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244A -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244A
KR20130046244A KR1020110110710A KR20110110710A KR20130046244A KR 20130046244 A KR20130046244 A KR 20130046244A KR 1020110110710 A KR1020110110710 A KR 1020110110710A KR 20110110710 A KR20110110710 A KR 20110110710A KR 20130046244 A KR20130046244 A KR 20130046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
outlet
inle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김동원
김진웅
손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6244A/ko
Publication of KR20130046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시 공기층 단열구조로 터브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특히 히터를 사용하는 삶음세탁, 스팀세탁 등에서 열손실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터브를 통한 열교환 촉진으로 빠르게 식혀주므로 건조시에 응축열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향상시키는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 상기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스테이터,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세탁시에는 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열시키고, 건조시에는 드럼 내부의 응축열에 대한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공기단열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 A WASHING AND DRYING MACHINE HAVIING A AIR-INSULATION TUB }
본 발명은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시 공기층 단열구조로 터브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특히 히터를 사용하는 삶음세탁, 스팀세탁 등에서 열손실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터브를 통한 열교환 촉진으로 빠르게 식혀주므로 건조시에 응축열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향상시키는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와 세탁수 및 세탁 대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등의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드럼 내의 세탁 대상물을 강제적으로 유동시킨다. 그에 따라 세탁 대상물이 마찰 또는 충격과 같은 물리적 작용을 받아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세제를 세탁 대상물에 접촉시켜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아가, 세탁 대상물의 드럼 내부에서의 유동에 의해 세제의 화학적 작용이 촉진되도록 한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드럼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드럼의 회전축을 수평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주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회전축이 수평방향인 드럼 세탁기는 세탁대상물이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세탁 대상물은 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과 드럼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드럼 내주면을 따라 유동을 한다. 여기서, 드럼의 회전속도에 따라 세탁 대상물은 내주면을 따라 원운동을 하기도 하고, 드럼의 상부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운동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낙하 운동은 세탁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전술한 세탁 대상물의 드럼 내부에서의 유동은 세탁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세하게는 세탁 대상물의 다양한 유동은 드럼 내주면에 마찰되는 세탁 대상물의 접촉면을 변동시켜 고른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탁 대상물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을 증가시켜 세탁효과를 증대시킨다.
그리고, 세탁기와 건조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의 경우 상기 세탁기능뿐만 아니라 건조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이에 건조기능에서 진행하는 건조작동은 일반적으로,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은 드럼 내부에 위치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그러나, 상기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세탁기능 및 건조기능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터브를 통해 유출됨으로써 삶은세탁 내지 히팅세탁에서 열손실이 발생되어 세탁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건조시에는 반대로 건조를 위한 응축열을 식힐 수 없으므로 건조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발열에 의해 발생한 많은 열에너지가 터브를 통해 손실되는 것에 대하여, 세탁시에는 공기단열층 구조로 터브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데, 특히 히터를 사용하는 삶음세탁, 스팀세탁 등에서 열손실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를 채용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공기단열터브 구조에 따라 건조시에는 터브를 통한 열교환율이 저하되어 건조성능이 낮아질수 있으나, 공기순환경로에 따른 얇은 공기단열층에 외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열교환을 촉진시켜서 오히려 건조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양태로써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 상기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스테이터,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세탁시에는 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열시키고, 건조시에는 드럼 내부의 응축열에 대한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공기단열터브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단열터브는, 내측터브와 외측터브를 포함하고, 내측터브와 외측터브의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공기순환유로를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공기순환유로는 얇은 공기층을 형성하고, 흡입된 외기를 빠른 유속의 공기순환에 따라 드럼의 응축열과 열교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단열터브는, 상기 공기순환유로에 외기를 유입하는 유입구 및 순환된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포함하는데, 상기 유입구는, 외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공기순환유로에서 순환된 공기의 유출을 단속하는 유출개폐밸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유입되는 외기를 공기순환유로에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공기순환유로에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유입구는 유입구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유출구제어유닛을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제어유닛은,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유입구의 개폐 또는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유출구제어유닛은,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유출구의 개폐 또는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케비넷; 터브; 드럼; 샤프트;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공기순환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단열층을 포함하는 공기단열터브이고, 상기 공기순환유로에 외기를 유입, 유출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입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입구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유출구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출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출구제어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제어유닛은 상기 유입개폐밸브 및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유출구제어유닛은 상기 유출개폐밸브 및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세탁 건조기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건조작동인 경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송풍팬 및 흡입팬을 작동하는 단계; 건조작동을 마친 후 상기 송풍팬 및 흡입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기순환유로를 통한 공기단열터브 구조를 이용한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세탁 건조기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세탁작동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폐쇄하고, 건조작동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건조작동 중에 송풍팬 및 흡입팬을 작동하는 단계; 상기 건조작동을 마친 후 상기 송풍팬 및 흡입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발열에 의해 발생한 많은 열에너지가 터브를 통해 손실되는 것에 대하여, 세탁시에는 공기단열층 구조로 터브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데, 특히 히터를 사용하는 삶음세탁, 스팀세탁 등에서 열손실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단열터브를 채용하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에서 공기단열터브 구조에 따라 건조시에는 터브를 통한 열교환율이 저하되어 건조성능이 낮아질수 있으나, 공기순환경로에 따른 얇은 공기단열층에 외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열교환을 촉진시켜서 오히려 건조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는 세탁성능 향상과 건조성능 향상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를 도시한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의 효과를 종래기술과 대비한 작동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에서 작동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 건조기의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세탁 건조기는 본체에 해당하는 기기의 외형을 구성하는 케비넷(10)을 구비한다. 상기 케비넷(10)의 전면에는 세탁 대상물인 의류를 케비넷(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20)는 케비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케비넷의 상측에는 세탁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 컨트롤 패널(30)이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30)의 일측에는 세제 등을 넣을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케비넷(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40)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세탁대상물이 투입되는 드럼(50)이 구비된다. 상기 터브의 후방부에는 상기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70)가 구비된다.
터브(40)는 원통형의 구성으로, 내부에 드럼(50)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터브(40)의 전면은 전술한 케비넷의 개방된 투입구(20)와 연결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의 전면부와 케비넷의 투입구 주변을 둘러싸는 개스킷이 터브의 전면부와 케비넷의 투입구 사이에 구비된다. 이는 터브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수가 케비넷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드럼(50)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통형 구성이다. 상기 드럼(50)의 측면에는 세탁수가 빠져 나갈 수 있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모터(70)는 상기 메인 드럼과 서브 드럼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장치로, 상기 터브(40)의 후방면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70)는 고정되어 있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에서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50)은 스파이더(91)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70)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샤프트(8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7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내부에 있는 세탁 대상물이 세탁되거나 건조될 수 있게 되는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삶음세탁이나 히팅세탁을 위한 히터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건조를 위한 히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세탁 건조기의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에서 상기 터브(40)가 공기단열터브로 형성되는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의 효과를 종래기술과 대비한 작동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에서 작동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10); 상기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40);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50);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샤프트(80); 및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스테이터,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구동모터(70);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40)는, 세탁시에는 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열시키고, 건조시에는 드럼 내부의 응축열에 대한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공기단열터브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단열터브(40)는 통상적으로 히터를 이용한 삶음세탁이나 스팀세탁시 내부 드럼의 열이 방출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기단열터브(40)는 터브 사이에 이격을 갖도록 내측터브(41)와 외측터브(42)로 구비되고, 상기 내측터브와 외측터브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공기순환유로(43)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공기단열터브(40)의 구성은 내부 드럼(50)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열하는 기능과 함께, 반대로 내부의 드럼(50)에서 발생되는 열을 공기순환유로(43)의 공기층과 열교환에 의해 식혀줄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순환유로(43)는 얇은 공기층을 형성하고, 흡입된 외기를 빠른 유속의 공기순환에 따라 드럼의 응축열과 열교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기단열터브(40)는, 상기 공기순환유로(43)에 외기를 유입하는 유입구(100) 및 순환된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00) 및 유출구(300)는 상기 공기순환유로(43)로 외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관형부재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 외부와 통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공기단열터브(40)의 공기순환유로(43)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유입구(100)는, 외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개폐밸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300)는, 공기순환유로(43)에서 순환된 공기의 유출을 단속하는 유출개폐밸브(33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개폐밸브(130) 및 유출개폐밸브(330)는 통상적으로 공기의 유입을 단속할 수 있는 체크밸브로 형성할 수 있고,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개폐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거나 순환된 공기를 유출한다.
상기 유입구(100)는, 유입되는 외기를 공기순환유로(43)에 공급하는 송풍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50)은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순환유로(43)에 공급하는 장치이므로 상기 유입개폐밸브(130)가 개방되어 있을 때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개폐밸브(130)와 상호 연동되어 제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100)는 유입구제어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유입구제어유닛(110)은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유입개폐밸브(130)의 개폐 또는 송풍팬(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유입구제어유닛(110)은 상기 유입개폐밸브(130)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150)이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유입개폐밸브(130)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송풍팬(1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유입구제어유닛(110)은 본 발명에서 유입개폐밸브(130)를 포함하지 않고, 송풍팬(150)만을 포함하는 경우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가 건조작동 중인 경우에만 송풍팬(150)을 작동하도록 하고, 세탁시나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송풍팬(150)이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송풍팬(150)은 본 발명의 공기단열터브(40)가 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단열효과를 달성하는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가 삶음세탁이나 스팀세탁 등 히터를 이용하여 세탁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단열터브(40)의 공기순환유로(43)가 얇은 단열층을 형성하여 드럼 내부의 열이 밖으로 유출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150)은 작동하지 않고 얇은 공기층 자체가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열손실 저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가 건조작동하는 경우에는 드럼 내부의 세탁 대상물이 응축열에 의해 물기를 제거해야 하므로 공기단열층에 의한 열교환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송풍팬(130)이 작동하여 공기순환유로(43)의 얇은 공기층으로 적은 유량으로 빠른 유속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외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터브(40)를 통한 열교환을 촉진시킴으로써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유입구제어유닛(110)은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송풍팬(13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세탁시에는 단열효과를 도모하고, 건조시에는 열교환 효과를 도모한다.
상기 유출구(300)는, 공기순환유로(43)에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흡입팬(350);과 유출구제어유닛(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350)은 앞서 설명한 송풍팬(150)과 반대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킨다. 이에 상기 흡입팬(350)은 상기 송풍팬(150)과 동시에 작동되는데 앞서 충분히 설명한 것처럼 세탁시에는 작동되지 않고, 건조시에만 작동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유출구제어유닛(310)은,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유출개폐밸브(330)의 개폐 또는 흡입팬(3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유입구제어유닛(110)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기 유출구제어유닛(310)도 세탁시와 건조시를 구분하여 상기 유출개폐밸브(330) 및 흡입팬(350)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상기 터브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0); 및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400)는 상기 제어부(500) 및 상기 유입구(100), 유출구(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유입제어유닛(110) 및 상기 유출제어유닛(130)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00) 및 유출구(300)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어부(500)는 세탁시에는 공기단열터브(40) 내의 공기순환유로(43)에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열층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건조시에는 공긴단열터브(40) 내의 공기순환유로(43)에서 빠른 유속을 발생시켜 드럼의 응축열에 대해 열교환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5는 종래발명과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에서 세탁시의 열손실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종래기술에 따른 세탁 건조기의 드럼과 터브를 도시한 도면으로, 종래기술에 따르면 히터에 따른 스팀세탁시 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이 터브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열손실이 발생된다. 그러나, 도 5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드럼(50)에서 발생되는 열이 공기단열터브(40)에 형성되는 단열층(43, 공기순환유로)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세탁 건조기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건조작동인 경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송풍팬 및 흡입팬을 작동하는 단계; 건조작동을 마친 후 상기 송풍팬 및 흡입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공기순환유로를 통한 공기단열터브 구조를 이용한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500)는 현재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건조작동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건조작동 중이 아닌 경우 공기단열터브(40)는 단열층의 기능을 하므로 공기순환유로(43)에서 별도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단순히 터브(40)에 공기층이 정체되어 형성되면 족하므로, 상기 유입개폐밸브(130) 및 유출개폐밸브(330)의 개폐와는 무관하게 제어부(500)는 유입구 및 유출구에 별도의 신호를 주지 않는다.
그러나, 건조작동 중인 경우 상기 공기단열터브(40)에서는 열교환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순환유로(43)에서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순환유로(43)에서 형성되는 얇은 공기층이 적은 유량으로 빠른 유속을 가지면서 순환하고 유출되므로 건조시 발생되는 드럼(50)에서의 발열을 식히게 되고, 이러한 응축열에 의해 세탁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이 빠르게 건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0)에서 상기 건조작동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개방하고, 송풍팬 및 흡입팬을 작동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개폐밸브 및 송풍팬은 유입구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유출개폐밸브 및 흡입팬은 유출구제어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일정 건조시간을 경과하여 건조작동을 마친 후에는 상기 송풍팬 및 흡입팬의 작동을 중지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에서 세탁작동과 건조작동을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작동이 일어나는 경우의 작동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단열터브(40)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어부(500)에서 세탁 건조기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500)에서 세탁작동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입개폐밸브(130) 및 유출개폐밸브(330)를 폐쇄하고, 건조작동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입개폐밸브(130) 및 유출개폐밸브(330)를 개방하는 단계; 건조작동 중에 송풍팬(150) 및 흡입팬(350)을 작동하는 단계; 상기 건조작동을 마친 후 상기 송풍팬(150) 및 흡입팬(350)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500)가 세탁작동으로 인식한 경우 상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공기순환유로(43)에서 공기의 유동이 없도록 하여 공기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공기단열터브(40)의 공기단열층은 히터에 의한 스팀세탁시 내부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세탁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세탁작동을 마친 후, 건조작동으로 인식된 경우 앞서 설명한 건조작동시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제어단계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500)은 유입구제어유닛(110) 및 유출구제어유닛(310)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유입개폐밸브(130)와 유출개폐밸브(330)를 개방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유입구제어유닛(110) 및 유출구제어유닛(310)은 송풍팬(150) 및 흡입팬(350)을 작동시켜 상기 공기순환유로(43)로 외기가 흡입되어 얇은 공기층을 형성하며 빠른 속도의 유속을 가지면서 순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에 의해, 건조시 발생되는 드럼의 열과 열교환을 일으켜 고온을 방출시켜 응축열에 의한 건조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 케비넷 20 : 투입구
30 : 컨트롤 패널 40 : 터브
41 : 내측터브 42 : 외측터브
43 : 공기순환유로 50 : 드럼
70 : 구동모터 80 : 샤프트
91 : 스파이더
100 : 유입구 110 : 유입구제어유닛
130 : 유입개폐밸브 150 : 송풍팬
300 : 유출구 310 : 유출구제어유닛
330 : 유출개폐밸브 350 : 흡입팬
400 : 전원부 500 : 제어부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케비넷;
    상기 케비넷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연결되는 샤프트; 및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스테이터,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세탁시에는 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을 단열시키고, 건조시에는 드럼 내부의 응축열에 대한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공기단열터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단열터브는,
    내측터브와 외측터브를 포함하고, 내측터브와 외측터브의 이격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공기순환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유로는 얇은 공기층을 형성하고, 흡입된 외기를 빠른 유속의 공기순환에 따라 드럼의 응축열과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단열터브는,
    상기 공기순환유로에 외기를 유입하는 유입구 및 순환된 공기를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외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공기순환유로에서 순환된 공기의 유출을 단속하는 유출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유입되는 외기를 공기순환유로에 공급하는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공기순환유로에서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외기의 유입을 단속하는 유입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공기순환유로에서 순환된 공기의 유출을 단속하는 유출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유입구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유출구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제어유닛은,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유입구의 개폐 또는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유출구제어유닛은, 세탁 건조기의 작동상태에 따라 유출구의 개폐 또는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0. 케비넷; 터브; 드럼; 샤프트; 및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공기순환유로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단열층을 포함하는 공기단열터브이고, 상기 공기순환유로에 외기를 유입, 유출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입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입구제어유닛;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유출구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출구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유입개폐밸브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유출개폐밸브 및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제어유닛은 상기 유입개폐밸브 및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유출구제어유닛은 상기 유출개폐밸브 및 흡입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14.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세탁 건조기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건조작동인 경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송풍팬 및 흡입팬을 작동하는 단계;
    건조작동을 마친 후 상기 송풍팬 및 흡입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유로를 통한 공기단열터브 구조를 이용한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
  15. 공기단열터브를 가지는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세탁 건조기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세탁작동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폐쇄하고, 건조작동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입개폐밸브 및 유출개폐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건조작동 중에 송풍팬 및 흡입팬을 작동하는 단계;
    상기 건조작동을 마친 후 상기 송풍팬 및 흡입팬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순환유로를 통한 공기단열터브 구조를 이용한 세탁 건조기의 작동방법.
KR1020110110710A 2011-10-27 2011-10-27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KR20130046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710A KR20130046244A (ko) 2011-10-27 2011-10-27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710A KR20130046244A (ko) 2011-10-27 2011-10-27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244A true KR20130046244A (ko) 2013-05-07

Family

ID=4865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710A KR20130046244A (ko) 2011-10-27 2011-10-27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62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1865B2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I476308B (zh) Drum Washing Machine
KR20080087597A (ko) 세탁기
KR1023646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79895B2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4116480A1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JP2005177505A (ja) 乾燥機兼用洗濯機
EP3674470B1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4050518A (ja) 洗濯機
KR101291427B1 (ko) 의류건조기
KR20130046244A (ko) 공기단열터브를 갖는 세탁 건조기
KR10065747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2004313231A (ja) 洗濯乾燥機
JP6347753B2 (ja) 洗濯乾燥機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US11359324B2 (en) Laundry machine having induction he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693686B2 (ja) 洗濯乾燥機
US20230136799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US20230092538A1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KR20180065312A (ko) 의류처리장치
JP2010082344A (ja) 洗濯乾燥機
JP2013102860A (ja) 洗濯乾燥機
JP2001129286A (ja) 洗濯乾燥機
KR20120070765A (ko) 건조기
JP2019088717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5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06

Effective date: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