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7618A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7618A
KR20130047618A KR1020120119599A KR20120119599A KR20130047618A KR 20130047618 A KR20130047618 A KR 20130047618A KR 1020120119599 A KR1020120119599 A KR 1020120119599A KR 20120119599 A KR20120119599 A KR 20120119599A KR 20130047618 A KR20130047618 A KR 2013004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units
touch pane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 쿠에이-칭
린 타-후
흐수 치-밍
리우 치엔-청
Original Assignee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4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은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 및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은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각각에 대응하여 연결된다. 각각의 투명 전도 유닛은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을 가진다.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에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이 병렬로 배치되고, 모든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동일한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진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패널, 특히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터치 입력 장치들이 휴대폰들 및 태블릿 컴퓨터들과 같은 서로 다른 전자제품들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시들 또는 텍스트들을 입력하거나 커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터치 입력 패널 상에서 단순히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들은 저항성(resistive), 용량성(capacitive), 초음파(ultrasonic), 및 적외선(infrared) 타입들을 포함한다. 저항성 터치 패널이 가장 대중적인 타입이긴 하지만, 용량성 터치 패널의 적용들이 최근 수 년 동안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 패널(1)은 기판(10),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들(11), 복수의 금속 전극들(12), 및 절연 층들(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은 보통 유리와 같은 투명 물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배선들(11)은 대체로 상기 기판(10)의 터치 입력 영역 안에 배치되고, 상기 배선들(11)의 끝단들은 상기 금속 전극들(12)에 연결된다. 상기 금속 전극들(12)은 회로기판 또는 외부 회로에 더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배선들(11) 중 어느 것이라도 끊어지거나 손상되면, 이 배선(11)은 정상으로 기능하지 못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터치 패널(1)의 일 부분이 터치 입력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여, 전체 제품에 오류가 생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주제는 끊어지거나 손상된 배선에 의해 야기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산출량(production yield)을 증가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끊어지거나 손상된 배선에 의해 야기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 및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개시한다.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은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각각에 대응하여 연결된다. 각각의 투명 전도 유닛은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을 가진다.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에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이 병렬로 배치되고, 모든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동일한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의 모양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상기 다각형 모양은 삼각형, 사변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 등의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다각형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컨덕터들 및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은 포토리소그래프 프로세스(photolithograph process) 또는 인쇄 프로세스(printing process)와 같이, 동일한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투명 컨덕터들 및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은 동일한 층 상에 형성되고,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투명 전도 폴리머로 만들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 중 2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연결 부분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터치 입력 영역 및 주변 영역으로 정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안에 분포되고,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은 상기 주변 영역 안에 분포된다. 모든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동일한 하나와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물질은 유리, 필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물질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은 모두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일 부분의 연장 방향은 나머지 투명 전도 유닛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일부는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투명 전도 유닛들은 상기 기판의 제2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은 터치 입력 영역 및 주변 영역으로 함께 정의된다.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의 부분들 및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의 부분들은 상기 제1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및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의 나머지들은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된다. 상기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안에 분포되고,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은 상기 주변 영역 안에 분포된다. 모든 투명 컨덕터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동일한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진다.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나아가,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을 더 포함하는 한편,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안에 배치되는 투명 장식 패턴은 없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든 투명 컨덕터는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중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 및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타 단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컨덕터들 각각은 교대로 행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non-line-segment patterns) 및 라인-세그먼트 패턴들(line-segment patterns)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하나의 금속 연결 유닛이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컨덕터들 중 하나가 끊어지거나 손상되면, 나머지 투명 컨덕터들이 계속 정상으로 기능할 수 있어, 이로써 터치 패널의 산출량이 증가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 안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게다가, 상기 투명 장식 패턴 및 상기 투명 컨덕터의 물질이 동일하여, 그 사이의 색차가 감소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이는 측에서 상기 투명 컨덕터와 상기 투명 장식 패턴을 볼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들에 의해 더 잘 이해될 것인데, 상기 도면들은 설명을 위해서만 주어질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패널을 보여주는 대략적인 도면인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들을 보여주는 대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른 터치 패널을 보여주는 대략적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c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터치 패널들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진행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인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들과 관련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2)을 보여주는 대략적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패널(2)는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22) 및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21)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은, 높은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예, 은)으로 만들어지는데, 회로기판 또는 외부 회로들에 연결되는 전극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은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에 각각 대응하여 연결된다. 투명 전도 유닛(21) 각각은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211, 212)을 가진다.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 중 하나에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이 병렬로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 둘다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 중 동일한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서로 다른 투명 전도 유닛들(21)의 상기 투명 컨덕들(211, 212)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컨덕터(211)의 일 단은 상기 투명 컨덕터(212)의 일 단과 직접 서로 연결된다. 상기 투명 컨덕터(211)는 복수의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2111) 및 라인-세그먼트 패턴들(2112)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교대로 행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투명 컨덕터(212)는 복수의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2121) 및 라인-세그먼트 패턴들(2122)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교대로 행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2111, 2121)은 예를 들어 삼각형, 사변형(quadrangles), 원형 또는 다른 다각형들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2111, 2121)은 사변형들이다. 게다가,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 각각은 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2)은 기판(2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터치 입력 영역(201) 및 주변 영역(202)으로 정의된다.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201) 안에 분포되고,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은 상기 주변 영역(202) 안에 분포된다. 상기 투명 컨덕터(211)의 일 단과 상기 투명 컨덕터(212)의 일단은 상기 주변 영역(202)에서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 중 동일한 하나에 연결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2a) 및 터치 패널(2b)을 보여주는 대략적인 도면들이다. 상기 터치 패널들(2a, 2b) 각각은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23)을 더 포함하는데, 이것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 중 하나 안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 및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은 포토리소그래프 프로세스 또는 인쇄 프로세스와 같은 단일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 및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은 상기 기판(20) 상 동일한 층 상에 형성되고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투명 전도 폴리머로 만들어진다.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은 어떠한 모양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은 마름모나 다이아몬드에 유사한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그렇지 않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물론, 다각형은 삼각형, 사변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마름모, 다이아몬드, 등과 같이,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은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에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의 구성은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게다가,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 및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어, 그 사이의 색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상기 터치 패널(2a)의 보이는 측(view side)에서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터치 패널(2a)을 보는 동안 상기 투명 컨덕터(211, 212)의 구성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없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 안에 구성될 뿐, 서로 다른 투명 전도 유닛들(21) 사이 영역에는 구성되지 않는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 안에 구성되고, 복수의 추가적인 투명 장식 패턴들(24)이 서로 다른 투명 전도 유닛들(21) 사이 영역 안에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2c)을 보여주는 대략적인 도면이다. 터치 패널(2c)에 있어서, 상기 전도 유닛들(21) 각각은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211~213)을 포함한다. 투명 컨덕터(211~213) 각각은 2개의 금속 연결 유닛들(22a, 22b) 각각에 연결되는 2개의 끝단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투명 컨덕터(211)의 일 단, 상기 투명 컨덕터(212)의 일 단, 및 상기 투명 컨덕터(213)의 일 단은 함께 하나의 금속 연결 유닛(22a)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투명 컨덕터(211)의 타 단, 상기 투명 컨덕터(212)의 타 단, 및 상기 투명 컨덕터(213)의 타 단은 함께 다른 금속 연결 유닛(22b)에 연결된다.
상기 전도 유닛들(21)은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213) 중 2개(예. 투명 컨덕터들(211, 212) 또는 투명 컨덕터들(212, 213)를 연결하는 복수의 투명 연결 부분들(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연결 부분(214)은 인접하는 투명 컨덕터들(211, 212)의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2111, 2121)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컨덕터들 중 하나가 끊어지거나 손상되면, 나머지 투명 컨덕터가 계속 정상으로 기능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끊어지거나 손상된 투명 컨덕터는 상기 투명 연결 부분을 통해 인접하는 정상 투명 컨덕터에 연결될 수 있어, 이 또한 계속 정상으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상기 터치 패널(2c)의 산출량이 증가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2d)을 보여주는 대략적인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패널(2d)은 제1기판(20a) 및 제2기판(2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판(20a) 및 상기 제2기판(20b)은 함께 터치 입력 영역(201) 및 주변 영역(202)으로 정의된다.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a)의 부분들 및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a)의 부분들은 상기 제1기판(20a)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금속 연결 유닛들(22b) 및 나머지 투명 전도 유닛들(21b)은 상기 제2기판(20b) 상에 배치된다.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201) 안에 분포되고,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a, 22b)은 상기 주변 영역(202) 안에 분포된다. 상기 투명 컨덕터(211)의 일 단 및 상기 투명 컨덕터(212)의 일 단은 상기 주변 영역(202)에서 동일한 금속 연결 유닛(22a 또는 22b)에 연결된다. 상기 제1기판(20a)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2기판(20b)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기판(20a)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의 연장 방향이 X-축 방향이면, 상기 제2기판(20b)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의 연장 방향은 Y-축 방향이고, 그 역도 마찬기지이다.
상기 기판(20a) 상에는, 복수의 투명 연결 부분(214)이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상기 기판(20b) 상에도, 복수의 투명 연결 부분(215)이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서로 다른 기판들(20a, 20b)의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 사이의 교차-링크되는 부분들은 터치 입력 지점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기판(20b)의 상기 연결 부분들(215) 및 상기 기판들(20a)의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 사이의 상기 교차-링크되는 부분들은 터치 입력 지점들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기판(20a)의 상기 연결 부분들(214) 및 상기 기판들(20b)의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 사이의 교차-링크되는 부분들 또한 터치 입력 지점들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분들의 구성은 효과적인 터치 입력 지점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c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서로 다른 터치 패널들의 단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기판들(20a, 20b)의 측면은 제외하고, 본 발명의 터치 패널은 단지 하나의 기판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a, 21b) 및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a, 22b)은 모두 유일한 기판(제1기판(20a))의 상기 제1면(203) 상에 배치되고, 이들은 절연 부분(25) 상에 위치하는, 교차 부분(26)을 통해 연결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a, 21b) 및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a, 22b)은 모두 유일한 기판(제1기판(20a))의 상기 제1면(203) 상에 배치되고, 절연 부분(25)이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a, 21b) 사이에 구성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a, 21b) 및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a, 22b)은 유일한 기판(제1기판(20a))의 상기 제1면(203) 및 상기 제2면(204) 상에 배치된다.
더 나은 터치 제어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면(203) 상에 또는 상기 제1면(203) 및 상기 제2면(204) 상에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a, 21b) 및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22a, 22b)을 배치하는 상기의 측면들에 있어서, 일부의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은 나머지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일부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은 X-축 방향인 한편, 나머지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은 Y-축 방향이다(도 5a 참조).
가장 중요한 것은 단일 기판이 3가지 기능을 가진다는 것이다. 하나의 기능은 원래의 터치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을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두번째 기능은 터치 패널(2e 또는 2f)의 기판과 같은, 단일 기판이 터치 패널의 조작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의 배선들 및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로서 사용된다. 게다가, 실제로, 상기 기판은 주변 회로들 및 숨겨진 다른 구성요소들을 커버하므로, 세번째 기능은 쉴딩 및 장식 효과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것은 터치 패널들의 완전 평면에 있어서 장점이 된다.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23)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a) 중 하나 안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상기 제1기판(20a) 상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211, 212)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한편, 상기 제2기판(20b)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21b) 안에는 어떠한 투명 장식 패턴(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3) 또는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24))도 구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기판(20a)의 외부면은 사용자가 누르고 제어하기 위한 상기 터치 패널(2d)의 조작면이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일 투명 전도 유닛 안의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수는 2 또는 3이다. 실제로, 단일 투명 전도 유닛 안의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수는 3 이상일 수 있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은 함께 하나의 금속 연결 유닛에 연결된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리, 필름, 또는 PMMA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하드 또는 플렉시블 터치 패널이다. 상기 터치 패널이 하드 터치 패널일 때, 상기 기판의 물질은 유리이고, 그렇지 않고, 상기 터치 패널이 플렉시블 터치 패널일 때, 상기 기판의 물질은 필름, 플라스틱, 또는 플렉시블 유리이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모양들 및 치수들은 유사하지만, 실제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의 모양은 삼각형, 사변형, 마름모, 다이아몬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어떠한 모양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서로 다른 투명 전도 유닛들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의 모양들 및 배치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측면들 또는 그들의 변형들 또는 조합들 중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상기 투명 컨덕터들,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및/또는 상기 연결 배선들은 볼록판 인쇄(relief printing),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평판 인쇄(planographic printing),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등과 같은 인쇄 프로세스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프로세스 동안, 인쇄 물질은 광 전도 물질(photo conductive material) 또는 광선 경화 전도 물질(radiation cured conductive material)일 수 있고, 상기 원하는 패턴들은 적절한 선택적 경화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선택적 경화 프로세스는 광 전도 물질 또는 광선 경화 전도 물질의 일 부분을 응고시키기 위해, 상기 광 전도 물질 또는 상기 광선 경화 전도 물질에 선택적으로 광선을 조사하기 위해 광선을 제공하고, 나머지 응고화되지 않은 부분은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인쇄 물질의 일 부분의 응고(solidification)는 포토리소그라피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인쇄 물질 상에 포토 마스크를 배치하는 것이다. 상기의 프로세스는 더 작은 폭과 간격을 가지는 패턴들을 가능하게 하고, 인쇄 및 포토리소그라피 프로세스들의 장점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충분히 감소시킨다.
이에 더하여,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및 상기 연결 배선들을 제조할 때, 광 전도 물질 또는 광선 경화 전도 물질은 실버 겔(silver gel) 및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버 겔은 나노-실버 또는 마이크로-실버 입자들을 포함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터치 패널에 있어서, 하나의 금속 연결 유닛은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 컨덕터들 중 하나가 끊어지거나 손상되면, 나머지 투명 컨덕터들이 계속 정상으로 기능할 수 있어, 이로써 터치 패널의 산출량이 증가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투명 장식 패턴들은 상기 투명 전도 유닛 안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게다가, 상기 투명 장식 패턴 및 상기 투명 컨덕터의 물질이 동일하여, 그 사이의 색차가 감소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이는 측에서 상기 투명 컨덕터와 상기 투명 장식 패턴을 볼 수 없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설명은 한정하는 의미에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대체적인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형들도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안에 포함되는 모든 변형들을 다 포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2 : 터치 패널 21: 투명 전도 유닛들
22: 금속 연결 유닛들 201: 터치 입력 영역
202: 주변 영역 211, 212: 투명 컨덕터들
2111,2121: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
2112,2122: 라인-세그먼트 패턴들

Claims (14)

  1.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에 각각 대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 각각은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의 상기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은 병렬로 배치되고, 모든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동일한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지는 터치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을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의 모양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인 터치 패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 및 상기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의 물질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투명 전도 폴리머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는, 상기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 중 2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연결 부분을 더 포함하는 터치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입력 영역 및 주변 영역으로 정의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안에 분포되고,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은 상기 주변 영역 안에 분포되고, 모든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동일한 하나와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지는 터치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물질은 유리, 필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은 모두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 중 일 부분의 연장 방향은 나머지 투명 전도 유닛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터치 패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 중 일부는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투명 전도 유닛들은 상기 기판의 제2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2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터치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1기판; 및
    제2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판 및 상기 제2기판은 터치 입력 영역 및 주변 영역으로 함께 정의되고,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의 부분들 및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의 부분들은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투명 전도 유닛들 및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의 나머지들은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은 상기 터치 입력 영역 안에 분포되고,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은 상기 주변 영역 안에 분포되고, 모든 투명 컨덕터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동일한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을 가지고,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컨덕터들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터치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중 하나 안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컨덕터들 사이에 독립적으로 위치하는 복수의 투명 장식 패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판 상에 배치되는 상기 투명 전도 유닛들 안에 배치되는 투명 장식 패턴은 없는 터치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투명 컨덕터는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 중 하나에 연결되는 일 단, 및 상기 복수의 금속 연결 유닛들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타 단을 가지는 터치 패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은 하드 또는 플렉시블 터치 패널인 터치 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명 컨덕터들 각각은 교대로 행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논-라인-세그먼트 패턴들 및 라인-세그먼트 패턴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0120119599A 2011-10-28 2012-10-26 터치 패널 KR20130047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0139471 2011-10-28
TW100139471A TWI528252B (zh) 2011-10-28 2011-10-28 觸控面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618A true KR20130047618A (ko) 2013-05-08

Family

ID=4707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599A KR20130047618A (ko) 2011-10-28 2012-10-26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06751A1 (ko)
EP (1) EP2587353A3 (ko)
JP (1) JP2013097801A (ko)
KR (1) KR20130047618A (ko)
CN (1) CN103092396A (ko)
TW (1) TWI5282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194B1 (ko) 2013-10-17 2021-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6287297B2 (ja) * 2014-02-12 2018-03-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
CN105549799B (zh) * 2014-10-29 2019-03-15 旭曜科技股份有限公司 电容式触摸板的高透光及高感度触控图型结构
KR20180029178A (ko) * 2016-09-09 2018-03-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0860B1 (en) * 1999-10-08 2006-04-18 Synaptics Incorporated Flexible transparent touch sens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7030861B1 (en) * 2001-02-10 2006-04-18 Wayne Carl Westerman System and method for packing multi-touch gestures onto a hand
TW200842681A (en) * 2007-04-27 2008-11-01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JP2010039515A (ja) * 2008-07-31 2010-02-18 Dmc:Kk タッチパネル
JP5178379B2 (ja) * 2008-07-31 2013-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US8717332B2 (en) * 2008-07-31 2014-05-06 Gunze Limited Planar element, and touch switch
JP5486854B2 (ja) * 2009-06-29 2014-05-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JP5142223B2 (ja) * 2009-09-03 2013-02-13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電子装置用配線基板、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TWI395006B (zh) * 2009-09-09 2013-05-0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
JP5418130B2 (ja) * 2009-10-15 2014-0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当該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TWI471790B (zh) * 2010-02-03 2015-02-01 Wintek Corp 電容式觸控感應器及其製造方法及電容式觸控面板
KR101726623B1 (ko) * 2010-03-16 2017-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101109382B1 (ko) * 2010-04-12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TWI456443B (zh) * 2010-06-07 2014-10-11 Wintek Corp 觸控裝置及觸控顯示裝置
TWI408585B (zh) * 2010-07-09 2013-09-11 Wintek Corp 觸控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06751A1 (en) 2013-05-02
TW201317875A (zh) 2013-05-01
TWI528252B (zh) 2016-04-01
CN103092396A (zh) 2013-05-08
JP2013097801A (ja) 2013-05-20
EP2587353A3 (en) 2015-08-26
EP2587353A2 (en)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652B1 (ko) 터치 패널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421581B (zh) Inpu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01128B (zh) 觸控面板
TWI480775B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US9791983B2 (en) Capacitive touch-sensitiv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I564766B (zh) 網狀電極、感測元件以及電極層
WO2016065782A1 (zh) 触摸屏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TWM454579U (zh) 觸控面板
KR101510580B1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TWI452508B (zh) 電容式觸碰面板的佈局結構及其製作方法
TW201516781A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TW201519031A (zh) 觸控面板與觸控顯示面板
US20150338972A1 (en) Touch panel and wi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wiring structure
KR101665906B1 (ko) 도전성 필름, 도전성 필름 제조 방법, 및 도전성 필름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CN108292185B (zh) 透光性导电材料
KR20130047618A (ko) 터치 패널
TWM516748U (zh) 觸控面板
TW202201195A (zh) 觸控裝置及其製造方法
JP3181933U (ja) タッチ電極装置
US10895938B2 (en) Touch substrate, 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a touch panel
US9495026B2 (en) Touch panel and touch-controlled display device
TWI410840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TWI484257B (zh) 電子裝置、觸控蓋板及其製作方法
TWM494965U (zh) 電子裝置
TWI596519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