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982A -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982A
KR20130045982A KR1020110110256A KR20110110256A KR20130045982A KR 20130045982 A KR20130045982 A KR 20130045982A KR 1020110110256 A KR1020110110256 A KR 1020110110256A KR 20110110256 A KR20110110256 A KR 20110110256A KR 20130045982 A KR20130045982 A KR 20130045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patient
administration
drug administr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영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Priority to KR102011011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5982A/ko
Publication of KR2013004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투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기; 및 상기 약물 투여기를 통해 투여될 상기 약물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기는,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약물 투여기로 전송하는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의 투여를 제어하는 약물투여 제어모듈; 및 상기 약물투여 제어모듈의 명령에 따라 상기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UG INFUSION}
본 발명은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약물 투여기가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암, 고혈암과 같은 질병이 있거나 또는 호르몬 결핍과 같은 대사물질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는 그 치료 방법으로 특정 약물을 매일 또는 1일 2~3회 정도 환자 또는 그 보호자가 주사 또는 투여해야 한다.
그런데 환자 또는 그 보호자가 정확한 시간에 맞춰 약물을 투여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가 필요로 하는 약물의 양, 약물의 투여 간격 등은 환자의 상태, 환경 등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매일 또는 매시간마다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슐린의 경우 식사가 평상시보다 과량으로 이루어진 경우 이를 반영하여 일반적인 용량보다 다량의 인슐린이 투여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환자들은 이러한 환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경된 처방을 받아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약물이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약물 투여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약물 투여기가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투여 후의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처방함으로써, 단방향적 약물전달이 아닌 환자 상태 피드백을 통해 양방향 약물전달이 가능한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투여 후의 환자의 상태를 예측한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와 약물 투여 후의 환자의 상태를 실제로 측정한 환상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약물이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유도 수단을 이용하여 약물을 유도하여 필요한 혈관 및 기관으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등이 설정된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의 투여를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일정한 간격으로 투여하여야 하는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한편, 데이터가 위변조되어 잘못된 약물이 투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 또는 약물 투여기에 액세스할 때,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 액세스를 허용함으로써, 권한 없는 자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환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기; 및 상기 약물 투여기를 통해 투여될 상기 약물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기는,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약물 투여기로 전송하는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의 투여를 제어하는 약물투여 제어모듈; 및 상기 약물투여 제어모듈의 명령에 따라 상기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투여기가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환자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원격 제어를 위해 상가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환자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투여기가 인증 절차를 하여 인증된 기기 이외에 데이터 전송 및 액세스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한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복호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기 또는 상기 약물 투여기가 상기 환자 관리서버와 통신할 때, 상기 제어기 또는 상기 약물 투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을 인증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투여 제어모듈이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약물을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긴급 추가 투여 또는 상기 약물의 투여를 정지하는 긴급 투여 정지 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투여기가 상기 약물 투여기의 기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기 또는 환자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비상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이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를 입력모듈을 통해 직접 입력받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투여 조건이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약물 투여속도,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입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투여 조건이 상기 환자의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압 또는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투여 모듈이 지지구조물; 상기 환자의 피부 표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 상기 환자의 조직에 전달되는 약물을 함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와 연결되도록 제조된 약물 저장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약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약물 이동 수단; 및 약물 유도 신호에 따라 상기 약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약물 유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이동 수단이 상기 약물투여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물 저장소로부터 상기 약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펌프; 상기 마이크로 펌프에 의해 이동한 상기 약물의 경피로 전달되도록 출입을 개폐하는 마이크로 밸브; 상기 약물이 통과하는 마이크로 니들; 및 상기 약물 유도를 위한 이온 채널을 형성하는 RF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유도 수단이 초음파 트랜스듀서로써, 상기 약물을 유도하여 약물 목적 신체 기관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유도 수단이 진동 주파수, 변조파형, 출력크기 또는 Dep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약물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투여기가 상기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약물의 순간 투여량, 일정 시간에 따른 평균 투여량, 투여된 약물의 총량 또는 상기 약물 저장소에 저장된 약물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기 또는 환자 관리서버에 전송함으로써 비상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저장소가 교체 가능한 교체형 또는 상기 약물을 주입하여 보충하는 주입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피부 표면에 맞닿는 부분 중 상기 약물 방출구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가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상기 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변화 정도를 예측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약물 투여기가 상기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상기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상기 피드백 모듈이 비교한 결과,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약물 투여기가 이를 처방자에게 통지하는 피드백결과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환자에 따른 약물 투여 조건을 설정하는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 상기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는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상기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상기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센싱단계; 및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환자 모니터링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상기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약물 투여기가 상기 제어기가 상기 약물 투여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는 인증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상기 약물 투여 단계 이후에,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약물을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긴급 추가 투여 단계 또는 상기 약물의 투여를 정지하는 긴급 투여 정지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가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상기 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변화 정도를 예측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상기 약물 투여 단계 이후에,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상기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상기 피드백 단계 이후에, 상기 비겨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처방자에게 통지하는 피드백결과 통지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은, 상기 약물 투여 조건이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약물 투여속도,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입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약물 투여기가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일정하게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약물 투여 후의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처방함으로써, 단방향적 약물전달이 아닌 환자 상태 피드백을 통해 양방향 약물전달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약물 투여 후의 환자의 상태를 예측한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와 약물 투여 후의 환자의 상태를 실제로 측정한 환상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약물이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약물 유도 수단을 이용하여 약물을 유도하여 필요한 혈관 및 기관으로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등이 설정된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의 투여를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일정한 간격으로 투여하여야 하는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각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한편, 데이터가 위변조되어 잘못된 약물이 투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제어기 또는 약물 투여기에 액세스할 때,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 액세스를 허용함으로써, 권한없는 자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기의 평면을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이동을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제어기(100) 및 약물 투여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약물 투여기(200)는 환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약물 제어기(100) 약물 투여기(200)를 통해 투여될 약물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기(100)와 약물 투여기(20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 등 기타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0) 및 약물 투여기(200)는 무선에 의한 충전이 가능하다.
제어기(100)와 약물 투여기(200)간에는 통신, 기타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데, 이를 통해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한편, 데이터가 위변조되어 잘못된 약물이 투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0)와 약물 투여기(200)가 인증 절차를 하여 인증된 기기 이외에 데이터 전송 및 액세스를 제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 또는 약물 투여기에 액세스할 때,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 액세스를 허용함으로써, 권한 없는 자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기(100) 및 약물 투여기(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및 그 기능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기(100)는 약물 투여기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의 처방을 입력한다. 즉, 제어기(100)에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110)은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약물 투여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110)은 약물 처방 데이터를 암호화하여전송함으로써,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약물 처방 데이터가 위변조되어 잘못된 약물이 투여되는 것을 방지한다. 약물 처방 데이터는 예를 들어 AES(Advanced Encrytion Standard)를 통해 암호화할 수 있는 것이며, 암호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210)은 약물 투여 조건을 제어기의 입력모듈을 통해 직접 입력받아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의 환자 관리서버 등으로부터 약물 투여 조건을 전송받아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약물 처방 데이터는 약물 투여기가 환자에게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약물 투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조건 및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약물 투여 조건은,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약물 투여속도,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입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약물 투여 조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 투여시간을 1시간, 3시간 또는 12시간 연속 등으로 조절하거나 또는 약물 투여간격을 매시간마다, 또는 1일 3회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 투여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특히 인슐린, 비타민, 모르핀 등 기존의 경구투여나 주사제 중 장시간 일정하게 투여해야 하는 경우에 용이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약물 투여 조건은 환자의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압 또는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약물 투여기(200)는 제어기(100)에서 처방한 약물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한다. 약물 투여기(200)는 약물투여 제어모듈(210) 및 약물 투여 모듈(230)을 포함한다.
약물투여 제어모듈(210)은 약물투여 약물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의 투여를 제어한다.
약물투여 제어모듈(210)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을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긴급 추가 투여 또는 약물의 투여를 정지하는 긴급 투여 정지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약물 투여 모듈(230)은 약물투여 제어모듈(210)의 명령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약물 투여 모듈(230)은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구조물(231),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232), 약물 이동 수단(236) 및 약물 유도 수단(2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구조물(231)은 약물 투여기(200)의 구조를 형성한다.
방출구(232)는 약물을 방출하기 위한 구멍으로 환자의 피부 표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약물 저장소(233)는 환자의 조직에 전달되는 약물을 함유하고,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232)와 연결된다. 약물 저장소(233)에서 빠져나온 약물은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어 환자의 피부로 투여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약물 저장소(233)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에 교체가능한 형태인 교체형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약물 저장소(233)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는 형태인 주입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약물은 고체, 액체, 기체 형태로 모두 사용가능하며, 약물 저장소에 저장된 약물이 환자에게 모두 투여된 경우 약물 저장소를 교환하거나 또는 약물 저장소에 저장된 약물을 주입하여 보충함으로써, 약물 투여 제어 장치를 반영구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약물 이동 수단(236)은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232)와 연결되어 약물을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약물 이동 수단(236)은 마이크로 펌프(237), 마이크로 밸브(238), 마이크로 니들(239) 및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펌프(237)는 약물투여 제어모듈(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물 저장소(233)로부터 상기 약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로 펌프(237)를 이용하므로 중력 등의 외부 요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처방된 정량의 약물 주입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밸브(238)는 마이크로 펌프(237)에 의해 이동한 약물이 경피로 전달되도록 출입을 개폐하며, 약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이크로 니들(239)은 마이크로 밸브(238)를 빠져나온 약물이 환자의 피부 속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RF 전극(235)은 약물 유도를 위한 이온 채널을 형성하고, 고분자 이동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RF 전극(235)은 피부 온도 조절을 의한 열효과를 생성, 통증감소를 위한 신경자극, 임피던스 등의 신호를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유도 수단(234)은 약물 유도 신호에 따라 상기 약물의 이동을 유도한다. 약물 유도 수단(234)은 예를 들어 초음파 트랜스듀서로써, 진동 주파수, 변조파형, 출력크기 또는 Dep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약물을 유도하여 약물 목적 신체 기관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정한 약물의 투여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에게 투여할 적정한 약물의 조건을 정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를 센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약물 투여 조건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약물 투여기(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센서모듈(250)이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제어기(100)로 전송한다. 환자 상태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환자의 체온, 혈당량, 초음파 혈류, 전기전도도, 생체 임피던스 등을 측정한 것으로, 이러한 측정 데이터이거나 또는 이러한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상범위, 미달범위, 초과범위 등으로 구분한 값일 수 있다.
제어기(100)는 이러한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환자 모니터링 모듈(130)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다. 모니터링 모듈(130)은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통해 파악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결과를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110)에 전송하고,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110)은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환자 상태가 반영된 새로운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약물을 투여한 후의 환자 상태에 관계없이 무조건적이고 단방향적으로 약물을 주입하던 문제를 해결하고, 환자 상태를 고려하여 환자와 약물 투여 제어 장치간의 피드백하며 양방향적으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약물 처방 데이터는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는 처방된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환자의 상태에 대한 변화 정도를 예측한 데이터이다.
센서모듈(250)이 약물을 투여한 후의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약물을 투여한 후의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한다.
약물 투여기(200)는 피드백 모듈(270) 및 피드백결과 통지모듈(29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피드백 모듈(270)은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를 피드백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이 제대로 투여되었다면,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가 오차의 범위 내에서 어느 정도 유사성을 가지게 될 것이므로,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자에게 약물이 설정한 조건의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설정한 조건의 약물이 투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가 차이가 많이 난다면, 환자에게 약물 투여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환자에게 알맞은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피드백결과 통지모듈(290)은 피드백 모듈(270)이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처방자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지를 받은 경우, 처방자는 약물 투여 조건을 변경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즉각적이고 효과적으로 환자에게 알맞은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장치는 환자 관리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자 관리서버(300)는 처방자가 모니터링하면서 약물이 환자에게 잘 투여되고 있는지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자 관리서버(300)는 제어기(100) 또는 약물 투여기(200)와 인증하여, 관리 및 제어할 권한을 먼저 부여한 후, 권한 있는 자에 의해서만 관리 및 제어를 허용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약물 투여기(200) 또는 환자 관리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150)은 원격 제어를 위해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환자 관리서버(300)에 전송하거나 또는 환자 관리서버(300)에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150)은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환자 관리서버(300)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한 원격 제어 정보를 복호화하여 처리함으로써,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환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환자의 피부를 통해 약물이 투여될 수 있도록, 접착제 또는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패치나 벨트의 구조로 환자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접착층은 피부 표면에 맞닿는 부분 중 상기 약물 방출구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치나 벨트의 구조로 부착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는 팔, 손목, 손가락, 목, 다리뿐만 아니라 어깨, 가슴, 배 등과 같이 환자의 신체 어디에도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기(200)는 방출구(232)를 통해 방출되는 약물의 순간 투여량, 일정 시간에 따른 평균 투여량, 투여된 약물의 총량 또는 약물 저장소(233)에 저장된 약물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기(100) 또는 환자 관리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비상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약물 투여기(200)는 약물 투여기의 기기 상태 즉, 센서모듈(250), 약물 이동 수단인 마이크로 펌프(237), 마이크로 밸브(238), 마이크로 니들(239) 또는 약물 유도 수단(234) 등에 대한 정보 또는 전원 등에 대한 정보를 제어기(100) 또는 환자 관리서버(300)에 전송하여 비상시 대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투여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에 따른 약물 투여 조건을 설정하는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S100)를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정한 약물의 투여를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환자에게 투여할 적정한 약물의 조건을 정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를 센싱한 후 이를 바탕으로 약물 투여 조건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S100) 이전에,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센싱단계(S10) 및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환자 모니터링 단계(S2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약물 투여 조건 설정 단계(S100) 이전에 약물 투여기는 제어기가 약물 투여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는 인증단계를 수행하고, 제어기가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어기가 약물 투여기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액세스할 때,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데이터 전송 및 액세스를 허용함으로써, 권한 없는 자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S100) 다음으로는, 상기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는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 단계(S20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상기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단계(S300)를 수행한다.
약물 투여 조건은,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약물 투여속도,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입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약물 처방 데이터는 약물 투여 조건 및 약물 투여기가 이러한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약물 투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조건 및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약물 처방 데이터는,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환자의 상태에 대한 변화 정도를 예측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약물 투여 단계(S300) 이후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을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긴급 추가 투여 단계 또는 약물의 투여를 정지하는 긴급 투여 정지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비상시에 즉각적으로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거나 약물의 투여를 정지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약물 투여 단계(S300) 이후에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약물을 투여한 후의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 생성단계(S400)를 수행한다.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가 생성된 후에는,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약물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단계(S500)를 수행하고,
데이터 비교 단계(S500)의 결과에 따라,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 단계(S60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단계(S600) 이후에는 피드백 모듈이 비교한 결과,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환자 또는 처방자 등에게 통지하는 피드백결과 통지단계(S70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제어기
110 :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
130 : 모니터링 모듈
150 : 통지모듈
200 : 약물 투여기
210 : 약물 투여 제어모듈
230 : 약물 투여모듈
231: 지지구조물
232 : 방출구
233 : 약물 저장소
234 : 약물 유도 수단
235 : 전극
236 : 약물 이동 수단
237 : 마이크로 펌프
238 : 마이크로 밸브
239 : 마이크로 니들
250 : 센서모듈
270 : 피드백모듈
290 : 피드백 결과 통지모듈
300 : 환자 관리서버

Claims (30)

  1. 환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기; 및 상기 약물 투여기를 통해 투여될 상기 약물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기는,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약물 투여기로 전송하는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의 투여를 제어하는 약물투여 제어모듈; 및 상기 약물투여 제어모듈의 명령에 따라 상기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기는,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환자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한 약물 투여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원격 제어를 위해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환자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서 전송하는 원격 제어 정보를 받아 처리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기는,
    인증 절차를 하여 인증된 기기 이외의 기기로부터 데이터 전송 및 액세스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고,
    상기 환자 관리서버에서 암호화하여 전송한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복호화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환자 관리서버와 통신할 때, 상기 제어기 또는 상기 약물 투여기를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을 인증하여 권한이 있는 경우에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환자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투여 제어모듈은,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약물을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긴급 추가 투여 또는 상기 약물의 투여를 정지하는 긴급 투여 정지 설정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약물 투여기의 기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기 또는 환자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비상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모듈은,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를 입력모듈을 통해 직접 입력받거나,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조건은,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약물 투여속도,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입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조건은,
    상기 환자의 나이, 성별, 신장, 체중, 혈압 또는 체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설정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모듈은,
    지지구조물;
    상기 환자의 피부 표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
    상기 환자의 조직에 전달되는 약물을 함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와 연결되도록 제조된 약물 저장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약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약물 이동 수단; 및
    약물 유도 신호에 따라 상기 약물의 이동을 유도하는 약물 유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이동 수단은,
    상기 약물투여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약물 저장소로부터 상기 약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 펌프(237);
    상기 마이크로 펌프에 의해 이동한 상기 약물이 경피로 전달되도록 출입을 개폐하며, 상기 약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마이크로 밸브(238);
    상기 약물이 통과하는 마이크로 니들(239); 및
    상기 약물 유도를 위한 이온 채널을 형성하는 RF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유도 수단은,
    초음파 트랜스듀서로써, 상기 약물을 유도하여 약물 목적 신체 기관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유도 수단은,
    진동 주파수, 변조파형, 출력크기 또는 Dep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약물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방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약물의 순간 투여량, 일정 시간에 따른 평균 투여량, 투여된 약물의 총량 또는 상기 약물 저장소에 저장된 약물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기 또는 환자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저장소는,
    교체 가능한 교체형 또는 상기 약물을 주입하여 보충하는 주입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기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피부 표면에 맞닿는 부분 중 상기 약물 방출구를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는,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상기 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변화 정도를 예측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상기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피드백 모듈이 비교한 결과,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처방자에게 통지하는 피드백결과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장치.
  23. 제어기가 환자에 따른 약물 투여 조건을 설정하는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환자에게 투여할 약물 투여 조건이 포함된 약물 처방 데이터를 생성하여 약물 투여기로 전송하는 약물 처방 데이터 생성 단계; 및
    상기 약물 투여기가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상기 약물을 투여하는 약물 투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센싱단계; 및
    상기 환자 상태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환자 모니터링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조건 설정단계 이전에,
    상기 약물 투여기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약물 투여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는 인증단계; 및
    제어기가 권한이 있는 경우에만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전송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단계 이후에,
    상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약물을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긴급 추가 투여 단계 또는 상기 약물의 투여를 정지하는 긴급 투여 정지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는,
    상기 약물 처방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자에게 상기 약물을 투여할 경우에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변화 정도를 예측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단계 이후에,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를 센싱하여 상기 약물을 투여한 후의 상기 환자의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를 생성하는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 생성단계;
    상기 환자 상태 피드백 데이터와 상기 환자 상태 예측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단계; 및
    상기 비교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고 있는지를 피드백 받는 피드백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단계 이후에,
    상기 비교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 상기 약물 투여 조건에 따라 상기 약물이 투여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처방자에게 통지하는 피드백결과 통지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투여 조건은,
    약물 투여시간, 약물 투여간격, 약물 투여속도, 약물 투여량 또는 약물 투입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투여 제어 방법.
KR1020110110256A 2011-10-27 2011-10-27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30045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56A KR20130045982A (ko) 2011-10-27 2011-10-27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256A KR20130045982A (ko) 2011-10-27 2011-10-27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982A true KR20130045982A (ko) 2013-05-07

Family

ID=4865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256A KR20130045982A (ko) 2011-10-27 2011-10-27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598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847A (ko) * 2013-09-20 2016-05-25 엠디디티 인코퍼레이티드 운동장애의 진단 및 치료
WO2016190583A1 (ko) * 2015-05-28 2016-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슐린 투여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전자장치
KR20170070676A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헬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225342A1 (ko) * 2020-05-04 2021-11-11 이오플로우(주) 약물 주입을 확인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 및 시스템
US11266344B2 (en) 2016-09-21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20158889A (ko) * 2021-05-24 2022-12-02 주식회사 지투이 인슐린펌프 원격 제어 방법
WO2022265204A1 (ko) * 2021-06-17 2022-12-22 이오플로우㈜ 일회용 약물주입기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관리 서버
WO2023058811A1 (ko) * 2021-10-05 2023-04-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WO2024096266A1 (ko) * 2022-11-03 2024-05-10 이오플로우㈜ 약액 주입 장치의 제어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8847A (ko) * 2013-09-20 2016-05-25 엠디디티 인코퍼레이티드 운동장애의 진단 및 치료
WO2016190583A1 (ko) * 2015-05-28 2016-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슐린 투여 장치 및 그것과 통신하는 전자장치
KR20170070676A (ko) * 2015-12-14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체 통신을 이용하여 헬스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66344B2 (en) 2016-09-21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21225342A1 (ko) * 2020-05-04 2021-11-11 이오플로우(주) 약물 주입을 확인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 및 시스템
KR20210135110A (ko) 2020-05-04 2021-11-12 이오플로우(주) 약물 주입을 확인할 수 있는 약물 주입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58889A (ko) * 2021-05-24 2022-12-02 주식회사 지투이 인슐린펌프 원격 제어 방법
WO2022265204A1 (ko) * 2021-06-17 2022-12-22 이오플로우㈜ 일회용 약물주입기 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보안 관리 시스템 및 관리 서버
KR20220168668A (ko) * 2021-06-17 2022-12-26 이오플로우(주) 일회용 약물주입기 제어 방법
WO2023058811A1 (ko) * 2021-10-05 2023-04-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자가 통증 조절(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장치의 사용에 따른 약물 주입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시스템
WO2024096266A1 (ko) * 2022-11-03 2024-05-10 이오플로우㈜ 약액 주입 장치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5982A (ko) 약물 투여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20240062894A1 (en) Field update of an ambulatory infusion pump system
US20220031948A1 (en) Diabetes management system
KR101587301B1 (ko) 의료용 주입 펌프를 위한 보안 기능
US85454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treatment therapy based on calculated demand
US201001742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ed medication delivery
US11664107B2 (en) Intelligent medica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ing a prescription-regulated software application
US20110082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analgesic drugs
EP2104479A2 (en) A device and method for piercing a patient's skin with an injector whilst eliminating pain caused by the piercing
EP1965858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based control of an iontophoresis device
KR20220088701A (ko) 약물 투여 시스템의 상호 연결
US20220361758A1 (en) Drug administration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external systems and/or other devices
JP2023537092A (ja) 鼻用アプリケーター
Viscusi et al.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inding a balance between cost and comfort
Bagnall The use of spinal cord stimulation and intrathecal drug delivery in the treatment of low back-related pain.
WO2023024075A1 (zh) 一种药物吸入装置及监管系统
US20090143733A1 (en)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device and method of its use
CN110415781B (zh) 一种给药装置
KR20150114627A (ko) 약물 주입펌프의 약물주입 에러 감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232696A1 (zh) 一种药物使用中的网络监控系统及方法
US20200170510A1 (en) Device for sensor based medication delivery based on motor, sensory, cognitive and physiological fluctuations
US11404162B1 (en) Predicate-gated operation of medically related devices
CN110415780B (zh) 一种给药控制方法、给药装置以及终端设备
US2023017820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pioid overdose prevention
US20230255542A1 (en) Patch for sensing a physiological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