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423A -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423A
KR20130041423A KR1020110105645A KR20110105645A KR20130041423A KR 20130041423 A KR20130041423 A KR 20130041423A KR 1020110105645 A KR1020110105645 A KR 1020110105645A KR 20110105645 A KR20110105645 A KR 20110105645A KR 20130041423 A KR20130041423 A KR 20130041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extract
hallabong
cosmetic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정
Original Assignee
문형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형필 filed Critical 문형필
Priority to KR1020110105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1423A/ko
Publication of KR2013004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4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특히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며,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및 이것의 제조방법{Form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Jeju-hanlabong and gold particle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특히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며,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귀금속 소재인 금을 화장료에 도입하여 금의 특성을 발현하려는 시도가 몇몇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994-0019541호에는 자석을 도금하여 이를 화장료 조성물에 도입하는 방법이 소개 되어 있다. 또한, 미 합중국 특허 제 5,587,168호에는 금을 플레이크(flake) 형태로 잘게 부수어 이를 화장품에 도입하는 방법이 잘 기술되어 있다.
상기 특허들에서는 금이라는 귀금속 소재를 일반 화장료에 도입하는 방법들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도금 형태나 플레이크 형태로 금의 표면적이 낮아 높은 활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또한 도금형태로서 화장료에 대한 금의 함량을 늘일 경우 피부 알러지 현상을 유발할 수 있어서 실질적인 응용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플레이크 등의 제한된 외관 형태로서, 다양한 화장료 제형의 적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금 나노 입자를 콜로이드 형태로 직접 화장료에 도입할 경우 금 입자의 응집에 의한 침전 및 변색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분산 형태로서 다양한 제형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금을 사용하더라도 미백이나 주름개선과 같은 효과가 소비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채, 금이 가지는 유용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쌀발효 추출액, 신이화 추출물, 감초 추출물,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를 가열해서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얻은 추출액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유화시킨 혼합액에 pH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pH 조절제를 투입한 혼합액에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혼합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인 것이 가능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 분말과 함께 한라봉을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은 6천년이상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하여 왔으며, 여러 나라에서 영원과 불변의 가치를 갖는 귀금속으로 부의 상징이 되어 왔다. 이러한 심미적인 의미 이외에도,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인체에 아무런 해가 없고 오히려 독소를 없애고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액세서리와 술 등의 음료수에 첨가되는 등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입자가 잘 분산된 콜로이드의 경우, 기미, 주근깨 등 피부에 대한 효능,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2001-0069019호에는 이러한 금의 효능에 대해 잘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피부에 대한 효능이 미흡하였고, 본 발명자들은 여기에 한라봉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피부에 대한 더욱 우수한 효능을 가짐을 알게되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금 분말은 이 기술분야에서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금일 수 있다. 즉, 상기 금 분말은 마이크로미터 또는 나노 크기의 입자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골드클로라이드(gold chloride), 골드브로마이드(gold bromide), 골드 아이오다이드(gold iodide),골드 설파이드(gold sulfide), 클로로오릭액시드(Chloroauric acid), 골드소듐 티오말레이트수화물(gold sodium thiomalate hydrate), 골드 하이드록사이드(gold hydroxide), 골드 시아나이드(gold cynide), 클로로트리에틸포스핀골드(Chlorotriethyl phosphine gold), 클로로트리메틸포스핀 골드(Chlorotrimethylphosphine gold), 클로로트리페닐포스핀 골드(Chlorotriphenylphosphine gol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환원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 나노 입자의 크기가 2~100nm 일 수 있다.
상기 금 분말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평균 1 ~ 500nm 크기의 금입자가 0.001중량% ~ 0.1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메쉬 이상 금입자가 0.1 ~ 0.5중량%, 500메쉬 이상 금입자를 0.1 ~ 1.0중량%를 혼합하여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50nm 크기의 금입자를 0.1중량% 함유하고 50메쉬 이상 크기의 금입자를 0.3중량%, 500메쉬 이상 금입자를 0.5중량%를 혼합하여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한라봉은 쌍떡잎식물 운향목 운향과 만다린계의 귤로써, 제주도에서 재배, 생산되는 제주 한라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라봉의 열매 및/또는 껍질을 분말화한 한라봉 분말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한라봉의 열매 및/또는 껍질을 열수추출한 추출액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한라봉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하는 것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한라봉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한라봉으로부터 추출물 및 분획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한라봉 추출물은 건조한 한라봉을 세척한 후 추출 용매로서 물을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량으로, 3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0.5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추출법으로 추출하거나, 또는 추출 용매로서 에탄올과 물의 혼합용매를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량으로,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의 추출 온도에서, 10 내지 60 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시간 동안, 침적,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한 후 추출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하여 한라봉 추출물을 수득한다. 한라봉 유효성분이 정제된 정제 분획물은 상기 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을 분획하고 농축한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박층 컬럼 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금 분말과 함께 한라봉을 더 포함함으로써, 종래보다 현저히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한 바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이, 쌀발효 추출액, 신이화 추출물, 감초 추출물,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쌀발효 추출액은 쌀(Oryza sativa)을 발효시켜 여과하여 얻은 것일 수 있다. 쌀에는 면역력 강화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쌀을 발효시킨 쌀발표 추출액에는 다양한 유산균 효모 유용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쌀발효 추출액은 본 발명에서 피부컨디셔닝제로 유용하다.
상기 신이화 추출물은, 감초를 추출한 추출액 또는 이것을 고형화한 것일 수 있다. 신이화는 목련꽃의 꽃망울을 말린 것을 뜻하는데 약간 매운맛을 가지고 있다. 신이화는 항염증 작용, 혈압강하 작용, 수렴 작용, 모세혈관 확장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서, 주로 알레르기성 비용, 코감기, 축농증 치료 등에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상기 신이화의 피부 진귤과 포도상구균 억제 작용, 진정작용에 주목하여, 신이화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진균과 포도상균의 억제효과도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초 추출물은, 감초를 추출한 추출액 또는 이것을 고형화한 것일 수 있다. 감초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 살이풀로, 감초에 있는 글리시리친은 피부를 진정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며, 풍부한 플라노보이드는 혈관을 튼튼하게 한다. 소염 작용이 뛰어나고, 진정 작용과 상처를 치료하는 효과도 있어 민감성 피부와 여드름 치료에 탁월하다.
상기 아데나신 및 알부틴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주름개선 효과와 미백 기능을 나타내는 주성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아데나신 및 알부틴과 함께 금 분말 및 한라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고, 본 발명에 따른 한라봉은 상기 아데나신 및 알부틴과 금 분말을 기능 및/또는 효능을 더욱 우수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의 노화방지, 암예방 및 항균 효과를 위한 화장품 및 세안제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한라봉 추출물 및 분획물을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로 배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 미백, 항암 및 항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를 가열해서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0);를 거친다. 여기에, 쌀발효 추출액, 금 분말, 신이화 추출물, 감초 추출물을 함께 넣고 가열해서 추출액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라봉과 금 분말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은 상기 얻은 추출액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유화시키고, 상기 유화시킨 혼합액에 pH 조절제를 투입하며, 상기 pH 조절제를 투입한 혼합액에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혼합한 후, 상기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혼합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화장품으로 제조를 위한 일반적인 성분일 수 있고, 상기한 유화, pH 조절제 투입,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혼합과, 여과의 과정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정을 온도를 점차 낮추어 가면서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상기 원료를 가열해서 추출액을 얻는 것은 70~90℃ 에서 수행하고, pH 조절제 투입 이후에는 30~50℃ 에서 수행하며, 아데나신 및 알부틴은 30~40℃ 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HOMO mixer 에 물과, 제주한라봉, 홍국쌀발효추출액, 금분말, 신이화추출물, 감초추출물을 넣고 이것을 80℃ 에서 가온 용해하였다. 여기에, 환원제로써 EDTA-2Na, Lipidure PMB, Glycerine, 1,3-Butylene Glycol 등을 더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 다음, 화장료 조성물 제조를 위한 다른 첨가제를 더 혼합시켜서 유화시키고, pH 조절제를 별도로 실온에서 용해시킨 후 상기 유화시킨 혼합액에 포함시켰다. 그 후, 상기 혼합액을 진공탈포 및 냉각하며, 40℃ 에서 HALOXYL 을 투입하고, 35℃ 에서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투입한 후, 30℃ 에서 혼합을 종료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인남녀 60명을 대상으로,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종래에 한라봉이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3)

  1.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쌀발효 추출액, 신이화 추출물, 감초 추출물,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원료를 가열해서 추출액을 얻는 단계;
    상기 얻은 추출액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유화시킨 혼합액에 pH 조절제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pH 조절제를 투입한 혼합액에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아데나신 및 알부틴을 혼합한 혼합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라봉과 금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105645A 2011-10-17 2011-10-17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130041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5A KR20130041423A (ko) 2011-10-17 2011-10-17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645A KR20130041423A (ko) 2011-10-17 2011-10-17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423A true KR20130041423A (ko) 2013-04-25

Family

ID=4844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645A KR20130041423A (ko) 2011-10-17 2011-10-17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14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085A (ko) 2015-06-15 2016-12-26 (주)홍원코스텍 마스크 형상의 금박 팩
KR102242940B1 (ko) 2021-01-19 2021-04-22 주식회사 케이라이즈 식물성 추출물이 포함된 비환원성 세정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비환원성 세정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085A (ko) 2015-06-15 2016-12-26 (주)홍원코스텍 마스크 형상의 금박 팩
KR102242940B1 (ko) 2021-01-19 2021-04-22 주식회사 케이라이즈 식물성 추출물이 포함된 비환원성 세정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비환원성 세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269B2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obacco seed-derived component
JP3065661B2 (ja) リンゴワックスの製造方法
CN104800121B (zh) 一种含有软玉的日用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505635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GB2518845A (en) Composition
EP3939563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nordic plant derived ingredients and a mild neutralizing agent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TWI554287B (zh) A deodorant containing a polyol
KR20140096738A (ko)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비누 및 피부미백제
US2014029496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xfoliating particles
WO2016195142A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088720A (ko) 백화고 비누
KR20130041423A (ko) 제주 한라봉과 금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210082651A (ko) 과일과 곡물을 원료로 하는 폼 클렌징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697235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CN109966194A (zh) 一种纯露乳液、膏霜化妆品的制备
KR101421537B1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106050A (zh) 白芨营养粉底霜
JPWO2017119143A1 (ja) 皮膚外用剤
KR20160036122A (ko)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49499A (ko) 와송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609801B1 (ko)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2046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을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