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295A -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2295A KR20130042295A KR1020110106502A KR20110106502A KR20130042295A KR 20130042295 A KR20130042295 A KR 20130042295A KR 1020110106502 A KR1020110106502 A KR 1020110106502A KR 20110106502 A KR20110106502 A KR 20110106502A KR 20130042295 A KR20130042295 A KR 201300422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mode
- operation mode
- display
- displa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 권한을 쉽게 제한하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기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로파일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운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상기 모든 기능 중에서 기 설정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다양한 운영 모드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은 터치 기반(Touch-based) 추세이며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이 가능하다.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게임, 인터넷 및 통화 등 다양한 기능과 이메일, 동영상, 사진 및 연락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과 콘텐츠는 과금 및 보안 등을 이유로 사용 권한이 제한될 필요가 있다.
휴대 단말기는 화면 오프 상태가 해제되면 잠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가 입력될 경우 휴대 단말기는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기능과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특정 기능이나 콘텐츠에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사용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권한이 제한된 기능이나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매번 패스워드를 입력하는데, 이는 이용 편의 측면에서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개인 단말기이므로, 타인이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즉 휴대 단말기는 멀티 유저(multi user)가 아닌 싱글 유저(single user)기반의 단말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패스워드를 설정할 경우 유저 자신도 불편하므로 사용 권한의 제한 기능을 대체로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 권한을 쉽게 제한하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기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로파일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운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상기 모든 기능 중에서 기 설정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는 휴대 단말기의 기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된 프로파일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운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터치스크린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시된 프로파일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운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상기 모든 기능 중에서 기 설정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 권한을 쉽게 제한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 환경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및 핸드헬드(hand-held)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스마트 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운영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운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 모드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운영 모드는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주어진 기능(예컨대, 통화, 인터넷 접속, 메시지 전송 등)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 모드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가 제한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제한 모드와 관련된 화면만을 표시한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가 통화만 사용되도록 제한된 경우 휴대 단말기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 화면만을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스피커(SPK), 마이크(MIC)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30)의 전면에 장착되고, 터치스크린(11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터치이벤트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 권한을 설정하고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은 터치(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프레스(Press),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및 스윕(Sweep)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즉, 드롭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프레스는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손가락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손가락을 떼는 조작이며, 스윕은 튀기듯이, 손가락을 빠른 속도로 이동시킨 다음 떼는 조작을 의미한다. 여기서, 드래그는 스크롤이라고도 하며 스윕은 플릭(Flick)이라고도 한다. 제어부(170)는 이동 속도로 스윕과 드래그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 권한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10)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인터넷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상기한 화면들 중 일부만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일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표시되는 영상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화면을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들에 각각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30)는 화면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 1 영역에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키패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되는 좌/우안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가 깊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3D 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3D 구현 방식은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으로 구분된다. 안경 방식은 색 필터 방식, 편광 필터 방식 및 셔터 글라스 방식 등이 있으며, 무안경 방식은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방식 및 패럴렉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 등이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본 발명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30)로 출력되는 상기한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들 화면 중 키패드 화면 및 메뉴 화면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패드 화면은 3*4 또는 쿼티(QWERTY)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메뉴 화면은 화면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키(예컨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리턴(return) 키 등),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뉴 화면은 운영 모드의 설정을 위한 설정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설정 키는 아이콘 형태로써 잠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홈 화면 등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붙여 넣기 등을 위해 사용자가 메시지, 사진, 웹페이지, 문서 등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40)는 운영 모드와 관련된 설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모드와 관련된 설정 값은 다음 표 1과 같은 형식이 될 수 있다. 아래 표 1에서 오픈 모드의 설정 값은 휴대 단말기가 부팅되면 자동으로 설정되는 디폴트(default) 값일 수 있다. 또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운영 모드들과 이들 운영 모드별 설정 값들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리스트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는 운영 모드와 이의 설정 값을 사용자가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운영 모드 | 설정 값 |
오픈 모드 | ALL |
통화 모드 | 통화 Only |
인터넷 모드 | 인터넷 Only |
'My Kids' 모드 | 동요 및 게임 관련 어플리케이션 Only |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통화 기능의 지원을 위한 사용자 기능,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사용자 기능,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각각 지원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영역은 다양한 운영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영 모드로 동작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가 부팅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제한 모드에 따라 제한적인 화면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는 루틴과, 운영 모드를 사용자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및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 형성, 영상이나 메시지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5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6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운영 모드 설정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운영 모드 설정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운영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운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의 기능과 관련한 다양한 실시 예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휴대 단말기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휴대 단말기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는 단계 201에서 화면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즉 단계 201에서 제어부(170)는 표시부(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표시부(130)의 화면을 꺼둔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단계 202에서 화면 온을 위한 키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02에서 화면 온 키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70)는 화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화면 온 키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70)는 단계 203에서 프로파일 아이콘을 포함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아이콘은 운영 모드 설정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단계 204에서 프로파일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04에서 아이콘 선택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05에서 화면의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05에서 잠금 해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06으로 진행한다. 단계 206에서 제어부(170)는 화면 오프를 위한 키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06에서 화면 오프 키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04로 복귀한다. 반면 화면 오프 키 신호가 발생될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부(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표시부(130)의 화면을 끄고 단계 201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206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어떠한 터치 이벤트도 발생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부(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표시부(130)의 화면을 끄고 단계 201로 복귀할 수 있다. 다시 단계 205로 돌아가서 잠금 해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07에서 기 설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단계 204로 돌아가서 아이콘 선택 터치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08에서 프로파일 리스트를 잠금 화면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운영 모드별 설정 값들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단계 209에서 프로 파일의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09에서 프로 파일 선택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04로 복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화면에서 프로파일 리스트가 아닌 다른 부분을 터치하면 터치스크린(110)은 이와 관련한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단계 209에서 제어부(170)는 프로파일 리스트가 사라지도록 제어하고 단계 204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209에서 프로 파일 선택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10에서 키패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단계 210에서 제어부(170)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패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입력된 패스워드 대신 특정 기호를 윈도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211에서 제어부(170)는 입력된 패스워드와 기 저장된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211에서 두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단계 212에서 재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하고 단계 210으로 진행하여 패스워드를 다시 입력 받는다. 단계 211에서 두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단계 213에서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선택된 프로 파일에 해당되는 운영 모드로 설정하고 단계 204로 복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의 화면 예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이드 키가 눌러지게 되면 키입력부(120)는 이와 관련된 화면 온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프로파일 아이콘(301)을 포함하는 잠금 화면(302)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프로파일 아이콘(301)이 사용자에 의해 탭 되면 터치스크린(110)은 이와 관련한 아이콘 선택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잠금 화면에 프로파일 리스트(303)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프로파일 리스트(303)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프로 파일 중 어느 하나(304)가 탭 되면 터치스크린(110)은 이와 관련한 프로 파일 선택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프로파일 리스트(303)를 사라지도록 제어하고 키패드(미도시)와 이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305)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윈도우(304)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확인 버튼(306)이 탭 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패스워드와 기 저장된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윈도우(305)의 표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재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판단 결과 일치하면 제어부(170)는 윈도우(305)가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잠금 화면(302)만을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화면 잠금 해제를 위해 사용자가 잠금 화면(302)의 소정 부위를 드래그(307) 하면, 제어부(170)는 설정된 운영 모드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하고, 화면을 잠금 화면(302)에서 통화 화면(308)으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 중 오로지 제한된 기능만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오직 통화 기능만 이용될 수 있도록 키패드(309), 윈도우(310), 통화 버튼(311) 및 입력된 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버튼(312)을 포함한 통화 화면(308)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통화 화면(308)은 프로파일 아이콘(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화면 오프, 통화 및 운영 모드 재설정을 위한 입력 이외에는 어떠한 키 신호 및 터치이벤트에 대해서도 응답을 아니 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운영 모드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이 아닌 여러 개인 경우, 제어부(170)는 설정된 운영 모드의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에 따르면,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잠금 화면에서 상기 설정된 운영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의 화면 예시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의 변형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다양한 제한 모드 중 통화 모드에 따른 통화 화면(401)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프로파일 아이콘(402)이 탭 되면 제어부(170)는 통화 화면(401)에 프로파일 리스트(403)를 오버랩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프로파일 리스트(403)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프로 파일 중 어느 하나(404)가 탭 되면 터치스크린(110)은 이와 관련한 프로 파일 선택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프로파일 리스트(403)를 사라지도록 제어하고 키패드(미도시)와 윈도우(405)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윈도우(405)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확인 버튼(406)이 탭 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패스워드와 기 저장된 패스워드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윈도우(405)의 표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재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판단 결과 일치하면 제어부(170)는 윈도우(405)가 사라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통화 화면(401) 대신 재설정된 운영 모드의 화면(406)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재설정된 운영 모드의 화면(406)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아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화면일 수 있다.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70)는 홈 화면(406)에 표시된 아이콘들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만을 실행한다. 한편 홈 화면(406)은 프로파일 아이콘(4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따라 운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잠금 화면(501)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화면 잠금 해제 및 운영 모드 설정을 위해 사용자가 잠금 화면(501)의 소정 부위를 드래그 하면, 제어부(170)는 잠금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해당되는 운영 모드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드래그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에서 우로 향하는 제 1 드래그(502)이면 제어부(170)는 운영 모드를 통화 모드로 설정하고 통화 화면(504)을 표시하게 한다. 반면 상기 드래그가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제 2 드래그(503)이면 제어부(170)는 운영 모드를 "My Kids" 모드로 설정하고 "My Kids" 화면(505)를 표시하게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래그에 의해 화면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운영 모드가 설정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련 예시를 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으나, 예컨대 사용자의 조작이 프레스이면 제어부(170)는 화면 잠금을 해제하고 운영 모드를 통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이 스윕이면 그 방향에 상관없이 제어부(170)는 화면 잠금을 해제하고 운영 모드를 "My Kids"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터치 제스처만으로 화면 잠금 해제 및 운영 모드의 설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설정된 운영 모드별로 터치 제스처를 모두 기억하긴 어려우므로, 설정된 운영 모드들 중 자주 이용하는 운영 모드만 터치 제스처가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표 1에 나타낸 운영 모드들 중에서 기본적으로 오픈 모드를 포함하여 "My Kids" 모드에만 터치 제스처가 할당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10: 터치스크린 120: 키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 처리부
170: 제어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 처리부
170: 제어부
Claims (14)
- 휴대 단말기의 기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프로파일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운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상기 모든 기능 중에서 기 설정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가 제한 모드인 경우 상기 제한 모드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한 모드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표시부의 화면 오프 상태가 해제되면 운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파일 아이콘을 포함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파일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화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다수의 운영모드 중에서 기 설정된 운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화면 오프 상태가 해제되면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 중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에 해당되는 운영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제스처에 해당되는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 중에서 일부에만 각각 다른 터치 제스처들이 할당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 휴대 단말기의 기 설정된 다수의 운영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된 프로파일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운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및 터치스크린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상기 표시된 프로파일 리스트 상에서 어느 하나의 운영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 모드와 상기 모든 기능 중에서 기 설정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모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운영 모드가 제한 모드인 경우 상기 제한 모드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한 모드에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다수인 경우 상기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화면 오프 상태가 해제되면 운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프로파일 아이콘을 포함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파일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프로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화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다수의 운영모드 중에서 기 설정된 운영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화면 오프 상태가 해제되면 잠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잠금 화면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화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운영 모드를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 중에서 상기 터치 제스처에 해당되는 운영 모드로 설정하며,
상기 터치 제스처에 해당되는 운영 모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운영 모드 중에서 일부에만 각각 다른 터치 제스처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502A KR101828306B1 (ko) | 2011-10-18 | 2011-10-18 |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
CN201710659368.2A CN107480486A (zh) | 2011-10-18 | 2012-10-16 | 用于操作移动终端的方法和设备 |
PCT/KR2012/008423 WO2013058514A1 (en) | 2011-10-18 | 2012-10-16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
CN201280062742.6A CN103999371A (zh) | 2011-10-18 | 2012-10-16 | 用于操作移动终端的方法和设备 |
EP12842491.8A EP2769474A4 (en) | 2011-10-18 | 2012-10-16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
US13/655,050 US9569603B2 (en) | 2011-10-18 | 2012-10-18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
US15/257,098 US10042991B2 (en) | 2011-10-18 | 2016-09-06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502A KR101828306B1 (ko) | 2011-10-18 | 2011-10-18 |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295A true KR20130042295A (ko) | 2013-04-26 |
KR101828306B1 KR101828306B1 (ko) | 2018-02-13 |
Family
ID=4808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502A KR101828306B1 (ko) | 2011-10-18 | 2011-10-18 |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9569603B2 (ko) |
EP (1) | EP2769474A4 (ko) |
KR (1) | KR101828306B1 (ko) |
CN (2) | CN103999371A (ko) |
WO (1) | WO201305851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2873B1 (ko) * | 2014-04-11 | 2015-06-30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스마트 폰의 듀얼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248768A (ja) * | 2010-05-28 | 2011-12-08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US8892072B2 (en) * | 2011-09-23 | 2014-11-18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security thereto |
US9549323B2 (en) * | 2012-12-03 | 2017-01-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
KR102119843B1 (ko) | 2014-02-10 | 2020-06-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CN105980954B (zh) * | 2014-02-10 | 2019-12-13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用户终端装置及其显示方法 |
KR102331956B1 (ko) | 2014-02-10 | 2021-11-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KR102561200B1 (ko) | 2014-02-10 | 2023-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US10223540B2 (en) * | 2014-05-30 | 2019-03-05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secure lock screen |
CN104063655B (zh) | 2014-05-30 | 2019-08-06 |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处理儿童模式的方法和装置 |
JP2016006613A (ja) | 2014-06-20 | 2016-01-1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0379599B2 (en) | 2014-07-24 | 2019-08-1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displaying items in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 display screen is off |
CN106339218A (zh) * | 2016-08-17 | 2017-01-18 | 刘华英 | 基于智能终端的操控方法和装置 |
CN109460655B (zh) * | 2018-09-20 | 2021-08-03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1049968B (zh) * | 2018-10-15 | 2021-08-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和电子设备 |
DE102019202882A1 (de) * | 2019-03-04 | 2020-09-10 | Franz Xaver Meiller Fahrzeug- Und Maschinenfabrik - Gmbh & Co Kg | Bedienvorrichtung für ein Nutzfahrzeug |
CN110096893B (zh) * | 2019-04-30 | 2021-03-26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对象限制方法及终端设备 |
CN110119630A (zh) * | 2019-05-06 | 2019-08-1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
CN110244838A (zh) * | 2019-05-09 | 2019-09-17 |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 一种马达驱动信号的生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CN112671976B (zh) * | 2019-09-30 | 2023-01-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
CN113468490B (zh) * | 2020-03-30 | 2024-05-03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终端设备的锁屏方法、装置和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742851A1 (de) * | 1997-09-29 | 1999-04-01 | Bosch Gmbh Robert | Funkgerät |
JP2002111845A (ja) | 2000-09-27 | 2002-04-12 | Nec Corp | 共用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共用方法 |
WO2003021417A1 (fr) | 2001-08-29 | 2003-03-13 | Katsuzo Tanaka | Unite de saisie de caractere tres rapide de telephone portable |
CN1271490C (zh) * | 2001-09-25 | 2006-08-23 | 田中胜三 | 便携式电话机的文字输入装置 |
KR100496954B1 (ko) | 2002-12-12 | 2005-06-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다중 사용자 환경 지원 핸드폰 |
KR20050037613A (ko) | 2003-10-20 | 2005-04-25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 |
KR20060085068A (ko) | 2005-01-21 | 2006-07-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계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US7546130B2 (en) * | 2005-03-21 | 2009-06-09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multiple operational modes in a mobile terminal |
US20070300140A1 (en) * | 2006-05-15 | 2007-12-27 | Nokia Corporatio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modes of operation |
US20080020803A1 (en) * | 2006-07-18 | 2008-01-24 | Motorola,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restricting acces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unctionality |
KR101370173B1 (ko) * | 2007-03-15 | 2014-03-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입출력 제어장치 및 입출력 제어방법과 그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
US8463253B2 (en) | 2007-06-21 | 2013-06-11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Flexible lifestyle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
US20110251954A1 (en) * | 2008-05-17 | 2011-10-13 | David H. Chin | Access of an online financial account through an applied gesture on a mobile device |
US8174503B2 (en) * | 2008-05-17 | 2012-05-08 | David H. Cain | Touch-based authentication of a mobile device through user generated pattern creation |
KR101517967B1 (ko) | 2008-07-07 | 2015-05-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65768B1 (ko) | 2008-12-23 | 2015-1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
US8261361B2 (en) | 2009-03-11 | 2012-09-04 | Microsoft Corporation | Enabling sharing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KR101537706B1 (ko) | 2009-04-16 | 2015-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N101610309B (zh) * | 2009-06-26 | 2014-06-18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模式切换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
KR101604693B1 (ko) | 2009-07-01 | 2016-03-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어 방법 |
CN101923614A (zh) * | 2010-05-13 | 2010-12-22 | 上海理工大学 | 一种在移动终端上实现功能控制的方法 |
US8528072B2 (en) * | 2010-07-23 | 2013-09-03 | Apple Inc.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ccess mode control of a device |
KR20120020070A (ko) * | 2010-08-27 | 2012-03-07 |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 휴대 단말, 록 상태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및 록 상태 제어 방법 |
US9027117B2 (en) * | 2010-10-04 | 2015-05-0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Multiple-access-level lock screen |
US20120110517A1 (en) * | 2010-10-29 | 2012-05-03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recognition |
CN102087585A (zh) * | 2011-02-12 | 2011-06-08 | 华为终端有限公司 | 触摸屏终端的解锁方法及触摸屏终端 |
-
2011
- 2011-10-18 KR KR1020110106502A patent/KR101828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0-16 EP EP12842491.8A patent/EP2769474A4/en not_active Ceased
- 2012-10-16 WO PCT/KR2012/008423 patent/WO201305851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0-16 CN CN201280062742.6A patent/CN103999371A/zh active Pending
- 2012-10-16 CN CN201710659368.2A patent/CN107480486A/zh active Pending
- 2012-10-18 US US13/655,050 patent/US956960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09-06 US US15/257,098 patent/US10042991B2/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2873B1 (ko) * | 2014-04-11 | 2015-06-30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스마트 폰의 듀얼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법 |
WO2015156627A1 (ko) * | 2014-04-11 | 2015-10-15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스마트 폰의 듀얼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방법 |
US10044846B2 (en) | 2014-04-11 | 2018-08-07 | Soosan Int Co., Ltd | Method for executing dual operating systems of smart pho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569603B2 (en) | 2017-02-14 |
US20130097668A1 (en) | 2013-04-18 |
EP2769474A1 (en) | 2014-08-27 |
WO2013058514A1 (en) | 2013-04-25 |
KR101828306B1 (ko) | 2018-02-13 |
EP2769474A4 (en) | 2015-05-06 |
CN103999371A (zh) | 2014-08-20 |
CN107480486A (zh) | 2017-12-15 |
US10042991B2 (en) | 2018-08-07 |
US20160378969A1 (en) | 2016-12-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8306B1 (ko) |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 |
US11126334B2 (en) |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inputting data | |
EP2658228B1 (en) | Mobile terminal adapt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JP6313475B2 (ja) | ユーザ端末装置及びそのディスプレイ方法 | |
KR101690232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US9310996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 |
US8718556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260770B1 (ko) | 휴대 전자 기기 및 휴대 전자기기에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 | |
EP2237140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9367207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367534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2854009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lock screen in electronic device | |
JP5986484B2 (ja) | 携帯端末、ロック状態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ロック状態制御方法 | |
KR2012007927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3000690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9984232B2 (en) | Method of operating securit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 |
US20140053103A1 (en) | Method of adjusting a display mode in a device and the device thereof | |
US20150180998A1 (en)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065405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WO2017096927A1 (zh) | 应用程序排布方法及装置 | |
US2024003679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screen display,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111857894A (zh) | 为应用程序添加备注的方法、装置及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