 1일 필요음식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1일 필요음식량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만환자(이하, '이용자')는 매일매일 본인의 실제 운동 및 섭취량을 본 발명이 권장하는 양과 비교해 본인의 다이어트 활동에 필요한만큼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실제 체중과 체지방 량을 매일 측정가능하므로, 본인의 성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으로 모두 전송해 모바일 및 PC 환경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어디서나 볼 수 있기에 병원에서 환자들의 감량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화된 클라우드 기반의 관리 시스템을 통해 병원에서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 연결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스마트폰(20)의 체중관련데이터 표시부(206)의 예시도.
도 4는 무선체중계의 외형 예시도.
도 5는 통합된 형태의 표시부 예시도.
도 6은 서버에 구축된 홈페이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만관리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10)는 이용자 클라이언트인 스마트폰(20)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소정의 매체(가령, 무선인터넷)를 통해 연결되고, 이용자의 체중, 지방량, 근육량 등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체중계(30)와 소정의 매체(가령, WiFi)를 통해 연결되며, 병원에 설치되어 의료진이 액세스할 수 있는 병원 클라이언트(40)(가령, PC)와 소정의 매체(가령, 유선인터넷)를 통해 연결된다.
이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20)에서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걷거나 뛰는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운동량측정부(202)가 내장되어 운동량 데이터를 서버(10)의 운동량계산부(102)로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폰(20)의 운동량표시부(203)에서는, 서버로부터 운동량 데이터를 가져와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의 운동량계산부(102)에서는 해당 이용자가 운동한 양, 즉, 운동량을 계산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104)에서 해당 이용자에게 필요한 1일 필요운동량을 산정한다. 1일 필요운동량은 이용자 신체의 지방량을 이용하여 계산가능하다. 계산방식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목표체중(target weight)은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한다.
Figure pat00001
위 식에서 Lean Body Mass는 (총체중)-(지방무게)[kg]를 의미하며, Ideal Fat Percentage는 이상적인 지방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 15~20%(0.15~0.2) 정도로 알려져있다. 어느 환자의 체중이 64kg이고 지방량이 20kg인 경우에 위 식을 적용하는 예를 들자면, 이 사람의 Lean Body Mass는 64-20=44kg이고, 이상적 지방 비율을 15%라고 설정할 경우에, 이 사람의 목표 체중은 44/(1-0.15)=51.8kg이 된다. 이제 이 목표체중을 얻기 위해서 필요한 운동량을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으면 된다. 체중별, 운동종목별 소모칼로리를 조회할 수 있는 표가 현재 많이 구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해서 산정된 1일 필요운동량은 스마트폰(20)으로 전송되어 1일 필요운동량 표시부(204)에 표시된다.
이용자의 집이나 사무실 등에는 무선체중계(30)를 설치하여 이용자의 체중, 지방량, 근육량 등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서버(10)로 전송한다. 도 4에 이러한 체중계를 예시하였다. 이러한 체중계를 통해 이용자의 근육량과 지방량 및 체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즉시, WiFi 등의 무선인터넷 매체를 통해 서버에 자동으로 전송된다.
체중계로부터 전송된 이용자의 체중/근육량/체지방량 데이터는 서버(10)의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106)로 전송되어, 도 3 (a)에서와 같이 스마트폰(20)의 체중관련데이터 표시부(206)에서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이 표시부(206)에는 체중관련 데이터 이외에도, 이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개인정보(가령, 이름, 성별, 생년월일, 신장, 목표체중 등)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도 3 (b) 참조).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106)로 전송된 데이터는 기초대사량 계산부(108)로 전달되고, 여기서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한다. 또한,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106)로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10)의 체중감량율 계산부(107)에도 전송되어 해당 이용자의 체중이 기준일로부터 얼마나 감량되었는지를 계산하고, 이를 스마트폰(20)의 감량율 표시부(207)로 전송한다.
체중 감량치 이외에도, 감량율 표시부(207)에서는 감량율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체크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로부터 체중계를 통해 현재 측정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존의 지방 생성량과 BMI 감소량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불러들여서 전체 평균 감량율을 실시간으로 계산한다. 이 계산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이용자의 현재 감량율이 평균 초과일 때에는 녹색으로, 평균일 때에는 노란색으로, 평균 미만일 때에는 빨간색 등으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이용자 본인이 자신의 상황을 매일 체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의 1위 감량자 결정부(109)에서는 다수의 이용자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감량률이 가장 높은 1인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 사람을 오늘 한 운동량과 섭취한 음식량 데이터를 이용자 스마트폰(20)의 감량율 표시부(207)에서 표시하기 위해 전송한다. 이에, 이용자는 오늘의 1위 감량자를 참고하여 자신이 한 운동량과 섭취한 음식량을 비교 검검할 수 있다.
스마트폰(20)에는 식사기록 입력부(208)가 있다. 식사기록에는 음식 섭취량과 섭취한 음식 종류가 포함된다. 식사기록을 입력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가능하다. 첫째, 이용자가 자신이 먹은 음식의 양과 종류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 이용자가 스마트폰(20)으로 음식 사진을 찍으면 그 영상을 해석해서 먹은 음식의 양과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입력된 식사기록 정보를 서버(10)의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110)로 전송한다.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서버(10)의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110)에서는 해당 이용자의 1일 필요음식량을 계산한다. 이때에는, 앞서 설명한 기초대사량 계산부(108)에서 계산한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 데이터를 함께 적용한다. 이렇게 계산한 1일 필요음식량 정보를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하여 1일 필요음식량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1일 필요음식량과 더불어, 서버(10)에는 해당 이용자에게 해당 열량에 적합한 음식들을 추천하는 기능(112)을 추가할 수 있다. 가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과, 이용자가 섭취한 음식량 등을 기초로 필요한 열량(가령,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에서 200kcal를 뺀 열량)의 음식 종류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추천 음식은 추천음식 표시부(21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음식물 추천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무작위로 추출하거나 필수 섭취 영양분을 기준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음식 데이터베이스는 상용화된 것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가령, '네이버건강').
한편, 병원 클라이언트(40)는 서버에 접속한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리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도 2의 하단부에서 보듯이, 병원 클라이언트(40)는 서버로그인 처리부(402), 환자 모니터부(404), 환자에게 보내는 의료진의 메시지를 처리하는 부분(406)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각 부분은 서버(10)의 병원클라이언트 처리부(114)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 병원클라이언트 처리부(114)에서 전송한 의료진의 메시지는 스마트폰(20)의 병원메시지 표시부(214)를 통해 표시된다.
이상에서, 스마트폰(20)의 운동량 표시부(203), 1일 필요운동량 표시부(204), 체중관련데이터 표시부(206), 감량율 표시부(207), 1일 필요음식량 표시부(210), 추천음식 표시부(212), 병원메시지 표시부(214)는 기능상으로 구분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이지만, 이들 구성요소를 반드시 물리적으로도 분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는 이들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UI에 통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이용자는 자동차의 대시보드(dashboard)와 같이 각종 데이터와 환자의 상황을 한 눈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각 표시부를 통합한 대시보드 형태의 표시부에 대한 예를 도 5에 나타내었다.
한편, 서버(10)에는 홈페이지를 구축한다. 회원 고객이 홈페이지를 통해 로그인하여, 상기 스마트폰(2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고,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6에 홈페이지를 예시하였다.
환자정보의 관리는 기회탭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환자가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으로 회원가입을 마쳤을 경우, 그 계정이 자동으로 생성된 기회항목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탭을 통해 환자 개개인의 상세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명의 환자가 가입한다면 기회탭에 이 환자의 정보를 모두 모다 관리할 기회항목이 한 개 생성된다. 이 항목을 통해 병원은 환자의 매출기록과 내원기록 등의 스케줄 관리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와 WiFi를 통해 수집한 환자의 데이터를 한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는 일종의 웹상 클라우드 운영체제로써 작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탑재함으로써 다양한 기능들을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요구에 맞게 즉각적으로 본 발명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의미하여, 크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솔루션은 확장과 축소가 간편하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스마트폰(20)이라는 용어로 사용했지만, 스마트폰에는 기존의 PDA 또는 노트북이나 최근에 개발된 태블릿PC 및 일반 모바일폰 등도 포함되는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이하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Claims (24)

  1. 서버, 이용자 클라이언트, 체중계가 소정의 네트웍 매체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네트웍 매체는 유선인터넷 또는 무선인터넷이며, 이용자 및 병원 클라이언트는 PC 또는 스마트폰 또는 휴대전화이고,
    상기 체중계는 이용자의 체중, 지방량, 근육량 등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해당 이용자가 운동한 양, 즉, 운동량을 계산하는 운동량계산부와, 해당 이용자에게 필요한 1일 필요운동량을 산정하는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또한, 상기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에서 산정된 1일 필요운동량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1일 필요운동량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체중계로부터 전송된 이용자의 체중/근육량/체지방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와,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로 전송된 데이터로써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기초대사량 계산부와,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로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이용자의 체중이 기준일로부터 얼마나 감량되었는지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자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체중감량율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의 체중감량율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체중 감량율을 표시하는 감량율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또한, 이용자가 섭취한 음식 섭취량과 음식 종류를 입력하고 입력된 식사기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식사기록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식사기록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기초대사량 계산부에서 계산한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이용자의 1일 필요음식량을 계산하는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의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로부터 수신한 1일 필요음식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1일 필요음식량 표시부를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소정의 네트웍 매체를 통해 연결되어 서버에 접속한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리 메시지를 전송하는 병원 클라이언트가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서버는 또한, 상기 병원 클라이언트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병원클라이언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또한, 상기 서버의 병원클라이언트 처리부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병원 크라이언트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의 운동량측정부에서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의 운동량계산부에서 계산한 운동량 데이터를 가져와 표시하는 운동량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의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로부터 해당 이용자의 체중관련 데이터를 가져와 표시하는 체중관련데이터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관련데이터 표시부는,
    체중관련 데이터 이외에도, 이용자가 스스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기능이 포함되는, 비만관리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의 감량율 표시부는,
    체중 감량치 이외에도,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감량율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비만관리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다수의 이용자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감량률이 가장 높은 1인을 결정하여 이용자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1위 감량자 결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또한, 상기 서버의 1위 감량자 결정부에서 결정한 1위 감량자를 표시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의 식사기록 입력부는 이용자가 자신이 먹은 음식의 양과 종류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 또는 이용자가 음식 사진을 찍으면 그 영상을 해석해서 먹은 음식의 양과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 구현되는, 비만관리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해당 이용자의 1일 필요음식량에 해당하는 열량에 적합한 음식들을 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추천하는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또한, 상기 추출된 추천음식을 표시하는 추천음식 표시부를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회원 고객이 홈페이지를 통해 로그인하여,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고,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과 같이 구성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서버가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해당 이용자가 운동한 운동량을 계산하는 운동량계산부,
    해당 이용자에게 필요한 1일 필요운동량을 산정하는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
    상기 체중계로부터 전송된 이용자의 체중/근육량/체지방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기초대사량 계산부,
    해당 이용자의 체중이 기준일로부터 얼마나 감량되었는지를 계산하는 체중감량율 계산부,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해당 이용자의 음식 섭취량과 음식 종류를 수신하는 식사기록 입력부,
    상기 식사기록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기초대사량 계산부에서 계산한 해당 이용자의 기초대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해당 이용자의 1일 필요음식량을 계산하는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용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다수의 이용자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로부터 감량률이 가장 높은 1인을 결정하는 1위 감량자 결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용 서버.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해당 이용자의 1일 필요음식량에 해당하는 열량에 적합한 음식들을 음식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추천하는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비만관리 시스템용 서버.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또한,
    회원 고객이 홈페이지를 통해 로그인하여,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들을 조회할 수 있고, 자신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용 서버.
  16. 제1항 또는 제2항과 같이 구성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클라이언트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이고, 이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운동량측정부,
    서버의 운동량계산부와 1일 필요운동량 산정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운동량 표시부와 1일 필요운동량 표시부,
    서버의 체중감량율 계산부로부터 수신한 체중 감량율을 표시하는 감량율 표시부,
    이용자가 섭취한 음식 섭취량과 음식 종류를 입력하고 입력된 식사기록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식사기록 입력부,
    서버의 1일 필요음식량 산정부로부터 수신한 1일 필요음식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1일 필요음식량 표시부를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측정부에서 이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자이로스코프(gyroscope)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운동량계산부에서 계산한 운동량 데이터를 가져와 표시하는 운동량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체중관련데이터 입력부로부터 해당 이용자의 체중관련 데이터를 가져와 표시하는 체중관련데이터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관련데이터 표시부는,
    체중관련 데이터 이외에도, 이용자가 스스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기능이 포함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량율 표시부는, 체중 감량치 이외에도,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감량율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추가로 포함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22. 제16항에 있어서,
    서버의 1위 감량자 결정부에서 결정한 1위 감량자를 표시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기록 입력부는 이용자가 자신이 먹은 음식의 양과 종류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 또는 이용자가 음식 사진을 찍으면 그 영상을 해석해서 먹은 음식의 양과 종류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 구현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추천음식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음식을 표시하는 추천음식 표시부를 포함하는, 비만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휴대 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KR1020110099085A 2011-09-29 2011-09-29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KR20130049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85A KR20130049236A (ko) 2011-09-29 2011-09-29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085A KR20130049236A (ko) 2011-09-29 2011-09-29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236A true KR20130049236A (ko) 2013-05-14

Family

ID=4866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085A KR20130049236A (ko) 2011-09-29 2011-09-29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2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927A (ko) * 2015-11-30 2017-06-08 이혜원 스마트 발판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KR20180076067A (ko) * 2016-12-27 2018-07-05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칼로리 밸런스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927A (ko) * 2015-11-30 2017-06-08 이혜원 스마트 발판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KR20180076067A (ko) * 2016-12-27 2018-07-05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칼로리 밸런스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0709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US20140235293A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1500673B1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JP6115064B2 (ja) 運動支援システム
EP2926285A2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124249B1 (ko)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CN105981070A (zh) 生理数据的呈现
KR102080534B1 (ko)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Pustozerov et al. Mobile-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P2014174954A (ja) 行動支援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の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ー
Johnson et al. Validity of the Actical activity monitor for assessing steps and energy expenditure during walking
KR20180092905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6194821A (ja) 保険契約支援装置、保険契約支援方法、および保険契約支援プログラム
WO2020195682A1 (ja) 生活習慣改善提案装置、生活習慣改善提案方法、及び生活習慣改善提案プログラム
TWM548864U (zh) 點數化健康管理系統
JP2007143672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228586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질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5107860A1 (ja)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
KR20130049236A (ko) 비만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서버와 휴대통신기기용 어플리케이션
KR20120079376A (ko) 스마트폰에서 당뇨관리 앱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JP6185145B2 (ja) 生活支援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Goldberg et al. Hactive: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heart rate profiling
CN202801606U (zh) 携带式心电图纪录装置
JP2019120981A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