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676A - 무선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676A
KR20160129676A KR1020150133706A KR20150133706A KR20160129676A KR 20160129676 A KR20160129676 A KR 20160129676A KR 1020150133706 A KR1020150133706 A KR 1020150133706A KR 20150133706 A KR20150133706 A KR 20150133706A KR 20160129676 A KR20160129676 A KR 20160129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unit
power receiving
coil assembly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초우 예
충-허 예
첸-치 우
춘-팅 예
쉬예-중 후앙
보-루에이 쳉
치-밍 후
츄-쳉 추이
슈-헝 린
Original Assignee
제이터치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4113889A external-priority patent/TW201638980A/zh
Priority claimed from TW104117866A external-priority patent/TW201644138A/zh
Application filed by 제이터치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터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2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02J7/025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충전 장치는 메인 바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 차폐 구조물, 이동식 운반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식 운반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파워 수신 장치를 운반하기 위한 메인 바디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식 운반 유닛을 통해 메인 바디의 수용 공간 내에 도입되었는지 또는 이로부터 제거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Description

무선 충전 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와 관련되며, 더 구체적으로 전력 수신 장치가 이의 본체 내로 로딩될 때 전력 수신 장치를 자동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고 전자파의 발산을 억제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와 관련된다.
오늘날,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 가령, 모바일 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가 우리 일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충전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빌트-인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충전 장치는 유선 충전 장치 및 무선 충전 장치로 분류된다. 무선 충전 장치가 다양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전력 케이블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유선 충전 장치는 점차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무선 충전 동작은 또한 유도성 충전 동작(inductive charging operation) 또는 비접촉식 충전 동작(non-contact charging operation)이라고 지칭된다. 무선 충전 기술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무선 전송 방식으로 전력 제공 장치에서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3개의 무선 전력 충전 그룹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QI), PMA (Power Matters Alliance) 및 A4WP (Alliance for Wireless Power)를 포함한다. WPC 및 A4WP 표준은 무선 충전 기술의 메인스트림이다. 무선 충전 기술은 자기 유도 기술(저주파수) 및 자기 공진 기술(고주파수)을 포함한다. 상기 자기 유도 기술은 단거리 에너지 송신에만 적용된다. 자기 유도 기술의 전력 변환 효율이 더 높다. 그러나 전력-수신 장치는 자기 유도 기술에 따라 전력 제공 장치와 정렬 및 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 제공 장치는 복수의 전력 수신 장치를 동시에 충전할 수 없다. 자기 공진 기술에 의해, 송신기 단자와 수신기 단자 간 에너지 전송이 특정된 공진 주파수로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자기 공진 기술이 자기 유도 기술에 비교할 때 더 장거리 에너지 전송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지의 사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11)는 무선 송신 방식으로 전력 수신 장치(12)에게 전기 에너지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1)의 코일 조립체는 다중-코어 구리 와이어로 만들어진다. 덧붙여, 구리 와이어가 페라이트 자기 옥사이드로 만들어진 강성 기판 상에 장착된 후, 코일 조립체가 생성된다. 상기 코일 조립체는 판형(plate shaped)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덧붙여, 전력 수신 장치(12)는 충전 프로세스를 통해 무선 충전 장치(11)의 외부에 위치해야 한다. 무선 충전 장치(11)는 스위치 요소(13)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 요소(13)의 온/오프(on/off)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력 수신 장치(12)는 무선 충전 장치(11)에 의해 선택적으로 충전되거나 충전되지 않는다. 즉, 스위치 요소(13)가 켜질 때 무선 충전 장치(11)의 무선 충전 작업이 활성화된다. 전력 수신 장치(12)가 충전 존(charging zone) 내에 있을 때 전력 수신 장치(12)가 무선 충전 장치(11)에 의해 자동으로 충전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무선 충전 장치(11)가 사용자 친화적이 아니다. 덧붙여, 어떠한 전력-수신 장치(12)가 충전 존 내에 위치할 때 무선 충전 장치(11)의 무선 충전 작업이 활성화되는 경우, 에너지 손실이 증가된다. 덧붙여, 무선 충전 장치(11)의 코일 조립체로부터의 전자파가 주변 임의의 곳으로 방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파(특히 고-와트 전력 수신 장치(high-watt power-receiving device)를 위한 고에너지 전자파)에 의해 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고, 무선 충전 장치(11)의 충전 효율이 불충분한 것이 일반적이다.
무선 충전 장치(11)가 차체 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11) 상의 전력 수신 장치(12)가 개방 공간 내에 있다. 덧붙여, 차량이 운전되는 동안, 전력 수신 장치(12)가 차체의 흔들림 상태 때문에 떨어질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전력 수신 장치(12)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무선 충전 장치(11)의 코일 조립체로부터의 전자파가 주변 임의의 곳으로 방사된다. 따라서 전자파가 사용자에게 해를 입히고,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11)의 충전 효율이 불충분하다.
덧붙여, 현재 무선 충전 장치는 서로 다른 기술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코일 조립체와 송신기 단자 회로의 결합 주파수(coupling frequency)가 상이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무선 충전 장치의 구성요소와 전력 수신 장치의 구성요소는 서로 호환되지 않ㅁ는다. 비호환성 때문에, 서로 다른 무선 충전 장치의 코일 조립체와 회로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르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유형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가 커스텀화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무선 충전 장치의 적용이 제한적이다. 덧붙여, 무선 충전 장치는 서로 다른 무선 충전 기술에 따라 설계된 복수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수신 장치가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 내로 도입될 때 전력 수신 장치를 자동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덧붙여,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파의 발산을 억제하여 전자파 복사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덧붙여, 전자파가 비접촉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존(charging zone)으로 수렴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체에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 충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산하여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때에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덧붙여, 무선 충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수용 공간 내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가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때에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무선 충전 적용 및 편의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자기 공진 또는 자기 유도에 따라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때에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충전 장치는 본체,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 차폐 구조물, 이동형 운반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수용 공간 및 입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가 본체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은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 및 전원과 전깆거으로 연결된다. 송신기 모듈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로 AC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차례 구조물은 본체의 외부 표면 상에 부착되거나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다. 차폐 구조물은 송신기 코일 조립체의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여 본체의 외부 면을 향한 전자파의 발산을 차단할 수 있다. 이동형 운반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운반하기 위해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을 통해 선택적으로 본체의 수용 공간으로 도입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제거된다.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을 통해 본체의 수용 공간 내로 도입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는지 여부의 판단의 결과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해당 분양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상기의 내용을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검토한 후 더 잘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 장지의 사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력 수신 장치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의 벽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와 차폐 구조물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무선 충전 장치의 벽 부분의 변형 예시를 도시하는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와 차폐 구조물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는 무선 충전 장치의 측벽의 변형 예시를 도시하는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와 차폐 구조물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도 2에서 나타난 무선 충전 장치의 차폐 구조물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은 도 3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기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력 수신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차징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의 제1 적용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의 제2 적용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의 제3 적용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의 제4 적용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기재가 예시 및 설명 목적으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다. 이는 배타적이거나 개시된 정밀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무선 충전 장치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력 수신 장치의 아키텍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의 벽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 횡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와 차폐 구조물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3, 4, 5a 및 5b를 참조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시스템(2)은 무선 충전 장치(3) 및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를 포함한다. 무선 충전 장치(3)는 전원(5)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전원(5)은 AC 유틸리티 전원, 외부 배터리 또는 빌트-인 배터리이다. 무선 충전 장치(3)는 특정된 주파수(즉, 단일 주파수) 또는 광대역 주파수(가령, 복수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산한다. 예를 들어, 전자파의 주파수는 60Hz 내지 300GHz이다. 따라서, 자기 유도 기술(저주파수) 또는 자기 공진 기술(고주파수)에 의해, 무선 충전 장치(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4)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수신 장치(4)는 모바일 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전기 제품이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본체(30),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32), 차폐 구조물(33), 이동형 운반 유닛(34) 및 제어 유닛(35)을 포함한다. 본체(30)는 수용 공간(301), 입구(302) 및 벽 부분(303)을 포함하는 케이스이다.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은 충전 존(charging zone)으로서 사용된다. 덧붙여, 무선 충전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는 수용 공간(30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가 상기 본체(30)의 벽 부분(303) 내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송신기 모듈(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는 무선 충전 장치(3)의 송신기 단자로서 사용된다. 송신기 모듈(32)은 전원(5)과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덧붙여, 송신기 모듈(32)은 전원(5)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AC 신호를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로 발생시킨다. 차폐 구조물(33)은 본체(30)의 벽 부분(303)의 외부 표면 상에 부착된다. 상기 차폐 구조물(33)은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폐하고 전자파 발산을 막는다. 결과적으로, 전자파는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 수렴되어, 수용 공간(301)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이동형 운반 유닛(34)은 상기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형 운반 유닛(34)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를 운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를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이동형 운반 유닛(34)이 이동할 때,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가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에 도입되거나(즉, 제1 위치(P1)로 이동) 본체(30)의 수용 공간(301)로부터 제거된다(즉, 제2 위치(P2)로 이동). 제어 유닛(35)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동형 운반 유닛(34)을 통해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가 도입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제어 유닛(35)은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3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구동 유닛(driving unit)(36)을 더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36)은 본체(30) 내에 배치되고 이동형 운반 유닛(34) 및 제어 유닛(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유닛(35)의 제어 하에서, 구동 유닛(36)은 이동형 운반 유닛(34)의 이동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운반 유닛(34)은 자동으로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로 도입되거나(즉, 제1 위치(P1)로 이동)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제거된다(즉, 제2 위치(P2)로 이동).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36)이 생략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밀기 동작 또는 당기기 동작에 따라, 이동형 운반 유닛(34)은 자동으로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로 도입되거나(즉, 제1 위치(P1)로 이동)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제거된다(즉, 제2 위치(P2)로 이동).
이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감지 유닛(sensing unit)(37)을 더 포함한다. 감지 유닛(37)이 제어 유닛(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가 이동형 운반 유닛(34)에 실리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동형 운반 유닛(34)이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로 도입되고(즉, 제1 위치(P1)로 이동)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제어 유닛(35)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유닛(37)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가 이동형 운반 유닛(34)에 실려 있고 이동형 운반 유닛(34)이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로 도입되어 있음(즉, 제1 위치(P1)로 이동)을 검출한 경우, 활성화 상태의 감지 신호가 감지 유닛(37)에서 제어 유닛(35)으로 발생된다. 활성화 상태에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35)은 대응하는 제어 신호(S1)를 송신기 모듈(32)에 생성하여 송신기 모듈(32)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무선 충전 장치(3)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를 자동으로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산한다. 다른 한편, 어떠한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34)에 실린 경우, 또는 이동형 운반 유닛(34)이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로 도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즉, 제1 위치(P1)로 이동되지 않은 경우), 또는 이동형 운반 유닛(34)에 실린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4)가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즉, 제2 위치(P2)로 이동),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감지 신호가 감지 유닛(37)에서 제어 유닛(35)으로 발행된다. 비활성화 상태에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35)은 대응하는 제어 신호(S1)를 송신기 모듈(32)에 생성하여 송신기 모듈(32)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무선 충전 장치(3)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가 전자파를 발산하지 않는다. 이때 무선 충전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 감지 요소(37)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기계적 트리거 센서, 광 센서 또는 압력 센서이다.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 및 송신기 모듈(32)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무선 충전 장치(3)는 특정된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상시켜 전력 수신 장치(4)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복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 및 복수의 송신기 모듈(32)을 포함한다.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는 대응하는 송신기 모듈(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무선 충전 장치(3)는 특정된 주파수 또는 복수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산시켜 동시에 또는 상이한 때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전력 수신 장치(4)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가 가요성이고 본체(30)의 벽 부분(303) 내에 배치된다. 상기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는 가요성 기판(311),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를 포함한다.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는 가요성 기판(311)의 2개의 대향하는 표면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발진 시작 안테나(312)는 가요성 기판(311)의 제1 표면(311a) 상에 배치되고, 공진 안테나(313)는 가요성 기판(311)의 제2 표면(311b) 상에 배치된다. 덧붙여,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316)는 공진 안테나(313)의 제1 단부(313a)와 제2 단부(313b) 사이에 연결된다. 발진 시작 안테나(312)의 2개의 단부는 송신기 모듈(32)과 연결된다. 송신기 모듈(32)로부터의 AC 신호가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발진 시작 안테나(312)로 전송될 때,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의 결합 효과가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특정된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 및 대응하는 전력 수신 장치(4)의 무선 수신 유닛(4a)의 수신기 코일 조립체(41)가 결합 효과를 야기한다. 결합 효과에 반응하여,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에 의해 수신되는 전기 에너지가 수신기 모듈(42)에 의해 출력 전압으로 더 변환된다. 출력 전압이 부하(4b)로 전송되어(도 4 참조)수신 장치(4)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도 5a 및 5b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보호층(38)을 더 포함한다. 보호층(38)은 차폐 구조물(33)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 부착되어 차폐 구조물(33)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층(38)은 보호성 페인트로 만들어진다. 보호성 페인트의 비제한적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아크릴 실리콘류, 폴리우레탄 고무,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코폴리머 겔, 폴리이미드 겔, 고무 겔, 폴리올레핀 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겔 또는 실리콘류가 있다.
도 2, 5a 및 5b를 참조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3)의 공진 안테나(313), 가요성 기판(311), 발진 시작 안테나(312), 차폐 구조물(33) 및 보호층(38)이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벽 부분(303)으로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다시 말하면,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는 벽 부분(303) 내에 배치된다. 공진 안테나(313)는 수용 공간(301) 근방에 위치한다. 가요성 기판(311)은 공진 안테나(313)와 발진 시작 안테나(312) 사이에 배열된다. 발진 시작 안테나(312)는 벽 부분(303)의 외부 표면 근방에 위치하고, 공진 안테나(313)와 차폐 구조물(33) 사이에 배열된다. 차폐 구조물(33)은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공진 안테나(313) 및 발진 시작 안테나(31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벽 부분(303)의 외부 표면 상에 부착된다. 도 8는 도 2에서 나타난 무선 충전 장치의 차폐 구조물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차폐 구조물(33)은 더 높은 주파수(가령, 6MHz 초과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기파의 발산을 차단하기 위한 금속망이다. 금속망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텅스텐, 크롬, 티타늄, 인듐, 주석, 니켈, 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성 물질 또는 금속성 복합 물질로 만들어진다. 금속망의 패턴은 복수의 망 유닛(333)을 포함한다. 서로 십자형으로 교차하지 않는 망 유닛(333)의 모든 2개의 인접한 금속 라인(334 및 335)이 거리 d만큼 이격되어 있다. 거리 d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로부터의 전자파의 파장보다 짧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차폐 구조물(33)은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의 발산을 차단하기 위한기 위한 투자성 필름(magnetically-permeable film)이다. 상기 투자성 필름은 연자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도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상기 연자성 물질은 페라이트, 아연-니켈 페라이트, 아연-망간 페라이트 또는 철-실리콘-알루미늄 합금 및 접착 물질의 혼합물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폐 구조물(33)은 광대역 주파수(가령, 60Hz 내지 300GHz)를 갖는 전자파의 발산을 차단하기 위한 복합 필름이다. 예를 들어, 복합 필름은 금속망과 투자성 필름의 조합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도시되지 않음)이 각각 가요성 기판(311)의 제1 표면(311a) 및 제2 표면(311b) 상에 배치된다.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덧붙여,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는 각각 대응하는 접착층을 통해 가요성 기판(311)의 제1 표면(311a) 및 제2 표면(311b) 상에 고정된다.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각각은 광 경화성 접착 물질, 열 경화성 접착 물질 또는 그 밖의 다른 임의의 적절한 경화성 접착 물질(가령,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코폴리머 겔, 폴리이미드 겔, 고무 겔, 폴리올레핀 겔 또는 수분 경화성 폴리우레탄 겔)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착층은 경화성 접착 물질 및 자기 물질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자기 물질은 강자성 파우더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311)은 접착층에 의해 대체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가요성 기판(311)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신 글래스(thin glas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가 단일-루프 안테나 또는 다중-루프 안테나이다. 덧붙여,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을 가진다.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의 전기 전도성 물질의 비제한적 예를 들면, 은(Ag), 구리(Cu), 금(Au), 알루미늄(Al), 주석(Sn) 또는 그래핀이 있다.
도 6a는 무선 충전 장치의 벽 부분의 변형 예시를 도시하는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와 차폐 구조물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는 가요성 기판(311), 발진 시작 안테나(oscillation starting antenna)(312), 공진 안테나(313), 제1 보호층(314), 및 제2 보호층(315)을 포함한다.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는 각각 제1 보호층(314) 및 제2 보호층(315)에 의해 덮인다. 즉, 제1 보호층(314) 및 제2 보호층(315)은 발진 시작 안테나(312) 및 공진 안테나(313)의 외부 면에 각각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차폐 구조물(34)은 본체(30)의 벽 부분(303) 내에 배치되고 발진 시작 안테나(312)와 제1 보호층(314) 사이에 배열된다.
도 7a는 무선 충전 장치의 측벽의 변형 예시를 도시하는 개략적 분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와 차폐 구조물 간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a와 6b를 비교할 때, 차폐 구조물(33)은 본체(30)의 벽 부분(303) 내에 배치되고, 제1 보호층(314)의 외부 측부에 위치한다. 제1 보호층(314)과 제2 보호층(315)의 물질은 보호층(38)의 물질과 동일하며 본 명세서에서 중복 기재되지 않는다.
도 9은 도 3의 무선 충전 장치의 송신기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 블록도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송신기 모듈(32)을 포함한다. 각각의 송신기 모듈(32)은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덧붙여, 각각의 송신기 모듈(32)은 변환 회로(321), 오실레이터(322), 전력 증폭기(323) 및 필터링 회로(324)를 포함한다. 변환 회로(321)의 입력 단부가 전원(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변환 회로(321)의 출력 단부가 오실레이터(322) 및 전력 증폭기(3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변환 회로(321)는 제어 유닛(35)과 추가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 유닛(35)으로부터 제어 신호(S1)를 수신할 수 있다. 변환 회로(321)는 제어 유닛(35)의 제어 하에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변환 회로(321)가 활성화될 때, 상기 변환 회로(321)는 전원(5)으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고, 조정된 전압을 오실레이터(322) 및 전력 증폭기(323)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변환 회로(321)는 DC-DC 변환기, AC-AC 변환기 및/또는 DC-AC 변환기를 포함한다. 오실레이터(322)는 특정된 주파수를 갖는 AC 신호를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사용된다. 특정된 주파수를 갖는 AC 신호가 전력 증폭기(323)에 의해 증폭된다. 공진파 및 바람직하지 않은 주파수의 AC 신호가 필터링 회로(324)에 의해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AC 신호는 박막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발진 시작 안테나(312)로 전송된다.
도 2 및 4를 참조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력 수신 장치(4)는 무선 수신 유닛(4a) 및 부하(4b)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 유닛(4a) 및 부하(4b)가 개별적인 구성요소이고 단일 구성요소로 일체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유닛(4a)이 무선 수신기 패드이며, 부하(4b)는 무선 충전되는 기능이 없는 모바일 전화기이다. 그러나 무선 수신기 패드와 모바일 전화기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모바일 전화기는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수신 유닛(4a)이 부하(4b)(가령, 모바일 전화기)의 케이스 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전력 수신 장치(4)의 무선 수신 유닛(4a)은 수신기 코일 조립체(41) 및 수신기 모듈(42)을 포함한다.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와 같이, 수신기 코일 조립체(41)는 가요성 기판, 발진 시작 안테나 및 공진 안테나를 포함한다. 덧붙여,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3)는 공진 안테나의 2개의 단부 사이에 연결된다.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의 가요성 기판, 발진 시작 안테나 및 공진 안테나의 구조물, 물질 및 기능이 도 5a 및 5b에 도시된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가요성 기판, 발진 시작 안테나 및 공진 안테나의 것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 중복 기재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 코일 조립체(41)는 가요성 기판, 발진 시작 안테나, 공진 안테나,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한다.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의 구조물 및 물질이 도 6a, 6b, 7a 및 7b에 도시된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것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 중복 기재되지 않는다.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와 송신기 코일 조립체(31) 간 결합 효과 때문에, 무선 충전 장치(3)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로부터의 전기 에너지가 자기 공진 또는 자기 유도에 따라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4)가 무선 충전 장치(3)의 수용 공간(301) 내에 로딩되는 경우, 무선 충전 장치(3)가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3)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에 의해 발산되는 전자파의 더 높은 주파수(가령, 6.78MHz)와 전력 수신 장치(4)의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의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자기 공진에 따라 전기 에너지가 무선 충전 장치(3)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로부터 무선 수신 유닛(4a)의 수신기 코일 조립체(41)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가 자동으로 활성화될 때,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에 의해 발산되는 전자파의 더 낮은 주파수(가령, 100KHz)와 전력 수신 장치(4)의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의 주파수가 동일한 경우, 자기 유도에 따라 전기 에너지가 무선 충전 장치(3)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로부터 무선 수신 유닛(4a)의 수신기 코일 조립체(41)로 전송될 수 있다. 차폐 구조물(33)이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에 의해 발산되는 전자파의 발산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파가 수용 공간(301)으로 수렴된다. 이 환경에서, 충전 효율이 증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기 모듈을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2, 4 및 10를 참조할 수 있다. 무선 수신 유닛(4a)은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모듈(42)을 포함한다. 각각의 수신기 모듈(42)은 필터링 회로(421), 정류 회로(422), 전압 안정기(423) 및 DC 전압 조절 회로(424)를 포함한다. 필터링 회로(421)는 박막 수신기 코일 조립체(41)의 공진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수신기 코일 조립체(41)로부터의 AC 신호의 공진파가 필터링 회로(421)에 의해 필터링된다. 정류 회로(422)는 필터링 회로(421) 및 전압 안정기(4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C 신호를 정류된 DC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전압 안정기(423)는 정류 회로(422) 및 DC 전압 조절 회로(4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류된 DC 전압을 안정화시켜 정격 전압 값을 갖는 안정화된 DC 전압으로 만들 수 있다. 상기 DC 전압 조절 회로(424)는 전압 안정기(423) 및 부하(4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안정화된 DC 전압을 조정된 DC 전압으로 조절(가령, 증가)할 수 있다. 조정된 DC 전압이 부하(4b)로 제공되어 부하(4b)(가령, 모바일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의 전력 수신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2, 4 및 11를 참조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4)는 무선 수신 유닛(4a) 및 부하(4b)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력 수신 장치(4)의 무선 수신 유닛(4a)은 무선 수신기 패드이고, 부하(4b)는 무선 충전되는 기능을 갖지 않는 모바일 전화기이다. 무선 수신 유닛(4a)(즉, 무선 수신기 패드)의 커넥터(43)가 부하(4b)(즉, 모바일 전화기)의 대응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무선 충전 장치(3)의 박막 송신기 코일 조립체(31)로부터의 전기 에너지가 무선 수신 유닛(4a)의 수신기 코일 조립체(41) 및 수신기 모듈(4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이 환경에서, 모바일 전화기가 무선 충전되는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라도, 모바일 전화기는 무선 수신 유닛(4a)을 통해 무선 충전 장치(3)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무선 차징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개략적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시스템(2)은 무선 충전 장치(3)와 2개의 전력 수신 장치(4 및 4')를 포함한다. 전력 수신 장치(4)는 무선 수신 유닛(4a)을 포함하고, 전력 수신 장치(4')는 무선 수신 유닛(4a')을 포함한다. 무선 수신 유닛(4a 및 4a')의 규격 및 특징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3)는 자기 공진 또는 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 수신 장치(4 및 4')의 부하(4b 및 4b')를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무선 충전 장치(3)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 송신기 모듈(32), 제어 유닛(35), 제1 스위칭 회로(391), 제2 스위칭 회로(392), 2개의 제1 커패시터(C11, C12) 및 2개의 제2 커패시터(C21, C22)를 포함한다. 송신기 코일 조립체(31) 및 모듈(32)의 구조, 기능 및 원리가 앞서 언급된 것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 중복 기재되지 않는다. 수신기 코일 조립체(41, 41') 및 수신기 모듈(42, 42')의 구조, 기능 및 원리가 앞서 언급된 것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 중복 기재되지 않는다. 제1 커패시터(C11 및 C12)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발진 시작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와 병렬로 연결된다. 덧붙여, 제1 커패시터(C11 및 C1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전력 수신 장치(4 및 4')의 수신기 코일 조립체(41 및 41')와 유도 결합할 수 있다. 제2 커패시터(C21 및 C22) 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의 송신기 모듈(32)의 출력 단자와 발진 시작 안테나(도시되지 않음)와 직렬로 연결된다. 덧붙여, 제2 커패시터(C21 및 C2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송신기 모듈(32)과 유도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패시터(C21 및 C22)는 신호를 필터링하고 충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스위칭 회로(391)는 2개의 제1 스위칭 요소(S11 및 S12)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요소(S11 및 S12)는 각각 직렬로 대응하는 제1 커패시터(C11 및 C12)와 연결된다. 제2 스위칭 회로(392)는 2개의 스위칭 요소(S21 및 S22)를 포함한다. 제2 스위칭 요소(S21 및 S22)는 각각 직렬로 대응하는 제2 커패시터(C21 및 C22)와 연결된다. 제어 유닛(35)는 제1 스위칭 회로(391)의 제1 스위칭 요소(S11 및 S12) 및 제2 스위칭 회로(392)의 제2 스위칭 요소(S21 및 S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응된 무선 충전 기술을 기초로 하는 전력 수신 장치(4 및 4')의 무선 수신 유닛(4a 및 4a')으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기(36)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칭 회로(391)의 제1 스위칭 요소(S11 및 S12) 및 제2 스위칭 회로(392)의 제2 스위칭 요소(S21 및 S22)는 선택적으로 켜지거나 꺼진다. 따라서, 무선 수신 유닛(4a 및 4a')의 규격 및 특징에 따라, 무선 충전 장치(3)는 자기 공진 또는 자기 유도에 의해, 전력 수신 장치(4 및 4')의 부하(4b 및 4b')를 적응적 또는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무선 충전 장치(3) 및 전력 수신 장치(4 및 4')의 작동 주파수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fa = 1/[(2π)(LaCa)1/2] = 1/[(2π)(LbCb)1/2] = fb. 이 공식에서, fa는 무선 충전 장치(3)의 작동 주파수이고, fb는 전력 수신 장치(4 또는 4')의 작동 주파수이며, Ca는 제1 커패시터(C11 또는 C12)의 커패시턴스 값이며, La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발진 시작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이고, Cb는 전력 수신 장치(4 또는 4')의 제3 커패시터(C3 또는 C3')의 커패시턴스 값이며, Lb는 수신기 코일 조립체(41 또는 41')의 발진 시작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이다. 예를 들어, 제1 커패시터(C11 및 C12)의 커패시턴스 값은 각각 0.5F 및 0.1nF이고,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발진 시작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 L은 5H이다. 전력 수신 장치(4)의 제3 커패시터(C3)의 커패시턴스 값이 0.5F이고 수신 코일 조립체(41)의 발진 시작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L3)이 5H인 경우, 무선 충전 장치(3)의 제어 유닛(35)은 제1 스위칭 회로(391) 및 제2 스위칭 회로(392)로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칭 요소(S11) 및 제2 스위칭 요소(S21)가 켜지고, 제1 스위칭 요소(S12) 및 제2 스위칭 요소(S22)가 꺼진다. 무선 충전 장치(3)에 의해 0.5F의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제1 커패시터(C11)가 선택되고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발진 시작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L)이 5H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무선 충전 장치(3)의 작동 주파수 및 전력 수신 장치(4)의 무선 수신 유닛(4a)의 작동 주파수는 모두 100 KHz이다. 따라서, 전력 수신 장치(4)의 무선 수신 유닛(4a)은 자기 유도에 따라 더 낮은 주파수에서 무선 충전 장치(3)에 의해 무선 충전된다. 반면, 전력 수신 장치(4')의 제3 커패시터(C3')의 커패시턴스 값이 0.1nF이고 수신 코일 조립체(41')의 발진 시작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L3')이 5H인 경우, 무선 충전 장치(3)의 제어 유닛(35)은 제1 스위칭 회로(391) 및 제2 스위칭 회로(392)로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칭 요소(S12) 및 제2 스위칭 요소(S22)가 켜지고, 제1 스위칭 요소(S11) 및 제2 스위칭 요소(S21)가 꺼진다. 따라서 무선 충전 장치(3)에 의해 0.1nF의 커패시턴스 값을 갖는 제1 커패시터(C12)가 선택되고 송신기 코일 조립체(31)의 발진 시작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이 5H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무선 충전 장치(3)의 작동 주파수 및 전력 수신 장치(4')의 무선 수신 유닛(4a')의 작동 주파수는 모두 6.78MHz이다. 따라서, 전력 수신 장치(4')의 무선 수신 유닛(4a')은 자기 공진에 따라 더 높은 주파수에서 무선 충전 장치(3)에 의해 무선 충전된다. 작동 주파수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 및 설명 목적으로만 제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의 일부 적용 예시가 도 13, 14, 15 및 16을 참조하여 도시될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3)는 차체(6)의 장착 슬롯(mounting slot)(61)에 설치되어 전력 수신 장치(4)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3)의 이동형 운반 유닛(34)이 트레이형(tray-type) 이동형 운반 유닛(34a)이다. 전력 수신 장치(4)가 트레이형 이동형 운반 유닛(34a) 상에 지지되고 트레이형 이동형 운반 유닛(34a)은 입구(302)로 밀어 넣어진 후, 전력 수신 장치(4)가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로 도입되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작업이 완료된 후, 트레이형 이동형 운반 유닛(34a)이 입구(302) 밖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전력 수신 장치(4)는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5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3)의 이동형 운반 유닛(34)이 트레이형 이동형 운반 유닛(34b)이다. 전력 수신 장치(4)가 입구(302) 내로 삽입되고 석션형(suction-type) 이동형 운반 유닛(34b)에 의해 흡입된 후, 전력 수신 장치(4)가 본체(30)의 수용 공간(301) 내로 도입되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작업이 완료된 후, 석션형 이동 운반 유닛(34b)이 입구(302)로부터 당겨진다. 따라서, 전력 수신 장치(4)는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16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장치(3)의 이동형 운반 유닛(34)이 카세트형(cassette-type) 이동형 운반 유닛(34c)이다. 전력 수신 장치(4)가 카세트형 이동형 운반 유닛(34c) 상에 지지되고 입구가 카세트형 이동형 운반 유닛(34c)에 의해 폐쇄된 후, 전력 수신 장치(4)가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 도입되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작업이 완료된 후, 카세트형 이동형 운반 유닛(34c)이 입구(302) 밖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전력 수신 장치(4)는 본체(30)의 수용 공간(301)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한다. 전력 수신 장치가 무선 충전 장치의 본체 내로 로딩될 때 무선 충전 장치가 전력 수신 장치를 자동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덧붙여,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파의 발산을 억제하여 전자파 복사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덧붙여, 전자파가 비접촉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존(charging zone)으로 수렴되기 때문에, 무선 충전 장치의 충전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무선 충전 장치는 차체에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무선 충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산하여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때에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덧붙여, 무선 충전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가진다. 따라서, 수용 공간 내 하나 이상의 전력 수신 장치가 동시에 또는 서로 다른 때에 무선 충전 장치에 의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무선 충전 적용 및 편의가 향상된다. 덧붙여,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자기 공진(magnetic resonance) 또는 자기 유도(magnetic induction)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적응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현재 가장 실용적이고 선호되는 실시예라고 여겨지는 것과 관련하여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예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이와 달리, 이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 및 유사한 배열을 커버하여 이러한 모든 수정 및 유사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으로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수용 공간 및 입구를 포함하는 본체(main body),
    본체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 - 각각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무선 충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된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함 - ,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 및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 - 송신기 모듈은 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AC 신호를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로 제공함 - ,
    본체의 외부 표면 상에 부착되거나 본체 내에 배치된 차폐 구조물 - 차폐 구조물은 송신기 코일 조립체의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여 본체의 외부 면으로의 전자파의 발산을 차단함 - ,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를 운반하기 위한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이동형 운반 유닛 -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을 통해 선택적으로 본체의 수용 공간 내로 도입 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제거됨 - , 및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유닛 -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을 통해 본체의 수용 공간 내로 도입되거나 상기 수용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는지 여부의 판단의 결과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모듈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됨 -
    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감지 유닛 -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에 실리고 본체의 수용 공간 내로 도입되는지 여부를 검출 하기 위해 상기 감지 유닛은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됨 -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에 실리고 본체의 수용 공간 내에 도입됨을 검출한 경우, 활성화 상태의 감지 신호가 감지 유닛에서 제어 유닛으로 발행되며, 활성화 상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이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기 모듈로 발생하여 송신기 모듈을 활성화하는, 무선 충전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어떠한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형 운반 유닛에 의해 실리지 않은 경우, 또는 이동형 운반 유닛이 본체의 수용 공간 내로 도입되지 않은 경우, 또는 이동형 운반 유닛에 의해 실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가 본체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감지 신호가 감지 유닛으로부터 제어 유닛으로 발행되며, 비활성화 상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이 송신기 모듈로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송신기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무선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 - 상기 구동 유닛은 제어 유닛 및 이동형 운반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구동 유닛은 제어 유닛의 제어 하에서 이동형 운반 유닛의 이동을 구동함 - 을 더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송신기 코일 조립체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는 가요성 기판 - 제1 표면과 제2 표면이 서로 대향됨 - ,
    가요성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되는 발진 시작 안테나, 및
    가요성 기판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공진 안테나 - 발진 시작 안테나는 AC 신호를 수신하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는 공진 안테나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전자파가 공진 안테나 및 발진 시작 안테나의 결합 효과에 반응하여 발산됨 - 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송신기 코일 조립체는:
    발진 시작 안테나를 커버하는 제1 보호층, 및
    공진 안테나를 커버하는 제2 보호층을 더 포함하고,
    차폐 구조물이 제1 보호층의 외부 면 상에 부착되거나, 차폐 구조물이 제1 보호층과 발진 시작 안테나 사이에 배열되는, 무선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구조물은 금속망, 투자성 필름, 또는 금속망과 투자성 필름의 조합을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금속망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텅스텐, 크롬, 티타늄, 인듐, 주석, 니켈, 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고, 투자성 필름은 연자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연자성 물질은 페라이트, 아연-니켈 페라이트, 아연-망간 페라이트 또는 철-실리콘-알루미늄 합금 및 접착성 물질의 혼합물인, 무선 충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층은 차폐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무선 충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송신기 모듈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 회로,
    상기 변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특정된 주파수를 갖는 AC 신호를 조절 가능하게 출력하기 위한 오실레이터,
    상기 오실레이터 및 변환 회로와 연결되며 AC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및
    전력 증폭기와 연결되어 AC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AC 신호를 대응하는 송신기 코일 조립체로 출력하기 위한 필터링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이동형 운반 유닛은 트레이형 이동형 운반 유닛, 석션형 이동형 운반 유닛 또는 카세트형 이동형 운반 유닛인, 무선 충전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는 차체(vehicle body)의 장착 슬롯 내에 설치되는, 무선 충전 장치.

KR1020150133706A 2015-04-30 2015-09-22 무선 충전 장치 KR20160129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113889A TW201638980A (zh) 2015-04-30 2015-04-30 薄膜線圈元件及其適用之可撓式無線充電裝置與系統
TW104113889 2015-04-30
TW104117866 2015-06-02
TW104117866A TW201644138A (zh) 2015-06-02 2015-06-02 無線充電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676A true KR20160129676A (ko) 2016-11-09

Family

ID=54324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706A KR20160129676A (ko) 2015-04-30 2015-09-22 무선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22852A1 (ko)
EP (1) EP3089377A1 (ko)
JP (1) JP3203153U (ko)
KR (1) KR201601296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1462B3 (de) * 2015-01-28 2016-05-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Hochfrequenz-Spuleneinheit für eine Magnetresonanz-Bildgebung
KR102423618B1 (ko) * 2015-03-06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US10027150B2 (en) * 2015-06-18 2018-07-17 Serene Devices Llc RFI/EMI shielding enclosure containing wireless charging element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s security
USD783526S1 (en) * 2016-03-20 2017-04-11 William J Warren Charger
US20170279292A1 (en) * 2016-03-28 2017-09-28 Intel Corporation Multimode operation of wireless power system with single receiver
US10797504B2 (en) * 2016-05-19 2020-10-06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power transfer
BE1024406B1 (nl) * 2016-06-14 2018-02-14 Robin Geers Vermogensoverdrachtsysteem en methode om het zenden naar en ontvangen van stroom in stroom ontvangende apparaten
US11528058B2 (en) 2016-09-06 2022-12-13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coil configuration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US10523036B2 (en) * 2016-12-14 2019-12-31 Shenzhen Yichong Wireless Power Technology Co. Ltd Resonant wireless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toothbrush
US10903688B2 (en) 2017-02-13 2021-01-26 Nucurrent, Inc. Wireless electrical energy transmission system with repeater
US11152151B2 (en) 2017-05-26 2021-10-19 Nucurrent, Inc. Crossover coil structure for wireless transmission
FR3075524B1 (fr) * 2017-12-15 2020-01-03 Alessandro Manneschi Detecteur double technologie a bobines transverses
CN109017419B (zh) * 2018-08-31 2024-02-20 厦门理工学院 一种用于无线充电发射器的抗压结构
CN109599955B (zh) * 2018-11-19 2022-05-24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水下耦合供电与信息传输装置
CN115004043A (zh) * 2020-01-24 2022-09-02 株式会社电装 电池测定装置
JP2021117221A (ja) * 2020-01-24 2021-08-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測定装置
CN113572273B (zh) * 2020-04-29 2024-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和系统
US11283303B2 (en) 2020-07-24 2022-03-22 Nucurrent, Inc. Area-apportioned wireless power antenna for maximized charging volume
US11695302B2 (en) 2021-02-01 2023-07-04 Nucurrent, Inc. Segmented shielding for wide area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20230369891A1 (en) * 2022-05-10 2023-11-16 Rapitag Gmbh Charging apparatus for vending-related devices, system for charging vending-related devices and method for charging a vending-related device using such 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1770B2 (en) * 2011-01-18 2018-11-27 Mojo Mobility, Inc. Powering and/or charging with a plurality of protocols
US9178369B2 (en) * 2011-01-18 2015-11-03 Mojo Mobilit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sitioning freedom, and support of different voltages, protocols, and power levels in a wireless power system
JP5798407B2 (ja) * 2011-08-09 2015-10-21 Fdk株式会社 非接触充電対応型二次電池
US20150097521A1 (en) * 2012-05-14 2015-04-09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Antenna sheet for non-contact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device using the antenna sheet
US10277055B2 (en) * 2015-02-26 2019-04-30 Greatbatch Ltd. Battery wireless char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2852A1 (en) 2016-11-03
EP3089377A1 (en) 2016-11-02
JP3203153U (ja) 201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9676A (ko) 무선 충전 장치
JP3201863U (ja) 薄膜コイルアセンブリ、フレキシブル無線充電デバイスおよび無線充電システム
JP3203150U (ja) 電磁波発散の抑制と充電効率の向上が成し遂げられた、無線充電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JP3203151U (ja) フレキシブルで格納可能な無線充電デバイス
JP3203152U (ja) 吊り下げ式フレキシブル無線充電デバイス
US10116162B2 (en) Near field transmitters with harmonic filters for wireless power charging
CA2788895C (en) Wireless electric field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KR101301389B1 (ko) 무선 전력 디바이스의 패키징 및 세부사항
KR101233015B1 (ko)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패시브 수신기들
TWM510005U (zh) 無線充電裝置
KR20170043393A (ko) 코일 장치와 코일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코일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장치 그리고 무선전력수신장치
CN110620408A (zh) 具有电磁屏蔽功能的无线充电器
CN204794286U (zh) 无线充电装置及系统
TWM511158U (zh) 可撓捲收之無線充電裝置
TWM507106U (zh) 可抑制電磁波發散和提升充電效能之無線充電裝置及系統
CN204835719U (zh) 无线充电装置
CN106300574A (zh) 无线充电装置及系统
TW201644135A (zh) 可抑制電磁波發散和提升充電效能之無線充電裝置及系統
TW201644138A (zh) 無線充電裝置
TWM508105U (zh) 薄膜線圈元件及其適用之可撓式無線充電裝置與系統
KR20150117005A (ko) 유연한 무선전력 집전장치
TW201644136A (zh) 可撓捲收之無線充電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