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42A - 철도레일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철도레일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942A
KR20130044942A KR1020110109314A KR20110109314A KR20130044942A KR 20130044942 A KR20130044942 A KR 20130044942A KR 1020110109314 A KR1020110109314 A KR 1020110109314A KR 20110109314 A KR20110109314 A KR 20110109314A KR 20130044942 A KR20130044942 A KR 20130044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oling water
vertical bar
sprinkl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용
박종삼
김종규
권남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1010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942A/ko
Publication of KR2013004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7/00Wheels characterised by rail-engaging elements
    • B60B17/0003Wheel bodi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3/00Wetting or lubricating rails or wheel flanges
    • B61K3/02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레일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여 레일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 철도레일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는,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16)가 놓여지는 받침부(11)와, 받침부(11)의 하부면에서 장대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바퀴(12)와, 받침부(11)와 이송바퀴(12)에 연결되어 이송바퀴(12)를 지지하는 바퀴지지부(13)를 구비하는 받침부재(10)와; 냉각수저장탱크(16)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펌핑작용으로 냉각수저장탱크(16)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압축부(21)와, 일단부가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이송바퀴(12)에 연결되어 이송바퀴(12)가 회전하면 압축부(2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2)를 구비하는 냉각수공급부재(20)와; 일단이 받침부재(10)의 받침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평행하는 다른 장대레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31)과, 연장프레임(31)의 타단에 위치하며 장대레일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보조바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을 구비하는 연장부재(30)와; 일단이 받침부재(10)에 연결되어 받침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1안내프레임(41)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20)의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안내프레임(41)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21)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1살수부(42)를 구비하는 제1살수부재(40)와; 연장부재(30)의 지지프레임(32)에 일단이 연결되고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2안내프레임(51)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20)의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안내프레임(51)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21)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2살수부(52)를 구비하는 제2살수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레일 살수장치{SPRINKLER FOR RAIL OF RAILWAY}
본 발명은 레일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레일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여 레일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 철도레일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은 여름철 기온상승 시 철도레일의 온도가 상승하면 레일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이때 도상저항력이 약한 취약개소(분니개소, 뜬침목개소, 궤도이완개소)에서 레일 좌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레일에 살수를 시행하며 또한 레일 좌굴이 발생 시에는 초기에 확대되지 않도록 신속한 살수작업이 필요하나 현재 살수에 동원되는 도구는 분무기나 기타 물을 담을 수 있는 물통 등을 사람이 들고 작업하기 때문에 살수작업으로 인한 작업자 과로 및 일사병 등이 발생되는 또다른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레일 살수는 중량의(25-30kg) 분무기를 등에 메고 팔의 힘으로 압축봉을 상하로 움직여 물을 압축하고 압축된 물이 분사구를 통하여 분사시켜 레일에 살수를 시행하나 분사 시 레일 위에서 약 20-30cm 떨어져 분사되므로 레일 상면에만 분사되고 측면에는 살수가 되지 않아 레일온도를 낮추기에는 비효율적이며 기타 물통을 이용하여 살수 시에도 레일상면에만 살수가 되고 레일 측면(복부)에는 물이 닫지 않고 레일 이외의 곳으로 떨어져 물의 낭비가 많고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0213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레일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레일의 표면에 물을 살수하여 레일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 철도레일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바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각수저장탱크의 물을 압축시켜 레일의 표면에 살수하여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는 철도레일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서로 평행하는 양쪽 레일에 모두 물을 살수할 수 있는 철도레일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는,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16)가 놓여지는 받침부(11)와, 받침부(11)의 하부면에서 장대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바퀴(12)와, 받침부(11)와 이송바퀴(12)에 연결되어 이송바퀴(12)를 지지하는 바퀴지지부(13)를 구비하는 받침부재(10)와; 냉각수저장탱크(16)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펌핑작용으로 냉각수저장탱크(16)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압축부(21)와, 일단부가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이송바퀴(12)에 연결되어 이송바퀴(12)가 회전하면 압축부(2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2)를 구비하는 냉각수공급부재(20)와; 일단이 받침부재(10)의 받침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평행하는 다른 장대레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31)과, 연장프레임(31)의 타단에 위치하며 장대레일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보조바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을 구비하는 연장부재(30)와; 일단이 받침부재(10)에 연결되어 받침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1안내프레임(41)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20)의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안내프레임(41)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21)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1살수부(42)를 구비하는 제1살수부재(40)와; 연장부재(30)의 지지프레임(32)에 일단이 연결되고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2안내프레임(51)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20)의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안내프레임(51)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21)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2살수부(52)를 구비하는 제2살수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받침부재는 냉각수저장탱크(16)를 고정하는 탱크고정부(1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받침부(11)의 일측에는 일단이 받침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송바퀴(12)는 장대레일에 흐르는 전류가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고무,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작동부(22)는 이송바퀴(12)에 연결되며 이송바퀴(12)의 회전운동을 상하왕복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수직바(24)와, 일단이 수직바(24)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부에 연결된 수평바(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직바(24)는 이송바퀴(12)에 연결된 제1수직바(25)와, 수직바(24)에 연결된 제2수직바(26)가 서로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수직바(25)와 제2수직바(26)는 서로 관절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연결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압축부(21)는 2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수직바(24)는 전단의 이송바퀴(12)와 후단의 이송바퀴(12)로부터 각각의 압축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단과 후단의 이송바퀴(12)는 연결하는 연결바(27)에 의해 연결되며, 제1수직바(25)는 연결바(27)의 일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장프레임(31)은 받침부(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장프레임(33)과 제1연장프레임(3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장프레임(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2살수부는 장대레일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2살수부의 끝단에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2살수부(42,52)의 분사노즐은 상하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는 레일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16)를 장착한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레일의 표면에 물을 살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레일을 따라 밀면서 간단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바퀴(1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각수저장탱크(16)의 물을 압축시켜 레일의 표면에 살수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원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을 레일에 살수할 때에만 연장부재(30)를 이용하여 다른쪽 레일에 연결할 수 있어 양쪽 레일에 모두 물을 살수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른쪽 레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30)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별도의 넓은 보관장소가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의 보관상태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는 받침부재(10), 냉각수공급부재(20), 연장부재(30), 제1살수부재(40), 제2살수부재(50)를 구비한다.
받침부재(10)는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16)가 놓여지는 받침부(11)와, 받침부(11)의 하부면에서 장대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바퀴(12)와, 받침부(11)와 이송바퀴(12)에 연결되어 이송바퀴(12)를 지지하는 바퀴지지부(13)로 이루어진다. 이때, 받침부(11)에는 냉각수저장탱크(16)를 고정하는 탱크고정부(14)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11)의 일측에는 일단이 받침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15)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15)를 밀거나 당기면서 받침부재(10)를 장대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바퀴(12)는 장대레일에 흐르는 전류가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고무,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공급부재(20)는 냉각수저장탱크(16)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펌핑작용으로 냉각수저장탱크(16)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압축부(21)와, 일단부가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이송바퀴(12)에 연결되어 이송바퀴(12)가 회전하면 압축부(2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2)로 이루어진다. 작동부(22)는 이송바퀴(12)에 연결되며 이송바퀴(12)의 회전운동을 상하왕복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수직바(24)와, 일단이 수직바(24)에 연결되고 타단이 펌핑부에 연결된 수평바(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바(24)는 이송바퀴(12)에 연결된 제1수직바(25)와, 수직바(24)에 연결된 제2수직바(26)가 서로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수직바(25)와 제2수직바(26)는 서로 관절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냉각수공급부재(20)는 장대레일을 따라 이송바퀴(12)가 움직이면 이송바퀴(12)에 연결된 수직바(24)가 이송바퀴(12)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되고 수직바(24)에 연결된 수평바(23)도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압축부(21)를 펌핑하여 냉각수저장탱크(16) 내의 냉각수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부(21)는 2개가 형성되며, 수직바(24)는 전단의 이송바퀴(12)와 후단의 이송바퀴(12)에 각각 연결된 전단수직바와 후단수직바로 이루어져 각각의 압축부(2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단과 후단의 이송바퀴(12)는 연결하는 연결바(27)에 의해 연결되며, 제1수직바(25)는 연결바(27)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재(30)는 일단이 받침부재(10)의 받침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이 평행하는 다른 장대레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31)과, 연장프레임(31)의 타단에 위치하며 장대레일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보조바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장프레임(31)은 받침부(1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장프레임(33)과 제1연장프레임(3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장프레임(34)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장프레임(31)은 보관시에는 제1연장프레임(33)과 제2연장프레임(34)을 접어서 받침부재(10)의 일측면에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 제1연장프레임(33)과 제2연장프레임(34)을 펴서 사용할 수 있다.
제1살수부재(40)는 일단이 받침부재(10)에 연결되어 받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1안내프레임(41)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20)의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안내프레임(41)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21)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1살수부(42)로 이루어진다.
제2살수부재(50)는 연장부재(30)의 지지프레임(32)에 일단이 연결되고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2안내프레임(51)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20)의 압축부(2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안내프레임(51)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21)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2살수부(5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2살수부(42,52)의 끝단은 살수되는 냉각수이 높은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2살수부(42,52)는 장대레일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2살수부(42,52)의 분사노즐은 장대레일의 머리 및 허리부분에 동시에 살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레일 살수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일측의 장대레일의 상부에 이송바퀴(12)를 올려놓고 받침부(11)에 연결된 제1연장프레임(33)과 제2연장프레임(34)을 펴서 연장부재(30)를 타측의 장대레일 상부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받침부(11)의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16)를 장착시킨다.
그 후, 사용자가 손잡이(15)를 밀거나 또는 당기면서 이송바퀴(12)를 장대레일에서 움직이면 이송바퀴(12)에 연결된 수직바(24)가 바퀴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되고 수직바(24)에 연결된 수평바(23)도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냉각수저장탱크(16)에 연결된 압축부(21)를 펌핑하게 된다. 이때, 수직바(24)가 이송바퀴(12)에 연결된 제1수직바(25)와 수평바(23)에 연결된 제2수직바(26)가 서로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수직바(25)의 하부가 회전운동하는 경우에도 제2수직바(26)가 정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송바퀴(12)가 이동하면서 압축부(21)가 펌핑되면 냉각수저장탱크(16) 내의 냉각수는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1안내프레임(41)에 고정된 제1살수부(42)로 공급되어 장대레일로 분사되고, 또한 냉각수저장탱크(16)의 냉각수는 연장부재(30)를 통해 타측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지지프레임(32)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2안내프레임(51)에 고정된 제2살수부(52)로 공급되어 장대레일로 분사된다. 이때, 제1, 2살수부가 장대레일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형성되면 장대레일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동시에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도레일 살수장치의 사용이 완료되면 제1연장프레임(33)과 제2연장프레임(34)을 접어서 받침부재(10)의 일측면에 밀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받침부재 11 : 받침부
12 : 이송바퀴 13 : 바퀴지지부
14 : 탱크고정부 15 : 손잡이
16 : 냉각수저장탱크 20 : 냉각수공급부재
21 : 압축부 22 : 작동부
23 : 수평바 24 : 수직바
25 : 제1수직바 26 : 제2수직바
27 : 연결바 30 : 연장부재
31 : 연장프레임 32 : 지지프레임
33 : 제1연장프레임 34 : 제2연장프레임
40 : 제1살수부재 41 : 제1안내프레임
42 : 제1살수부 50 : 제2살수부재
51 : 제2안내프레임 52 : 제2살수부

Claims (14)

  1. 상부에 냉각수저장탱크가 놓여지는 받침부와, 받침부의 하부면에서 장대레일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바퀴와, 받침부와 이송바퀴에 연결되어 이송바퀴를 지지하는 바퀴지지부를 구비하는 받침부재와;
    냉각수저장탱크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펌핑작용으로 냉각수저장탱크 내부의 냉각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압축부와, 일단부가 압축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이송바퀴에 연결되어 이송바퀴가 회전하면 압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냉각수공급부재와;
    일단이 받침부재의 받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평행하는 다른 장대레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과, 연장프레임의 타단에 위치하며 장대레일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회전하는 보조바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를 구비하는 연장부재와;
    일단이 받침부재에 연결되어 받침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는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1안내프레임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의 압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안내프레임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1살수부를 구비하는 제1살수부재와;
    연장부재의 지지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장대레일의 상부로 연장된 제2안내프레임과, 일단이 냉각수공급부재의 압축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안내프레임로 연장되어 있으며 압축부에 의해 펌핑된 냉각수를 장대레일에 분사하는 제2살수부를 구비하는 제2살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부재는 냉각수저장탱크를 고정하는 탱크고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받침부의 일측에는 일단이 받침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로 연장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바퀴는 장대레일에 흐르는 전류가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고무,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작동부는 이송바퀴에 연결되며 이송바퀴의 회전운동을 상하왕복운동으로 변형시키는 수직바와, 일단이 수직바에 연결되고 타단이 압축부에 연결된 수평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수직바는 이송바퀴에 연결된 제1수직바와, 수직바에 연결된 제2수직바가 서로 유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는 서로 관절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연결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압축부는 2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수직바는 전단의 이송바퀴와 후단의 이송바퀴에 연결되어 각각의 압축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단과 후단의 이송바퀴는 연결하는 연결바에 의해 연결되며, 제6수직바는 연결바의 일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연장프레임는 받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장프레임와 제1연장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장프레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2살수부는 장대레일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2살수부의 끝단에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2살수부의 분사노즐은 상하방향으로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살수장치.
KR1020110109314A 2011-10-25 2011-10-25 철도레일 살수장치 KR20130044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14A KR20130044942A (ko) 2011-10-25 2011-10-25 철도레일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314A KR20130044942A (ko) 2011-10-25 2011-10-25 철도레일 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42A true KR20130044942A (ko) 2013-05-03

Family

ID=4865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314A KR20130044942A (ko) 2011-10-25 2011-10-25 철도레일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94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3341A (zh) * 2014-04-01 2014-06-18 南车四方车辆有限公司 列车用注水口及列车
CN103963789A (zh) * 2014-05-21 2014-08-06 南车四方车辆有限公司 列车用注水口组件及列车
KR101954613B1 (ko) 2018-10-04 2019-03-06 벽산파워 주식회사 철도 선로 냉각 장치
KR20200038831A (ko) 2018-10-25 2020-04-14 이인숙 철도 선로 냉각 장치
KR20200038830A (ko) 2018-10-25 2020-04-14 김현태 철도 분기부 융설 장치
IT201900004083A1 (it) * 2019-03-20 2020-09-20 Dipsa Technes Srl Gruppo di verniciatura di fianchi di rotaie e metodo di gestione di un tale gruppo
KR20210056092A (ko) 2019-11-08 2021-05-18 장효정 철도 분기부 융설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3341A (zh) * 2014-04-01 2014-06-18 南车四方车辆有限公司 列车用注水口及列车
CN103963789A (zh) * 2014-05-21 2014-08-06 南车四方车辆有限公司 列车用注水口组件及列车
KR101954613B1 (ko) 2018-10-04 2019-03-06 벽산파워 주식회사 철도 선로 냉각 장치
KR20200038831A (ko) 2018-10-25 2020-04-14 이인숙 철도 선로 냉각 장치
KR20200038830A (ko) 2018-10-25 2020-04-14 김현태 철도 분기부 융설 장치
IT201900004083A1 (it) * 2019-03-20 2020-09-20 Dipsa Technes Srl Gruppo di verniciatura di fianchi di rotaie e metodo di gestione di un tale gruppo
WO2020188517A1 (en) * 2019-03-20 2020-09-24 Dipsa Technes S.R.L. Group for painting the sides of rails and method of management of such group
KR20210056092A (ko) 2019-11-08 2021-05-18 장효정 철도 분기부 융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4942A (ko) 철도레일 살수장치
CN106623013B (zh) 一种电机转子清洗装置
CN203356137U (zh) 电动式公路及隧道灯具清洁装置
CN108018816B (zh) 一种市政施工用降尘洒水车
CN103205947B (zh) 公路护栏全自动清洁养护机
CN112780053A (zh) 自走式喷涂机器人及外墙喷涂作业系统
CN208275642U (zh) 一种树木刷白设备
CN205431730U (zh) 一种农药喷雾装置
CN105613463A (zh) 一种医用杀虫剂喷洒装置
CN216403182U (zh) 一种皮带机用除尘设备
CN109036771A (zh) 一种具有灰尘清洗功能的变压器
CN207445839U (zh) 一种带导轨的移动式电控自动高压喷头
CN207826199U (zh) 一种适用于地铁工程车的清洗装置
CN212447448U (zh) 一种汽车表面高效清洗设备
CN101972747A (zh) 摆动喷淋装置
CN211099760U (zh) 一种折叠式集装箱房加工用喷漆装置
CN204264112U (zh) 车辆洗消装置及其洗消系统
CN207929628U (zh) 一种换流变压器冷却系统散热片带电冲洗装置
CN109914326A (zh) 一种用于铁轨清扫的机载喷淋装置
CN108906739A (zh) 一种灭火器筒体清洁装置
CN212200209U (zh) 一种道路桥梁用护栏清洗装置
CN213612967U (zh) 一种导轨用清洁除锈装置
CN204599098U (zh) 一种手电一体的喷雾器
CN210905449U (zh) 一种市政环保用除尘喷雾设备
CN208417087U (zh) 一种吊扇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