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056A - 전자기파 간섭신호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파 간섭신호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056A
KR20130043056A KR1020120101634A KR20120101634A KR20130043056A KR 20130043056 A KR20130043056 A KR 20130043056A KR 1020120101634 A KR1020120101634 A KR 1020120101634A KR 20120101634 A KR20120101634 A KR 20120101634A KR 20130043056 A KR20130043056 A KR 20130043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unit
power
conductive memb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창희
강성원
황정환
임인기
김정범
김경수
박경환
박형일
강태영
김성은
강태욱
최병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DE10201210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12109911A1/de
Priority to US13/655,265 priority patent/US9525310B2/en
Publication of KR2013004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내의 조명 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획득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러한 에너지 획득 장치를 전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자가 발전이 가능한 조명 기기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는,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파 간섭신호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DEVICE FOR HARVESTING ENERGY FRO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AND SENSOR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기기와 같이 고전압의 간섭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 기기의 전자기파 또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획득하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기술은 주변 환경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분야로, 주변의 에너지를 회로 구동에 이용 가능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은 배터리 없이, 또는 별도의 전원을 이용한 배터리 충전 없이도 회로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센서 및 이를 이용한 통신 소자 등의 전원 또는 보조 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응용 범위가 상당히 넓은 특징이 있다. 또한, 주변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재사용함으로써 자연 환경을 보존할 수 있는 미래 산업 분야이기도 하다.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는 태양 전지(Solar cell)를 이용하여 자연 환경의 빛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방법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의 경우 건물 등의 실내 환경 하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의 효율이 매우 낮은 편이며, 작은 회로 소자에 적용하기에는 필요 면적이 크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한정적이다. 최근에는 진동(Vibration)이나 온도 차이 등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는 방법, 밀리미터(mm) 크기의 안테나를 이용해 전자기파 신호를 수신하여 에너지를 얻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현재 실내에서 사용되는 조명 기기들은 기기당 수십 와트(Watt)의 큰 소비 전력을 가지며, 조명 기기로 입력되는 전력 중 일부는 빛으로 전환되지 않고 열과 전자기파로 방사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명 기기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전력이 상당히 크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형광등의 경우 구동 방식에 따라 자기식 안정기 방식과 전기식 안정기 방식으로 구분되며, 구동 특성상 자기식 안정기 방식은 주파수 60Hz의 전자기파를, 전기식 안정기 방식은 수십 kHz 대역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그런데, 종래의 안테나 방식을 사용할 경우 이렇게 낮은 주파수 대역의 전자기파를 흡수할 수 있는 안테나를 구현하여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획득하는 것은 공간적인 제한으로 인해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실내의 조명 기기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효과적으로 획득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러한 에너지 획득 장치를 전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자가 발전이 가능한 센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는,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는,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각각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정류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조명 기기의 전도성이 있는 반사판 또는 지지대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부재는 전도성을 갖은 부재의 표면에 절연 특성을 갖는 물질이 포함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표면에 절연 특성을 가진 물질이 있다 하더라도 전도성을 갖는 인터페이스와 용량성 결합에 의해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에너지 획득 장치; 일정 공간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는, 상기 정류회로부를 통해 생성된 전압을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전원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 및 잉여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전원 제어부로 공급하는 충전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시스템은, 상기 조명 기기,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 간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 기기 또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자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함으로써, 기존의 핸드폰이나 무선랜,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기기에서 방사되는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많은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안테나 구조가 아닌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초소형화가 가능하고, 기존의 조명 기기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에너지 획득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 획득 장치를 전력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자가 발전이 가능한 다양한 센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복잡도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획득 장치가 센서 시스템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의 전원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 시스템의 구성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획득 장치(10)는, 조명 기기(L)의 전도성 부재(P1~P3)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101) 및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103)를 포함한다.
전도성 부재(P1~P3)는 조명 기기(L)에서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필요한 곳에 비추기 위해 사용되는 반사판이거나, 천장과 같은 곳에 조명 기기(L)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대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반사판 또는 지지대는 금속과 같이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므로 전자기파가 잘 유기된다. 또한 부식이나 미관상의 이유, 혹은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표면이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비록 절연막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와 용량성 결합을 통해 간섭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조명 기기(L)의 전도성 부재(P1~P3)에 에너지 획득 장치(10)의 인터페이스부(101)를 결합시켜 전도성 부재(P1~P3)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안테나를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조명 기기(L)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보다 많이 획득할 수 있고, 그 효율 또한 증대시킬 수 있으며, 매우 작은 크기의 에너지 획득 장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101)는 전도성 부재(P1~P3)와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접착부 또는 자성(magnetism) 물질을 지닌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도성 부재(P)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금속, 플렉서블(flexible) 기판, 전도성 섬유, ECG 전극 등의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섭 신호원에서 보다 많은 전력을 정류회로부에 전달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와 정류회로부 사이에 임피던스 정합 회로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의 패턴을 이용하여 정합 회로의 구현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획득 장치(20)는,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201),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203, 205) 및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각각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정류회로부(207, 20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필터(203, 205)와 2개의 정류회로부(207, 209)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획득된 전도성 간섭신호는 다양한 대역의 주파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필터(203, 205)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전도성 간섭신호를 필터링한 후 각각 대응되는 정류회로부(207, 209)를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많은 직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의 경우 입력과 출력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적인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만 필터가 특정한 임피던스, 예를 들어 50옴 혹은 75옴으로 설계된 경우, 필터의 입력과 혹은 출력에 각각 최대 전력을 전달, 획득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회로의 삽입이 가능하다.
조명 기기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광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안정적인 발광을 위한 안정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구동 방식에 따라 전력선이 갖는 60Hz의 교류 주파수로 동작하는 자기식 또는 하이브리드 안정기 방식과, 이를 20~60kHz의 높은 주파수로 변환시켜 동작하는 전기식 안정기 방식으로 구분된다. 필터(203, 205)는 이러한 안정기의 구동 주파수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안정기를 사용하는 조명 기기에서는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사용할 수 있다. 전기식 안정기를 사용하는 조명 기기에서는 전력선으로부터 방출되는 60Hz 대역의 전자기파 신호와 20~60kHz 대역의 전자기파 신호가 같이 입력되어 두 대역 간의 보강 및 상쇄 간섭으로 인해 안정적인 에너지 획득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제 1 필터(203)를 저역통과필터로 구현하여 60Hz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고, 제 2 필터(205)를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또는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로 구현하여 수십 kHz 대역의 신호를 분리한 후, 각각에 대응되는 제 1, 2 정류회로부(207, 209)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의 종류와 개수, 각각의 필터가 필터링하는 주파수 대역, 정류회로부의 개수 등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다수의 정류회로부를 통해 얻어진 전압의 결합시 최대 전력을 얻기 위해 알려진 기법들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1)는 전도성 부재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접착부 또는 자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획득 장치가 센서 시스템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근 빌딩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사물 또는 사람의 위치나 움직임,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등을 감지하는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의 전력 공급을 위해서는 건물의 설계 단계부터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에너지 획득 장치를 이용할 경우, 기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조명 기기에 에너지 획득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이나 별도의 배터리 없이도 자가 발전이 가능한 센서 시스템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에너지 획득 장치(30) 및 에너지 획득 장치(30)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센서부(32)를 포함한다. 센서부(32)는 일정 공간 내의 사물 또는 사람의 위치나 움직임, 온도, 습도 또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감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무선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에너지 획득 장치(30)는 도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301), 필터(303) 및 정류회로부(305)를 포함하며, 승압부(307)와 충전부(3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정류회로부(305)를 통해 생성된 전압이 센서부(32)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보다 낮은 경우, 승압부(307)를 이용하여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승압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309)를 통해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추후에 이를 부하로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각종 센서에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연결 구성은 사용되는 센서 및 통신 모듈 등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최근에는 조명 기기에 동작 감지 센서 등을 결합하여 자동으로 조명 기기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조명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CMOS 기술은 지속적으로 다운스케일링(down scaling)되어 현재 45~65nm 크기까지 설계되고, 회로의 요구 구동전압은 0.8V 이하까지 떨어졌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전력량 또한 크게 낮아져 ㎼ 단위 이하의 최소 구동 전력만으로도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 획득 장치를 이러한 시스템에 적용하여 보조 전원으로 사용할 경우 전력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조명 시스템의 복잡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기기의 전원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시스템은, 조명 기기(31)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에너지 획득 장치(30), 일정 공간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32) 및 센서부(32)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조명 기기(31)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3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센서부(32)와 전원 제어부(33) 중 적어도 하나는 에너지 획득 장치(30)에서 생성된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 기기(31), 센서부(32) 및 전원 제어부(33) 간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2)는 하나 이상의 동작 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무선 센서 노드로 구성된 센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에너지 획득 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301), 필터(303), 정류회로부(305)를 포함하며, 승압부(307)와 충전부(3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정류회로부(305)를 통해 생성된 전압이 센서부(32), 전원 제어부(33) 또는 통신부(34)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보다 낮은 경우, 승압부(307)를 이용하여 부하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승압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309)를 통해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추후에 이를 부하로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 구성은 사용되는 센서 및 통신 모듈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조명 기기의 전도성이 있는 반사판 또는 지지대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부 또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4.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각각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정류회로부;
    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조명 기기의 전도성이 있는 반사판 또는 지지대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부 또는 자성부를 포함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필터는 각각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및 고역통과필터(High Pass Filter)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파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8.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센서부;
    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는
    상기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각각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정류회로부; 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조명 기기의 전도성이 있는 반사판 또는 지지대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는
    상기 정류회로부를 통해 생성된 전압을 상기 센서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 및
    잉여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상기 센서부로 공급하는 충전부; 를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일정 공간 내의 사물 또는 사람의 위치나 움직임, 온도, 습도 또는 이산화탄소에 대한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시스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다수의 무선 센서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시스템.
  14.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에너지 획득 장치;
    일정 공간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는
    상기 조명 기기의 전도성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전도성 간섭신호를 흡수하는 전도성 소재의 인터페이스부;
    상기 흡수된 전도성 간섭신호를 일정 주파수 대역 별로 필터링하여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교류신호를 각각 정류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정류회로부; 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상기 조명 기기의 전도성이 있는 반사판 또는 지지대이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도성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는
    상기 정류회로부를 통해 생성된 전압을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전원 제어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 및
    잉여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전원 제어부로 공급하는 충전부; 를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나 이상의 동작 감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기기,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 간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에너지 획득 장치에서 생성된 상기 직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시스템.
KR1020120101634A 2011-10-19 2012-09-13 전자기파 간섭신호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KR20130043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9911A DE102012109911A1 (de) 2011-10-19 2012-10-17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and sensor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3/655,265 US9525310B2 (en) 2011-10-19 2012-10-18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and sensor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06783 2011-10-19
KR1020110106783 2011-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056A true KR20130043056A (ko) 2013-04-29

Family

ID=4844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634A KR20130043056A (ko) 2011-10-19 2012-09-13 전자기파 간섭신호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30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744B1 (ko)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시스템
ES2814026T3 (es) Transmisor de energía inalámbrico, receptor de energía inalámbrico y procedimientos de control de los mismos
KR101243544B1 (ko) 기구들 및 장비들에 대한 무선 전력 전달
CN106464017B (zh) 与电力传输天线集成的开关模式电源驱动器
CN101490772B (zh) 照明系统
US9143002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RU2606389C2 (ru) Приемные электроды емкостной системы беспроводного питания
US9438062B2 (en) Wireless electric power receiver for wirelessly regulating electric power using switch
JP2017022989A (ja) ワイヤレス電力デバイスの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詳細
CN105745810A (zh) 无线电力正交极化天线阵列
KR20160129676A (ko) 무선 충전 장치
TW201638980A (zh) 薄膜線圈元件及其適用之可撓式無線充電裝置與系統
KR20170031509A (ko) 무선 전력 수신기 및 무선 전력 송신기
JPWO2012001959A1 (ja) 無線電力伝送装置
US9525310B2 (en)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ignal and sensor system including the same
JP3203152U (ja) 吊り下げ式フレキシブル無線充電デバイス
US20090289503A1 (e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KR20160129673A (ko) 억제된 전자파 발산 및 향상된 충전 효율을 갖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시스템
US20170063158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US20120086285A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energy from electromagnetic field
JP6198734B2 (ja) 容量性電力伝達システムとして利用される無線電力コンバータ
CN110611511B (zh) 一种发射机、接收机以及无线充电系统
KR101052823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CN202327780U (zh) 一种为电子产品提供无线充电功能的台灯
KR20130043056A (ko) 전자기파 간섭신호를 이용한 에너지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센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