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792A -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792A
KR20130047792A KR1020110110484A KR20110110484A KR20130047792A KR 20130047792 A KR20130047792 A KR 20130047792A KR 1020110110484 A KR1020110110484 A KR 1020110110484A KR 20110110484 A KR20110110484 A KR 20110110484A KR 20130047792 A KR20130047792 A KR 20130047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siringaresinol
extract
syringaresi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269B1 (ko
Inventor
신현정
조시영
서대방
박찬웅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10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69B1/ko
Priority to EP12843151.7A priority patent/EP2772255B1/en
Priority to JP2014538711A priority patent/JP6562631B2/ja
Priority to CN201280052915.6A priority patent/CN103889413A/zh
Priority to PCT/KR2012/008816 priority patent/WO2013062333A1/ko
Priority to US14/353,711 priority patent/US20150290105A1/en
Publication of KR2013004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lightening comprising syringaresinol}
본 발명은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 분포, 피부 두께 또는 카로티노이드와 빌리루빈 등을 예로 들 수 있는 색소 함유 여부 등의 여러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 그 중에서도 티로시나제를 예로 들 수 있는 여러 효소들의 작용에 의해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되는 흑색 색소인, 멜라닌의 형성 정도는 피부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피부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과잉으로 존재하는 경우 기미, 주근깨, 흑자 등의 피부 색소 침착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를 촉진하고 피부암을 유발하는 인자로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 과잉 생산으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하고자, 아스코르브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예로 들 수 있는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여러 물질들을 사용하여 왔으나, 이들은 완벽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지 못 하며, 신체 안전성을 보증할 수 없고, 화장료 등에 포함되는 경우 제형화가 어려운데다 제형화한다고 해도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23435호(2011.03.08. 공개) 명세서
본 발명은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며,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각질 제거능을 가져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인삼 열매 추출물로부터 시링가레시놀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시링가레시놀의 화학 구조이다.
도 3은 시링가레시놀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비타민 C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미, 주근깨, 흑자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은 피부 속 멜라노사이트 및 그 주변 환경의 이상에서 기인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멜라노사이트와 멜라노사이트 주변의 마이크로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키고 생성된 멜라닌을 신속하게 배출시키며 피부색의 밝기와 균일성을 증가시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개발코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시링가레시놀은 피부 세포, 구체적으로 피부 색소 세포의 독성을 감소시키고,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며,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여 뛰어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므로, 멜라노사이트를 둘러싼 마이크로 환경의 산화를 억제하여 멜라노사이트를 진정시킴을 통해 태양 광선에 의한 피부 그을림 등과 같은 피부 색소침착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각질 형성 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피부색과 피부톤을 밝게 하고 기미 및 잡티와 같은 피부 과색소침착을 억제하는 인터루킨-6(IL-6)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색과 피부톤을 건강하고 밝으면서도 균일하게 하며, 과색소침착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피부 각질을 제거하고 각질 교체 주기인 각질 턴오버(turn over)를 촉진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멜라닌을 포함하는 오래된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피부가 하얗고 깨끗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링가레시놀은 멜라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 표면을 균일하게 만들어 피부를 매끈하고 부드럽게 만듦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 구체적으로 피부색의 밝기와 균일성을 높이고 피부 과색소침착을 개선하며, 각질 제거 및 각질 턴오버를 촉진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피부 과색소침착은 기미, 주근깨, 잡티, 검버섯, 흑자, 모반 및 다크서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색의 밝기와 균일성이 높아진다함은 전반적인 피부색의 명도가 높아지며, 얼룩덜룩함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피부색의 균일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시링가레시놀은 도 2와 같은 화학 구조를 가지는 리그난계 화합물로, 화학 합성을 통해 얻거나, 아마씨, 황백, 오가피, 참깨 및 인삼 열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아마씨, 황백, 오가피 및 참깨는 각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열매 또는 씨를 예로 들 수 있는 식물의 각 부위를 모두 포함하며, 인삼 열매는 인삼 열매 과피 또는 과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시링가레시놀은 아마씨, 황백, 오가피, 참깨 및 인삼 열매 중 하나 이상을 물, 유기 용매 및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은 C1~C5의 저급 알코올을 포함하며, C1~C5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n-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시링가레시놀은 아마씨, 황백, 오가피, 참깨 및 인삼 열매의 추출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중 피부 미백에 특히 효과적인 분획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시링가레시놀을 인삼 열매로부터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인삼 열매 과육의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한 알코올 추출물을 물과 알코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매로 용출시켜 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및 수득한 분획에 대해 유기 용매를 전개 용매로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구체적으로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에서 유기 용매는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알코올은 C1~C5의 알코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정제된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 0.01 중량% 내지 10 중량%, 더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상기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링가레시놀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피부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안전성 및 제형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되거나, 경구 투여되는 경우 모두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미, 주근깨, 점, 피부 잡티, 피부 색소 침착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미백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코지산, 알부틴 또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制汗)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미, 주근깨, 점, 피부 잡티와 같은 피부 색소 침착을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정제(錠劑), 환제(丸劑), 연질 및 경질 캅셀제, 과립제(顆粒劑), 산제, 세립제, 액제, 유탁제(乳濁濟) 또는 펠렛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결합제(예: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를 함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또는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는 주사제, 점적제, 로션, 연고, 겔, 크림,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투여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 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 mg/kg/일 내지 5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시링가레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기호 식품 또는 건강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50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mg/kg/일 내지 500 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연령, 건강 상태, 합병증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링가레시놀의 분리 및 분석
1. 인삼 열매의 전처리
생(生) 인삼 열매를 수확하고,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피를 제거하고 과육만을 일광 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여 인삼 열매 과육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2. 인삼 열매 과육 추출물로부터 시링가레시놀의 분리 및 분석
상기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과육 건조물 1kg에 물 또는 주정 3L를 가하여 상온 또는 환류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40~45℃에서 감압 농축하여 인삼 열매 과육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butanol)로 조사포닌을 추출 및 농축하였다. 이를 분리, 정제하여 시링가레시놀을 얻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료 194 g을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reversed-phase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으며, 이때 용출 용매로 처음에는 100% 물을 사용하였고 메탄올을 10%씩 점차 증가시켜 최종적으로는 100% 메탄올 용매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GB-1 내지 GB-10 분획물을 얻었으며, 이들 분획물 중 인간의 장수 유전자라고 불리는 SIRT 1(Sirtuin 1) 발현 활성을 나타낸 분획 GB-3을 선별하여 농축한 후 50% 수용성 메탄올(aqueous methanol)을 이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다. 얻은 분획물 중 SIRT 1 발현 활성을 나타낸 GB-3-6(3F)을 선별하여 농축한 후, 클로로포름:메탄올(10:1)을 전개 용매로 하여 예비 실리카겔(preparative silica gel) TLC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 Rf값 0.67의 활성 분획을 정제하였다. 상기 분리 및 정제 방법을 도식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NMR 분광 분석과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수행하여 분리 및 정제한 활성 화합물을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로 동정할 수 있었다. 이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질량(mass)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ESI-mass를 positive mode에서 측정한 결과 [M+Na]+가 m/z 440.9에서, [2M+Na]+가 m/z 858.9에서 관찰되어 분자량이 418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NMR 분광 분석을 수행하여 화학 구조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분리 및 정제한 활성 화합물은 시링가레시놀의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인삼 열매 과육으로부터 시링가레시놀을 분리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독성 정도 확인
시링가레시놀에 대하여 쥐의 색소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정도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C57BL/6 마우스 유래 쥐의 색소 세포(Mel-Ab cell)(Dooley 등의 방법으로 처리)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 하 배양하였다. 배양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의 시링가레시놀을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인산염 완충 용액(pH 7.2)으로 세척하여 0.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시그마), 10% 에탄올(Et-OH)을 이용하여 5분 동안 상온에서 염색하였다. 염색되지 않은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을 완전히 제거 한 다음, 인산염 완충 용액(pH 7.2)로 3회 세척하였다. 염색된 세포로부터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을 추출하기 위해 95% 에탄올(Et-OH)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처리하였으며, 추출액을 퍼킨 엘머(PerkinElmer)(Lambda 25 spectrophotometer) 540 nm 파장에서 측정한 흡광도를 기초로 하여 수학식 1로 세포의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생존율(%) = (A / B) ⅹ 100
A: 시링가레시놀을 첨가한 경우의 흡광도
B: 시링가레시놀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흡광도
시험 물질 세포 생존율(%)
시링가레시놀 98.6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피부 세포의 독성을 현격히 감소시켜 세포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실험예 2]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실시예에서 얻은 시링가레시놀의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색소 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C57BL/6 마우스 유래 쥐의 색소 세포(Mel-Ab cell)(Dooley 등의 방법으로 처리)를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 (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 하 배양하였다. 배양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이틀째부터 3일 연속 각각 양성 대조군으로서 10ppm의 하이드로퀴논 및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링가레시놀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기초로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1
시험 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시링가레시놀 85.7
하이드로퀴논(양성 대조군) 58.9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며, 그 효과는 양성 대조군인 하이드로퀴논보다도 월등히 뛰어났다. 즉 시링가레시놀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평가
시링가레시놀이 멜라닌 합성에 가장 중요한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0.1M 인산 칼륨(Potassium Phosphate) 완충액 (pH 6.8), 0.03% L-티로신 기질 용액 (0.3 mg/ml in D.W), 1.42 units/μl 티로시나제 효소 용액(인산염 완충액)을 반응액 제조에 사용하였다. 반응액은 0.1M 인산염 완충액 500 ㎕, L-티로신 15 ㎍, 시링가레시놀 50 ㎕를 넣은 후, 최종 부피가 1500 ㎕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과정을 통해, 시링가레시놀이 포함되지 않은 반응액을 제조하여 음성 대조군으로 하고, 코지산을 사용한 반응액을 제조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모든 시료의 농도는 10 ppm으로 하였다. 위의 반응액에 버섯 유래의 티로시나제를 10 units으로 넣고 37 ℃에서 10 분간 반응시킨 후, 신속하게 얼음에서 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켰다. 47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반응 생성물인 도파크롬(dopachrome)의 합성율을 구하고 이를 기초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을 계산한 후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시링가레시놀 90.2
코지산(양성대조군) 67.8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즉, 시링가레시놀은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색소 형성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뛰어난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자체적으로 라디칼 형태를 띠고 있는 100M 농도의 DPPH(Diphenyl Picryl Hydrazile)를 99% 에탄올에 녹여서 라디칼 용액을 준비하였다. 시링가레시놀을 농도(μg/ml)별로 증류수에 녹여 준비한 후 라디칼 용액과 시링가레시놀을 혼합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지 않는 반응액을 제조하여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고, 비타민 C(Vit C)로 반응액을 제조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반응액을 37 ℃에서 30분간 충분히 반응시킨 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라디칼의 소실을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환산한 각 시험 물질의 소거능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농도 의존적으로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으며, 이 효과는 비타민 C보다 뛰어났다. 즉, 시링가레시놀은 매우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인터루킨-6의 유전자 발현 증가 효능 평가
인터루킨-6(IL-6)는 각질 형성 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한 종류로서, IL-6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분비량이 많아지게 되면 피부색과 피부톤이 밝아지고, 기미와 잡티 생성이 억제되어 피부 색소 침착이 억제된다. 본 실험에서는 시링가레시놀이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의 IL-6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각질 형성 세포에 10 ppm 및 100 ppm의 시링가레시놀을 처치하고, 24시간 후 세포를 수거하여 10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두 번 세척한 다음, 트라이졸(Trizol reagent,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전체 RNA(total RNA)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를 키아젠사의 RNA 키트(Qiagen RNeasy kit, Qiagen, Valencia, CA)를 사용하여 한 번 더정제한 후 분리한 RNA로부터 인비트로젠사의 역전사 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II kit, Invitrogen, Carlsbad, C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역전사 중합 효소 연쇄 반응(real time-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으로 인터루킨-6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전자 발현 패턴 변화는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분석 키트(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ForsterCity, C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는 인터루킨-6: Hs00174360_m1 이었다. 각 세포에서 인터루킨-6가 발현된 양을 실시간 PCR(Real-Time PCR)로 확인하고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기준으로 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시험 물질 IL-6 유전자 발현율
대조군(none) 1
시링가레시놀(10ppm) 3.5
시링가레시놀(100 ppm) 8.2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농도 의존적으로 각질 형성 세포에서 인터루킨-6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시링가레시놀은 인터루킨-6를 멜라노사이트로 분비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주변 환경을 바꿔줌으로써 멜라닌 색소를 적게 생산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시링가레시놀이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의미한다.
[실험예 6] 외용제로서 미백 효과 평가
시링가레시놀의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건강한 12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상박 부위에 직경 1.5㎝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 ~ 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시험 물질로 각각 실시예에서 얻은 시링가레시놀 1%(용매는 1,3-부틸렌글리콜:에탄올 = 7:3), 하이드로퀴논(양성 대조군) 1%,  용매(vehicle)(음성 대조군) 1% 만을 바르고, 한 곳은 아무 것도 바르지 않은 채 10주 동안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1주 단위로 피부의 색깔을 색차계 CR2002(일본, 미놀타 사)로 측정하였다. 각 시험 물질의 도포 개시 시점과 도포 완료 시점에서의 피부색 차이(△L*)를 아래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한편, 미백 효과는 시험 물질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값이 2 정도인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하다고 볼 수 있으며, 1.5 이상 정도면 미백 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수학식 3]
△L* = 도포 완료 시점에서의 L*값 - 도포 개시 시점에서의 L*값
시험 물질 피부색 밝기 정도(△L*)
시링가레시놀 1.98± 0.11
하이드로퀴논(양성 대조군) 1.71± 0.31
용매(Vehicle)(음성 대조군) 0.53± 0.25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음성 대조군뿐만 아니라 양성 대조군인 하이드로퀴논보다 우수한 피부색 밝기 정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시링가레시놀이 피부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을 개선하여 피부색을 밝게 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외용제로서 피부색 균일성 평가
시링가레시놀의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색 균일성 증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상기 실험예 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피검자를 모집하고 피부 도포를 실시하였다. 피부색 균일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피부 중 임의로 선정한 3개의 부위에 대한 피부 밝기를 측정한 후 3개 부위 값의 표준 편차를 구하고 표준 편차가 작을수록 피부 밝기가 균일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측정 기기와 방법은 실험예 6과 동일하였다.
시험 물질 표준편차의 차이
시링가레시놀 0.08
하이드로퀴논(양성 대조군) 0.10
용매(Vehicle)(음성 대조군) 0.27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음성 대조군 뿐만 아니라 양성 대조군인 하이드로퀴논보다 우수한 피부색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시링가레시놀이 피부를 균일하게 만듦으로써 고른 피부색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8] 각질량 감소 효과 평가
시링가레시놀이 피부 각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피부 질환이 없는 20~30대 성인 남녀 50명에게 실험예 6과 동일한 농도의 시링가레시놀 용액을 하박 내측에 도포하고 24시간 경과 후 참뷰(Charm view; 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각질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참뷰를 이용하여 측정한 초기 피부 각질량 값을 기본값으로 하여, 24시간 경과 후의 피부 각질량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도포 전 도포 24시간 후
시링가레시놀 20.3 11.9
대조군 20.8 21.4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피부 각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이를 기초로 시링가레시놀은 멜라닌을 포함하는 오래된 각질을 제거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9] 경구 섭취시 미백 효과 및 피부색 균일성 증가 시험
시링가레시놀이 경구 섭취시에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갈색 기니아피그(ginea pig)를 동물 모델로 선정하였다. 모든 기니아피그에게 자외선을 조사하여 최소 홍반량을 측정하고, 각각 10마리씩 군을 분류한 후 최소 홍반량의 자외선을 1일 1회씩 총 3회 조사하였다. 기니아피그의 식이는 사료를 5주간 자유 급식하여 이루어졌으며, 사료 내에 시링가레시놀 1%와 양성 대조군으로서 비타민 C(Vit C) 1%를 포함시켰다. 색소 침착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실험예 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피부색 밝기 정도(△L*)
시링가레시놀 1.67± 0.25
비타민 C(양성 대조군) 1.48± 0.71
일반 사료(음성 대조군) 0.43± 0.33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경구 섭취시 시링가레시놀은 비타민 C보다 우수한 미백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시링가레시놀이 외용제로 도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경구 섭취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피부색 균일성 평가를 실험예 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표준편차 차이
시링가레시놀 0.07
비타민 C(양성 대조군) 0.11
일반 사료(음성 대조군) 0.32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시링가레시놀은 음성 대조군뿐만 아니라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 우수한 피부색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경구 섭취한 시링가레시놀이 피부를 균일하게 만들어 고른 피부색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로션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로션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 (중량%)
시링가레시놀 3.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
시트르산나트륨 0.1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크림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시링가레시놀 1.0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2.0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5.0
세틸알코올 4.0
스쿠알렌 3.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
스핑고당지질 1.0
1,3-부틸렌글리콜 7.0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팩
아래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성분 함량(중량%)
시링가레시놀 5.0
폴리비닐알코올 13.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
1,3-부틸렌글리콜 3.0
에탄올 5.0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연질 캅셀제
시링가레시놀 100 mg, 대두 추출물 50 mg, 대두유 180 mg, 홍삼 추출물 50 mg, 팜유 2 mg, 팜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6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질 캅셀을 제조한다.
[제형예 5] 정제
시링가레시놀 100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100 mg, 홍삼 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한다.
[제형예 6] 과립제
시링가레시놀 100 mg, 대두 추출물 50 mg, 포도당 10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한다.
[제형예 7] 건강 식품
시링가레시놀...................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8] 건강 음료
시링가레시놀..........................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 g
정제수............................... 잔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한다.

Claims (11)

  1.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색의 밝기 및 균일성을 높이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과색소침착을 개선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피부 과색소침착은 기미, 주근깨, 잡티, 검버섯, 흑자, 모반 및 다크서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시링가레시놀은 아마씨, 황백, 오가피, 참깨 및 인삼 열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로 포함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초로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각질을 제거하고, 각질 턴오버(turn over)를 촉진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며, 인터루킨-6(IL-6)의 활성을 촉진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또는 경구용제인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110110484A 2011-10-27 2011-10-27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4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84A KR101949269B1 (ko) 2011-10-27 2011-10-27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12843151.7A EP2772255B1 (en) 2011-10-27 2012-10-25 Composition comprising syringaresinol for improving the skin
JP2014538711A JP6562631B2 (ja) 2011-10-27 2012-10-25 シリンガレシノールを含む皮膚改善用組成物
CN201280052915.6A CN103889413A (zh) 2011-10-27 2012-10-25 用于改善皮肤的包含丁香树脂醇的组合物
PCT/KR2012/008816 WO2013062333A1 (ko) 2011-10-27 2012-10-25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US14/353,711 US20150290105A1 (en) 2011-10-27 2012-10-25 Composition comprising syringaresinol for improving the sk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484A KR101949269B1 (ko) 2011-10-27 2011-10-27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792A true KR20130047792A (ko) 2013-05-09
KR101949269B1 KR101949269B1 (ko) 2019-02-19

Family

ID=4865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484A KR101949269B1 (ko) 2011-10-27 2011-10-27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2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8476A1 (de) * 2002-04-25 2003-11-06 Beiersdorf Ag Zubereitungen mit Lignanen
WO2005048970A1 (de) * 2003-11-20 2005-06-02 Basf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von lignan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JP2009067718A (ja) * 2007-09-12 2009-04-02 Lb Maple Treat Inc カエデ科植物樹液のフェノール性化合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10023435A (ko) 2009-08-31 2011-03-08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8476A1 (de) * 2002-04-25 2003-11-06 Beiersdorf Ag Zubereitungen mit Lignanen
WO2005048970A1 (de) * 2003-11-20 2005-06-02 Basf Aktiengesellschaft Verwendung von lignanen in kosmetischen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en
JP2009067718A (ja) * 2007-09-12 2009-04-02 Lb Maple Treat Inc カエデ科植物樹液のフェノール性化合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10023435A (ko) 2009-08-31 2011-03-08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269B1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859834B1 (en) Anti-inflammatory agent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30060130A (ko) 흑노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61179B1 (ko) 홍차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성 조성물
KR102015452B1 (ko) 섬기린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조성물 및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8144B1 (ko)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JP6562631B2 (ja) シリンガレシノールを含む皮膚改善用組成物
KR101972073B1 (ko)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949269B1 (ko)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813638B1 (ko) 아피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20150090954A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811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0831419B1 (ko) 간후안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EP4349844A1 (en) Novel phenylpropanoid compound
KR101876472B1 (ko) 시링가레시놀을 포함하는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80061662A (ko) 아네모시드 a3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6106993A1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102628373B1 (ko) 드라코로딘 페로클로레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65307B1 (ko) 아세틸시미게놀 아라비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2567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62256B1 (ko) 시린가레즈놀-4-O-β-D-아피오푸라노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5168B1 (ko)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