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931A -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 Google Patents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931A
KR20130047931A KR1020110112763A KR20110112763A KR20130047931A KR 20130047931 A KR20130047931 A KR 20130047931A KR 1020110112763 A KR1020110112763 A KR 1020110112763A KR 20110112763 A KR20110112763 A KR 20110112763A KR 20130047931 A KR20130047931 A KR 20130047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noise
dryer
dryer body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490B1 (ko
Inventor
정찬호
김병희
박지윤
윤정원
최원석
신형철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1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4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22Helmets with hot air supply or ventilating means, e.g. electrically heated air current
    • A45D20/42Additional devices or measures, e.g. for noise damping, for musical entertai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드라이기 몸체(100);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부(200);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팬(300) 및 발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송풍팬(300)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상쇄시키는 소음공명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송풍팬의 작동소음과, 드라이기 몸체의 중공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 유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의 청각을 자극하거나 그에 따른 불쾌감을 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A LOW NOISE HAIR DRYER}
본 발명은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기는 젖은 모발을 말려주거나 손질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활 가전 도구로서, 내부에 장착된 발열부에서 나오는 열을 송풍팬으로 송출해 줌으로써, 젖은 모발을 뜨거운 바람을 통해 말리거나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세팅을 할 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발열부는 철크롬선이나 니크롬선과 같은 열선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외부의 전원과 통전 또는 단전됨에 따라 열풍을 발생시키거나 냉풍을 발생시킨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는 원통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30)과, 상기 송풍팬(30)의 전방에 설치되는 발열부(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선단부에는 바람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노즐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20)에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스위치(21)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20)의 선단부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전원선(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헤어 드라이기를 사용할 때 상기 전원선(22)을 외부 전원에 꽂은 다음, 상기 조작스위치(21)를 조작하면, 상기 송풍팬(30)과 발열부(40)가 함께 작용하여 열풍 또는 냉풍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젖은 모발을 말리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세팅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는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30)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몸체(10)의 타측으로 강제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구동모터(31)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30)의 작동소음과, 상기 송풍팬(30)을 통과하여 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강제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 유동소음이 함께 병합되어 심한 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청각을 자극하고 그에 따른 불쾌감을 전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기의 작동시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헬름홀쯔 공명기 원리를 이용하여 최소화할 수 있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드라이기 몸체; 상기 드라이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드라이기 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팬 및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드라이기 몸체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상쇄시키는 소음공명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음공명기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소음공명기는 내측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흡음홈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흡음공간 형성부와,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의 흡음홈과 연통하는 흡음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형의 차단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음홈은 상기 드라이기 몸체의 내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흡음홈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흡음구멍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드라이기 몸체의 내측에 송풍팬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상쇄시키는 소음공명기를 설치함으로써, 송풍팬의 작동소음과, 드라이기 몸체의 중공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 유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주변 사람들의 청각을 자극하거나 그에 따른 불쾌감을 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음공명기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드라이기 몸체와 소음공명기 간의 상호 조립성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에 쌓이지 않도록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소음공명기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음공명기는 내측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흡음홈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흡음공간 형성부와,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의 흡음홈과 연통하는 흡음구멍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형의 차단부재로 구성됨으로써, 헬름홀쯔 공명기 원리를 드라이기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결합구성품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음홈은 상기 드라이기 몸체의 내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됨으로써,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흡음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음홈의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를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차단부재의 흡음구멍으로 유입된 소음 성분이 횡방향으로 분사되어 반사되는 비율을 줄여서 소음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공명기의 구성 및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공명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의 소음저감 효과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100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드라이기 몸체(100)와,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부(200)와, 상기 드라이기 몸체(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팬(300)과 발열부(400) 및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측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에(300) 의해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상쇄시키는 소음공명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구조이며, 이러한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일측은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구(101)의 역할을 수행하며, 타측은 상기 흡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02)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흡입구(101)와 배출구(102)를 중공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그 직경을 동일한 크기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흡입구(101)와 배출구(102)의 모양과 크기는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는 흡입구(101)로부터 배출구(102)를 향하여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0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부(200)는 드라이기 몸체(100)를 향하여 접철될 수 있도록 힌지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200)에는 후술할 송풍팬(300)의 송풍량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스위치(210)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부(200)의 선단부에는 외부 전원에 연결하는 전원선(220)이 연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고 상기 전원선(220)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송풍팬(300)은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흡입구(101)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로 유입시킨 뒤 배출구(102)로 강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40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흡입구(101) 측에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300)의 앞쪽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발열부(400)는 상기 송풍팬(300)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상기 송풍팬(300)과 발열부(400)는 상기 조작스위치(210)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송풍팬(300)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상쇄시키는 소음공명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음공명기(500)는 내측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흡음홈(511)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흡음공간 형성부(510)와,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의 흡음홈(511)과 연통하는 흡음구멍(521)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형의 차단부재(520)로 구성된다.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와 차단부재(52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부 중공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음공명기(50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차단부재(520)는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소음공명기(500)의 착탈식 구성은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와 소음공명기(500) 간의 상호 조립성을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드라이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흡입구(101)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 내로 유입되어 쌓이지 않도록 인출시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소음공명기(500)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520)만이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에 형성된 흡음홈(511)은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하는 바람직하다.
이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흡음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기 흡음홈(511)은 흡음공간 형성부(510) 또는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굴곡되는 장방체로 형성한다.
물론, 상기 흡음홈(511)의 형상은 장방체의 한가지 형태에만 한정하지 않으며, 구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음홈(511)의 함몰 깊이는 드라이기 몸체(10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깊이로 하여 최적의 소음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흡음홈(511)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차단부재(520)의 흡음구멍(521)으로 유입된 소음 성분이 횡방향으로 분사되어 반사되는 비율을 줄임으로써 소음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520)는 상기 흡음홈(511)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차단부재(520)의 표면에는 상기 흡음홈(511)으로 소음을 유입시키는 흡음구멍(521)이 형성된다.
상기 흡음구멍(521)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그밖의 다양한 형상도 가능하다.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음공명기(500)는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소음을 제거하는 헬름홀쯔(helmholtz)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며, 흡음홈(511)과 흡음구멍(521)의 조합에 의해 헬름홀쯔 공명기를 구성한다.
도 6은 상기 소음공명기(500)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와 소음공명기가 설치되지 않는 다른 헤어 드라이기의 소음저감 효과를 비교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공명기(500)가 장착되었을 경우, 도 6(a)의 소음공명기(500)가 장착되지 않은 헤어 드라이기에 비교하여 700Hz ~ 1100Hz 사이에서 소음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공명기(500)는 송풍팬(300)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드라이기 몸체
200... 손잡이부
300... 송풍팬
400... 발열부
500... 소음공명기
510... 흡음공간 형성부
511... 흡음홈
520... 차단부재
521... 흡음구멍

Claims (6)

  1.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드라이기 몸체(100);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부(200);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팬(300) 및 발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송풍팬(300)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소음을 상쇄시키는 소음공명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공명기(50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공명기(500)는,
    내측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흡음홈(511)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흡음공간 형성부(510)와,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표면에는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의 흡음홈(511)과 연통하는 흡음구멍(521)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형의 차단부재(5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공간 형성부(510)는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홈(511)은 상기 드라이기 몸체(100)의 내면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홈(511)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KR1020110112763A 2011-11-01 2011-11-01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KR10126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763A KR101265490B1 (ko) 2011-11-01 2011-11-01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763A KR101265490B1 (ko) 2011-11-01 2011-11-01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931A true KR20130047931A (ko) 2013-05-09
KR101265490B1 KR101265490B1 (ko) 2013-05-16

Family

ID=4865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763A KR101265490B1 (ko) 2011-11-01 2011-11-01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4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2571A (zh) * 2015-01-23 2016-08-03 日本电产株式会社 吹风机
KR20190055274A (ko) * 2014-01-23 2019-05-22 콘에어 코포레이션 소음 감소 단부 캡을 갖는 헤어 드라이어 장치
CN113229588A (zh) * 2021-04-18 2021-08-10 湖南全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吹风机
CN114098257A (zh) * 2021-11-05 2022-03-01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附件及头发护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510B1 (ko) * 2013-11-08 2014-12-10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명동을 이용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
KR101580248B1 (ko) 2014-04-03 2015-12-24 한국기계연구원 저소음 저동력 헤어 드라이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6921A (en) 1984-05-22 1986-06-24 Hersh Alan S Low noise hand-held hairdryer
KR200224653Y1 (ko) 2000-10-24 2001-05-15 문 최 전자파를 차단하는 헤어 드라이어
DE10160465C2 (de) 2001-12-10 2003-10-02 Elaplast Technik Gmbh Elektrogerät mit Schalldämpf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274A (ko) * 2014-01-23 2019-05-22 콘에어 코포레이션 소음 감소 단부 캡을 갖는 헤어 드라이어 장치
CN105822571A (zh) * 2015-01-23 2016-08-03 日本电产株式会社 吹风机
CN105822571B (zh) * 2015-01-23 2018-11-27 日本电产株式会社 吹风机
CN113229588A (zh) * 2021-04-18 2021-08-10 湖南全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中空吹风机
CN114098257A (zh) * 2021-11-05 2022-03-01 深圳素士科技股份有限公司 附件及头发护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490B1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490B1 (ko) 저소음 헤어 드라이기
RU2625431C2 (ru) Ру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RU2592343C2 (ru) Руч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JP2014217770A (ja) ヘアドライヤー
CA2934320C (en) Hair dryer apparatus with noise reducing end cap
JP2013212386A (ja) 手持ち式電気器具
KR101932061B1 (ko) 헤어 드라이어
CN212129012U (zh) 吹风机
US6755278B2 (en) Employment of sound dampers in household appliances and electrical appliances with sound dampers
KR101358844B1 (ko) 두피 및 모발 동시 건조가 가능한 헤어드라이어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브러시유닛
JP3199268U (ja) ヘアドライヤー用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ヘアドライヤー
KR101563468B1 (ko) 헤어 드라이어
KR20140083628A (ko) 소음 방지가 가능한 공기 압축 방식의 헤어드라이어
KR20130030999A (ko) 모발 흡입식 헤어드라이어
CA2788702A1 (en) Hair drying device with directed air jets obtained by coupling an electric hair drier and a hair drier with directed air jets
CN213524212U (zh) 一种电吹风
KR20190117859A (ko) 무선 헤어드라이기
KR101468510B1 (ko) 공명동을 이용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
KR101774033B1 (ko) 참빗 헤어드라이기
KR101247267B1 (ko) 기능성 헤어드라이어
KR101538292B1 (ko)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KR20170000976U (ko) 헤어드라이어 겸용 소형 공기청정기
JP6057625B2 (ja) ヘアドライヤ
KR101508324B1 (ko) 소음통을 이용한 저소음 헤어드라이기
KR101524994B1 (ko) 저소음 헤어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