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514A - 전방형 싱킹 시트 - Google Patents

전방형 싱킹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514A
KR20130044514A KR1020110108613A KR20110108613A KR20130044514A KR 20130044514 A KR20130044514 A KR 20130044514A KR 1020110108613 A KR1020110108613 A KR 1020110108613A KR 20110108613 A KR20110108613 A KR 20110108613A KR 20130044514 A KR20130044514 A KR 2013004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inking
coupled
seat cushion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695B1 (ko
Inventor
허재명
김규진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6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당 시트를 기준으로 전열(前列) 혹은 후열(後列) 시트를 향하는 승객의 승하차를 용이하게 하고, 주변 시트 착석자의 거주성 향상시키며, 화물 적재 공간 확보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를 줄 수 있는 차량의 전방형 싱킹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의 폴딩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직립위치와 시트쿠션의 상면으로 시트백이 눕혀진 절첩위치 사이를 폴딩 동작하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전방 플로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시트쿠션의 후단부와 한쪽 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플로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다른쪽 단이 캐치부에 의하여 탈착 결합되는 후방레그와,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과 한쪽 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시트쿠션의 전단부와 다른쪽 단이 회전축으로 결합되는 전방레그, 및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와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회전축과 연결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후방레그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절첩되는 시트쿠션과 전방레그의 싱킹 동작을 구동력으로 시트쿠션의 저면을 향해 후방레그를 회전시키는 후방레그 절첩수단으로 구성된 전방형 싱킹 시트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방형 싱킹 시트{Sinking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싱킹(sinking)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당 시트를 기준으로 전열(前列) 혹은 후열(後列) 시트를 향하는 승객의 승하차를 용이하게 하고, 주변 시트 착석자의 거주성 향상시키며, 화물 적재 공간 확보를 높일 수 있는 전방형 싱킹 시트에 관한 것이다.
흔히 차량용 시트는 착석한 승객마다의 안락함을 위하여 시트백의 각도조절 기능(리클라이닝), 시트쿠션의 높이조절 기능, 시트의 전후 위치조절기능(슬라이드장치) 등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게 된다.
한편 일반 승용차는 물론 2열 혹은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진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에는 전술한 기본 기능 외, 착석하는 승객의 편의를 위하거나 혹은 화물 적재 공간 확보 등의 이유로 시트의 위치 및 형상을 변화시켜 차량 내 공간 활용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부가 기능들을 더 구비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첫째 내부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도록 차량용 시트에는 폴드(fold)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의 폴드(fold) 기능은 리클라이너의 프리(free)구간 즉, 정상 착석을 위한 시트백의 직립위치와 시트쿠션의 상면을 향해 시트백이 전방으로 눕혀진 절첩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동작을 말한다. 이러한 폴드 기능은 리클라이너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 비잠금 상태에서 작동된다.
둘째로 플로어로부터 시트를 완전히 분리하여 시트공간을 화물 적재 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한 탈 장착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의 탈 장착 기능은 플로어에 형성된 프런트 스트라이커(front striker)와 리어 스트라이커(rear striker)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프런트 캐치(front catch)부와 리어 캐치(rear catch)부를 시트쿠션의 저면에 설치 구성하여, 탈착 스트랩(strap)을 당겨 프런트 캐치부와 리어 캐치부를 프런트 스트라이커와 리어 스트라이커로부터 각각 분리시켜 시트를 플로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시트의 탈 장착 장치는 국내특허공개 제2006-0004264호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셋째로 전술한 폴드 기능과 탈 장착 기능을 결합하여 시트를 차량의 플로어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완전히 격납시키는 싱킹(sinking) 시트가 있다.
이러한 싱킹 시트는 미사용 중인 시트를 플로어에 마련된 격납 공간에 완전히 격납(싱킹)시켜 해당 시트를 기준으로 전열(前列) 혹은 후열(後列) 시트를 향하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주변 시트 승객의 거주성 향상시키며, 화물 적재 공간 확보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이러한 싱킹 시트의 일예로써 국내공개특허 2007-0116496호에 개시된 일부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싱킹 시트(1)는 플로어에 고정된 채널의 전단 스트라이커와 후단 스트라이커에 각각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프론트 캐치부(2) 및 리어 캐치부(3)에 의해 플로어에 고정 지지되는 시트(1)를 구성하고, 시트 뒤쪽 플로어에 형성된 수납공간(5)을 구성하며, 일단이 상기 수납공간(5)의 바닥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1)의 리어 캐치부(3)와 힌지 결합되는 레그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종래 싱킹 시트(1)의 작동은 먼저 리클라이너와 연결된 리클라이너 레버를 가동시켜 리클라이너를 잠금 해제시킨 다음 시트쿠션의 상면으로 시트백을 폴드 동작시키고, 이후 폴딩된 시트의 프론트 캐치부(2)와 리어 캐치부(3)를 플로어의 전단 스트라이커와 후단 스트라이커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다음 후방 수납공간(5)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레그부(40)를 회전시키며 시트를 수납공간(5)으로 쓰러뜨리며 싱킹 동작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싱킹 시트(1)는 흔히 차량의 최 후열 시트에 마련되는 것으로, 미사용 중인 경우 필요에 따라 후방에 형성된 플로어의 수납공간(5)에 격납시켜 화물의 적재 공간 확보를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후방형 싱킹 시트는 최 후열 시트에 적용할 수밖에 없는 설치의 제한이 있고, 특히 후열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하차를 위하거나 혹은 공간 활용을 위하여 전열 시트를 격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 후방형 싱킹 시트는 승객과 시트의 동작 간섭으로 인하여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후열 시트를 향해 승차하거나 후열 시트의 승객이 하차하기 위한 승하차 공간 확보와, 전후, 좌우 시트 승객을 위한 중앙의 공유 공간의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전방형 싱킹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손쉽고 편리하게 시트의 격납과 직립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의 폴딩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직립위치와 시트쿠션의 상면으로 시트백이 눕혀진 절첩위치 사이를 폴딩 동작하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전방 플로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
시트쿠션의 후단부와 한쪽 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플로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다른쪽 단이 캐치부에 의하여 탈착 결합되는 후방레그;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과 한쪽 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시트쿠션의 전단부와 다른쪽 단이 회전축으로 결합되는 전방레그; 및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와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회전축과 연결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후방레그에 연결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절첩되는 시트쿠션과 전방레그의 싱킹 동작을 구동력으로 시트쿠션의 저면을 향해 후방레그를 회전시키는 후방레그 절첩수단; 을 포함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를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한쪽 단이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과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수납공간과 만나는 플로어에 결합되는 전도방지용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완충댐퍼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레그는, 한쪽 힌지를 중심으로 직립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이 좋다.
또한, 상기 후방레그 절첩수단은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와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회전축상에 제1힌지로 연결되는 제1링크와; 한쪽 단이 상기 제1링크와 제2힌지로 연결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후방레그의 중간부와 제3힌지로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전방레그에 고정되어 싱킹 동작 중 상기 제1링크의 중간부에 형성된 구속바를 상부로 가압하여 제1힌지를 중심으로 제1링크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가압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한쪽 단이 상기 제1링크에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전방레그에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의 싱킹 동작 완료와 동시에 서로 절첩위치를 이루는 시트쿠션과 전방레그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전방레그의 중간부에 구성된 걸림로드와, 상기 걸림로드와 대향하게 시트쿠션에 설치 구성되어 싱킹 동작 완료와 동시에 상기 걸림로드와 결합되고 릴리즈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걸림로드와 분리되는 잠금캐치부로 구성된 록킹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형 싱킹 시트는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지는 차량에서 최 전열(前列) 시트와 최 후열(後列) 시트를 제외한 중앙 시트에 적용되는 것이 더욱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후열 시트를 향해 승차하거나 후열 시트의 승객이 하차하기 위한 공간 확보와 차량 내 탑승한 승객의 공간 활용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직립위치의 시트를 격납시키는 동작과 격납위치로부터 직립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국내공개특허 2007-0116496호에 개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방형 싱킹 시트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전방형 싱킹 시트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 예시도
도 4는 전방레그의 하단 힌지부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예시도
도 5는 전방레그의 하단 힌지부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단계별 예시도
도 6은 후방레그 절첩수단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측면 예시도
도 7은 후방레그 절첩수단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 8은 후방레그 절첩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작동 예시도
도 9는 록킹장치부의 구성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
도 10은 록킹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작동 예시도
도 11은 전방형 싱킹 장치의 싱킹 동작을 보이는 작동 예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싱킹 시트는, 시트쿠션(1), 시트백(2), 리클라이너(3)를 포함한다.
표시번호 '1'로 표시된 시트쿠션(1)은, 시트쿠션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시트쿠션 프레임(10)은 시트쿠션(1)의 기본 골격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전방 횡단부재(11)와 후방 횡단부재(12) 그리고 전방 횡당부재(11)와 후방 횡단부재(12)의 양쪽 단을 연결하는 측면부재(13)를 포함한다.
표시번호 '2'로 표시된 시트백(2)은, 마찬가지 시트백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20) 역시 시트백(2)의 기본 골격구조를 이루는 것이며, 상부 횡단부재와 하부 횡단부재 그리고 상부 횡단부재와 하부 횡단부재의 양쪽 단을 연결하는 측면부재를 포함한다.
표시번호 '3'은 차량용 시트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리클라이너(3)를 표시한 것으로써, 시트쿠션(1)의 후단부와 시트백(2)의 하단부를 폴딩 회전축(30)으로 연결하고, 시트쿠션(1)에 대한 시트백(2)의 폴드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폴드 동작은, 시트쿠션(1)에 대하여 정상 착석할 수 있는 직립위치에서 시트쿠션(1)의 상면을 향해 시트백(2)이 전방으로 눕혀진 절첩위치 사이를 회전하는 동작을 말한다. 이러한 공지된 리클라이너(3)는 정상 착석을 위한 직립위치, 편안한 휴식 자세를 위한 후방으로 눕혀진 위치, 해당 시트의 전열과 후열로 승객 혹은 화물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방으로 절첩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너(3)는 시트의 양쪽에 동일한 구성으로 한 쌍을 이루게 되며 일반적으로 시트쿠션(1)의 양쪽 측면부재(13)에 결합된 하부 브래킷과 시트백(2)측 측면부재에 결합된 상부 브래킷을 연결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리클라이너(3)의 작동을 간단히 살펴보면 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리클라이너 레버(미 도시)를 가동함으로써 잠금 상태와 비잠금 상태를 이루게 되며, 잠금 상태에서 리클라이너(3)는 시트백(2)을 직립위치에 유지하고, 비잠금 상태에서 리클라이너(3)는 시트백(2)을 직립위치와 절첩위치 사이에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때로는 비잠금 상태에서 리클라이너(3)는 착석자의 안락함을 위해 시트백(2)을 후방으로 눕힐 수 있다. 한편 리클라이너 레버를 가동하여 비잠금 상태에서 시트백(2)을 절첩위치로 최종 회전 완료된 다음에는 리클라이너(3)는 잠금 상태로 자동 복귀하여 시트백(2)을 절첩위치에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너(3)는 미국특허 제4770464호, 제4997223호, 제5216936호, 제6003945호, 제6007152호, 제6036400호, 제6102480호, 제6260923호, 제6332649호, 및 국내특허공개 제2007-0032345호, 제2010-0062228호를 참조하도록 하며, 공지의 리클라이너(3)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전방형 싱킹 시트는 주요 특징부로서, 수납공간(A), 후방레그(4), 전방레그(5), 및 후방레그 절첩수단(6)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공간(A)은, 정상 착석 상태인 직립위치를 유지하는 싱킹 시트가 설치되는 플로어(F)의 전방에 형성된다.
상기 후방레그(4)는, 정상 착석 상태인 직립위치를 유지하는 싱킹 시트의 후단부를 플로어(F)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 한쪽 단은 시트쿠션(1)의 후방 횡단부재(12)와 힌지(401)로 결합되고, 다른쪽 단은 플로어(F)에 고정된 스트라이커(45)와 탈착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스트라이커(45)에 탈착 결합 구조를 이루는 후방레그(4)의 한쪽 단에는 캐치부(42)가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캐치부(42)는, 기본적으로 중앙부가 레그 본체에 힌지 결합되며, 일단에 스트라이커(45)에 결합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고,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걸림후크가 항상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릴리즈 레버(25)를 이용하여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걸림후크를 반대회전시킴으로써 스트라이커(45)로부터 캐치부(42)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커(45)로부터 캐치부(42)의 탈 부착 결합구조는 앞서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착형 시트에 적용된 공지된 기술로써 국내특허공개 제2005-0038149호, 제2006-0006253호, 제2007-0116496호, 제2010-0112071호 등을 참조할 수 있으며 관련하여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미 설명부호 '121'은 후방레그(4)를 연결하기 위하여 시트쿠션(1)의 후방 횡단부재(12)에 연장하여 결합되는 브래킷이다.
상기 전방레그(5)는, 정상 착석 상태인 직립위치를 유지하는 싱킹 시트의 전단부를 플로어(F)로부터 지지하는 것으로, 정확하게는 수납공간(A)의 바닥으로부터 시트쿠션의 전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한쪽 단은 수납공간(A)의 바닥 후단부와 힌지(501)로 결합되고, 다른쪽 단은 시트쿠션(1)의 전방 횡단부재(11)와 회전축(502)으로 결합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방레그(5)는 역 U자형의 구조를 이루며, 양쪽 하단이 수납공간(A)의 바닥 후단부에 고정된 지지브래킷(51)에 힌지(501) 결합 구성되며, 상단부는 시트쿠션(1)의 전방 횡단부재(11)와 회전축(502)으로 결합 구성되고 있다. 도 3의 미 설명부호 '111'은 전방레그(5)를 연결하기 위하여 시트쿠션(1)의 전방 횡단부재(11)에 연장하여 결합되는 브래킷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레그(5)는 수납공간(A)의 바닥과 연결되는 한쪽 힌지(501)를 중심으로 직립위치 즉, 후방으로 회전하며 세워지도록 탄성 가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 예서와 같이 일단(561)이 지지브래킷(51)에 결합되고 타단(560)이 전방레그(5)에 결합된 토션스프링(56)이 힌지(501)축 상에 개재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전방레그(5)는 토션스프링(56)에 의하여 직립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싱킹 동작 중 시트가 자중에 의하여 급작스럽게 하강하지 않고 사용자의 가압(push)에 의하여 서서히 하강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격납위치에서 직립위치로 복귀하고자 할 시 사용자가 무거운 시트를 들어올릴 필요 없이 릴리즈 레버(25)의 가동 초기 수납공간(A)으로부터 시트가 소정 높이까지 자연스레 솟아오르는 이른바 팝 업(Pop-up) 동작을 만족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 예에 의한 토션스프링(5)은 일단(561)이 지지브래킷(51)에 결합되고 타단(560)이 전방레그(5)에 결합되되, 토션스프링(56)의 타단(560)이 결합되는 전방레그(5)에는 회전방향에 대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가이드홈(54)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렇게 전방레그(5)와 결합되는 토션스프링(56)의 일단(560)이 장가이드홈(54)에 결속되어 있음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킹 동작 초기에는 'd1'로 표시된 구간만큼은 토션스프링(56)의 일단(560)이 장가이홈(54)을 따라 안내되어 복귀력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이때는 신속한 시트의 전방 이동이 가능하다. 이후 도 5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된 싱킹 동작은 사용자가 수납공간(A)을 향해 시트를 가압(push)함으로서 토션스프링(56)의 복귀력을 극복하며 최종 싱킹 동작이 완료된다.
상기 후방레그 절첩수단(6)은,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서로 절첩되는 시트쿠션(1)과 전방레그(5)의 싱킹 동작을 구동력으로 하여, 싱킹 동작 중 시트의 후단부에 결합된 후방레그(4)를 시트쿠션(1)의 저면으로 회전시켜 후방레그(4)가 싱킹 동작 완료시에 시트쿠션(1)의 저면에 대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정상 착석 위치인 직립위치를 유지하는 시트의 후방레그(5)는 시트이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힌지(401)로부터 캐치부(42)를 향하며 후방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싱킹 동작 중 이런 상태를 고수하게 되면 싱킹 동작에 간섭이 발생된다.이를 해결하기 위한 후방레그 절첩수단(6)은, 시트쿠션(1)의 좌우 양쪽에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레그(4)에 각각 연결되도록 좌우 양쪽에 동일한 구성으로 한 쌍의 후방레그 절첩수단(6)을 구성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각 후방레그 절첩수단(6)은, 한쪽 단이 전방레그(5)와 시트쿠션(1)이 연결되는 회전축(502)상에 제1힌지(601)로 연결되는 제1링크(61)와, 한쪽 단이 상기 제1링크(61)와 제2힌지(602)로 연결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후방레그(4)의 중간부와 제3힌지(603)로 연결되는 제2링크(62), 및 상기 전방레그(5)에 고정되어 싱킹 동작 중 상기 제1링크(61)의 중간부에 형성된 구속바(615)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제1링크(61)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가압브래킷(6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후방레그 절첩수단(6)을 통하여, 싱킹 동작 중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시트쿠션(1)과 전방레그(5)가 서로 마주하여 회전하게 되면, 가압브래킷(63)의 일단에 형성된 가압단(635)이 제1링크(61)의 구속바(615)에 밀착되어 제1링크(61)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며, 결국 제1링크(61)는 회전축(502)상에 결합된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하는 제1링크(61)와 제2힌지(602)로 연결된 제2링크(62)는 회전하는 제1링크(61)의 각운동만큼 시트쿠션(1)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결국 제2링크(62)와 연동하여 후방레그(4)는 상단 힌지(401)를 중심으로 시트쿠션(1)의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후방레그 절첩수단(6)은 싱킹 동작 완료하기 전에 후방레그(4)가 시트쿠션(1)의 저면에 완전히 절첩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겠으나, 실제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킹 동작 완료하기 전에 후방레그(4)가 시트쿠션(1)의 저면과 예각을 유지하는 정도만 회전되면 싱킹 동작 중 수납공간(A)의 바닥에 하단이 가압되면서 자연스레 절첩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후방레그 절첩수단(6)에는, 한쪽 단이 상기 제1링크(61)에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전방레그(5)에 결합되어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61)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64)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후방레그 절첩수단(6)은 싱킹 동작 중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레그(5)에 고정된 가압브래킷(63)의 가압단(635)에 제1링크(61)의 구속바(615)가 지지되어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제1링크(61)가 상부로 회전하게 되며, 격납위치에서 다시 직립위치로 재 동작 시 시트쿠션(1)으로부터 전방레그(5)가 멀어져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과 연동하는 리턴스프링(64)의 복귀력에 의하여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제1링크(61)가 신속히 복귀되고 제1링크(61)의 각운동만큼 시트쿠션(1)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제2링크(62)에 의하여 후방레그(4)는 원위치로 자동 복귀하여 캐치부(42)가 스트라이커(45)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싱킹 시트는, 싱킹 동작 중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서로 절첩되는 전방레그(5)와 시트쿠션(1)의 급작스러운 절첩 동작을 예방하고 사용자의 가압(push)에 의하여 서서히 절첩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완충댐퍼(8)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완충댐퍼(8)는 직립위치로의 복귀동작 중에도 사용자의 미세한 가압(pull)에 의하여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전방레그(5)로부터 시트쿠션(1)을 자연스레 벌리며 수납공간(A)으로부터 급작스러운 팝 업(pop-up) 동작을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댐퍼(8)는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5)의 상단부에 고정된 설치브래킷(52)과 힌지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시트쿠션(1)의 후방 횡단부재(12)와 힌지 결합 구성된다. 도 3의 미 설명부호 '122'는 완충댐퍼(8)를 연결하기 위하여 시트쿠션(1)의 후방 횡단부재(12)에 연장하여 결합되는 설치브래킷이다. 이러한 완충댐퍼(8)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싱킹 시트는, 싱킹 동작 중 의도하지 않은 사용자의 강한 가압(push)에 의하여 전방레그(5)의 힌지(501)를 중심으로 수납공간(A)의 상부로 전도(顚倒)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한 전도방지수단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도(顚倒)방지수단은, 한쪽 단이 상기 시트쿠션(1)의 저면과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수납공간(A)과 인접하는 후방 플로어(F)에 결합되는 전도방지용 와이어(9)로 구성될 수 있다. 결국 싱킹 동작 중인 시트는 플로어(F)에 결합된 전도방지용 와이어(9)의 반경 내에 구속된 상태에서 싱킹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도 3의 미 설명번호 '91'은 전도방지용 와이어(9)를 지지하는 브래킷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싱킹 시트는, 상기 시트쿠션(1)의 싱킹 동작 완료와 동시에 서로 절첩위치를 유지하는 시트쿠션(1)과 전방레그(5)를 고정시켜 싱킹 시트를 수납공간(A)내에 안전적으로 고정시키는 록킹장치부(7)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 1,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록킹장치부(7)는, 전방레그(5)의 중간부에 구성된 걸림로드(71)와, 상기 걸림로드(71)와 대향하게 시트쿠션(1)의 측면부재(13)에 설치되어 싱킹 동작 완료와 동시에 걸림로드(71)와 결합되고 릴리즈 레버(25)의 작동으로 걸림로드(71)와 분리되는 잠금캐치부(72)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잠금캐치부(72)는, 상기 걸림로드(71)와 대향하게 시트쿠션(1)의 측면부재(13)에 고정되는 몸체(721)와, 상기 몸체(72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7221) 결합되며 상기 걸림로드(71)와 결합되는 걸림홈(7222)이 형성된 후크(722)와, 상기 몸체(721)로부터 후크(722)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723)과, 상기 리턴스프링(723)과 반대되게 상기 몸체(721)의 타측에 결합되어 릴리즈 레버(25)와 연결되는 작동케이블(7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록킹장치부(7)로 인하여 싱킹 동작 중 시트쿠션(1)과 연동하여 하강하는 잠금캐치부(72)는 후크(722)의 하단이 전방레그(5)의 걸림로드(71)에 지지되고, 계속된 이동에 의하여 리턴스프링(723)의 복귀력을 순간적으로 극복하며 힌지(722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걸림홈(7222)이 걸림로드(71)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록킹장치부(7)는 전방레그(5)와 시트쿠션(1)의 절첩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전방레그(5)의 힌지(501)에 구성된 토션스프링(56)과 전방레그(5)와 시트쿠션(1)을 연결하는 완충댐퍼(8)의 복귀력을 차단하여 수납공간(A)에 시트를 안전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격납된 시트를 다시 직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작동케이블(724)과 연결된 릴리즈 레버(25)를 가동(pull) 당김으로써 걸림로드(71)로부터 후크(722)를 이격시켜 록킹장치부(7)를 해제시키는 순간 전방레그(5)의 토션스프링(56)과 완충댐퍼(8)의 조합된 복귀력을 기반으로 수납공간(A)으로부터 자연스레 팝 업(pop-up) 동작이 구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릴리즈 레버(25)는 스트라이커(45)와 탈착 결합되는 후방레그(4)의 캐치부(42)와 걸림로드(71)와 탈착 결합되는 록킹장치부(7)의 잠금캐치부(72)를 일괄적으로 작동시키며 싱킹 동작과 직립 동작을 하나의 릴리즈 레버(25)로 구현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방형 싱킹 시트의 작동 단계를 보이는 도면으로써,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방형 싱킹 시트의 격납을 위한 싱킹 동작과 직립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싱킹 동작>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리클라이너 레버를 가동하여 리클라이너(3)의 비잠금 상태에서 시트쿠션(2)의 상면을 향해 시트백(1)을 폴드 동작시킨다.
이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즈 레버(25)를 가동하여 후방레그(4)의 캐치부(42)를 스트라이커(45)로부터 분리시키고, 이렇게 후방레그(4)의 캐치부(42)가 스트라이커(45)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의 배면을 살짝 가압(push)하면 힌지(501)를 중심으로 전방레그(5)가 시트와 함께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킹 동작 초기로써 'd1'로 표시된 구간만큼은 토션스프링(56)의 일단(560)이 장가이홈(54)을 따라 안내되어 복귀력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이때는 신속한 시트의 전방 이동이 가능하다.
이렇게 전방레그(5)와 함께 전방으로 회전하는 시트는 전도방지용 와이어(9)의 반경 내에 구속되어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 회전한 전방레그()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50)에 구성된 토션스프링(56)에 강한 복귀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시트는 자중에 의하여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하강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하강하는 시트는 완충댐퍼(8)에 의하여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근접하는 제1링크(61)의 구속바(615)를 전방레그(5)에 고정된 가압브래킷(63)의 가압단(635)이 가압시켜,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제1링크(61)를 상부로 회전시키고, 이러한 제1링크(61)의 각운동만큼 제2링크(6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결국 상기 제2링크(62)와 연결된 후방레그(4)는 상단 힌지(40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며 시트쿠션(1)의 저면과 예각을 이루게 회전된다.
계속해서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의 배면을 계속해서 가압(push)하여 완충댐퍼(8)와 전방레그(5)에 구성된 토션스프링(56)의 복귀력을 극복하며 수납공간(A)에 시트를 완전히 격납 시키게 된다.
이렇게 수납공간(A)에 격납 완료 시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의 잠금캐치부(72)가 전방레그(5)의 걸림로드(71)에 자동 결속되어 상기 전방레그(5)의 토션스프링(56) 및 완충댐퍼(8)의 복귀력을 차단하고 수납공간(A)내 안전적으로 격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직립 동작>
이상과 같이 격납 상태를 유지하는 시트를 다시 정상 착석 상태인 직립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직립 동작은 상기 싱킹 동작의 역순을 거치며 수행하면 된다.
즉, 사용자는 릴리즈 레버(25)를 가동하게 되면 록킹장치부(7)의 잠금캐치부(72)가 전방레그(5)의 걸림로드(71)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록킹장치부(7)가 해제되면, 전방레그(5)의 힌지(501)에 구성된 토션스프링(56)과 완충댐퍼(8)의 조합된 복귀력에 의하여 수납공간(A)내에서 시트가 자연스레 솟아오르는 팝 업(poop-up) 동작을 서서히 구현하게 되어, 사용자의 초기 무리한 당김 구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후, 전방레그(5)의 힌지(501)에 구성된 토션스프링(56)과 완충댐퍼(8)의 복귀력이 둔해지면 사용자는 다시 시트를 당기고,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전방레그(5)로부터 시트가 벌어질 때 전방레그(5)와 리턴스프링(64)으로 결합된 제1링크(61)가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다시 하부로 원위치 복귀되고, 이러한 제1링크(601)의 각운동만큼 제2링크(6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결국 상기 제2링크(62)와 연결된 후방레그(4)는 힌지(401)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하며 원위치 복귀된다.
이후 계속해서 시트를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후방레그(4)의 캐치부(4)가 스트라이커(45)에 결합 고정된다.
이후, 다시 리클라이너 레버를 가동하여 리클라이너(3)의 비잠금 상태에서 시트쿠션(1)으로부터 시트백(3)을 언폴드 동작시켜 정상착석 상태인 직립위치의 시트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방형 싱킹 시트는 3열 이상의 레저 차량의 경우 2열 이상의 시트에 적용하여 화물 적재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이러한 전방형 싱킹 시트는 기존 후방형 싱킹 시트와 달리 후열시트를 향하는 승객의 승하차 공간 확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열 시트를 가지는 차량의 2열 시트에 전방형 싱킹 시트를 적용함으로써, 3열 시트를 향해 승차하거나 혹은 3열 시트의 승객이 하차하기 위한 승하차 공간 확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3열 이상의 시트 차량에 승하차 공간 확보를 위해 전방형 싱킹 시트를 적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승객 사용빈도가 적은 중앙 시트(센터 보조석)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시트쿠션 (2) : 시트백
(3) : 리클라이너 (30) : 폴딩 회전축
(4) : 후방레그 (42) : 캐치부
(45) : 스트라이커 (5) : 전방레그
(56) : 토션스프링 (6) : 후방레그 절첩수단
(61) : 제1링크 (62) : 제2링크
(63) : 가압브래킷 (64) : 리턴스프링
(7) : 록킹장치부 (71) : 걸림로드
(72) : 잠금캐치부 (8) : 완충댐퍼
(9) : 전도방지 와이어 (A) : 수납공간

Claims (12)

  1. 리클라이너(3)의 폴딩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시트쿠션(2)과 시트백(1)이 일정각도를 유지하는 직립위치와 시트쿠션의 상면으로 시트백이 눕혀진 절첩위치 사이를 폴딩 동작하는 차량 시트에 있어서,
    시트의 전방 플로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A);
    시트쿠션의 후단부와 한쪽 단이 힌지(401)로 결합되고, 플로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45)와 다른쪽 단이 캐치부(42)에 의하여 탈착 결합되는 후방레그(4);
    상기 수납공간(A)의 바닥과 한쪽 단이 힌지(501)로 결합되고, 시트쿠션의 전단부와 다른쪽 단이 회전축(502)으로 결합되는 전방레그(5); 및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와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회전축(502)과 연결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후방레그(4)에 연결되어, 회전축(502)을 중심으로 서로 절첩되는 시트쿠션과 전방레그의 싱킹 동작을 구동력으로 시트쿠션의 저면을 향해 후방레그(4)를 회전시키는 후방레그 절첩수단(6);
    을 포함하여 구성한 전방형 싱킹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한쪽 단이 상기 시트쿠션(1)의 저면과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수납공간(A)과 만나는 플로어(F)에 결합되는 전도방지용 와이어(9)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5)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시트쿠션(1)의 후단부와 결합되는 완충댐퍼(8)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댐퍼(8)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레그(5)는, 한쪽 힌지(501)를 중심으로 직립위치를 유지하도록 탄성 가압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레그(5)의 힌지(501)에는 일단(561)이 수납공간(A)의 바닥에 고정 설치된 지지브래킷(51)에 결합되고 타단(560)이 전방레그(5)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56)을 구성하되; 상기 토션스프링(56)의 일단(560)이 결합되는 전방레그(5)에는 회전방향에 대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가이드홈(5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레그 절첩수단(6)은,
    한쪽 단이 상기 전방레그와 시트쿠션이 연결되는 회전축(502)상에 제1힌지(601)로 연결되는 제1링크(61);
    한쪽 단이 상기 제1링크와 제2힌지(602)로 연결되고 다른쪽 단이 상기 후방레그(4)의 중간부와 제3힌지(603)로 연결되는 제2링크(62); 및
    상기 전방레그(5)에 고정되어 싱킹 동작 중 상기 제1링크(61)의 중간부에 형성된 구속바(615)를 상부로 가압하여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제1링크(61)를 상부로 회전시키는 가압브래킷(63);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한쪽 단이 상기 제1링크(61)에 결합되고 다른쪽 단이 전방레그(5)에 결합되어, 상기 제1힌지(60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61)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6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싱킹 동작 완료와 동시에 서로 절첩위치를 이루는 시트쿠션과 전방레그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부(7)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부(7)는,
    전방레그(5)의 중간부에 구성된 걸림로드(71)와;
    상기 걸림로드와 대향하게 시트쿠션(1)에 설치 구성되어, 싱킹 동작 완료와 동시에 상기 걸림로드와 결합되고 릴리즈 레버의 작동으로 상기 걸림로드와 분리되는 잠금캐치부(72);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캐치부(72)는,
    상기 걸림로드와 대향하게 시트쿠션(1)에 고정되는 몸체(721)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7221) 결합되며 걸림로드(71)와 결합되는 걸림홈(7222)이 형성된 후크(722)와,
    상기 몸체로부터 후크를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723), 및
    상기 리턴스프링의 반대되게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어 릴리즈 레버와 연결되는 작동케이블(72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전방형 싱킹 시트는,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지는 차량에서 최 전열(前列) 시트와 최 후열(後列) 시트를 제외한 중앙 시트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싱킹 시트.
KR1020110108613A 2011-10-24 2011-10-24 전방형 싱킹 시트 KR101315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13A KR101315695B1 (ko) 2011-10-24 2011-10-24 전방형 싱킹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613A KR101315695B1 (ko) 2011-10-24 2011-10-24 전방형 싱킹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514A true KR20130044514A (ko) 2013-05-03
KR101315695B1 KR101315695B1 (ko) 2013-10-08

Family

ID=4865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613A KR101315695B1 (ko) 2011-10-24 2011-10-24 전방형 싱킹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6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45B1 (ko) * 2018-03-20 2019-04-03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싱킹시트의 연동 메커니즘
KR101990910B1 (ko) * 2018-05-08 2019-06-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싱킹시트의 로킹장치
KR102590092B1 (ko) * 2023-04-27 2023-10-19 (주)케이엠앤아이 시트백 충격흡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845B1 (ko) * 2021-12-10 2024-01-23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의 싱킹 시트 시스템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9800B2 (ja) * 1998-05-13 2002-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格納装置
JP2000071831A (ja) 1998-08-31 2000-03-07 Toyota Motor Corp シート格納装置
JP3635292B2 (ja) * 1999-08-10 2005-04-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リヤシート
JP4582474B2 (ja) 2003-09-03 2010-11-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自動車用折畳み式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45B1 (ko) * 2018-03-20 2019-04-03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싱킹시트의 연동 메커니즘
KR101990910B1 (ko) * 2018-05-08 2019-06-19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싱킹시트의 로킹장치
KR102590092B1 (ko) * 2023-04-27 2023-10-19 (주)케이엠앤아이 시트백 충격흡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695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14223B (zh) 具有可折叠的收起位置的交通工具座椅
CN103917406B (zh) 机动车辆的可收装式座椅装置
CA2661130C (en) Fold flat seat assembly with drive link
KR101081213B1 (ko)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1054755B1 (ko)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US8540308B2 (en) Stowable vehicle seat
EP3071443B1 (en) Sedan slouch seat
JP6315985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00115746A (ko) 기립 기구를 갖는 폴딩 및 닐링 시트 조립체
EP2709492B1 (en) Stadium and stowing seat
KR101299408B1 (ko) 차량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1315695B1 (ko) 전방형 싱킹 시트
KR100569945B1 (ko) 차량용 시트의 더블폴딩 고정을 위한 록킹기구
JP7068591B2 (ja) 乗物用シート
JP624484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10266075B2 (en) Stowable vehicle seat with slotted guide linkage
US10625635B1 (en) Vehicle seat release mechanism
JP2015123948A (ja) 乗物用シート
JP2003118451A (ja) 車両用シート
JP3597497B2 (ja) 車両用シート
JP7332958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243673B1 (ko) 차량용 팁 업 시트
JP2003118452A (ja) 車両用シート
JP2004268877A (ja) 自動車用トランクスルーシート
JPH0986249A (ja) 車両用多機能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