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339A - 이중 암호 패턴을 가진 열쇠와 자물쇠 - Google Patents

이중 암호 패턴을 가진 열쇠와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339A
KR20130041339A KR20137006602A KR20137006602A KR20130041339A KR 20130041339 A KR20130041339 A KR 20130041339A KR 20137006602 A KR20137006602 A KR 20137006602A KR 20137006602 A KR20137006602 A KR 20137006602A KR 20130041339 A KR20130041339 A KR 20130041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ck
cryptographic
blade
tumb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0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7709B1 (ko
Inventor
보 위덴
Original Assignee
윈록 에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록 에이지 filed Critical 윈록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3004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03Details
    • E05B27/0017Tumbler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78Asymmetrical tumbler pins, e.g. with a key operating on a radial protrusion of a tumbler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1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operated by other surfaces of the key, e.g. openings receiving projections on the tumb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05B19/0023Key profiles characterized by variation of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key and the tumbler pins or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17Key profiles
    • E05B19/0041Key profiles characterized by the cross-section of the key blad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key
    • E05B19/0052Rectangular flat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39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with pins which slide and rotate about their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82Side bar lo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88Rotary plug
    • Y10T70/7593Sliding tumblers
    • Y10T70/7599Transverse of plug
    • Y10T70/7605Pin tumblers
    • Y10T70/761Rotatable pins [e.g., MEDECO 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486Single key
    • Y10T70/7508Tumbler type
    • Y10T70/7559Cylinder type
    • Y10T70/7588Rotary plug
    • Y10T70/7593Sliding tumblers
    • Y10T70/7599Transverse of plug
    • Y10T70/7616Including side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85Tumb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91Keys
    • Y10T70/7881Bitt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쇠의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100)를 수용하기 위한 열쇠 홈을 구비된 회전가능한 열쇠 플러그를 구비하는 원기둥형 자물쇠와, 열쇠 플러그 내의 관련된 체임버 내에서 안내되고, 열쇠 홈 안으로 돌출하는 횡방향 손가락부(211a, 211b; 311, 312; 411, 412a, 412b)를 구비하는 적어도 2 개의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301, 302; 401, 402)를 구비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에 대한 것이다.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측면 오목부의 외측부에 위치하고 하나의 측면(101)에 인접한 주 암호면(131-135; 141"; 151)과, 상기 측면 오목부의 더 깊은 부분을 형성하는 홈부에 형성되는 보조 암호면(141-145; 142'; 152)을 구비하고, 상기 열쇠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01)에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구분된 암호면을 구비하는 열쇠 블레이드의 측면 오목부(115, 118)에 형성된 암호 패턴(11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 암호면과 보조 암호면은 관련된 측면 잠금 텀블러의 제1, 제2 손가락부(211b, 311, 411 및 211a, 312, 412a)와 결합된다. 이러한 자물쇠와 열쇠를 자용하여 마스터키 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암호 패턴을 가진 열쇠와 자물쇠{Lock and key with double code pattern}
본 발명은 기둥형 자물쇠와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를 가진 열쇠를 포함하는 자물쇠와 열쇠 조합체에 대한 것이다.
상기 자물쇠는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를 받아들이기 위한 열쇠 홈을 구비하는 회전가능한 열쇠 플러그와, 상기 기둥형 자물쇠 내의 적어도 2 개의 측면 잠금 텀블러(side locking tumblers)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는 상기 열쇠 플러그 내의 관련된 체임버에서 수직 및 가능하게는 회전 이동에 대하여 안내되고, 상기 열쇠 홈에 열쇠를 삽입하면 상기 열쇠 블레이드와 결합을 위한 열쇠 홈을 향해 돌출하는 횡방향 손가락부를 구비한다. 상기 열쇠 블레이드는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와 결합하기 위한 측면 오목부에 관련된 암호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암호화된 열쇠를 상기 열쇠 홈에 정확히 삽입시킬 때 상기 열쇠 플러그가 상기 기둥형 자물쇠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를 놓이게 한다.
그러한 자물쇠와 열쇠는 이미 공지되어 있는데, 예컨대, 미국특허 US 4,756,177호 및 US 5,715,717호(둘 다 보 위덴, Bo Widen 이름으로)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자물쇠와 열쇠 시스템은 높은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고 많은 암호 조합을 제공한다.
더욱이, 오스트리아 특허 명세서 AT 392 508 B는 비스한 자물쇠 열쇠 조합을 공개하는데, 측면 잠금 텀블러의 횡방향 손가락부는 다른 길이를 가지는데, 하나는 제1의 짧은 길이부를 갖고, 다른 하나는 제2의 긴 길이부를 가지며, 상기 짧은 손가락부는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상기 측면 오목부의 바같부분에서 다수의 제1 암호면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긴 손가락부는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측면 오목부의 내부의 깊은 부분에서 다수의 제2 암호면 부분을 구비한다.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동일하거나 향상된 보안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한층 더 많은 수의 암호 조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로 달성되는데,
- 이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에서는, 횡방향 손가락부가 각각 특정한 종방향 위치에 놓여지고, 상기 종방향 위치는 관련된 체임버의 중심축을 통해 연장되는 횡방향 평면에 대해 중심맞춰져 있거나 상기 횡방향 평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변위되어 있고,
- 열쇠 홈에 열쇠를 삽입시킬 때, 상기 횡방향 손가락부가 상기 제1, 제2 암호면 부분(111, 112; 141, 142; 151, 1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열쇠의 제1 및 제2 암호면 부분은 종방향으로 특정하게 분포되어 있고,
- 상기 제1, 제2 암호면 부분은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에서 일반적으로 변화하거나 3차원적으로 분리된 개별적인 위치에 놓여지고, 즉
- 상기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수직 평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 상기 수직 평면에 직각인 깊이 방향으로, 그리고
- 상기 열쇠 블레이드를 따라 종방향으로 놓여져서,
암호 조합이 증가된 정밀한 암호 패턴이 열쇠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각각 제1, 제2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측면 잠금 텀블러의 두 가지 종류는, 두 개의 암호면에서 다양한 암호 위치와 결합하면서 광범위한 암호 조합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암호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자물쇠와 열쇠 블레이드에 매우 정밀하고 광범위한 암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암호면의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되어 있다.
측면 오목부의 바깥 부분의 홈부에 2 개의 대향하는 제1 측벽들 중의 하나에 의해 주 암호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부는 또한 내부벽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대향하는 제2 측벽들과 그 사이의 바닥벽을 구비하는 홈부에 의하여 보조 암호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두 개의 암호면이 별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측면의 아주 제한된 영역에 한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능한 암호 조합의 수가 아주 커지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하게 보여지듯이, 암호 패턴의 구조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청구범위의 종속항에서도 기술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호 패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스터키를 구비하는 마스터키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고, 단지 하나의 자물쇠 또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자물쇠를 작동하는 많은 수의 특정 열쇠를 구비하는 열쇠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동일하거나 향상된 보안 수준을 유지하면서도 한층 더 많은 수의 암호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열쇠 블레이드에 이중 암호 패턴을 가지는 열쇠와, 관련된 열쇠(열쇠의 나머지 부분은 도시하지 않음)의 복수의 측면 잠금 텀블러(각각의 잠금 텀블러는 반원기둥체를 구비함)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a는 측면 텀블러 없는 상태로 열쇠를 보여주는데, 도 1에서보다 이중 암호 패턴을 잘 보여준다.
도 2는 측면 잠금 텀블러를 가지는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각각의 텀블러는 단일 원기둥체로 형성된다.
도 2a는 측면 잠금 텀블러 없는 상태로 열쇠를 보여준다.
도 2b는 도 2의 열쇠를 측면도로 나타낸다.
도 2c는 도 2b에서 IIc-IIc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3 실시예의 다수의 측면 잠금 텀블러를 가진 열쇠의 사시도로서 다른 종류의 측면 잠금 텀블러를 나타낸다.
도 3a는 측면 잠금 텀블러 없이 도 3의 열쇠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의 열쇠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도 3b에서 IIIc-IIIc선을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돌출 손가락부를 가지는 한쌍의 반원기둥 측면 잠금 텀블러를 나타내는 평면도, 사시도, 다른 사시도이다.
도 4d는 관련된 열쇠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 도 5b, 도 5c, 및 5d는 다른 돌출 손가락부를 가지는 2 개의 원기둥 측면 잠금 텀블러와, 관련된 열쇠의 상응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도 6a, 도 6b, 도 6c, 및 6d는 다양한 돌출 손가락부를 가지는 2 개의 다른 종류의 측면 잠금 텀블러와, 관련된 열쇠를 통한 상응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도 7a, 도 7b, 도 7c, 7d, 7e 및 7f는 다양한 돌출 손가락부를 가지는 원기둥 측면 잠금 텀블러를 나타낸다.
도 8a, 도 8b, 도 8c, 8d, 8e 및 8f는 확대된 외측 부분을 가지는 돌출 손가락부를 가지는 원기둥 측면 잠금 텀블러, 좁은 손각락부를 가지는 텀블러, 및 관련된 열쇠의 단면 및 측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9a, 도 9b, 도 9c, 9d, 9e 및 9f는 하방으로 향한 바깥 부분을 가지는 돌출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측면 잠금 텀블러를 앞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마스터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약간의 가능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과 도 1a에서는, 열쇠(100)와 관련된 자물쇠(200, 전체를 보이지는 않음)의 다수의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202a, 202b)의 조합을 나타내는데, 다수의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202a, 202b) 중의 2 개(4 개의 절반부)는 전체가 도시되고, 세 개의 텀블러(203, 204, 205)는 1점 쇄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텀블러는 각각 2 개의 절반부의 텀블러(201a, 201b)로 분할되어 자물쇠(200)의 열쇠 플러그 내 공통의 체임버 또는 공동부 내에서 독립적으로 수직방향으로(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열쇠 플러그는 열쇠(100)를 수용할 중앙 열쇠 홈을 구비하는데, 도시하지는 않았고,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는 신규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열쇠(100)에는 새로운 종류의 암호 패턴(도 1a 참조) 즉, 이중 암호 패턴(110)이 형성되는데, 이 이중 암호 패턴(110)은 미리 특정하게 정해진 2 개의 개별적인 암호면을 구비하며, 이 2 개의 암호면은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102)의 바깥 측면(101)의 측면 오목부에 있는 비교적 낮은 외측 오목부 또는 홈부(111, 또는 그 측벽(114))에 의해 형성된 주 암호면과, 더 깊은 내부 홈부(112)에 형성된 보조 암호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주 암호면을 형성하는 외측 홈부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113, 114) 및 그 사이의 내부벽 또는 바닥벽(115)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부의 측벽(114)은 이 경우에는 파형으로 된 암호화된 종방향면을 형성한다. 어떤 위치에서는 이 파형의 암화화된 면은 여러가지 측면 잠금 텀블러(201 즉 도 1에서 오른쪽 절반부인 201b, 202 즉 도 1에서 오른쪽 절반부인 202b, 203, 204, 205)에 상응하는 암호면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암호면 부분은 도 1a에서는 도면부호 131, 132, 133, 134, 및 135로 표시된다. 이들 암호면 부분은, 열쇠가 자물쇠(200) 내에 적절히 삽입되었을 때, 수직위치에서 측면 잠금 텀블러의 절반부(201b, 202b, 203b...)를 지지한다.
상기 암호화된 하부면 즉 측벽(114)을 구비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상부의 측벽(113)은 암호화가 필수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부의 측벽(113)은 첫번째 측면 잠금 텀블러의 횡으로 돌출하는 제1 손가락부를 상하로 적극적으로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서 상기 하부의 측벽(114)와 항상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상부의 측벽(113)이 배제되는 경우에는 상기 첫번째 측면 잠금 텀블러가 예컨대 스프링과 같은 것에 의해 상기 측벽(114)과 접촉(아래에서 설명될 제1 손가락부로)하여야 하며, 헐리컬 스프링을 보여주는 도 3, 도 6a, 도 6b, 도 6c를 참조할 수 있다. 이리하여, 상기 하부의 측벽(114)은 상기 열쇠 블레이드(102)의 측면에서의 선반면에 인접하여 (그리고 그 아래에)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면의 깊이나 두께는 하부 측벽(114)의 깊이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측벽(114)의 반대쪽에는 어떠한 측벽도 없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쇠 블레이드(102)의 바깥 측면(10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인접하는 내부벽 또는 바닥벽(115)이 있다. 이 내부벽 또는 바닥벽(115)은 상기 외측 홈부(111)의 대향하는 측벽(113, 114)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외측 홈부의 폭은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벽 또는 바닥벽(115) 안으로 절삭된 더 깊은 내측 홈부(112)보다 더 크다.
상기 더 깊은 내측 홈부(112)는 대향하는 측벽을 구비하는데, 즉 상부 측벽(116)과 하부 측벽(117)을 구비한다. 이 측벽(116, 117)들 사이에서 상기 홈부는 상기 열쇠(100)의 바깥 측면(10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또한 상기 바닥벽(115) 또는 바깥 홈부(111)에도 평행한)바닥벽(118)을 구비한다.
상기 2 개의 홈부(111, 112)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것이고 각각 제1, 제2 손가락부에 의해 각각의 측면 잠금 텀블러를 안내한다. 이것은 도 1a에도 도시되었는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202a, 202b)를 보여주는 도 4a, 4b, 4c로부터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반원기둥 측면 잠금 텀블러(201a)는, 열쇠가 자물쇠로 삽입될 때, 상기 파형의 암호면 또는 측벽(117)과 결합하고 따르는 상대적으로 긴 제2 손가락부(211a)를 구비한다. 두 개의 반원기둥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는 열쇠 플러그(도시 안됨) 내의 관련된 체임버 내에서 회전하지 않게 안내된다. 따라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는 회전하지 않게 되고,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제2 손가락부(211a, 211b)는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가 상하로 움직일 때 선회하지 않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손가락부(211a, 211b) 모두는 상기 열쇠가 종방향으로 이동할 때, 관련된 각각의 홈부(111, 112) 내에서 적극적으로 안내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더 긴 손가락부(211a)는 안쪽의 좁은 홈부(112)의 폭이나 높이에 상응하여 그 자유단 부분에서 좁게 되어 있고, 반면에 더 짧은 손가락부(211b)는 상대적으로 넓거나 높이 되어 있어서, 바깥쪽의 상대적으로 넓은 홈부(111)의 전체 높이와 폭을 채우도록 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홈부(111, 112)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을지라도, 주목해야할 조건이 있다: 내부의 홈부(112)는 정상적으로 외부의 홈부(111)와 교차하지 않아야 하는데(그러나 어떠한 상황에서는 교차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외부의 홈부(111)가 방해받을 수 있고 상기 짧은 손가락부(211b)와 관련된 측면 잠금 텀블러(201b)의 이동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확하게 구성된 열쇠(100)가 자물쇠(20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201b, 202b, 203b, 등)는 측벽(114)의 암호면 부분(131, 132, 133, 134, 135)에 의해 정해진 미리 특정하게 정해진 잘 정의된 위치에 놓이게 될 것이고, 인접한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2a, 203a)는 마찬가지로, 내부의 홈부(112)의 하부 측벽(117)의 암호면 부분(141, 142, 143, 144,145 )에 의해 미리 정해진 잘 정의된 위치에 놓이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미리 특정하여 잘 정의된 위치에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205)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기둥형 자물쇠(200) 내에서 열쇠 플러그(도시 안됨)의 회전을 허용하는 측면 바아(side bar, 도시안됨)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정렬된 후방 측면 오목부(231a, 231b)를 구비할 것이다.
도 4d는 넓고 높은 그러나 얕은 외부의 홈부(111)와 좁고 깊은 내부의 홈부(112) 및 이들 홈부의 바닥면(115, 118)을 구비하는 이중 암호패턴(110)을 구비하는 열쇠 블레이드(102)를 통한 단면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가장 깊은 홈부(112)는 열쇠 블레이드(102)의 두께의 절반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다.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홈부(111, 112)에 의해 형성된 상기 파형 암호 패턴은 상기 열쇠 블레이드(102)의 자유단 또는 끝부분에 경사면(150, 이 경우에서는 공통의 경사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열쇠(100)가 자물쇠의 열쇠 홈에 삽입될 때, 상기 자물쇠(자물쇠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음)의 측면 잠금 텀블러가 그들의 손가락부로 상기 경사면(150)을 타고 오를 것이고, 그 다음 각각의 파형 홈부(111, 112)를 따르는 한편, 대향하는 각각의 측벽(116, 117; 113, 114)에 대하여 상기 손가락부의 상부면과 하부면과 결합하게 된다. 이러는 과정에,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202a, 202b)는 상기 열쇠 블레이드(102)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오르내리며 이동할 것이고, 각각의 손가락부(211a, 211b, 212a, 212b...)는 각각 암호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231a, 231b...)가, 정렬되어 측면 바아(도시 안됨)가 상기 오목부에 들어가도록 하며 열쇠 플러그가 자물쇠(200)의 기둥형 하우징(도시 안됨) 안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표면부분(131, 132, 133, 134, 135; 141, 142, 143, 144, 145) 위에 놓여진다.
다른 손가락부(긴 손가락부, 짧은 손가락부, 또는 제1, 제2 손가락부)를 가지는 다양한 측면 잠금 텀블러의 수직 위치는 일반적으로 서로 다르고 독립적으로 될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식으로, 상기 이중 암호(110, 111, 112)가 열쇠 블레이드의 제한된 영역에 아주 집적되고 한정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아주 많은 가능한 암호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는 열쇠 플러그에서 표준 타입의 기둥형 체임버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텀블러의 후방에서 오목부와 상호작용하는 측면 바아(side bar)에 대한 다른 실시로서, 종래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텀블러는 그 종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어서, 자물쇠의 하우징의 기둥형 내부 표면에 인접한, 열쇠 플러그에 있는 상응하는 홈(bores)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중요한 실시예에서는, 열쇠 블레이드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2 개의 암호면이 있다. 한편,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는, 도 1, 도 4a, 도 4b, 도 4c에 보인 바와 같은 종방으로 절개된 형식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일부(또는 적어도 하나)가 짧은(제1) 손가락부를 가지고 나머지(또는 적어도 하나)가 긴(제2) 손가락부를 가지는 한, 전부 또는 일부의 텀블러는 다른 형식일 수도 있다.
원기둥형 측면 잠금 텀블러가 도 2(관련된 열쇠는 도 2a, 도 2b,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그러한 원기둥형 측면 잠금 텀블러(301, 302 등, 도 5a, 도 5b, 도 5c도 참조)에는 횡방향 손가락부(311, 312 등)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손가락부의 일부(도 5a에서 311)는 짧고 높은 즉 "제 1" 손가락부이고, 다른 손가락부(도 5a의 312)는 길고 좁은 즉 "제 2" 손가락부이다. 앞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손가락부(311)는 열쇠 블레이드(102)의 측면 오목부의 외측 부분(111)에서 암호면과 결합되는 반면, 상기 길고 좁은 "제 2" 손가락부는 더 깊은 홈부(112)와 결합하여 따른다 (도 4d에서 더 깊은 홈부(112)는 제일 높은 쪽에 위치하고, 도 5d에서 더 깊은 홈부(112)는 제일 낮은 쪽에 위치한다.)
도 5a와 도 5b에서, 상기 손가락부(312, 311)는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의 본체부에 대하여 오른쪽으로 변위되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물론 이러한 손가락부는 중앙이나 왼쪽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그러한 다양한 위치는 도 7a, 도 7b, 도 7c(길고 낮은 즉 "제2" 손가락부(312ℓ, 312c, 312r)에 대하여)에 그리고 도 7d, 도 7e, 도 7f( 짧고 높은 즉 "제1" 손가락부(311ℓ, 311c, 311r)에 대하여)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종류의 측면 잠금 텀블러들을 섞는 다른 가능성도 있다. 도 3에는(그리고 도 6a, 도 6b, 도 6c에), 측방향 손가락부(411)를 외측의 파형 암호면(141')에 접촉되어 있도록 하게 하는 헬리컬 스프링(421)에 의해 눌려지는 제1 측면 잠금 텀블러(401)와, 파형의 더 깊은 홈부(142', 도 6d 참조)에 의해 안내되는, 도 4a에 보인 종류의 한 쌍의 제2 측면 잠금 텀블러(402a, 402b, 둘 다 길고 낮은 손가락부(412a, 412b)를 구비하고)가 나타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제1, 제2 잠금 텀블러(401, 402a, 402b)는 각각 다르게 형성된 암호면(141', 142')를 접촉하여 따르게 될 것이다.
상기 제1 측면 잠금 텀블러(401)는 국제특허출원 WO 2006/098657호에 개시된 종류인데, 즉, 도 6a에 화살표(A)로 나타낸 바와 같이, 2 개의 회전 단부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고, 상기 손가락부(411)는 도 6b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텀블러(401)와 순가락부(411)를 통하는 중앙면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는 열쇠 접촉면(411as)을 구비하고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열쇠 접촉면(411as)이 상기 국제특허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목형상(concavity)으로 형성된 암호면 부분에 적절히 한정된 위치에 안착되면서 상기 손가락부는 관련된 암호면 부분(141c, 도 3a 및 도 3b 참조)에 의하여 위치정해질 수 있다. 상기 열쇠 블레이드가 자물쇠에 안착될 때, 상기 오목형상(concavity)은 일반적으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401)의 소정 위치(도 3a와 도 3b에서 A1)에 대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 또는 중앙쪽에 위치하게 되고, 그리하여 암호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면 잠금 텀블러(401)는 회전가능하면서 수직방향으로(상하로)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정확한 위치에서, 후방에 있는 오목부(431, recess)는, 상기 한 쌍의 측면 잠금 텀블러(402a, 402b)의 후방에 상응하게 정렬된 오목부와 정렬될 것이고, 그리하여 측면 바아(side bar, 도시안됨)가 정렬된 오목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여 열쇠 플러그(도시 안됨)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의 외측부는 보다 넓게 되어 있고, 더 깊은 내측부(홈을 형성하는)는 보다 좁다. 아래에 상술된 상기 2 개의 실시예에서, 그 구조는 다르게 되어 있는데: 상기 오목부의 외측부는 상대적으로 좁고, 더 깊은 내측부는 상대적으로 넓다.
도 8a, 도 8b, 도 8c에서는, 3 개의 다른 "제2" 측면 잠금 텀블러(502)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왼쪽, 중앙 및 오른쪽으로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긴 손가락부(512ℓ, 512c, 512r)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제2 측면 잠금 텀블러의 어느 하나는 하부절삭된(undercut) 깊은 홈부(152)를 가지는 관련된 열쇠(150, 도 8e 참조)의 측면 오목부 안으로 끼워질 것이다. 상기 홈부는 상부 및 바닥부에서 하부절삭되어 그 최외측의 확장부로 상기 손가락부(512ℓ, 512c, 512r)의 어느 하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열쇠(150)의 측면 오목부도 좁은 외측부를 구비하는데, 이 좁은 외측부는 "제1" 측면 잠금 텀블러(501, 도 8d)의 낮은 손가락부(611)를 꼭맞게 수용하여 안내할 수 있는 규격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낮은 손가락부(511)가 상기 손가락부(512ℓ, 512c, 512r) 보다 더 짧을 것이 엄격하게 요구되지는 않는다. 점선으로 표시된 윤곽의 손가락부(511')로 나타낸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이렇게 변형된 낮은 손가락부(511')가 상대적으로 길지라도, 자유단 부분은 어떤 암호면도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손가락부(512ℓ, 512c, 512r)는 더 깊은 하부절삭된 홈부(152)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낮은 손가락부(511 또는 511')는 상기 측면 오목부의 외측부(151)에 의해 안내될 것이다.
도 9e에 보인 실시예에서, 상기 열쇠(160)는 좁은 외측부(161)와 넓은 내측부(162)를 가진 측면 오목부 또는 홈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내측부(162)는 하부가 절삭되어 있다. 측면 잠금 텀블러(602)는 상대적으로 긴 상응하는 손가락부(612ℓ, 612c, 612r)를 구비하는데, 상기 손가락부(612ℓ, 612c, 612r)에는 상기 하부절삭된 내측부(162) 내에 꼭맞도록 아래쪽으로 향한 더 넓은 외측부를 구비한다. 이들 손가락부의 상기 내측부는 상기 측면 오목부의 외측부(161) 보다 더 좁아서, 최외측 부분만이 상기 하부절삭된 오목부인 내측부(162)의 하부에 의해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 하부 부분은 제2 측면 잠금 텀블러(602)의 긴 또는 "제2" 손가락부(612ℓ, 612c, 612r)와 결합하는 파형의 보조 암호면을 형성한다.
좁은 제1 손가락부(611)를 구비하는 "제1" 측면 잠금 텀블러(601)가 도 9d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손가락부(611)는 앞의 실시예(도 8d)에서 좁은 손가락부와 같이, 도면에서 611'로 표시된 것처럼 어느정도 더 길 수도 있다. 상기 열쇠(160) 자체는 도 9f에 측면도로 나타나 있다. 상기 측면 오목부의 외측부(161)와 내측부(162)의 구조에 의해 따르게 되는 기하학적인 제한 때문에 상기 내외측부가 서로 가까이 유지하여야 할지라도, 물론, 상기 외측부(161)와 내측부(162)로 형성된 상기 암호면은 일반적으로 그 파형 구조에서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는 상부 스프링(621)에 의해 아래로 눌려져 그 손가락부(612ℓ, 612c, 612r)는 항상 각각의 암호면(상기 측면 오목부의 내외측부(162, 161)의 하부 측면)과 접촉할 것이다.
상기 내외측부(162, 161)의 상부는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601, 602)와 결합하지 않아서 이들 오목부의 상부 측벽은 도 9f에 보인 바와 같이 직선과 같이 될 수 있다.
더욱이, 단지 외측부(161)의 표면(제1 암호면을 형성하는)과, 인접하는 내측부(162, 제2 암호면을 형성하는)만을 남기고 상기 열쇠(160)의 상부의 좌측부를 점선(163)의 왼편으로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쇠 블레이드의 한쪽 측면에 있는 측면 오목부의 (주 암호면과 보조 암호면을 구비한) 외측부와 내측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및 "제2" 측면 잠금 텀블러가 있어야 한다. 이들 제1 및 제2 측면 잠금 텀블러는 일반적으로 모두 같은 종류(속이 차고, 원기둥형, 또는 반원기둥형 또는 기타 다른 종류)이거나, 모두 다른 종류(원기둥형 및 반원기둥형)이다. 또한, 상기 텀블러의 손가락부는 모든 "제1" 측면 잠금 텀블러에 대해 그리고 모든 "제2" 측면 잠금 텀블러에 대해 동일한 종류이거나,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 외내측부의 암호면들은 파형일 필요는 없으며, 제1 및 제2 손가락부가 이들 암호면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는 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암호면들은 직선부와 작은 불규칙부 또는 계단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더욱이, 그러한 불규칙부나 계단부는 관련된 손가락부가 종방향으로 타고 오르거나 내려가기에 충분하게 작아야 한다. 다음 암호면 부분에 상기 손가락부를 잡아서 손가락부가 타고 오르게 할 경사면 등이 구비되면 중단 부분이 있어도 된다.
물론, 열쇠 블레이드는 한쪽 측면에만 또는 양 측면에 이중 암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열쇠는 중앙에 위치하는 핀과 상호작용하는 열쇠 블레이드의 상부단에 종래의 암호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열쇠는 또한 역전가능할 수도 있고 (아래 위가 바뀔 수 있고), 적절한 종방향 프로파일 홈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측면 잠금 텀블러의 수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는데, 예컨대 단지 2 개의 반원기둥 텀블러만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텀블러의 기하학적 형상은 달라질 수 있는데, 예컨대 원형 단면이 아니라 사각단면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원기둥'으로 표현하나 원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0a, 도 10b, 도 10c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이중 암호 패턴은 특정하게 구조화된 열쇠(도 10b, 도 10c에서 B, C)를 가진 자물쇠와 열쇠 시스템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스터키(도 10a)를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도면들은 상기 열쇠의 끝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텀블러 부분 및 상응하는 열쇠 암호면 부분을 보여줄 뿐이다. 그러나, 동일한 원칙이 상기 열쇠의 나머지 암호면 부분에도 적용된다.
도 10b(도 1a, 도 7b, 도 7e와도 비교해 보라)에 보인 특정 열쇠("변경 열쇠") B는 주 암호면(114)를 구비하는 넓거나 높은 제1 홈부(111)가 이 위치에서 해제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상응하는 높은 (그리고 짧은) 제1 텀블러의 손가락부(311c)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 제2 암호면(115')을 구비하는 좁고 깊은 제2 홈부(112)는 도 10c에 보인 바와 같이 위치되는 제2 텀블러 손가락부(312c)로 자물쇠를 해제하지 않을 것인데, 이는 상기 제2 암호면(115')이 (너무 상승되어 있는) 이 위치에서 너무 높기("d" 보다 더 높음) 때문이다.
한편, 도 10c에 보인 특정 열쇠 C는 이 특정한 높에에 위치된 긴 텀블러 손가락부(312c)를 구비하는 자물쇠를 작동시킬 것이나, 도 10b에 보인 바와 같이 위치된 짧고 높은 텀블러 손가락부(311c)를 구비하는 자물쇠는 작동시키지 못하는데, 이는 상기 주 암호면(114')이 이 위치에서 너무 낮기(저 상승됨)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두 개의 특정 열쇠 C와 B는 각각 특정한 자물쇠만 작동시키고 둘 다를 작동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마스터키 A는 상기 텀블러 손가락부(311c, 312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자물쇠 모두를 작동시킬 것이며, 이는 두 개의 암호면(114, 115)이 정확하게 맞는 높이로 위치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마스터키 A는 상기 주 암호면(114)과 결합하는 해제 위치에서, 높고 짧은 텀블러 손가락부(311c)들을 가지는 자물쇠들도 작동시키게 됨과 아울러, 부조 암호면(115)과 결합하는 해제 위치에서, 좁고 긴 텀블러 손가락부(312)들을 가지는 자물쇠들도 작동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마스터키는 다양한 위치에서 다른 종류의 잠금 텀블러를 갖는 모든 자물쇠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각각의 특정 열쇠는 자물쇠 그룹 내의 단 하나의 자물쇠 또는 소그룹 또는 하위 그룹의 자물쇠만 해제할 수 있다.
마스터키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원칙을 사용함으로써,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둘이나 셋 또는 그 이상의 레벨을 가진 마스터키를 가진 시스템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이중 암호 패턴을 포함하는 많은 다양한 마스터키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된 것과 같은, 각각의 손가락부의 종방향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100: 열쇠 102: 열쇠 블레이드
110: 이중 암호 패턴 111: 홈부
113, 114: 측벽 115: 바닥벽
201, 202: 측면 잠금 텀블러

Claims (18)

  1.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를 구성하되,
    -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열쇠 홈이 형성된 회전가능한 열쇠 플러그를 구비하는 원기둥형 자물쇠,
    - 상기 열쇠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열쇠(100),
    - 상기 열쇠 플러그에 있는 관련된 체임버에서 수직방향 및 회전방향 이동을 위해 안내되고, 상기 열쇠 홈으로 상기 열쇠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열쇠 블레이드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열쇠 홈으로 돌출하는 횡방향 손가락부(211a, 211b; 311, 312; 411, 412a, 412b)를 구비하고, 상기 원기둥형 자물쇠에 형성된 적어도 2 개의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301, 302; 401, 402), 및
    - 상기 열쇠 홈에 정확히 암화화된 열쇠를 삽입시킬 때 상기 열쇠 플러그를 상기 원기둥형 자물쇠 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손가락부와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측면 오목부(115, 116)에 형성된 관련된 암호 패턴(110)을 구비하고,
    - 상기 손가락부는 다른 길이를 가지되, 적어도 하나는 제1의 짧은 길이를 갖고, 적어도 하나는 제2의 긴 길이를 가지고,
    - 상기 짧은 길이를 갖는 손가락부는,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상기 측면 오목부의 외측부에서 다수의 제1 암호면 부분을 가지는 주 암호면과 결합하고, 상기 긴 길이를 갖는 손가락부는,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상기 측면 오목부의 더 깊은 내측부에서 다수의 제2 암호면 부분을 가지는 보조 암호면과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에 있어서,
    - 상기 체임버의 중심축을 통해 연장하는 횡방향 평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변위되어 있거나 이 횡방향 평면에 대해 중심맞춰진 특정한 종방향 위치에 상기 횡방향 손가락부가 위치되어 있고,
    - 상기 열쇠 홈에 열쇠를 삽입시킬 때, 상기 횡방향 손가락부가 상기 제1, 제2 암호면 부분(111, 112; 141, 142; 151, 1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열쇠의 제1 및 제2 암호면 부분은 종방향으로 특정하게 분포되어 있고,
    - 상기 제1, 제2 암호면 부분은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에서 일반적으로 변화하거나 3차원적으로 분리된 개별적인 위치에 놓여지되,
    - 상기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수직 평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 상기 수직 평면에 직각인 깊이 방향으로, 그리고
    - 상기 열쇠 블레이드를 따라 종방향으로 놓여져서,
    암호 조합이 증가된 정밀한 암호 패턴이 열쇠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암호면은 상기 측면 오목부의 상기 더 깊은 부분을 형성하는 내측 홈부(112)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암호면은 상기 측면 오목부의 상기 외측부(111; 141', 151)를 형성하는 외측 홈부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외측 홈부는 상기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의 상기 하나의 측면에 인접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홈부(112)는 상기 측면 오목부의 상기 외측부(111)보다 더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홈부(152)는 하부 절삭되어 있고 상기 측면 오목부의 상기 외측부(151)보다 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구분된 상기 암호면 부분(131 내지 135; 141' 내지 145)의 적어도 하나는 파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손가락부(211a, 211b)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면 오목부(112, 111)에 있는 대향하는 벽들 사이에서 적극적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손가락부(211a, 211b) 중의 하나의 손가락부(211b)는,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 수직 길이로 측정하여, 다른 손가락부(211a)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측면 잠금 텀블러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관련된 암호면과 결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으로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제2 측면 잠금 텀블러의 적어도 하나(201a, 201b)는
    동일한 상기 체임버에 수용된 텀블러의 다른 절반부에 보충적인 텀블러 절반부에 의해 구성되고, 각각의 쌍으로 된 이러한 2 개의 절반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201a, 201b, 202a, 202b)은 종방향 열의 쌍으로 되어 있고, 각 쌍은 2 개의 보완적인 절반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잠금 텀블러(201b) 및/또는 상기 제2 측면 잠금 텀블러(201a)는 상기 열쇠 플러그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쇠 플러그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안내되는 측면 잠금 텀블러(302)가, 상기 열쇠 홈의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각각의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를 통해 연장하는 중앙면에 대하여 중앙에 놓이거나(312c), 이 중앙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312ℓ, 312r) 특정한 위치에 놓인 횡방항 손가락부를 구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502)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의 홈부의 하부 절삭부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제1의 좁은 부분과 제2의 넓은 부분을 구비하는 손가락부(512ℓ, 512c, 512r)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의 적어도 하나의 텀블러(401)는 상기 열쇠 플러그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안내되고, 상기 관련된 손가락부(411)는 상기 관련된 암호면에 결합되어 있는 동안 두 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키(A)와 적어도 2 개의 특정한 열쇠(B, C)를 구비하고 이들 모든 마스터키(A)와 특정한 열쇠(B, C)는 주 암호면과 보조 암호면을 가진 이중 암호를 가지고, 상기 마스터키(A)는, 어러가지 위치에서 다른 종류의 잠금 텀블러(311c 또는 312c)를 가지는 자물쇠 그룹에서 모든 자물쇠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 상기 특정한 열쇠(B, C) 각각은 상기 자물쇠 그룹 내에서 단지 하나의 자물쇠 또는 소그룹의 자물쇠만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와 열쇠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원기둥체에 의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물쇠 및 열쇠 조합체.
  18. 열쇠 홈을 가진 열쇠 플러그와, 적어도 2 개의 측면 잠금 텀블러를 구비하는 원기둥형 자물쇠를 작동시키기 위한 열쇠로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와 결합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열쇠 홈에 상기 열쇠 블레이드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열쇠 플러그를 상기 원기둥형 자물쇠 내에서 회전하게 하는 위치로 상기 측면 잠금 텀블러를 위치시키는, 측면 오목부에 형성된 암호 패턴(110)을 갖추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102)를 구비하는 열쇠(100)에 있어서,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측면 오목부에 형성된 상기 암호 패턴은,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2 개의 구분된 암호면을 구비하고,
    상기 암호 패턴은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동일한 측면(101)에,
    - 상기 측면 오목부의 외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종방향으로 특정하게 분포되고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상기 하나의 측면에 인접하는 제1 암호면 부분을 구비하는 주 암호면 (131 내지 135; 141'; 151)과, 상기 측면 오목부의 내측의 더 깊은 부분에 종방향으로 특정하게 분포된 제2 암호면 부분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암호면(141-145; 142'; 152)을 구비하고,
    - 상기 제1, 제2 암호면 부분은 상기 열쇠 블레이드의 각각의 텀블러 접촉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변화하거나 3차원적으로 분리된 미리 특정되어 잘 정의된 위치에 놓여지되,
    - 상기 평평한 열쇠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수직 평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 상기 수직 평면에 직각인 깊이 방향으로, 그리고
    - 상기 열쇠 블레이드를 따라 종방향으로 놓여져서,
    암호 조합이 증가된 정밀한 암호 패턴이 열쇠 블레이드에 형성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쇠.
KR1020137006602A 2010-09-23 2011-09-21 이중 암호 패턴을 가진 열쇠와 자물쇠 KR101467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89,150 US8156777B1 (en) 2010-09-23 2010-09-23 Lock and key with double code pattern
US12/889,150 2010-09-23
PCT/SE2011/051133 WO2012039671A1 (en) 2010-09-23 2011-09-21 Lock and key with double code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339A true KR20130041339A (ko) 2013-04-24
KR101467709B1 KR101467709B1 (ko) 2014-12-10

Family

ID=4586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602A KR101467709B1 (ko) 2010-09-23 2011-09-21 이중 암호 패턴을 가진 열쇠와 자물쇠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8156777B1 (ko)
EP (1) EP2619388B1 (ko)
JP (1) JP5777717B2 (ko)
KR (1) KR101467709B1 (ko)
CN (1) CN103097631B (ko)
AP (1) AP3687A (ko)
AU (1) AU2011306095B2 (ko)
BR (1) BR112013006539A2 (ko)
CA (1) CA2808371C (ko)
CO (1) CO6720966A2 (ko)
EA (1) EA023333B1 (ko)
HK (1) HK1182157A1 (ko)
IL (1) IL225069A (ko)
MX (1) MX335987B (ko)
MY (1) MY165383A (ko)
PE (1) PE20131373A1 (ko)
SG (1) SG189008A1 (ko)
WO (1) WO2012039671A1 (ko)
ZA (1) ZA2013017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3487A1 (de) * 2009-07-15 2011-01-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chließvorrichtung
AU2009354815B2 (en) * 2009-10-30 2014-11-20 Schlage Lock Company Lock cylinder and key combination
DE102010001790A1 (de) * 2010-02-10 2011-08-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42551 Schließvorrichtung
WO2012148913A1 (en) * 2011-04-25 2012-11-01 Schlage Lock Company Llc Key and lock cylinder combination
WO2013030077A1 (de) * 2011-08-26 2013-03-07 Ernst Keller Drehschliesszylinder und sicherheitsschlüssel
US8950226B2 (en) * 2011-10-12 2015-02-10 Moshe Dolev Cylinder lock assembly with non-rotating elements
SE536452C2 (sv) * 2012-03-22 2013-11-12 Winloc Ag Lås- och nyckelkombination med roterbara tillhållare
WO2013169760A1 (en) * 2012-05-08 2013-11-14 Schlage Lock Company Llc Variable section key and lock
US20140216114A1 (en) * 2013-02-07 2014-08-07 Schlage Lock Company Llc Lockdown cylinder locks
US8720241B1 (en) * 2013-05-22 2014-05-13 Winloc Ag Cylinder lock and key with side bar
US9435138B2 (en) 2014-02-28 2016-09-06 Schlage Lock Company Llc Modular lock plug
SE539594C2 (en) * 2015-11-06 2017-10-17 Winloc Ag A set of profile members in combination with a key plug, a method to manufacture such a key plug and a combination also including an associated key
DE102016102288A1 (de) * 2016-02-10 2017-08-10 Dom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lüssel für einen Schließzylinder, Schließzylinder und Schließvorrichtung
US10570643B2 (en) 2017-06-08 2020-02-25 Winloc Ag Cylinder lock core for a cylinder lock unit
US10337210B2 (en) * 2017-06-08 2019-07-02 Winloc Ag Interchangeable cylinder lock core for a cylinder lock unit
CN113227519B (zh) * 2018-12-07 2022-04-29 温洛克股份公司 圆柱锁单元以及相关的钥匙
JP2022550966A (ja) 2019-10-03 2022-12-06 アッサ アブロイ ハイ セキュリティ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移動可能要素を伴うキーブランク、対応するキー、対応する錠プラグ、および錠アセンブリ
DE102020105371B4 (de) 2020-02-28 2022-01-05 Assa Abloy Sicherheitstechnik Gmbh Schloss-schlüssel-system
DE102022203008A1 (de) * 2022-03-28 2023-09-28 Aug. Winkhaus Gmbh & Co. Kg Schlüssel für einen Schließzylinder und Schließzylinder für einen solchen Schlüssel
US11613909B1 (en) 2022-08-22 2023-03-28 Winloc Ag Key blank, a coded key and a cylinder lock and key system with improved stop arrangement
US11536047B1 (en) * 2022-08-22 2022-12-27 Winloc Ag Key plug, a cylinder lock, a cylinder lock and key combination and a method to manufacture a key plu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64635A (ko) * 1965-05-28 1900-01-01
CH502495A (de) * 1968-11-30 1971-01-31 Voss Kg J Zylinderschloss
DE2117736C3 (de) * 1971-04-10 1984-04-12 DOM-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5040 Brühl Zylinderschloß
SE459432B (sv) * 1986-01-31 1989-07-03 Widen Innovation Ab Cylinderlaas samt tillhaallare och nyckelblad foer anvaendning i kombination med detta
AT392508B (de) 1987-07-03 1991-04-25 Evva Werke Flachschluessel und zugehoeriges zylinderschloss
AU613020B2 (en) * 1988-01-20 1991-07-25 Widen Innovation Ab Lock
NO309618B1 (no) * 1988-01-20 2001-02-26 Widen Innovation Ab Sylinderlås, samt nökkelblad og sperretilholder for samme
SE505364C2 (sv) * 1993-12-30 1997-08-11 Bo Widen Cylinderlås-nyckelkombination, nyckel, nyckelämne och lås
US5823029A (en) * 1997-01-29 1998-10-20 International Security Products, Inc. Cylinder lock system
US5819566A (en) * 1997-01-29 1998-10-13 International Security Products, Inc. Cylinder lock and key
AU8718798A (en) * 1997-10-31 1999-05-24 Evva-Werk Spezialerzeugung Von Zylinder- Und Sicherheitsschlossern Gesellschaft 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ylinder lock and flat key
US6105404A (en) * 1998-06-30 2000-08-22 Medeco Security Locks, Inc. Squiggle keys and cylinder locks for squiggle keys
KR200179707Y1 (ko) * 1999-12-10 2000-04-15 김정규 자물쇠의 구조
CA2298152A1 (en) * 2000-02-09 2001-08-09 Lok Kam Lam Lock
SE524645C2 (sv) * 2002-01-23 2004-09-14 Winloc Ag Kombination av högsäkerhetslås och nyckelblad
US6983630B2 (en) * 2003-07-09 2006-01-10 Kaba Ilco Corp. Programmable cylinder lock system
US7159424B2 (en) * 2003-09-22 2007-01-09 Winloc Ag Lock and key system with extra code combinations
DE102004003034B4 (de) * 2003-10-17 2006-04-13 Dom Sicherheitstechnik Gmbh & Co Kg Schließvorrichtung und Flachschlüssel
EP1635012A3 (en) * 2004-09-01 2009-06-17 Alpha Corporation Cylinder lock device
SE528815C2 (sv) 2005-03-18 2007-02-20 Winloc Ag Lås- och nyckelsystem med extra kodkombinationer
EP1867810B2 (en) * 2006-06-14 2013-08-28 CISA S.p.A. Cylinder and associated key
AT506955B1 (de) * 2008-08-12 2010-01-15 Evva Werke Zylinderschloss mit zylindergehäuse und flachschlüssel für ein zylinderschloss
US7665337B1 (en) * 2009-02-18 2010-02-23 Winloc Ag Profiled key for cylinder lo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23333B1 (ru) 2016-05-31
JP5777717B2 (ja) 2015-09-09
PE20131373A1 (es) 2013-11-17
HK1182157A1 (zh) 2013-11-22
EP2619388A4 (en) 2017-11-08
SG189008A1 (en) 2013-05-31
CN103097631B (zh) 2015-11-25
MY165383A (en) 2018-03-21
EP2619388A1 (en) 2013-07-31
CO6720966A2 (es) 2013-07-31
AU2011306095A1 (en) 2013-03-07
US8156777B1 (en) 2012-04-17
AP2013006780A0 (en) 2013-03-31
AU2011306095B2 (en) 2014-09-11
CA2808371A1 (en) 2012-03-29
IL225069A (en) 2017-04-30
US20120073340A1 (en) 2012-03-29
CA2808371C (en) 2014-04-15
WO2012039671A1 (en) 2012-03-29
KR101467709B1 (ko) 2014-12-10
BR112013006539A2 (pt) 2020-07-28
ZA201301786B (en) 2013-11-27
CN103097631A (zh) 2013-05-08
JP2013540923A (ja) 2013-11-07
EA201390282A1 (ru) 2013-08-30
MX335987B (es) 2016-01-07
AP3687A (en) 2016-04-28
MX2013003014A (es) 2013-04-29
EP2619388B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709B1 (ko) 이중 암호 패턴을 가진 열쇠와 자물쇠
US7958760B2 (en) Lock and key system with improved tumblers in the lock
KR101915838B1 (ko) 사이드바를 구비한 실린더형 자물쇠 및 열쇠
CA2472484C (en) High security lock and key blade combination
KR101312243B1 (ko) 원통형 자물쇠용 프로파일 열쇠
FI108308B (fi) Sylinterilukko-avain-yhdistelmä
AU2003238098A1 (en) High security lock and key blade combination
EP2947238B1 (en) A cylinder lock and key for a cylinder lock
US8347680B2 (en) Lock and key combination with a large number of codes
GB2453625A (en) Key comprising recessed portion for engagement by telescopic tumbler pin
TWI477684B (zh) 具有雙碼樣式之鎖及鑰
SE535223C2 (sv) Lås och nyckel med dubbelt kodmönster
JP2002317577A (ja) 板タンブラ錠
GB2453626A (en) Key comprising projecting portion for engaging telescopic tumbler p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