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851A - Light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Light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851A
KR20130041851A KR1020130027100A KR20130027100A KR20130041851A KR 20130041851 A KR20130041851 A KR 20130041851A KR 1020130027100 A KR1020130027100 A KR 1020130027100A KR 20130027100 A KR20130027100 A KR 20130027100A KR 20130041851 A KR20130041851 A KR 20130041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pedestrian
street
lighting control
street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to KR102013002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1851A/en
Publication of KR2013004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8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light control system is provided to reduce installation costs by turning on a streetlight on only the necessary place. CONSTITUTION: A light control device turns on or off a streetlight and is installed in an intersection. A photographing unit(210) photographs an image around the intersection. A path extracting unit(230) extracts a traveling direction of a pedestrian by checking the moving path of the pedestrian. An operating unit(240) turns on or off the streetligh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Reference numerals] (100) Lighting means; (210) Photographing unit; (220) Object recognizing unit; (230) Path extracting unit; (240) Operating unit;

Description

조명 제어 시스템{LIGHT CONTROL SYSTEM}Lighting control system {LIGH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이 필요한 장소에만 조명을 점등하므로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고,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을 점등시키는 방식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보안 및 방범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it lights up only a place where lighting is required,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lowering installation cost as well as security compared to a method of lighting lighting using a sensor. And it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security effect.

일반적으로 길가나 건축물의 주변, 공원 등지에 설치되는 가로등은 야간에 보행자나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안전한 이동을 도와준다.In general, streetlights installed on roadsides, around buildings, and in parks, provide safe pedestrian and driver visibility at night, helping to move safely.

이러한 가로등은 통상 보행자와 차량의 통행이 잦은 곳에서는 계속 점등해놓고,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이 적은 곳에서는 일정 시간, 예를 들어 밤 12시까지는 가로등을 계속 점등해놓고, 이후에는 계속 소등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Such streetlights are usually kept on in areas where pedestrians and vehicles pass frequently, while the streetlights are kept on for a certain time, for example, at 12 pm, where there is less traffic for pedestrians and vehicles. I'm using

최근에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가로등에 보행자와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보행자와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해서 점등하고, 보행자와 차량이 지나가기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 소등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Recently, to save energy, street lamps are equipped with sensor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pedestrians and vehicles, sensing the lights of pedestrians and vehicles, and turning off lights after sufficient time for pedestrians and vehicles to pass. have.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가로등 모두에 감지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크게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감지센서에 의존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cost is greatly increased because the detection sensor must be installed on all of the street light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ly malfunctions because it operates depending on th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nd complement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조명이 필요한 장소에만 조명을 점등하므로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ecause the lighting is turned on only the place where the lighting is requir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을 점등시키는 방식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렴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 control system having a lower installation cost than a method of lighting a light using a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 및 방범효과를 높일 수 있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can increase the security and security effect.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수단; 및 객체의 진행방향이 결정되는 자리에 설치되고, 객체가 자리에 도달하여 진행방향이 결정되면, 결정된 객체의 진행방향 상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명수단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ing means arranged apart; And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determined, and when the object reaches the position is determined, the on-off of one or more lighting means arranged on the direction of the determined object Light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It provides a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수단; 및 객체의 진행방향이 결정되는 자리에 설치되고, 객체가 자리에 도달하여 진행방향이 결정되면, 결정된 객체의 진행방향 상에 배치된 조명수단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조명제어수단은, 조명수단의 유효조명영역을 설정하고, 객체가 유효조명영역에 도달하는 경우 조명수단이 온(On)되도록 제어하며, 객체가 유효조명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조명수단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ing means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lighting control configured to control the on-off of the luminaire disposed on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is determined and the moving direction is determined after the object reaches the seat. Way; Including, but the lighting control means, to set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lighting means, and to control the lighting means is turned on (on) when the object reach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the lighting means when the object leav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It provides a light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be off (Off).

조명제어수단은, 유효조명영역 내에서 객체가 소멸하는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해당되는 조명수단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means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lighting means to be turned off afte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object is extinguished in the effective lighting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다수의 조명수단; 및 객체의 진행방향이 결정되는 자리에 설치되고, 객체가 자리에 도달하여 진행방향이 결정되면, 결정된 객체의 진행방향 상에 배치된 조명수단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수단; 을 포함하되, 조명제어수단은, 조명수단의 온(On)기준점과 오프(Off)기준점을 설정하고, 객체가 온(On)기준점에 도달하는 경우 조명수단이 온(On)되도록 제어하며, 객체가 오프(Off)기준점에 도달하는 경우 조명수단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control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ing means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lighting control configured to control the on-off of the luminaire disposed on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is determined and the moving direction is determined after the object reaches the seat. Way; Including, but the lighting control means, and set the On (On) reference point and the Off (Off) reference point of the lighting means, if the object reaches the On (On) reference point (Control) so that the lighting means is On (On), the object When the light reaches the off reference point (Off) provides a light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f) off (Off).

조명제어수단은, 온(On)기준점에 도달한 객체가 온(On)기준점과 오프(Off)기준점 사이에서 소멸하는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해당되는 조명수단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means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corresponding lighting means to be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when the object reaching the on reference point is extinguished between the on reference point and the off reference point. have.

조명제어수단은, 객체의 인식이 가능한 인식유효영역을 설정하고, 객체가 인식유효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결정된 객체의 진행방향 상의 다른 조명제어수단에 객체의 접근정보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means may be configured to set a recognition effective area capable of recognizing the object, and to transmi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on the determined direction of the object when the object leaves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객체의 접근정보를 수신한 다른 조명제어수단은, 객체의 진행방향 상 객체와 가장 가까운 조명수단이 온(On)되도록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receiv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objec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lighting means closest to the objec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turned on.

자리는 갈림길에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a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at a crossroads.

조명수단은, 주변환경의 조도, 기설정되어 있는 온-오프(On-Off) 시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1 조명체; 및 제1 조명체 주변에 배치되어 조명제어수단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제2 조명체;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illuminator that is turned on or off by any one or both of the illu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predetermined on-off time; And a second illuminator arranged around the first illuminator and turned on by the light control mea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제1 조명체는 조명제어수단과 같은 자리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illuminator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lighting control means.

조명제어수단은, 조명제어수단이 설치된 자리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후 프레임을 비교하여 객체의 출현을 인식하는 객체인식부와; 객체인식부에 의해 객체의 출현이 인식되면, 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검출 범위를 한정하여 객체의 움직임 영역면적을 검출하고, 객체의 움직임 영역면적 중 기준점을 선정하여 기준점을 통해 객체의 이동경로를 확인하여 객체의 진행방향을 추출하는 경로추출부; 및 추출된 객체의 진행방향 상에 배치된 조명수단을 온-오프(On-Off)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control means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which photographs an image around a seat where the lighting control means is installed; An object recognition unit which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by comparing the front and rear frames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When the appearance of the object is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unit, the motion detection area of the object is detected by limiting the motion detection range of the object in the image, and the reference point is selected from the moving area area of the object to check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through the reference point. A path extracting unit extrac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And an oper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lighting means arrang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xtracted object on-off.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촬영부는 광각렌즈 카메라 또는 초광각렌즈 카메라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a wide angle lens camera or an ultra wide angle lens camera.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조명이 필요한 장소에만 조명을 점등하므로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ing is turned on only in the place where the lighting is requir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 본 발명은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조명을 점등시키는 방식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low installation cost compared to the method of lighting the light using a sensor.

또한, 본 발명은 보안 및 방범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ecurity and security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조명수단이 온-오프(On-Off)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의 사용예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7 are examples of the use of a street lamp to which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s applied.
8 to 12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ghting means is on-off in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13 is an exemplary view of using a street lamp to which a ligh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appli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se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조명수단(100)과 조명제어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ing means 100 and a lighting control means 200.

조명수단(100)은 다수의 개수가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구성요소로써 자연광원, 즉 태양을 이용하거나, 인공광원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수단을 지칭한다. 이러한 조명수단(100)은 통상의 등(燈)이나 가로등, 이 외에 전광판 등과 같은 일루미네이션(Illumination) 장치, 레이저 장치 등 다양한 수단이 해당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가로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luminaire 100 refers to a means for emitting light using a natural light source, that is, the sun, or an artificial light source as a component in which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ighting means 100 may include a variety of means such as an illumination device, a laser device, such as an electric lamp or a street lamp, in addition to an electric signboard,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treet lamp.

조명제어수단(200)은 객체(P)의 진행방향이 결정되는 자리에 설치되고, 객체(P)가 자리에 도달하여 진행방향이 결정되면, 결정된 객체(P)의 진행방향 상에 배치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명수단(100), 즉 가로등의 온-오프(On-Off), 즉 점등 또는 소등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P is determined, and when the moving direction is determined by reach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P, the one dispo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etermined object P is one. Or two or more lighting means 100, that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n-off of the street lamp, that is, lighting or turning off.

이때, 객체(P)는 조명제어수단(200)이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물체로써, 사람이나 차량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수단(100)으로 가로등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므로 이에 맞추어 객체(P)를 보행자인 것으로 설명한다.At this time, the object (P) is an object that the light control means 200 can recognize the movement, it may be a person or a vehicle, etc.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street lamp is used as the lighting means (100) Therefore, the object P is described as a pedestrian accordingly.

그리고, 객체(P)의 진행방향은 객체, 즉 보행자(P)가 길을 따라 어느 방향으로 진행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특정 자리, 다시 말해서 길이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는 갈림길(교차로)에서 보행자(P)의 진행방향이 결정된다.And, the direction P of the object (P)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that is, the pedestrian (P) along the road, which means that the pedestrian (P) at a specific position, that is, a crossroads (intersections) divided into several ways The direction of travel is determined.

즉, 조명제어수단(200)은 갈림길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행자(P)가 갈림길 중 어느 길을 선택해서 전진하는지를 살피고, 그 진행경로 상의 가로등(100)을 제어하여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is installed at the crossroads, and checks which way the pedestrian P selects ahead of the crossroads, and controls the streetlight 100 on the traveling path to turn on or off.

이를 위해 조명제어수단(200)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크게 촬영부(210), 객체인식부(220), 경로추출부(230) 및 조작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includes various components, and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210, an object recognition unit 220, a path extracting unit 230, and an operation unit 240.

촬영부(210)는 조명제어수단(200)이 설치된 자리, 즉 갈림길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구성요소이다. 촬영부(210)는 조명제어수단(200)이 설치되어 있는 갈림길에 접근하는 보행자(P)를 촬영하기 용이하도록 광각렌즈 카메라 또는 초광각렌즈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어안렌즈(Fish-eye Lens) 카메라를 사용한다.The photographing unit 210 is a component for capturing an image of a spot around which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is installed, that is, around a forked road. The photographing unit 210 may use a wide-angle lens camera or an ultra-wide-angle lens camera so as to easily photograph the pedestrian P approaching the crossroad where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is install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eye lens (Fish) -eye Lens) Use a camera.

객체인식부(220)는 촬영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후 프레임을 비교하여 객체의 출현을 인식하는 구성요소이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220 is a component that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an object by comparing the front and rear frames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경로추출부(230)는 객체인식부(220)에 의해 보행자(P)의 출현이 인식되면, 영상에서 보행자(P)의 움직임 검출 범위를 한정하여 보행자(P)의 움직임 영역면적을 검출하고, 보행자(P)의 움직임 영역면적 중 기준점을 선정하여 기준점을 통해 보행자(P)의 이동경로를 확인하여 보행자(P)의 진행방향을 추출하는 구성요소이다.When the path extractor 230 recognizes the appearance of the pedestrian P by the object recognition unit 220, the path extracting unit 230 detects the motion area area of the pedestrian P by limiting the motion detection range of the pedestrian P in the image. It is a component that selects the reference point from the area of the pedestrian P's movement area and checks the movement path of the pedestrian P through the reference point to extrac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조작부(240)는 경로추출부(230)에서 추출된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에 배치된 가로등(100)을 온-오프(On-Off)되도록 조작하는 구성요소이다.The operation unit 240 is a component for manipulating the street light 100 dispo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extracted by the path extraction unit 230 to be on-off.

한편, 조명수단(100)과 조명제어수단(200, 도 3의 200-1), 그리고 조명제어수단(200, 도 3의 200-1)에 이웃하는 다른 조명제어수단(도 3의 200-2)은 네트워크(Network)에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이나 인트라넷, 전화망, 위성통신망 또는 모바일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이나 이들과 유사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유선 네트워크의 구성은 광케이블을 통한 구성이 바람직하며,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은 초광대역(UWB; Ultra Wideband)이나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브로(Wibro)를 통해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200-2 of FIG. 3) adjacent to the lighting means 100,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200-1 of FIG. 3), and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200-1 of FIG. 3. ) Is connected to a network. The network may us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an intranet, a telephone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se or similar networks. The wired network is preferably configured through an optical cable, and the wireless network may be configured through ultra wideband (UWB), Wi-Fi, or Wibro.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는 각종 구성요소, 예를 들어 조명수단(100)과 조명제어수단(200, 도 3의 200-1), 다른 조명제어수단(도 3의 200-2)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접속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모듈 등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외에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o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omponents, for example, the lighting means 100 and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200-1 of FIG. 3),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of FIG. 3). 200-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on device, a database, a module, etc. to be connected to the network, but in addition to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 components already known and used Description of the description is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과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1 실시예에서는 조명제어수단(200)이 조명수단, 즉 가로등(100) 전체를 제어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가로등(100) 중 일부를 제어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 2,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is illuminated. The means, i.e., the entire streetlight 100, is controlled.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some of the streetlights 100 are controlled.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 또한 조명수단(100)과 조명제어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조명수단(100)이 제1 조명체(110)와 제2 조명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조명수단(100)이 가로등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므로, 제1 조명체(110)는 제1 가로등으로 지칭하고, 제2 조명체(120)는 제2 가로등인 것으로 설명한다.That is,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lso includes a lighting means 100 and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the lighting means 100 is the first illuminator 110 and the second illuminator 120 ) Is achieved. Here, since the lighting means 1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street light, the first illuminator 110 is referred to as a first street lamp, the second illuminator 120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street light.

제1 조명체(110), 즉 제1 가로등은 주변환경의 조도, 즉 밝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센서(112)나 타임스위치(Time Switch, 타이머, 114) 등에 기설정되어 있는 온-오프(On-Off) 시간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구성요소로, 야간이나 날씨 등에 의해 조명이 필요한 시간 동안에는 항상 온(On,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first illuminator 110, that is, the first street lamp is an on-off preset in an illumination sensor 112 or a time switch (Time Switch, Timer, 114) that can sense the illu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is, the brightness change. It is a component that is on-off by (On-Off) time or both, and it is always kept on (on) while lighting is required due to night or weather.

이때, 제1 가로등(110)은 조명제어수단(200)과 같은 자리, 즉 갈림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센서(112)나 타임스위치(114)에 의해 자동으로 온-오프(On-Off)되는 제1 가로등(110)이 조명제어수단(20)과 같이 갈림길에 배치되면 야간 등에 조명제어수단(200)의 촬영부(210)로 갈림길의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별도의 조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갈림길 외에도 길의 초입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지의 현관 또는 정문 등에는 야간 등 조명이 필요한 시간 동안 점등되는 제1 가로등(110)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the first street light 11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place as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that is, at the crossroads. As such, when the first street lamp 110 that is automatically on-off by the illuminance sensor 112 or the time switch 114 is disposed at a crossroad with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 the lighting control means at night or the like. The photographing unit 210 of the 200 does not need a separate light for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the forked road. In addition to such a fork, the first street lamp 110 that is turned on for a time required for lighting such as a night may be disposed at the entrance or front door of a residential area such as an apartment.

제2 조명체(120), 즉 제2 가로등은 제1 가로등(110) 주변에 배치되며,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나는 전체 가로등(100)과 마찬가지로 조명제어수단(200)에 의해 온-오프(On-Off)되는 부분이다.
The second illuminator 120, that is, the second street lamp is disposed around the first street lamp 110, and is turned on and off by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similarly to the entire street lamp 100 shown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On-Off)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의 사용예시도이다.3 to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of a street lamp to which a ligh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길을 따라 가로등(100)이 배치되어 있고 갈림길에 가로등(100)과 조명제어수단(200-1)이 함께 배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길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등(100)의 경우 야간이나 날씨 등에 의해 조명이 필요한 경우 항상 점등되어 있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3, a street lamp 100 is disposed along a road, and a street lamp 100 and a lighting control unit 200-1 are disposed together at a crossroad.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the street lamp 100 disposed on the road as described above, when lighting is required by night or the weather, it is always turned on.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경우 가로등(100)이 모두 소등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갈림길에 배치되어 있는 조명제어수단(200-1)의 촬영부(210)가 갈림길 주변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조명제어수단(200-1)에는 촬영부(210)의 촬영을 위한 별도의 조명이 마련될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et lamp 100 maintains a state where all the lights are turned off, and the photographing unit 210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is disposed at the crossroad. Will shoot around the fork. At this time,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illumination for shoot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210.

객체인식부(220)는 촬영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전후 프레임을 비교함으로써 보행자(P)의 출현여부를 인식하게 되며, 이는 인식유효영역 내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식유효영역은 촬영부(210)에서 촬영할 수 있는 최대한의 영역일 수도 있고, 촬영된 영상에서 객체인식부(220)가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영역일 수도 있다.The object recognition unit 220 recogniz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edestrian P by comparing the front and rear frames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which is made within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may be the maximum area that may b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or may be an area where the object recognition unit 220 may identify an object in the captured image.

객체인식부(220)가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던 중, 도 4와 같이 인식유효영역 내에 보행자(P)가 출현하여 이를 인식하게 되면, 조작부(240)에서는 출현한 보행자(P)에 가장 가까운 가로등(100)이 점등되도록 하게 된다.While the object recognition unit 220 compares the captured images, when the pedestrian P appears in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as shown in FIG. 4 and recognizes it, the manipulation unit 240 shows a street lamp closest to the pedestrian P that appeared. 100 will be turned on.

그리고, 경로추출부(230)에서는 촬영된 영상에서 보행자(P)의 움직임 검출 범위를 한정하여 보행자(P)의 움직임 영역면적을 검출하고, 보행자(P)의 움직임 영역면적 중 기준점을 선정하여 기준점을 통해 보행자(P)의 이동경로를 확인하여 보행자(P)의 진행방향을 추출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240)에서는 도 5와 같이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에 있는 가로등(100), 즉 갈림길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등(100)이 점등되도록 하고, 보행자(P)가 갈림길을 향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게 되면 처음 점등된 가로등(100)이 소등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가로등(100)의 소등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path extractor 230 detects a moving area area of the pedestrian P by limiting the motion detection range of the pedestrian P in the captured image, and selects a reference point from the moving area area of the pedestrian P. By checking the moving path of the pedestrian (P) through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Accordingly, the operation unit 240,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street light 100, that is, the street light 100 disposed in the crossroads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is turned on, and the pedestrian P faces the crossroads. When moving over a certain distance, the first lit street light 100 is turned off. At this time, the light-off of the street lamp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다음, 도 6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경로추출부(230)에 의해 보행자(P)가 갈림길에 도달하여 어떤 길을 선택하여 진행하는지를 확인하고, 보행자(P)가 길을 선택하여 진행방향을 결정하면, 보행자(P)의 진행방향을 추출한다. 이에, 조작부(240)는 보행자(P)가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게 되면 그 진행방향 상에 있는 가로등(100)이 점등되도록 하며, 갈림길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등(100)은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로등(100)의 점등 또는 소등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as shown in FIG. 6, the path extracting unit 230 checks which way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forked road and selects which path to proceed. When the pedestrian P selects the road to determine the traveling direction, Extract the direction of pedestrian P. Thus, when the pedestrian P moves over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peration unit 240 causes the street lamp 100 on the traveling direction to be turned on, and the street lamp 100 disposed at the crossroad is turned off. The lighting or turning off of the street lamp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와 같이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등(100)의 점등 및 소등은 조명제어수단(200-1)의 인식유효영역 내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보행자(P)가 계속해서 전진하게 되면 조명제어수단(200-1)의 인식유효영역을 이탈하게 된다.In this way,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street lamp 100 disposed on the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is performed within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and the pedestrian P continues to move forward.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is departed.

이때, 보행자(P)가 조명제어수단(200-1)의 인식유효영역을 이탈함과 동시에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에 있는 다른 조명제어수단(200-2)의 인식유효영역 내에 진입하게 될 경우 다른 조명제어수단(200-2)의 객체인식부(220)에 의해 보행자(P)의 출현여부가 인식되어 진행방향 상의 가로등(100)이 점등된다.At this time, the pedestrian P leaves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and enters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200-2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If so, the presence of the pedestrian P is recognized by the object recognition unit 220 of the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200-2, and the street lamp 100 in the traveling direction is turned on.

그러나, 도 7과 같이 보행자(P)가 조명제어수단(200-1)의 인식유효영역을 이탈한 후 일정 거리를 더 전진해야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에 있는 다른 조명제어수단(200-2)의 인식유효영역 내에 진입하게 될 경우 조명제어수단(200-1)은 이웃하는 조명제어수단(200-2), 즉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에 있는 다른 조명제어수단(200-2)에 보행자(P)의 접근정보를 송출하게 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7, after the pedestrian P leaves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the pedestrian P is further advanced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200-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is moved. When entering into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2)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is another lighting control means 200-2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neighboring lighting control means 200-2, that is, the pedestrian P. ) Will transmi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P).

이와 같이 보행자(P)의 접근정보를 수신한 다른 조명제어수단(200-2)은,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 보행자(P)와 가장 가까운 가로등(100)이 점등되도록 하여 안전한 이동을 도와줄 수 있는 것이다.
The other lighting control means 200-2 receiving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 P in this way helps the safe movement by turning on the street lamp 100 closest to the pedestrian P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I can give it.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가로등이 온-오프(On-Off)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8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reet light is on-off in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의 (a)는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에 있는 가로등(100)이 점등되기 전의 상태이고, 도 8의 (b)는 보행자(P)의 전진에 따라 가로등(100)이 점등된 상태이며, 도 8의 (c)는 보행자(P)의 전진에 따라 가로등(100)이 소등된 상태이다. 여기서, 도 8의 (a) 내지 (c)의 상단에는 실제로 보행자(P)의 전진에 따라 가로등(100)이 점등 및 소등되는 상태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촬영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보행자(P)의 전진에 따라 가로등(100)이 점등 및 소등되는 상태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First, (a) of FIG. 8 is a state before the street light 100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is turned on, and FIG. 8 (b) shows that the street light 100 is moved as the pedestrian P moves forward. 8C is a state in which the street light 100 is turned off as the pedestrian P moves forward. Here, the state in which the street light 100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 of the pedestrian P is shown in the order of the upper part of (a) to (c) of FIG. 8, and in the lower part by the photographing unit 210 The state in which the street light 100 is turned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 of the pedestrian P in the captured image is shown in order.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는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을 설정하거나, 가로등(100)의 온(On)기준점과 오프(Off)기준점을 설정하여 가로등(100)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로등(100)의 온(On)기준점은 점등기준점으로 지칭하고, 오프(Off)기준점은 소등기준점으로 지칭하기로 한다.In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et lamp 100 is turned on by setting an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street lamp 100 or setting an on reference point and an off reference point of the street lamp 100. Or it can be turned off. In this case, the on reference point of the street lamp 100 is referred to as a lighting reference point, and the off reference point is referred to as an unlit reference point.

우선,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을 설정하는 경우, 도 8의 (a) 내지 (c)의 상단에 표시된 Ⅰ에서 Ⅰ'까지의 거리, 즉 도 8의 (a) 내지 (c)의 하단에 표시된 촬영부(210)의 영상에서 가로등(100)으로부터 일정 범위의 반경이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이 되며, 이와 같은 유효조명영역은 보행자(P)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명이 유지되는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유효조명영역은 가로등(100)으로부터 수직방향의 지점까지의 거리, 즉 가로등(100)의 높이(h)에 따라 달라지며, 또한 가로등(100)이 나트륨등, 할로겐등, 백열등, 엘이디(LED)등 중 어떤 등으로 이루어졌는지와 같은 가로등(10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First, when setting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street lamp 100, the distance from I to I 'displayed at the top of (a) to (c) of FIG. 8, that is, the bottom of (a) to (c) of FIG. In the image of the photographing unit 210 shown in the radius of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street lamp 100 becom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street lamp 100, such an effective lighting area is the minimum that the pedestrian (P) can secure the field of view It is a good idea to set the area where lighting is maintained. The effective lighting area depends on the distance from the street lamp 100 to the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height h of the street lamp 100. Also, the street lamp 100 includes sodium, halogen, incandescent and LED lights.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treetlight 100, such as made of any of the lamps.

이에 따라,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을 실제로 측정한 후 측정된 정보를 조명제어수단(200)에 입력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가로등(100)의 종류와 가로등(100)의 높이(h)를 조명제어수단(200)에 입력하면 이를 연산하여 해당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가로등의 유효조명영역을 추정하여 이를 해당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street lamp 100 may be actually measured, and then the measured information may be input to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and the type of the street lamp 100 and the height h of the street lamp 100 may be used. When input to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it may be calculated to set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corresponding street light 100, or may be estimated to set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general street light 100 to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corresponding street light (100).

한편, 가로등(100)의 점등 및 소등기준점을 설정하는 경우 도 8의 (a) 내지 (c)의 상단에 표시된 Ⅰ가 점등기준점이 되고, Ⅰ'가 소등기준점이 된다. 이와 같은 점등기준점(Ⅰ)과 소등기준점(Ⅰ')은 전술한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을 바탕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보행자(P)의 전진에 따라 가로등(100)이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것은 유효조명영역을 설정하는 경우와 점등 및 소등기준점(Ⅰ, Ⅰ')을 설정하는 경우가 모두 동일한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etting the lighting and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of the street lamp 100, I shown at the upper end of Figs. 8A to 8C is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and I 'is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and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 ') is preferably set based on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above-described street light 100, and thus the street light 100 is turned on as the pedestrian P moves forward. The light off can be made at the same point when the effective lighting area is set and the case where the lighting and the light off reference points I and I 'are set.

따라서, 도 8의 (a) 내지 (c)에서는 보행자(P)가 진행방향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Ⅰ)에 도달하는 경우 가로등(100)이 점등되고, 가로등(100)의 유효조명영역을 이탈하거나 소등기준점(Ⅰ')에 도달하는 경우 가로등(100)이 소등되는 것이다.
Therefore, in FIGS. 8A to 8C, when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of the street light 100 dispos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the street light 100 is turned on. When the lamp deviates from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street lamp 100 or reaches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 ′, the street lamp 100 is turned off.

도 9 및 도 10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에서 가로등이 온-오프(On-Off)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9 and 10 also show a state in which the street light is On-Off in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에서는 두 개의 가로등(100-1, 100-2)이 배치되고, 가로등(100-1, 100-2)의 유효조명영역이 상호 겹치는 상태로써, 보행자(P)의 진행방향에 따라 보행자(P)가 가로등(100-1)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Ⅰ)에 도달함으로써 첫번째 가로등(100-1)이 점등되고, 계속 전진하면서 이웃하는 두번째 가로등(100-2)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Ⅱ)에 도달하면 이웃하는 두번째 가로등(100-2) 또한 점등되어 두 개의 가로등(100-1, 100-2)이 모두 점등된다.In FIG. 9A, two street lamps 100-1 and 100-2 are disposed, and effective lighting regions of the street lamps 100-1 and 100-2 overlap each oth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edestrian P travels. According to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of the street light (100-1),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s turned on, and continues to move forward of the neighboring second street light (100-2) When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I is reached, the neighboring second street lights 100-2 are also turned on so that both street lights 100-1 and 100-2 are turned on.

그리고, 도 9의 (b)와 같이 보행자(P)가 계속 전진하여 첫번째 가로등(100-1)의 유효조명영역을 이탈하거나, 소등기준점(Ⅰ')에 도달하면 첫번째 가로등(100-1)이 소등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두번째 가로등(100-2) 또한 보행자(P)가 유효조명영역을 이탈하거나, 소등기준점(Ⅱ')에 도달하면 소등된다.As shown in FIG. 9B, when the pedestrian P continues to advance and leav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first street light 100-1, or reaches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 ′,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s moved. It will be turned off. Similarly, the neighboring second street light 100-2 is also turned off when the pedestrian P leav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reaches the extinction reference point II '.

한편, 도 10의 (a)에서는 가로등(100-1, 100-2)의 유효조명영역이 상호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경우 보행자(P)가 첫번째 가로등(100-1)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Ⅰ)에 도달함으로써 첫번째 가로등(100-1)이 점등되고, 계속 전진하다가 도 10의 (b)와 같이 첫번째 가로등(100-1)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소등기준점(Ⅰ')을 이탈함과 동시에 이웃하는 두번째 가로등(100-2)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Ⅱ)에 도달하게 되어 첫번째 가로등(100-1)은 소등되고, 이웃하는 두번째 가로등(100-2)은 점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effective lighting areas of the street lights (100-1, 100-2) abut each other, in this case pedestrian (P) i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first street light (100-1) or By reaching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s turned on and continues to advance, and then leav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 'of the first street light 100-1 as shown in FIG. At the same time,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I of the neighboring second street light 100-2 is reached and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s turned off, and the neighboring second street light 100-2 is turned on.

여기에서는 보행자(P)가 가로등(100-1)이나 이웃하는 가로등(100-2)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Ⅰ, Ⅱ)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가로등(100-1, 100-2)이 점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비가 많이 오는 날씨라던가 해당 지역이 우범지역이라던지 등의 각종 상황에 따라 보행자(P)가 가로등(100-1)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Ⅰ)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하는 가로등(100-1) 뿐만 아니라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 이웃하는 가로등(100-2)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when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II) of the street lamp 100-1 or the neighboring street lamp 100-2, the corresponding street lamps 100-1, 100-2 are Although it is described as being lit, when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Ⅰ) of the street lamp (100-1)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rainy weather or the region is a hot spot. Not only the street lamp 100-1 but also one or two or more of the neighboring street lamps 100-2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may be turned on at the same time.

도 11에서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가로등보다 더 많은 가로등이 배치되어 있다.In FIG. 11, more street lights are disposed than the street lamps shown in FIG. 9 or 10.

도 11의 경우 가로등(100-1, 100-2, 100-3, 100-4)의 유효조명영역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도 9의 (a) 및 (b) 또는 도 10의 (a) 및 (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로등(100-1, 100-2, 100-3, 100-4)이 점등 또는 소등되나, 유효조명영역이 아닌 점등 및 소등기준점을 설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In the case of FIG. 11,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street lights 100-1, 100-2, 100-3, and 100-4 is set and used in FIGS. 9A and 10B or FIG. 10A. Like in the case of) and (b), the street lamps 100-1, 100-2, 100-3, 100-4 are turned on or off, but they are applied differently when the lighting and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s are used instead of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ne example is shown.

예를 들어, 도 9에서는 각각의 가로등(100-1, 100-2)에 점등기준점(Ⅰ,Ⅱ)과 소등기준점(Ⅰ',Ⅱ')이 있고, 보행자(P)가 점등기준점(Ⅰ,Ⅱ)에 도달하면 해당하는 가로등(100-1, 100-2)이 점등되며, 소등기준점(Ⅰ',Ⅱ')에 도달하면 해당하는 가로등(100-1, 100-2)이 소등된다.For example, in FIG. 9, each of the street lights 100-1 and 100-2 has a lighting reference point I and II and an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 'and II', and the pedestrian P has a lighting reference point I and. When the lamp reaches (II), the corresponding street lights 100-1 and 100-2 are turned on. When the lamp lights reach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s I 'and II', the corresponding street lights 100-1 and 100-2 are turned off.

즉, 도 9에서는 보행자(P)가 첫번째 가로등(100-1)의 소등기준점(Ⅰ')에 도달하게 되면 첫번째 가로등(100-1)이 소등되지만, 이와는 달리 도 11의 (a)에서는 보행자(P)가 첫번째 가로등(100-1)의 소등기준점(Ⅰ')에 도달하게 되면 첫번째 가로등(100-1)이 소등되는 것이 아니라 진행방향 상 세번째 가로등(100-3)이 점등되도록 하는 점등기준점(Ⅲ)으로,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 첫번째 가로등(100-1) 전의 가로등이 소등되는 소등기준점으로 사용된다.That is, in FIG. 9, when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 ′ of the first street light 100-1,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s turned off. However, in FIG. 11A, the pedestrian ( When P) reaches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 ′ of the first street lamp 100-1, the first street lamp 100-1 is not turned off, but a lighting reference point for turning on the third street lamp 100-3 in the traveling direction ( Ⅲ) and not shown, but used as an extinction reference point at which the street light before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pedestrian P is turned off.

다음, 보행자(P)가 계속 전진하여 보행자(P)가 두번째 가로등(100-2)의 소등기준점(Ⅱ')에 도달하게 될 경우, 도 9에서는 두번째 가로등(100-2)이 소등되지만 도 11의 (b)에서는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 네번째 가로등(100-4)이 점등됨과 동시에 첫번째 가로등(100-1)이 소등되어 네번째 가로등(100-4)의 점등기준점(Ⅳ)이자 첫번째 가로등(100-1)의 소등기준점(Ⅰ')이 되는 것이다.Next, when the pedestrian P continues to advance so that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 II ′ of the second street light 100-2, the second street light 100-2 is turned off in FIG. 9, but FIG. 11. In (b), the fourth street lamp 100-4 is turned on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P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treet lamp 100-1 is turned off to be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V of the fourth street lamp 100-4 and the first street lamp. It becomes an extinction reference point (I ') of (100-1).

즉, 점등기준점(Ⅰ,Ⅱ, Ⅲ, Ⅳ) 및 소등기준점(Ⅰ',Ⅱ', Ⅲ', Ⅳ')은 비가 많이 오는 날씨라던가 해당 지역이 우범지역이라던지 등의 각종 상황에 따라 보행자(P)의 진행방향 상 가로등(100-1, 100-2, 100-3, 100-4)의 점등 또는 소등 조건을 변경하여 보행자(P)가 일정 거리 이상 전진할 때까지 보행자(P)의 앞뒤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가로등이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에서 설정에 따라 보행자(P)가 첫번째 가로등(100-1)의 점등기준점(Ⅰ)에 도달하는 경우 첫번째 가로등(100-1)과 두번째 가로등(100-2)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행자(P)와 가로등(100-1, 100-2, 100-3, 100-4) 사이의 거리변화에 따라 가로등(100-1, 100-2, 100-3, 100-4)의 조도가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첫번째 가로등(100-1)의 점등기준점(Ⅰ)에 도달한 보행자가 두번째 가로등(100-2)을 향해 전진하면 할수록 두번째 가로등(100-2)이 더 밝아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lighting reference points (Ⅰ, II, Ⅲ, Ⅳ) and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s (I ', II', Ⅲ ', Ⅳ') are pedestrians depending on various conditions such as rainy weather or the region is a hot spot. Change the lighting or extinguishing condition of the street lights (100-1, 100-2, 100-3, 100-4)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P),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pedestrian (P) until the pedestrian (P) advances a certain distance or more. One or more street lamps disposed in the can be configured to be turned on or off. In addition, when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of the first street lamp 100-1 according to the setting in FIG. 11, the first street lamp 100-1 and the second street lamp 100-2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distance change between the pedestrian P and the street lights 100-1, 100-2, 100-3, 100-4, the street lights 100-1, 100-2, 100-3, 100-4 The illuminance of may be configured to change. For example, as the pedestrian reaching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of the first street lamp 100-1 moves toward the second street lamp 100-2 in FIG. 11, the second street lamp 100-2 may be brighter. It is.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는 점등기준점(Ⅰ,Ⅱ, Ⅲ, Ⅳ) 및 소등기준점(Ⅰ',Ⅱ', Ⅲ', Ⅳ')이 가로등(100-1, 100-2, 100-3, 100-4)의 유효조명영역의 말단에 위치하여 보행자(P)가 유효조명영역에 도달하는 것과 점등기준점(Ⅰ,Ⅱ, Ⅲ, Ⅳ)에 도달하는 것이 동일하고, 보행자(P)가 유효조명영역을 이탈하는 것과 소등기준점(Ⅰ',Ⅱ', Ⅲ', Ⅳ')에 도달하는 것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이나 사용되는 상황 등에 따라 점등기준점(Ⅰ,Ⅱ, Ⅲ, Ⅳ) 또는 소등기준점(Ⅰ',Ⅱ', Ⅲ', Ⅳ')이 유효조명영역의 중심 부근에 설정되는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rawing, the lighting reference points I, II, III, and IV and the extinguishing reference points I ', II', III ', and IV' are shown in the street lights 100-1, 100-2, 100-3, and 100-. Located at the end of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4), the pedestrian P reach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and the lighting reference points I, II, III, and IV are the same, and the pedestrian P defin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Departure and reaching the extinction reference point (I ', II', III ', IV') is shown to be the same, but lights up depending on the area in which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r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used. The reference point (I, II, III, IV) or the extinction reference point (I ', II', III ', IV') can be variously applied, such as being set near the center of the effective lighting area.

도 12는 도 4에서 보행자(P)가 출현하면 이를 인식하여 가로등(100)이 점등되도록 하는 것과는 반대로, 보행자(P)가 사라질 경우 가로등(100)이 소등되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 1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treet light 100 is turned off when the pedestrian P disappears, as opposed to recognizing the appearance of the pedestrian P in FIG. 4 and turning on the street light 100.

우선, 도 12의 (a)에서는 보행자(P)의 진행방향에 따라 보행자(P)가 첫번째 가로등(100-1)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Ⅰ)에 도달함으로써 첫번째 가로등(100-1)이 점등되고, 계속 전진하면서 이웃하는 두번째 가로등(100-2)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Ⅱ)에 도달하여 두 개의 가로등(100-1, 100-2)이 모두 점등된다.First, in FIG. 12A,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s reached by the pedestrian P reaching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 of the first street light 100-1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edestrian P travels. Is turned on, and both lampposts 100-1 and 100-2 are turned on as they reach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I of the neighboring second street lamp 100-2.

그리고, 도 12의 (b)와 같이 보행자(P)가 계속 전진하여 첫번째 가로등(100-1)의 유효조명영역을 이탈하거나, 소등기준점(Ⅰ')에 도달하면 첫번째 가로등(100-1)이 소등되는데, 보행자(P)가 세번째 가로등(100-3)의 유효조명영역 또는 점등기준점(Ⅲ)에 도달하기 전에 자신의 집으로 들어가는 등 조명제어수단(200)의 인식유효영역 내에서 소멸하게 되면, 일정시간이 지난 후 도 12의 (c)와 같이 조명제어수단(200)에 의해 두번째 가로등(100-2)을 소등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보행자(P)의 전진에 따라 점등되어 있는 가로등이 두 개 이상일 경우에도 보행자(P)가 조명제어수단(200)의 인식유효영역 내에서 소멸하게 되면 일정시간이 지나 점등되어 있는 해당 가로등을 모두 소등한다.
As shown in FIG. 12B, when the pedestrian P continues to advance and leaves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f the first street light 100-1, or reaches the extinction reference point I ′, the first street light 100-1 is moved. If the pedestrian P is extinguished within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such as entering the home before reaching the effective lighting area or the lighting reference point (III) of the third street light (100-3).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passes, the second street lamp 100-2 is turned off by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as shown in FIG. Of course, even if there are two or more street lights that are lit as the pedestrian P advances, if the pedestrian P is extinguished within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the corresponding street lights are turned on after a certain time. All goes out.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의 사용예시도이다.FIG. 13 is an exemplary view of using a street lamp to which a ligh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is applied.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100)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가로등(100)이 조명제어수단(200-1, 200-2)과 같이 갈림길에 배치되는 제1 가로등(110)과 그 외의 제2 가로등(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street lamp 100 to which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and the street lamp 100 is illuminat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treet light 110 and the other second street light 120 disposed in the crossroads, such as the control means (200-1, 200-2).

제1 가로등(110)은 조명제어수단(200-1, 200-2)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환경의 조도나 기 설정되는 온-오프(On-Off) 시간 등에 의해 야간이나 날씨 등에 의해 조명이 필요한 시간 동안에는 항상 점등되어 있게 된다.The first street lamp 110 is not turned on or off by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and 200-2, but is replaced by night or weather due to the illumin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preset on-off time. This ensures that the lamp is always on during the time when lighting is required.

그리고 제2 가로등(120)은 조명제어수단(200-1, 200-2)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도 4와 같이 조명제어수단(200-1)의 인식유효영역 내에 보행자(P)가 출현하고, 이를 인식하게 되면, 출현한 보행자(P)에 가장 가까운 제2 가로등(120)이 점등되는 것이다.The second street light 120 is configured to be turned on or off by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and 200-2 so that the pedestrian P is located within the recognition effective area of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1 as shown in FIG. 4. When it appears and recognizes it, the second street light 120 closest to the pedestrian P that appeared is turned on.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100)은 제1 가로등(110)이 조명제어수단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만 제외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100)과 동일유사하게 동작되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reet lamp 100 to which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first street lamp 110 is not turned on or off by the lighting control means. Since the operation is similar to the applied street lamp 10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eet lamp 100 to which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omitte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실시예의 가로등(100), 조명제어수단(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나 제2 실시예의 제1 가로등(110), 제2 가로등(120), 조명제어수단(2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는 특정 이벤트, 예를 들어 보행자(P)가 일정시간 이상 멈춰있거나 일부구역을 왔다갔다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보행자(P)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감시수단은 해당 보행자(P)의 신원파악에 용이하도록 망원렌즈 카메라 또는 줌렌즈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y one or two of the street lamp 100 and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first street lamp 110, the second street lamp 120 and the lighting control mean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used. Any one or more of the monitoring devices for monitoring the pedestrian P may be installed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for example, when the pedestrian P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ves back and forth through a certain area. Can be. Such monitoring means may use a telephoto lens camera or a zoom lens camera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of the pedestrian P.

본 명세서에서는 조명수단이 가로등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광판 등과 같은 일루미네이션(Illumination) 장치로 조명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보행자의 이동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날씨정보나 보행자의 진행방향 상에 특정사고가 발생했음을 알려줄 수도 있고, 별도의 신원파악수단을 통해 보행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경우 보행자에게 맞춤광고를 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ighting mean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street lamp, but when the lighting control system is configured with an illumination device such as an electric signboar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movement of pedestrians, for example, weather information or a specific direction on a pedestrian's direction of travel. It may inform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or if the identification of the pedestrian through a separate identification mean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advertising a personalized pedestrian.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1, 100-2, 100-3, 100-4: 조명수단 110: 제1 조명체
112: 조도센서 114: 타임스위치
120: 제2 조명체
200, 200-1, 200-2: 조명제어수단 210: 촬영부
220: 객체인식부 230: 경로추출부
240: 조작부 P: 객체
100, 100-1, 100-2, 100-3, 100-4: Lighting means 110: First illuminator
112: light sensor 114: time switch
120: second illuminator
200, 200-1, 200-2: lighting control means 210: photographing unit
220: object recognition unit 230: path extraction unit
240: control panel P: object

Claims (1)

조명 제어 시스템.
Lighting control system.
KR1020130027100A 2013-03-14 2013-03-14 Light control system KR201300418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00A KR20130041851A (en) 2013-03-14 2013-03-14 Light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00A KR20130041851A (en) 2013-03-14 2013-03-14 Light control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971A Division KR20120108291A (en) 2011-03-23 2011-03-23 Light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851A true KR20130041851A (en) 2013-04-25

Family

ID=4844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100A KR20130041851A (en) 2013-03-14 2013-03-14 Light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18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54A1 (en) * 2014-06-24 2015-12-30 ㈜유양디앤유 Method for controlling street lamp by using wcdma method, and street lamp central control device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9254A1 (en) * 2014-06-24 2015-12-30 ㈜유양디앤유 Method for controlling street lamp by using wcdma method, and street lamp central control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3468B2 (en) Traffic light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KR200451773Y1 (en) Underground Parking Lot Lighting Control System
KR20170095496A (en) Multi-function type streetlamp
KR101276385B1 (en) Safe notice system using camera at unsignalized pedestrian crossing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231298B1 (en) Smart pedestrian crossing luminaire
KR20180002377U (en) Multi-function type streetlamp
KR20130016660A (en) The streelight which has lamp on/off and step-dimming control function by the motion detection of camera sensor
CN112672483B (en) Intelligent street lamp control method
KR20120114510A (en) Intelligently safety lighting system
KR20160067435A (en) Illegal passing notice system of crosswalk
KR101899989B1 (en) Control method of security lighting system with image recognition and tracking control
KR20220117016A (en) Smart pole system that tracks the position of pedestrians in the pedestrian crossing area
WO2014162681A1 (en) Road lighting device
KR101479178B1 (en) Intelligent camera device for street light replacement
KR1020021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control using smart streetlight based on CIM/BIM
WO2014162682A1 (en) Road lighting control device
KR20120108291A (en) Light control system
KR102433394B1 (en) System for preventing accident of cross walk
KR20130041851A (en) Light control system
KR101628906B1 (en)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crosswalk light
KR20170027032A (en) Safe parking system on shoulder at expreess way at night
CN11339580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llumination routes for objects moving on a path
KR101412035B1 (en) Lighting apparatus
KR101386400B1 (en) Surveill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ing
JP2005205950A (en) Night pedestrian notif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