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668A - Handling robot - Google Patents
Handling rob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7668A KR20130047668A KR1020120121465A KR20120121465A KR20130047668A KR 20130047668 A KR20130047668 A KR 20130047668A KR 1020120121465 A KR1020120121465 A KR 1020120121465A KR 20120121465 A KR20120121465 A KR 20120121465A KR 20130047668 A KR20130047668 A KR 201300476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joint
- link
- horizontal arm
- join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2—Arms extens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25J9/043—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double selective compliance articulated robot arms [SCAR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0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robot blade, or gripped by a gripper for convey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Description
개시된 실시형태는 반송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embodiment relates to a transport robot.
종래, 액정용의 유리 기판이나 반도체 웨이퍼 등의 박판 형상 워크를 스토커(stocker) 등에 출납하는 반송 로봇이 알려져 있다. 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conveyance robot which deposits thin-walled workpieces, such as a glass substrate for liquid crystals and a semiconductor wafer, in and out of a stocker etc. is known.
예를 들어, 특허문헌에는, 한쌍의 각부(脚部) 유닛을 동작시켜서 상부에 배치된 아암 유닛을 상하 운동시키고, 이러한 아암 유닛에 의해서 박판 형상 워크를 반송하는 로봇이 제안되어 있다. For example, the patent document proposes the robot which moves a pair of each unit and moves the arm unit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and conveys a thin-shaped workpiece by such an arm unit.
그렇지만, 종래의 반송 로봇은, 액추에이터나 모터 등의 구동부가 한쌍의 각부 유닛에 동일한 구조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중량이나 가격의 삭감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ransfer robot is provided so that drive parts, such as an actuator and a motor, may have the same structure in a pair of each part unit, and there exists room for improv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weight or price reduction.
실시형태의 일 태양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장치에 따른 제조 가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는 반송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ne aspect of embodiment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onveyance robot which can simplify a structure, and can suppress the manufacturing price and weight by an apparatus.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 따른 반송 로봇은, 반송물을 보지하는 수평 아암 유닛과, 한쌍의 각부 유닛을 구비한다. 한 쌍의 각부 유닛은, 제 1 관절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를 각각 갖는다. 또한, 한쌍의 각부 유닛은, 상기 제 1 링크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제 2 관절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선단측에는 제 3 관절부의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수평 아암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링크를 각각 갖는다. 더욱이, 한 쌍의 각부 유닛이 상기 수평 아암 유닛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관절부에 구동원이 마련된다. 나아가, 한 쌍의 각부 유닛의 제 1 및 제 2 관절부에 있어서 해당 제 1 및 제 2 관절부의 총 수보다도 적은 수의 제 1 및 제 2 관절부에 구동원이 마련된다. The conveyance robot which concerns on one aspect of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horizontal arm unit which hold | maintains a conveyed thing, and a pair of each part unit. The pair of corner units each have a first link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joint portion. In addition, the pair of corner unit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joint part provided on the tip side of the first link, while the horizontal arm unit is connected to the tip side via the rotation axis of the third joint part. Each having a second link rotatably supported. Furthermore, a drive source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joint portions to enable the pair of corner units to control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horizontal arm unit. Furthermore, the drive source is provided in the 1st and 2nd joint part of the 1st and 2nd joint part of a pair of each part unit less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said 1st and 2nd joint part.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 의하면,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장치에 따르는 제조 가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to suppress the production cost and weight of the apparatus.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설명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모식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정면 모식도,
도 4a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정면 모식도 1,
도 4b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정면 모식도 2,
도 5a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정면 모식도 1,
도 5b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정면 모식도 2,
도 6a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정면 모식도 1,
도 6b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의 정면 모식도 2. 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4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4B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5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5B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6A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6B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transfer rob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2.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원의 개시하는 반송 로봇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embodiment of the conveyance robot disclosed herein is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우선,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일부의 형상을 단순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 도면 우측 상부에 나타내는 좌표축을 적절히 이용하여 설명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연직 상향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First, th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은 기대(11)와, 기부(12)와, 주 각부 유닛(13)과, 서브 각부 유닛(14)과, 수평 아암 유닛(15)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 1, the
주 각부 유닛(13)은 지주(21)와, 제 1 관절부(22)와, 제 1 링크(23)와, 제 2 관절부(24)와, 제 2 링크(25)와, 제 3 관절부(26)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서브 각부 유닛(14)은, 지주(31)와, 제 4 관절부(32)와 제 3 링크(33)와, 제 5 관절부(34)와, 제 4 링크(35)와, 제 6 관절부(36)를 추가로 구비한다. The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12)는, 기대(11)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선회부(12a)와, 선회부(12a)의 양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12b, 12c)로 구성되고, 기대(11)에 대하여 연직인 선회축(P1)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기부(12)의 선회를 따라, 주 각부 유닛(13), 서브 각부 유닛(14) 및 수평 아암 유닛(15)이 선회축(P1)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As shown in FIG. 1, the
또한, 반송 로봇(10)은 소정의 관절부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평 아암 유닛(15)을 승강시켜, 워크를 파지하는 핸드부를 마련하는 수평 아암 유닛(15)을 Y축의 정부(正負)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반송 로봇(10)은 핸드부를 X축의 정부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킨다. Moreover,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 반송 로봇(10)은, 워크의 파지나 이재(移載)를 실행한다. 또한, 반송 로봇(10)이나 수평 아암 유닛(15)의 형상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도 2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By operating as mentioned above, the
그런데, 종래의 반송 로봇은, 2개의 각부 유닛에 의해서 수평 아암 유닛이 지지되는 경우, 2개의 각부 유닛이 대칭이 되도록 액추에이터나 모터 등의 구동원이 내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By the way, when the horizontal arm unit is supported by the two corner units, the conventional transfer robo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drive source such as an actuator, a motor, or the like is incorporated so that the two corner units are symmetrical.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반송 로봇이 도 1에 도시하는 반송 로봇의 경우에는, 기부(12)에 대한 수평 아암 유닛(15)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원은 각 각부 유닛(13, 14)에 2개씩, 즉,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제 4 관절부(32) 및 제 5 관절부(34)의 합계 4개소 마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transfer robot shown in FIG. 1, the drive sour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그렇지만, 종래의 반송 로봇은, 중량이나 가격의 삭감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에서는, 수평 아암 유닛(15)의 위치 및 자세 결정을 실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동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ransfer robot has room for improv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reduction of weight and price. Therefore, in the
구체적으로는, 반송 로봇(10)은 기부(12)에 대한 수평 아암 유닛(15)의 위치 및 자세 결정과 관련하여,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및 제 6 관절부(36)의 3개의 축 단부에 각각 구동원을 마련하고, 이러한 3개의 관절부의 회전축을 구동축으로 한다. 한편, 제 3 관절부(26), 제 4 관절부(32) 및 제 5 관절부(34)의 회전축은, 자유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Specifically, the
또한, 도 1에서는, 각 관절부 중, 구동축으로 하는 위치를 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자유축으로 하는 위치를 흰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있다. 반송 로봇(10)은 3개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평 아암 유닛(15)의 Y좌표 및 Z좌표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In addition, in FIG. 1, the position used as a drive shaft among each joint part is shown with the black circle | round | yen, and the position used as the free axis is shown by the white circle | round | yen. The
또한, 주 각부 유닛(13)은 수평 아암 유닛(15)의 중량을 지지하고 있으며, 서브 각부 유닛(14)은, 수평 아암 유닛(15)의 위치 및 자세 결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수평 아암 유닛(15)에 지지된다. In addition, the
그래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에서는, 서브 각부 유닛(14)을, 주 각부 유닛(13)보다 가는 구조로 했다. 이것에 의해서, 반송 로봇(10)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또한, 종래의 반송 로봇은 2개의 각부 유닛에 마련되는 구동원이나 수평 아암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각 각부 유닛의 측면을 따라서 배선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케이블이 각 관절부에 연결되는 링크나 수평 아암 유닛등과 간섭하여, 반송 로봇의 동작의 장애가 되는 일이 있었다. Moreover, in the conventional transfer robot, the drive source provided in two each unit and the cabl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rm unit were wired along the side surface of each each unit. For this reason, such a cable may interfere with the link, horizontal arm unit, etc. which are connected to each joint part, and may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a carrier robot.
그래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에서는, 2개의 각부 유닛(13, 14)에 마련되는 구동원이나 수평 아암 유닛(15)으로부터의 케이블(37)을 서브 각부 유닛(14)으로 내포하는 것으로 했다. Therefore, in the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에서는,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장치에 따른 제조 가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다.By doing in this way, in the
다음,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이나 수평 아암 유닛(15)의 형상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의 모식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로봇(10)은, 기대(11)와, 기부(12)와, 주 각부 유닛(13)과, 서브 각부 유닛(14)과, 수평 아암 유닛(15)을 구비한다. Next, details of the shape of the
기부(12)는, 기대(11)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기대(11)에 대하여 수직인 선회축(P1)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기부(12)의 선회에 따라, 주 각부 유닛(13), 서브 각부 유닛(14) 및 수평 아암 유닛(15)이 선회축(P1)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한다. The
주 각부 유닛(13)은, 지주(21)와, 제 1 관절부(22)와, 제 1 링크(23)와, 제 2 관절부(24)와, 제 2 링크(25)와, 제 3 관절부(26)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서브 각부 유닛(14)은, 지주(31)와, 제 4 관절부(32)와, 제 3 링크(33)와, 제 5 관절부(34)와, 제 4 링크(35)와, 제 6 관절부(36)를 추가로 구비한다. The
지주(21, 31)는 기부(12)의 각 선단부로부터 각각 연직 상향으로 입설된다. 주 각부 유닛(13)을 형성하는 제 1 링크(23)는, 지주(21)의 선단부 또한 X축의 부 방향측에 기단부가 제 1 관절부(22)를 거쳐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링크(23)는, X축과 평행한 제 1 관절부(2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주(21)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제 2 링크(25)는, 제 1 링크(23)의 선단부 또한 X축의 부방향 측에 기단부가 제 2 관절부(24)를 거쳐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링크(25)는, X축과 평행한 제 2 관절부(2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1 링크(23)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서브 각부 유닛(14)을 형성하는 제 3 링크(33)는, 지주(31)의 선단부 또한 X축의 부방향 측에 기단부가 제 4 관절부(32)를 거쳐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3 링크(33)는, X축과 평행한, 제 4 관절부(3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주(31)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제 4 링크(35)는, 제 3 링크(33)의 선단부 또한 X축의 부방향측에 기단부가 제 5 관절부(34)를 거쳐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4 링크(35)는, X축과 평행한, 제 5 관절부(3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3 링크(33)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수평 아암 유닛(15)은, 제 2 링크(25)의 선단부에 제 3 관절부(26)를 거쳐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수평 아암 유닛(15)은, X축과 평행한 제 3 관절부(2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2 링크(25)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또한, 수평 아암 유닛(15)은, 제 4 링크(35)의 선단부에 제 6 관절부(36)를 거쳐서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수평 아암 유닛(15)은, X축과 평행한, 제 6 관절부(3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4 링크(35)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반송 로봇(10)은,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및 제 6 관절부(36)의 축단부에 액추에이터나 모터 등의 구동원을 마련하고(도시하지 않음), 이러한 3개의 관절부의 회전축을 구동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반송 로봇(10)은, 이러한 3개의 구동축을 구동시켜 제 1 링크(23)나 제 2 링크(25)의 자세를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반송 로봇(10)은, 수평 아암 유닛(15)의 위치 및 자세 결정을 실행할 수 있다. The
또한, 서브 각부 유닛(14)에는, 수평 아암 유닛(15)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내포된다(도시하지 않음). 이것에 의해, 반송 로봇(10)은, 케이블이 다른 부재에 얽히는 일 없이 수평 아암 유닛(15)을 부드럽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 아암 유닛(15)에 접속되는 케이블이란, 예를 들어, 워크를 흡착하기 위한 에어용의 배관이나, 흡착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에 접속되는 센서 선이다. Moreover, the cable connected to the
수평 아암 유닛(15)은, 상측 아암 유닛(15a)과, 하측 아암 유닛(15b)을 구비한다. 하측 아암 유닛(15b)에 구비하는 하측 지지 부재(50)는, 한쪽을, 제 2 링크(25)의 선단부에, 제 3 관절부(26)의 관절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을 제 4 링크(35)의 선단부에, 제 6 관절부(36)의 관절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또한, 상측 아암 유닛(15a)과 하측 아암 유닛(15b)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측 아암 유닛(15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측 아암 유닛(15a)은, 피반송 대상물인 워크를 탑재하기 위한 핸드부(46)와, 이 핸드부(46)를 선단부에서 지지하는 아암부(47)와, 상측 지지 부재(40)를 구비한다. In addition, since the
아암부(47)는, 기단측 아암(42)과 선단측 아암(44)을 구비한다. 기단측 아암(42)은, Z축과 평행한 기단측 관절부(4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측 지지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The
선단측 아암(44)은, Z축과 평행한 선단측 관절부(4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단측 아암(42)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핸드부(46)는, Z축과 평행한 아암 관절부(45)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단측 아암(44)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또한, 핸드부(46)는, 이들 기단측 아암(42)과 선단측 아암(44)이 회전 동작하는 것에 의해서 아암부(47)가 신축하여, 제 3 관절부(26)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반송 로봇(10)의 선회 위치가 도 2에 도시하는 상태인 경우, X축의 정부 방향이, 핸드부(46)의 이동 방향 및 아암부(47)의 신축 방향이다. In addition, in the
또한, 여기에서는, 상측 아암 유닛(15a)과 하측 아암 유닛(15b)에 의해 수평 아암 유닛(15)을 구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상측 아암 유닛(15a) 또는 하측 아암 유닛(15b)만으로 구성하는 수평 아암 유닛(15)이라도 좋다. In addition, although the
다음,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의 수평 아암 유닛(15)이 최하 위치인 경우의 형상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의 정면 모식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측 지지 부재(40) 및 상측 아암 유닛(15a)은 도시를 생략하였다.Next, the shape of the case where the
반송 로봇(10)은,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및 제 6 관절부(36)의 회전축을 구동축으로 하고, 제 3 관절부(26), 제 4 관절부(32) 및 제 5 관절부(34)의 회전축을 자유축으로 한다. The
따라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로봇(10)은, 제 1 관절부(22)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 1 링크(23)의 자세를 변화시키고, 제 2 관절부(24)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 2 링크(25)의 자세를 변화시킨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또한, 반송 로봇(10)은, 제 6 관절부(36)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 4 링크(35)의 자세를 변화시켜 수평 아암 유닛(15)을 최하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Moreover, the
또한, 여기서, 반송 로봇(10)은, 수평 아암 유닛(15)에 마련하는 핸드부(46)의 하면이 기부(12)의 상면과 접촉하지 않는 정도까지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반송 로봇(10)은, 2개의 각부 유닛(13, 14)에 간섭하는 일 없이 수평 아암 유닛(15)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here, the
또한, 서브 각부 유닛(14)은 수평 아암 유닛(15)의 중량을 지지하는데 기여하지 않기 때문에 주 각부 유닛(13)보다 가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수평 아암 유닛(15)이 최하 위치에 있어도, 제 3 링크(33)나 제 4 링크(35)는, 수평 아암 유닛(15)에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수평 아암 유닛(15)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sub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로봇은 수평 아암 유닛을 지지하는 2개의 각부 유닛을 비대칭의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에서는, 주 각부 유닛에는 2개의 구동원을, 서브 각부 유닛에는 1개의 구동원을 마련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ransfer robot has an asymmetrical configuration of two corner units supporting the horizontal arm unit. Specifically, in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wo drive sources are provided in the main corner unit and one drive source in the sub corner unit.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에서는, 서브 각부 유닛을 주 각부 유닛보다 가늘게 하여, 케이블 등을 서브 각부 유닛에 내포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은,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장치에 따르는 제조 가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다. In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ub-angular unit is thinner than the main-angular unit, and a cable or the like is included in the sub-angular unit. As a result,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can suppress the production cost and weight of the apparatus.
그런데,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에서는,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및 제 6 관절부(36)에 구동원을 마련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이하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과는 다른 구성의 반송 로봇에 대하여 설명한다.By the way, in the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4a 및 도 4b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A)의 정면 모식도 1 및 2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A)은, 구동원을 마련하는 위치가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4A and 4B are front
또한, 반송 로봇(10A)의 구성에 대해서는, 구동원을 마련하는 위치가 다른 것 이외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구성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In addition, about the structure of 10 A of conveyance robots, since it is the same as that of FIG. 1 and FIG. 2 except the position which provides a drive source, it abbreviate | omits about description of a structure here.
우선,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로봇(10A)은,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및 제 5 관절부(34)의 축 단부에 각각 구동원을 마련하고, 이러한 3개의 관절부의 회전축을 구동축으로 한다. 한편, 제 3 관절부(26), 제 4 관절부(32) 및 제 6 관절부(36)의 회전축은, 자유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First, as shown in FIG. 4A, the
또한, 도 4a에서는, 각 관절부 중, 구동축으로 하는 위치를 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자유축으로 하는 위치를 흰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있다. 반송 로봇(10A)은, 이러한 3개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평 아암 유닛(15)의 Y좌표 및 Z좌표의 위치 및 자세 결정을 실행한다. In addition, in FIG. 4A, the position used as a drive shaft among each joint part is shown with the black circle | round | yen, and the position used as the free axis is shown by the white circle | round | yen. The
제 5 관절부(34)의 구동축의 동력은, 이러한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 4 관절부(32)와 제 6 관절부(36)를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 5 관절부(34)의 구동축은, Z축의 정부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게 된다. The power of the drive shaft of the fifth
그렇지만,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4 관절부(32) 및 제 6 관절부(36)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 이러한 2개의 관절부(32, 36)의 발생력의 방향(동 도면의 화살표)은 수평 방향(Y축의 정부 방향)이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4B, when the height of the 4th
이 때문에, 제 5 관절부(34)의 구동축은, Z축의 정부 방향으로 힘을 발생하지 못하며, 그 결과, 수평 아암 유닛(15)은 승강할 수 없다. For this reason, the drive shaft of the
그래서, 반송 로봇(10A)은, 제 1 관절부(22) 및 제 2 관절부(24)의 구동축의 동력에 의해서 제 4 관절부(32) 및 제 6 관절부(36)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 로봇(10A)은 수평 아암 유닛(15)을 매끄럽게 승강시킬 수 있다.Thu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로봇은 수평 아암 유닛을 지지하는 2개의 각부 유닛을 비대칭의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주 각부 유닛에는 2개의 구동원을, 서브 각부 유닛에는 1개의 구동원을 마련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은,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장치에 이러한 제조 가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ransfer robot has an asymmetrical configuration of two corner units supporting the horizontal arm unit. Specifically, in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wo drive sources are provided in the main corner unit and one drive source in the sub corner unit. Thereby, the conveyance robot concerning 2nd Embodiment can simplify a structure, and can suppress such a manufacturing price and weight in an apparatus.
(제 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다음,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B)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B)의 정면 모식도 1 및 2이며, 도 5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측 지지 부재(40) 및 상측 아암 유닛(15a)의 도시를 생략하였다.Next, the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B)은 구동원을 마련하는 위치가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반송 로봇(10B)의 구성에 대해서는, 구동원을 마련하는 위치가 다른 것 이외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구성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In the
우선,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로봇(10B)은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및 제 4 관절부(32)의 축단부에 각각 구동원을 마련하고, 이러한 3개의 관절부의 회전축을 구동축으로 한다. 한편, 제 3 관절부(26), 제 5 관절부(34) 및 제 6 관절부(36)의 회전축은, 자유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 First, as shown in FIG. 5A, the
또한, 도 5a에서는, 각 관절부 중, 구동축으로 하는 위치를 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자유축으로 하는 위치를 흰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있다. 반송 로봇(10B)은 이러한 3개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평 아암 유닛(15)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In addition, in FIG. 5A, the position used as a drive shaft among each joint part is shown with the black circle | round | yen, and the position used as the free axis is shown by the white circle | round | yen. The
이어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아암 유닛(15)이 최하 위치에 있는 경우, 제 6 관절부(36)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반송 로봇(10B)은 제 6 관절부(36)에 대하여 Y축의 정 방향 및 Y축의 부 방향으로 힘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B, when the
그 때, 수평 방향(Y축의 정부 방향)과 제 4 링크(35)의 각도를 θ1로 하면, 이러한 각도(θ1)가 클수록 제 6 관절부(36)에 대하여 Y축의 정 방향으로부터 부여하는 힘은 작아도 좋다. 그래서, 반송 로봇(10B)은 사선으로 나타내는 기대(11)와 제 4 링크(35)가 간섭하지 않는 정도까지 제 4 링크(35)를 하강시키는 것으로 했다. At that time, if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Y axis) and the
이것에 의해서, 반송 로봇(10B)은 구동축의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매끄럽게 수평 아암 유닛(15)을 상승시킬 수 있다. Thereb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로봇은, 수평 아암 유닛을 지지하는 2개의 각부 유닛을 비대칭의 구성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에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주 각부 유닛에는 2개의 구동원을, 서브 각부 유닛에는 1개의 구동원을 마련하는 것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은,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장치에 따르는 제조 가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transfer robot has an asymmetrical configuration of two corner units supporting the horizontal arm unit. Specifically, in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wo drive sources are provided in the main corner unit and one drive source in the sub corner unit. As a result,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can suppress the production cost and weight of the apparatus.
(제 4 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다음,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C)에 대하여 도 6a 및 도 6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C)의 정면 모식도 1 및 2이다. Next, the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10C)은, 주 각부 유닛(13)에만 구동원을 마련하는 점이, 제 1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또한, 반송 로봇(10C)의 구성에 대해서는, 구동원을 마련하는 위치가 다른 것 이외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구성의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The
우선,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로봇(10C)은, 주 각부 유닛(13)에 구비하는 관절부만, 즉, 제 1 관절부(22), 제 2 관절부(24) 및 제 3 관절부(26)의 축단부에 각각 구동원을 마련하고, 이러한 3개의 관절부의 회전축을 구동축으로 한다. 한편, 서브 각부 유닛(14)에 구비하는 제 4 관절부(32), 제 5 관절부(34) 및 제 6 관절부(36)의 회전축은, 자유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축지된다.First, as shown in FIG. 6A, the
또한, 도 6a에서는, 각 관절부 중, 구동축으로 하는 위치를 검은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자유축으로 하는 위치값을 흰색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있다. 반송 로봇(10C)은, 이러한 3개의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평 아암 유닛(15)의 위치 결정을 실행한다. In FIG. 6A, the position of the drive shaft in each joint portion is indicated by a black circle, and the position value of the free axis is indicated by a white circle. The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각부 유닛(14)측의 3개의 관절부(32, 34, 36)의 회전축은 자유축이다. 이 때문에, 반송 로봇(10C)이 수평 아암 유닛(15)을 승강할 때,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관절부(34)가 서브 각부 유닛(14)의 외측(Y축의 정 방향)으로 굴곡할 우려가 있다.Here, as mentioned above, the rotation axis of the three
그래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링크(33)와 제 4 링크(35)의 외측(Y축의 정 방향)의 각도를 θ2로 하면, 반송 로봇(10C)은, θ2가 180°이상이 되지 않도록, 소정의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다(도시하지 않음). Therefore, as shown in FIG. 6B, when the angle of the outer side (the positive direction of the Y-axis) of the
예를 들어, 반송 로봇(10C)은, 제 3 링크(33)와 제 4 링크(35) 사이에 연장 방지용의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주 각부 유닛(13)에만 구동원을 마련하는 경우라도, 반송 로봇(10C)은, 수평 아암 유닛(15)을 승강시킬 때, 수평 아암 유닛(15)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로봇은, 주 각부 유닛에만 구동원을 마련하고, 수평 아암 유닛을 지지하는 2개의 각부 유닛을 비대칭의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반송 로봇은, 구조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장치에 따르는 제조 가격 및 중량을 억제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in 4th Embodiment, the transfer robot provided the drive source only in the main corner part unit, and made the two corner part units which support a horizontal arm unit into the asymmetrical structure. As a result, the transfer robo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can suppress the production cost and weight of the apparatus.
새로운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보다 광범위한 태양은, 이상과 같이 나타내며 또한 기술한 특정의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New effects and modifications can be easily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this reason, the broader aspect tha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etail and typical embodiment which were represented as above and described.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general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10A, 10B, 10C : 반송 로봇 11 : 기대
12 : 기부 12a : 선회부
12b, 12c : 연장부 13 : 주 각부 유닛
14 : 서브 각부 유닛 15 : 수평 아암 유닛
15a : 상측 아암 유닛 15b : 하측 아암 유닛
21 : 지주 22 : 제 1 관절부
23 : 제 1 링크 24 : 제 2 관절부
25 : 제 2 링크 26 : 제 3 관절부
31 : 지주 32 : 제 4 관절부
33 : 제 3 링크 34 : 제 5 관절부
35 : 제 4 링크 36 : 제 6 관절부
37 : 케이블 40 : 상측 지지 부재
41 : 기단측 관절부 42 : 기단측 아암
43 : 선단측 관절부 44 : 선단측 아암
45 : 아암 관절부 46 : 핸드부
47 : 아암부 50 : 하측 지지 부재
P1 : 선회축10, 10A, 10B, 10C: carrier robot 11: expectation
12:
12b, 12c: Extension part 13: Main part unit
14: sub-angular unit 15: horizontal arm unit
15a:
21: prop 22: first joint
23: first link 24: second joint portion
25: second link 26: third joint portion
31: prop 32: fourth joint
33: third link 34: fifth joint portion
35: fourth link 36: sixth articulation
37
41: proximal joint 42: proximal arm
43: tip side joint 44: tip side arm
45: arm joint 46: hand
47: arm portion 50: lower support member
P1: pivot axis
Claims (10)
제 1 관절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제 2 관절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선단측에는 제 3 관절부의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수평 아암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링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각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각부 유닛이 상기 수평 아암 유닛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관절부에 구동원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각부 유닛의 제 1 및 제 2 관절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관절부의 총 수보다도 적은 수의 제 1 및 제 2 관절부에 구동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A horizontal arm unit for holding a conveyed object,
The first link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joint part, and the proximal end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joint part provid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first link. A pair of corner units each having a second link on which the horizontal arm unit is rotatably supported via a rotation axis of a third joint portion,
In order to enable the pair of corner units to control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horizontal arm unit, a driving source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joints,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ts of the pair of corner units And a driving source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joints with a smaller number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second joints.
Bounce robot.
주 각부 유닛과 서브 각부 유닛을 상기 한쌍의 각부 유닛으로서 구비하며, 상기 주 각부 유닛에 마련되는 상기 구동원의 수가, 상기 서브 각부 유닛에 마련되는 상기 구동원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part unit and the sub part part unit are provided as the pair of part part units, and the number of the drive sources provided in the main part part unit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the drive sources provided in the sub part part units.
Bounce robot.
상기 주 각부 유닛은,
상기 제 1 관절부 및 상기 제 2 관절부에 상기 구동원이 마련되고,
상기 서브 각부 유닛은,
상기 제 3 관절부에 상기 구동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parts unit,
The driving source is provided to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The sub-unit unit,
The drive source is provided in the third joi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Bounce robot.
상기 수평 아암 유닛에 접속되는 케이블은 상기 서브 각부 유닛에 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The cabl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arm unit is contained in the sub-angular unit.
Bounce robot.
상기 주 각부 유닛은 상기 서브 각부 유닛보다 굵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part unit is formed thicker than the sub part unit
Bounce robot.
상기 서브 각부 유닛이 마련되는 측의 기부의 상면이, 상기 주 각부 유닛이 마련되는 측의 상기 기부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아암 유닛은,
상기 수평 아암 유닛에 있어서의 하측 아암의 일부가 상기 단차의 범위 내가 될 때까지 하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The step is formed by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on the side where the sub-corner unit is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on the side where the main leg unit is provided,
The horizontal arm unit,
It is possible to descend until a part of the lower arm in the horizontal arm unit is within the range of the step.
Bounce robot.
상기 주 각부 유닛은,
상기 제 1 관절부 및 상기 제 2 관절부에 상기 구동원이 마련되고,
상기 서브 각부 유닛은,
상기 제 2 관절부에 상기 구동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parts unit,
The driving source is provided to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The sub-unit unit,
The driving source is provided in the second joint portion
Bounce robot.
상기 주 각부 유닛은,
상기 제 1 관절부 및 상기 제 2 관절부에 상기 구동원이 마련되고,
상기 서브 각부 유닛은,
상기 제 1 관절부에 상기 구동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parts unit,
The driving source is provided to the first joint portion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The sub-unit unit,
The driving source is provided in the first joint portion
Bounce robot.
상기 주 각부 유닛은,
상기 제 1 관절부, 상기 제 2 관절부 및 상기 제 3 관절부에 상기 구동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 The method of claim 2,
The main parts unit,
The driving source is provided in the first joint part, the second joint part and the third joint part.
Bounce robot.
제 1 관절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제 2 관절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선단측에는 제 3 관절부의 회전축을 거쳐서 상기 수평 아암 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2 링크를 각각 갖는 한쌍의 각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각부 유닛이 상기 수평 아암 유닛의 위치 및 자세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관절부에 구동원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각부 유닛의 어느 한 쪽의 제 1 및 제 2 관절부에는 각각 구동원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각부 유닛의 다른 쪽의 제 1 및 제 2 관절부에는 상기 한 쌍의 각부 유닛의 상기 어느 한 쪽에 있어서의 구동원이 마련된 관절부의 수보다 적은 수의 관절부에 구동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로봇.A horizontal arm unit for holding a conveyed object,
The first link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ximal en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joint part, and the proximal end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joint part provid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first link. A pair of corner units each having a second link on which the horizontal arm unit is rotatably supported via a rotation axis of a third joint portion,
In order to enable the pair of corner units to control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horizontal arm unit, a driving source is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joints,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ts on either side of the pair of corner units Each of the driving sources is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t portions of the pair of the respective unit units have a plurality of driving portions less than the number of joint portions provided with the driving sources of any one of the pair of the respective unit units. Characterized in that
Bounc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239446 | 2011-10-31 | ||
JP2011239446A JP5459292B2 (en) | 2011-10-31 | 2011-10-31 | Transfer rob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7668A true KR20130047668A (en) | 2013-05-08 |
Family
ID=4819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1465A KR20130047668A (en) | 2011-10-31 | 2012-10-30 | Handling robo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459292B2 (en) |
KR (1) | KR20130047668A (en) |
CN (1) | CN103085063A (en) |
TW (1) | TW201336643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62521B2 (en) * | 2018-12-21 | 2022-10-28 | 株式会社ダイヘン | Multistage hand and transfer robot equipped with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02573A (en) * | 1997-01-14 | 1998-08-04 | Fujitsu Ltd | Robot arm device |
JP4479034B2 (en) * | 2000-02-04 | 2010-06-09 |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Wafer carrier transfer device in load port device |
JP4482818B2 (en) * | 2005-10-03 | 2010-06-16 |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 Biped robot |
JP5146641B2 (en) * | 2007-06-06 | 2013-02-20 | 株式会社安川電機 | Substrate transfer robot and control method of substrate transfer robot |
WO2009034854A1 (en) * | 2007-09-13 | 2009-03-19 |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 Transfer robot, transfer method and control method |
JP5471399B2 (en) * | 2009-12-17 | 2014-04-16 | 株式会社安川電機 | Transfer robot |
JP5446896B2 (en) * | 2010-01-14 | 2014-03-19 | 株式会社安川電機 | Substrate transfer device |
-
2011
- 2011-10-31 JP JP2011239446A patent/JP545929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10-30 CN CN2012104247216A patent/CN103085063A/en active Pending
- 2012-10-30 TW TW101140134A patent/TW201336643A/en unknown
- 2012-10-30 KR KR1020120121465A patent/KR2013004766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094896A (en) | 2013-05-20 |
JP5459292B2 (en) | 2014-04-02 |
TW201336643A (en) | 2013-09-16 |
CN103085063A (en) | 201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51021B2 (en) | Industrial robot and control method for industrial robot | |
JP5532110B2 (en) | Substrate transfer robot and substrate transfer method | |
KR20120139534A (en) | Transport robot | |
TWI357375B (en) | ||
KR101321618B1 (en) | Transfer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5847393B2 (en) | Transfer robot | |
TWI546172B (en) | Industrial robots | |
CN104411466A (en) | Robotic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goods | |
KR101514142B1 (en) | Robot arm and robot | |
JP5532111B2 (en) | Robot arm, robot, and robot operation method | |
JP2017226062A (en) | Robot, conveyance device, and conveyance method of connector with harness | |
JPWO2016189565A1 (en) | Horizontal articulated robot | |
JP2019209458A (en) | End effector and device | |
JP2018187749A (en) | robot | |
JP2014159076A (en) | Substrate transport robot | |
KR20130047668A (en) | Handling robot | |
KR101260657B1 (en) | Joint arm robot type elevation apparatus | |
JP4228245B1 (en) | Articulated robot | |
JP5563271B2 (en) | Substrate transfer robot | |
JP2012228761A (en) | Robot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rkpiece | |
JP6869080B2 (en) | Robot control device and control program | |
JP2008254138A (en) | Articulated robot | |
JP2014124761A (en) | Articulated robot, conveyance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rticulated robot | |
JP2009208174A (en) | Industrial robot | |
JP2012228760A (en) | Robo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