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5051A -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5051A
KR20130045051A KR1020110109493A KR20110109493A KR20130045051A KR 20130045051 A KR20130045051 A KR 20130045051A KR 1020110109493 A KR1020110109493 A KR 1020110109493A KR 20110109493 A KR20110109493 A KR 20110109493A KR 20130045051 A KR20130045051 A KR 20130045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module
voltage
distribution module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963B1 (ko
Inventor
박기주
이해원
권영복
채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윌링스
(주)케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윌링스, (주)케이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1010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9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 H02B1/06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with hinged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모듈; 상기 외함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교류전압을 분배 출력하는 수배전 모듈; 및 상기 인버터 모듈과 상기 수배전 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버터 모듈 또는 상기 수배전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압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에 따르면 인버터와 수배전반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하나의 변압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에 따른 설치공간이 감소되어 설비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변압기만으로도 설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 효율이 상승되고, 제조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변압부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 제공자로부터 전력을 받는 역할과 전력소비가 필요한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수전설비와 배전설비를 구비한 통상의 변전실의 관련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특고압측과 저압측으로 구분되며, 전력 제공자인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받는 수전설비와, 상기 수전설비를 통해 수전된 전기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또는 용량으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변압기 및 정전사고 등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는 차단기 등을 구비한 배전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수배전반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 제한 및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형 배전함 도어가 장착된 절연 본체, 즉 수배전반 몸체와 연속적이며 균일한 공급전압에 대한 신뢰성을 감안하여 본체 내부에 차단기나 피뢰기와 같은 각종 보호장비가 필수요건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배전반은 태양광 접속반으로부터 발전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자동 관리하는 인버터와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는 교류전압으로 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PCB와 리액터(reactor), 컨덴서, 계측제어모듈, SMPS, EMI필터 및 변압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접속반은 태양광으로부터 발전된 직류전압을 직렬연결 방식으로 출력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상기 인버터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출력되는 전류값과 전압값을 검출하여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전의 수배전반 시스템은 인버터 내부에 설치되는 변압기와, 수배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변압기를 각각 따로 설치하여 복수의 변압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비용 증가 및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게다가 각각의 변압기를 설치하는데 따른 공간활용 측면에서도 필요 이상의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인버터와 일체형으로 수배전반을 제작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변압부를 통하여 인버터 모듈과 수배전 모듈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모듈; 상기 외함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교류전압을 분배 출력하는 수배전 모듈; 및 상기 인버터 모듈과 상기 수배전 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버터 모듈 또는 상기 수배전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압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은 일 측이 상기 인버터 모듈과 연결되고, 타 측이 외부의 발전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장치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접속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함 본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획벽으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가 분리되도록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 본체는 상기 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작업자가 상기 외함 본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함 본체는 상기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로부터 입력 및 출력되는 전기의 발전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장치는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에 따르면 인버터와 수배전반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하나의 변압부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에 따른 설치공간이 감소되어 설비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변압부만으로도 설비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 효율이 상승되고, 제조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에 따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은 외함 본체(110)와, 인버터 모듈(120)과, 수배전 모듈(130) 및 변압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은 태양광을 기본적인 발전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외함 본체(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상기 인버터 모듈(120), 수배전 모듈(130) 및 변압부(14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획벽이 마련되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도록 복수개의 공간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3) 내부에는 PCB,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 등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방열 및 방습에 따른 구성(미도시)이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외함 본체(110)의 측방향에는 상기 공간부(113)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부(111)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부(111)는 상기 공간부(113)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도어부(111)가 마련되며, 상기 도어부(111)를 통하여 상기 인버터 모듈(120), 수배전 모듈(130) 및 변압부(140)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111)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에는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상기 도어부(111)를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어부(111) 상에는 작업자가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15)이 마련된다.
상기 투시창(115)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 본체(110) 내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투시창(115)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상체 일부가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함 본체(110)는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수배전 모듈(130)로부터 입력 및 출력되는 전기의 발전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2)는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수배전 모듈(130)의 현재 진단 상황과, 발전량, 일사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발전효율 등을 나타내며, 상기 도어부(111)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은 일 측이 상기 인버터 모듈(120)과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장치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접속반(150)을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 모듈(120)은 상기 접속반(15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인버터 모듈(120)은 PCB, 리액터(Reactor), 컨덴서, 계측제어모듈, EMI필터 등의 필수 구성요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수배전 모듈(130)은 상기 인버터 모듈(120)로부터 제공받은 교류전압을분배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변압부(140)는 상기 인버터 모듈(120)과 상기 수배전 모듈(130)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변압부(140)는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상기 수배전 모듈(130)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변압부(140)를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상기 수배전 모듈(130)이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변압부(140)를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상기 수배전 모듈(130)이 각각 구비하는 것에 비하여 시스템 효율이 상승되고, 제작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상기 수배전 모듈(130)은 각각 상기 변압부(140)를 구비하여 전압을 승압시키는 구조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100)은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상기 수배전 모듈(130) 사이에서 전압을 승압하는 상기 변압부(140)를 구비하여 상기 변압부(14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인버터 모듈(120) 및 상기 수배전 모듈(130)에서의 승압과정을 한번에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변환 과정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진다.
게다가 하나의 상기 전압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시스템 효율이 상승되고 제작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110 : 외함 본체
111 : 도어 112 : 디스플레이부
113 : 공간부 115 : 투시창
120 : 인버터 모듈 130 : 수배전 모듈
140 : 변압부 150 : 접속반

Claims (7)

  1.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 모듈;
    상기 외함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교류전압을 분배 출력하는 수배전 모듈; 및
    상기 인버터 모듈과 상기 수배전 모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버터 모듈 또는 상기 수배전 모듈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변압부;
    를 포함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인버터 모듈과 연결되고, 타 측이 외부의 발전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발전장치로부터 제공된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접속반을 더 포함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함 본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획벽으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내부가 분리되도록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함 본체는,
    상기 공간부를 개폐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도어부를 포함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작업자가 상기 외함 본체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구비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함 본체는,
    상기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로부터 입력 및 출력되는 전기의 발전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장치는 태양광 또는 태양열을 전기에너지로 제공하는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KR1020110109493A 2011-10-25 2011-10-25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KR10126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3A KR101266963B1 (ko) 2011-10-25 2011-10-25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493A KR101266963B1 (ko) 2011-10-25 2011-10-25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51A true KR20130045051A (ko) 2013-05-03
KR101266963B1 KR101266963B1 (ko) 2013-05-30

Family

ID=4865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493A KR101266963B1 (ko) 2011-10-25 2011-10-25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1689A (zh) * 2013-09-13 2013-12-11 南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光伏并网逆变器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254B1 (ko) 2013-10-29 2013-12-09 성화종합전기(주) 특고압 수배전반
KR102596782B1 (ko) 2023-06-07 2023-11-01 주식회사 아이탑이엔지 건축물 실내전기 수배전반의 절연과 불연 기능을 갖춘 인입선 보호커버 구조
KR102596781B1 (ko) 2023-06-07 2023-11-01 주식회사 아이탑이엔지 건축물 실내전기 수배전반의 통풍기능을 갖춘 인입선 보호커버 장치
KR102596780B1 (ko) 2023-06-07 2023-11-01 주식회사 아이탑이엔지 건축물 실내전기의 수배전반 인입선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002B1 (ko) 1999-07-26 2002-10-25 상덕전기 주식회사 다기능 복합 수,배전반
KR100789777B1 (ko) 2006-02-28 2008-01-02 (주)태성계전 태양광발전 수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1689A (zh) * 2013-09-13 2013-12-11 南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一种模块化光伏并网逆变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963B1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864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이동형 이중 구조 수배전반
KR101266963B1 (ko) 인버터 일체형 수배전반
KR101276252B1 (ko)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KR101349791B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112560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TW201334355A (zh) 系統連繫用裝置
CN104377582A (zh) 箱式变电站
KR20200006777A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배전반(고·저압배전반, mcc, 분전반, ess)
CN106803650A (zh) 35kV风电用紧凑型箱变结构
CN205178350U (zh) 一种新型集成式光伏逆变升压站
CN204668818U (zh) 一种低压抽出式开关柜
KR101868857B1 (ko) 태양광 접속반
CN205452883U (zh) 一种智能散热开关柜
JP2015046952A (ja) 配電盤
CN203596533U (zh) 带有真空断路器手车的架空进线铠装金属封闭开关柜
CN103138215A (zh) 一种矿用隔爆型带照明综保的低压保护箱
CN201589800U (zh) 磁卡表计量箱
CN204695947U (zh) 35kV风电用紧凑型箱变结构
CN210693523U (zh) 一种组件化的充电设备
CN202997406U (zh) 带有变压器室的铠装式金属封闭开关柜
CN202997395U (zh) 带有电压互感器手车的铠装式金属封闭开关柜
CN202444409U (zh) 一种三相功率单元模块化矿用隔爆型变频器
CN205429450U (zh) 一种电力智能开关柜
CN105514839A (zh) 一种固定式高压开关柜
RU79724U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