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51A -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951A
KR20130044951A KR1020110109333A KR20110109333A KR20130044951A KR 20130044951 A KR20130044951 A KR 20130044951A KR 1020110109333 A KR1020110109333 A KR 1020110109333A KR 20110109333 A KR20110109333 A KR 20110109333A KR 20130044951 A KR20130044951 A KR 2013004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antenna
booster coil
main antenna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662B1 (ko
Inventor
최상옥
김정
최복규
신원철
김광철
Original Assignee
인터로닉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로닉스 (주) filed Critical 인터로닉스 (주)
Priority to KR102011010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6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 G06K19/07777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 G06K19/07779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 G06K19/07783Antenna details the antenna being of the inductive type the inductive antenna being a coil the coil being plan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터 코일의 끝단 패턴을 통해 메인 안테나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부스터 코일과 메인 안테나의 일정영역을 이웃하여 커플링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 내부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는 메인안테나 코일 및 상기 단말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단말커버에 안착되는 부스터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부스터 코일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Mathod for optimum coupling of contactless comunication antenna and dual-resonance booster coil}
본 발명은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스터 코일의 끝단 패턴을 통해 메인 안테나로 신호가 전달되도록 부스터 코일과 메인 안테나의 일정영역을 이웃하여 커플링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시스템과 함께 단말 내부에 탑재되어 RF 신호를 읽거나 쓸 때, 구현 공간이 협소한 경우 안테나는 매우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그 방사성능 역시 저하되어 원활한 RF 통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안테나는 단말 내부에 탑재되기 때문에 주변 금속물질로부터 전파방해를 받기 때문에 그 어려움이 가중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스터 코일을 메인 안테나와 커플링하여 부스터 코일에서 메인 안테나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사성능을 개선시켜 주고, 이중 공진을 통하여 대역폭을 넓혀주는 역할을 하는 방안이 고안되었다.
일반적으로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은 도 1과 같이 부스터 코일(210)의 패턴 전반에 커플링을 일으키기 위하여 메인안테나 코일(110)이 부스터 코일(21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메인안테나 코일(110)과 부스터 코일(210)의 물리적 크기 차가 큰 경우 부스터 코일(210)의 중앙에 메인안테나 코일(110)을 위치시켜 커플링을 유도하여도 커플링 영역의 공간적 차로 인해 방사성능에 한계가 생겨 원활한 커플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능개선이 전혀 이루어 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의 물리적 크기 차가 큰 경우에도 우수한 방사성능으로 원활한 커플링을 유도하여 소형 단말에서도 원활한 비접촉식 통신을 수행하는 최적의 커플링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 내부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는 메인안테나 코일 및 상기 단말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단말커버에 안착되는 부스터 코일을 포함하되, 상기 부스터 코일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 또는 상기 부스터 코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보조기판에 안착되어 상기 요홈에 삽입 또는 상기 단말커버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페라이트 또는 상기 부스터 코일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페라이트는 메인안테나 코일의 전면적에 적용되고, 상기 제2페라이트는 메인안테나 코일과의 커플링이 발생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의 물리적 크기 차가 큰 경우에도 우수한 방사성능으로 원활한 커플링을 유도하여 소형 단말에서도 원활한 비접촉식 통신을 수행하는 최적의 커플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구조를 나타낸 도면((a)평면도, (b)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구조를 나타낸 도면((a)평면도, (b)정면도),
도 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주파수별 인덕턴스(Inductance) 차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구조를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구조를 나타낸 도면((a)평면도, (b)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100) 내부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는 메인안테나 코일(110) 및 단말(100)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단말커버(200)에 안착되는 부스터 코일(210)을 포함하되, 부스터 코일(210)의 일단부가 메인안테나 코일(110)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메인 안테나의 신호를 전달받아 방사성능을 개선시켜 주고, 이중 공진을 통하여 대역폭을 넓혀주어 통신장애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메인안테나 코일(110)을 부스터 코일(210)의 중앙에 위치시켜 패턴 전반에 커플링을 유도하였으나 메인안테나 코일(110)과 부스터 코일(210)의 물리적 크기차가 큰 경우 커플링 영역의 공간적 차로 인해 방사성능에 한계가 생겨 원활한 커플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2(b)와 같이 메인안테나 코일(110)과 부스터 코일(210)의 커플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메인안테나 코일(110)을 부스터 코일(210)의 끝단 패턴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도 3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주파수별 인덕턴스(Inductance)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종래기술은 메인안테나 코일(110)을 부스터 코일(210)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며, 인덕턴스는 비접촉식 통신을 위한 안테나에 있어서 안테나의 전류 전달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도면에서 메인안테나 코일(110)과 부스터 코일(210)의 물리적 크기차는 1:5 이상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환경 및 동일한 안테나를 적용한 경우 각 주파수 영역별로 1nH 이상의 인덕턴스 차이를 보인다. 이는 소형 안테나의 일반적인 인덕턴스가 0.8 내지 1.5nH 인 것을 감안할 때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값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안테나와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구조를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단말(100)의 일반적인 폼팩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안테나 코일(110) 또는 부스터 코일(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제1,2보조기판(120, 220)에 안착되어 요홈에 삽입되거나 단말커버(200)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안테나 코일(110) 또는 부스터 코일(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이러한 제1,2보조기판(120, 220)의 일면에 피복코일로 임베딩(Embedding)하여 형성되거나 보조기판의 일면에 전도성 잉크로 프린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피복코일의 코일은 Cu, Ag 또는 Al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안테나 코일(110) 또는 부스터 코일(21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배면에는 전파방해를 해소하기 위한 제1,2페라이트(130, 230)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제1,2페라이트(130, 230)는 접착시트에 의해 메인안테나 코일(110) 또는 부스터 코일(2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된다.
더욱 상세하게, 메인안테나 코일(11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페라이트는 메인안테나 코일(110)의 전면적에 적용되고, 부스터 코일(21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페라이트는 부스터 코일(210)의 전면적 중 메인안테나 코일(110)과 접하여 커플링이 발생하는 패턴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단말 110 : 메인안테나 코일
120 : 제1보조기판 130 : 제1페라이트
200 : 단말커버 210 : 부스터 코일
220 : 제2보조기판 230 : 제2페라이트

Claims (7)

  1.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커플링 방법에 있어서,
    단말 내부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는 메인안테나 코일; 및
    상기 단말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단말커버에 안착되는 부스터 코일
    을 포함하되,
    상기 부스터 코일의 일단부가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 또는 상기 부스터 코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보조기판에 안착되어 상기 요홈에 삽입 또는 상기 단말커버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 또는 상기 부스터 코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보조기판의 일면에 피복코일로 임베딩(Embedding)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코일의 코일은 Cu, Ag 또는 Al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 또는 상기 부스터 코일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보조기판의 일면에 전도성 잉크로 프린팅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테나 코일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페라이트 또는 상기 부스터 코일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페라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페라이트는 메인안테나 코일의 전면적에 적용되고, 상기 제2페라이트는 메인안테나 코일과의 커플링이 발생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KR1020110109333A 2011-10-25 2011-10-25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KR10128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33A KR101289662B1 (ko) 2011-10-25 2011-10-25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33A KR101289662B1 (ko) 2011-10-25 2011-10-25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51A true KR20130044951A (ko) 2013-05-03
KR101289662B1 KR101289662B1 (ko) 2013-07-25

Family

ID=4865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33A KR101289662B1 (ko) 2011-10-25 2011-10-25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5170A (ja) * 2018-06-29 2020-01-09 共同印刷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3410A (ja) 2003-05-15 2004-12-02 Hitachi Maxell Ltd 非接触通信式情報担体
JP4872713B2 (ja) 2007-02-27 2012-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接触式データキャリア装置
JP2011103533A (ja) 2009-11-10 2011-05-26 Tdk Corp ブースター、rfid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5170A (ja) * 2018-06-29 2020-01-09 共同印刷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662B1 (ko)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7501B1 (en) Antennas with shared grounding structure
KR101889507B1 (ko) Rfid 안테나 구조물
US20120274536A1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antenna
US2015024406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O2017206470A1 (zh) 一种用作近场通信天线的导电板及终端
US20090262026A1 (en) Printed antenna
US20130106670A1 (en) Antenna for achieving effects of mimo antenna
JP2014200086A (ja) アンテナ装置
US10790574B2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12350058A (zh) 包括天线的电子装置
KR101289662B1 (ko) 비접촉 통신용 안테나 및 이중 공진용 부스터 코일의 최적 커플링 방법
CN105305068B (zh) 一种组合天线以及一种电子设备
CN105633556A (zh) 一种nfc装置与基于该nfc装置的移动终端
CN105451480A (zh) 电子设备及其通信性能增方法
Lee et al. Design of a simple structured NFC loop antenna for mobile phones applications
CN103219589A (zh) 对安装在印刷电路板上的天线隔离的改进
JP2006178713A (ja) 情報処理装置
KR101681412B1 (ko)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기기
EP2267836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15061098A (ja) アンテナ装置
KR20140119534A (ko) 컨덕티브 루프를 적용한 rfid 태그
JP7001232B2 (ja)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CN106961003B (zh) Nfc天线
WO2018003238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622712B2 (en) Device with a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