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381A -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381A
KR20130040381A KR1020110105107A KR20110105107A KR20130040381A KR 20130040381 A KR20130040381 A KR 20130040381A KR 1020110105107 A KR1020110105107 A KR 1020110105107A KR 20110105107 A KR20110105107 A KR 20110105107A KR 20130040381 A KR20130040381 A KR 2013004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terminal
management server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288B1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큐넷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넷커뮤니케이션스 filed Critical 큐넷커뮤니케이션스
Priority to KR102011010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2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STN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복합정보 통신의 알림 신호를 전송하며, 실제 복합정보 통신은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복합 정보통신 시스템은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제공 가능한 복수 개의 정보 통신 서비스 중 선택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Call info Request)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발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Call setup)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Call info Request)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리 서버와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Call setup)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기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Complex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STN 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복합정보 통신의 알림 신호를 전송하며, 실제 복합정보 통신은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통화라 함은 공중 교환 전화망을 이용하여 음성/영상통화를 하거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영상통화 및 문자메시지를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전화통화 시스템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화통화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에서 콜 설정(Call setup)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20)에 전송(S1)하면,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사 시스템(20)은 수신 단말기(12)로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S2)하게 된다.
그러면,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2)에는 착신 링이 울리게 되며, 수신 단말기(12)는 수신된 콜 설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설정된 버턴 조작이 입력되면, 수신 단말기(12)는 콜 응답(Call Respones)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20)으로 전송한다(S3).
이어서, 통신사 시스템(20)은 수신 단말기(12)로부터 수신한 콜 응답 메시지를 해당하는 발신 단말기(11)로 전송(S4)함으로써 발신 단말기(11)와 수신 단말기(12)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기술의 발전으로 전화기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고,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게임,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라 함), 교육 등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가 단말기에서 가능해지고 있다.
도 1b는 일반적인 SNS 시스템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일반적인 SNS 시스템은 보통 채팅 프로그램으로 MSN, Nate on, 카카오톡, 마이피플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SNS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기(11)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연결요청(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S5).
그러면, 관리서버(30)는 수신 단말기(12)로 연결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6).
이후, 연결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2)에서 SNS 서비스의 승인이 입력되면, 수신 단말기(12)는 연결응답(Connection Response) 메시지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S7).
이어서, 관리서버(30)가 수신 단말기(12)로부터 수신한 연결응답 메시지를 해당 발신 단말기(11)로 전송(S8)한다.
이와 같이 종래 SNS 시스템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채팅을 하기 위해 채팅 프로그램을 구동시킨 후 해당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상대방을 선택한 후 대화를 시작한다.
그러면, 동일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대방 스마트폰에는 채팅 알림과 함께 대화창이 열리고 서로 채팅을 시작할 수 있다.
종래 SNS 시스템에서는 Push Notific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 전화기(스마트폰)에 메시지와 메시지 수신을 알리고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한다.
애플사에서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구글에서는 GPN(Google Push Notification), 삼성에서는 삼성 알림서비스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통신사나 서비스 제공사에서 개별적으로 알림서버를 운영하고 알림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상당히 많은 시스템과 비용이 투자되며, 서비스 제공업체별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을 활용하여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통신망 중에서 저렴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 및 SNS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일반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복합 통신의 알림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합 통신 서비스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Push Notification 서버를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 전화 통신망을 그대로 사용하여 각 통신사 또는 제조사에 관계없이 다양한 복합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을 또 따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은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제공 가능한 복수 개의 정보 통신 서비스 중 선택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를 데이터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관리 서버;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Call setup)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기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콜 정보 확인 요청(Call info Request)는, 발신자 전화번호, 수신자 전화번호, 태그정보, 수신자 이름, 발신자 위치정보, 발신자가 사용하는 SNS 목록, 발신자가 상대방과 통신을 원하는 통신 서비스 항목, 발신자가 편집한 정보, 기기정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태그정보는, 음성통화, 화상통화, SNS 서비스, E-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 정보, 요금부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목록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상기 태그정보가 SNS, 이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인 경우,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음성통화이거나 영상통화일 경우 통신사 시스템 또는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선택항목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연결한다.
만약, 상기 관리서버는, 요금부담 정보가 "착신자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신을 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관리서버는, 요금부담 정보가 "공동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가상 전화번호에 매칭시키고 그 가상 전화번호로 재접속 처리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한 가상 전화번호로 매칭시켜 접속시켜 각각의 가상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제어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정보 통신 방법은 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발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발신 단말기와 콜 설정된 된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콜 요청에 따른 응답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를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선택 항목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은 발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제공 가능한 복수 개의 정보 통신 서비스 중 선택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발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 수신되면, 특정 선택 항목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은 수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관리 서버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기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수신 단말기는, 다른 정보 통신 서비스를 이용 또는 다른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는, 발신자 전화번호, 수신자 전화번호, 태그정보, 수신자 이름, 발신자 위치정보, 발신자가 사용하는 SNS 목록, 발신자가 상대방과 통신을 원하는 통신 서비스 항목, 발신자가 편집한 정보, 기기정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태그정보는, 음성통화, 화상통화, SNS 서비스, E-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 정보, 요금부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태그정보가 SNS, 이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인 경우,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음성통화이거나 영상통화일 경우 통신사 시스템 또는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만약, 요금부담 정보가 "착신자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신을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반면에, 요금부담 정보가 "공동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가상 전화번호에 매칭시키고 그 가상 전화번호로 재접속 처리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한 가상 전화번호로 매칭시켜 접속시켜 각각의 가상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은 발신 단말기가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콜 요청에 따른 응답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를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선택 항목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전송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이 실행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전송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을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서 받은 "응답 메시지"에서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일반 착신 링 신호를 복합정보 통신의 알림신호로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정보통신별 알림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복합정보통신 알림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통신사 시스템을 통한 음성/영상통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영상통화, SNS 서비스, 문자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통화 시, 통화 요금 부담을 정보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해주고 수신자의 승인에 따라 착신자가 요금을 부담하도록 호 연결을 변경하거나 공동으로 요금을 부담할 수 있도록 접속을 재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일반 전화통화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b는 종래 SNS 시스템의 신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의 신호 흐름도.
도 4a는 도 2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기에서 부가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도 2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에서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도 2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의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발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2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중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서버의 세부 구성 및 연동서비스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 중 요금부담 별 신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에서 수신자 정보 획득 방식의 정보 확인 서비스의 신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며, 도 4a는 복합 통신시 발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또는 도 3에 의하면,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0), 수신 단말기(120) 및 통신사 시스템(200) 및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 사이에 하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이 가능하다. 일 예로, 도 4a에 의하면, 세일 정보(Garage sale), 지인 소식, 114 안내, 특급 우편, 파일 전송, 사진 전송 및 송금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가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본 발명에서는 복합 정보 통신 또는 복합 정보 통신 서비스라 하며, 하나의 통신 서비스는 정보 통신 서비스라 하기로 한다. 물론 도 4a는 복수 개의 복합 정보 통신 서비스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활용 가능하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복합 정보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복합 정보 통신을 위해 통신 서비스의 종류와 수신자 전화번호가 입력된 후 통화키가 선택되면, 관리서버(300)로 콜 정보 확인 요청(Call info Request)를 전송한다.
이때,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에는 발신자 전화번호, 수신자 전화번호, 태그정보, 수신자 이름, 발신자 위치정보, 발신자가 사용하는 SNS 목록, 발신자가 상대방과 통신을 원하는 통신 서비스 항목, 발신자가 편집한 정보, 기기정보 및 IMEI 정보가 포함되며, 태그 정보에는 음성통화, 화상통화, SNS, E-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 정보, 요금부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목록 정보가 포함된다.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단말기(11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는 관리 서버(30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서비스 중에서 해당 발신 단말기(110)가 요청한 통신 서비스의 종류와, 수신 단말기(120)가 관리서버(300)에 설정한 상태정보(DND, Busy, 해외출장, 등의 설정정보와 수신자의 사진, 인사말, 컬러링 등의 설정 파일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는 자신이 요청한 통신 서비스의 종류를 재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발신 단말기(1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청한 통신 서비스(송금)를 다른 통신 서비스와 차별되게 디스플레이하는 한편, 콜 설정(Call setup)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200)에 전송한다.
이러한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에는 이용 가능한 통신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간의 해당 통신 프로그램 정보를 교환한다. 이때, 관리서버(300)에는 통신 프로그램 목록 및 태그 정보가 저장되어, 발신 단말기(110) 또는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되는 태그 정보를 통해 발신자 또는 수신자가 원하는 통신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기(110), 수신 단말기(120) 및 관리서버(300)는 WiFi, LTE(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WCDMA"라함),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함),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함),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하 "GSM"이라함),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이하, "GPRS"라 함)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기(11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선택 항목 요청(Option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항목 확인(Option conform)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선택 항목에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를 수신 단말기(120)와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통화 서비스일 경우 음성, 화상 또는 VoIP 서비스이고, 송금 서비스인 경우에는 수신 금액, 보낸 사람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일 전송인 경우에는 전송 파일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성 통화의 경우 관리서버(300)를 경유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2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관리서버(300)를 경유한 데이터 통신망의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수신 단말기의 요청 또는 발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통신사 시스템(20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기(110)는 관리서버(300)를 경유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e-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 및 무료 SMS 등의 서비스를 수신 단말기(110)와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활용할 수 있다.
예로, 이메일 전송 서비스는 발신 단말기(110)에서 이메일을 작성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키를 사용자가 누르면, 수신 단말기(120)에는 착신 링과 함께 이메일 수신 창이 표시된다. 이에, 수신자가 수신 단말기(120)의 승인/받기 버튼을 누르면 발신 단말기(110)를 통해 작성된 이메일이 관리서버(300)를 통해 수신 단말기(120)에 수신된다.
이메일, 파일전송(FTP : File Transfer Protocol), SMS(Short Message Service), 송금 등은 프로그램 내에서 비표준으로 구현되며, 일반적인 표준 프로그램들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중계 프로그램(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 있다. 예로 통상적인 이메일 전송을 위해서는 수신자의 이메일 주소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수신자의 전화번호 만으로도 발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파일전송, 송금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한편, SMS 서비스 역시 발신 단말기(110)에서 SMS 작성 후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키을 누르면, 수신 단말기(120)에는 통신사 시스템(200)에 의해 제공되는 콜 설정 메시지에 의해 착신 링이 울려 SMS 수신을 알리고, 수신/승인이 되면 작성한 SMS가 관리서버(300)를 통해 수신 단말기(120)로 전달된다.
즉, 발신 단말기(110)는 통신사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기(120)로 복합 정보 통신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수신 단말기(120)로 통보하고 실제 복합 정보 통신 서비스는 관리서버(300)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통신사 시스템(200)은 서비스의 개시를 알리는 알림 수단으로 활용하고,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의 실제 정보통신 서비스는 관리서버(300)를 이용한다.
한편, VoIP를 사용하는 LET 망에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Invite에 추가되어 태그 및 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 경우, 발신 단말기(110)가 관리서버(300)로 콜 셋업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LTE 통신사의 SIP 프록시(Proxy)서버를 통해서 직접 수신 단말기(120)에 통화 요청 메시지와 복합통신 정보 및 태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SIP를 사용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hone, 인터넷 전화) 그리고 음성과 데이터를 통합 전송하는 ALL-IP 망에서 사용하는 SIP 메시지 Invite(세션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메소드의 "Content-Type" 필드에 태그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가능하다.
도 2의 구성에서, 수신 단말기(120)는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콜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도 4b는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20)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후 수신 단말기(120)는 관리서버(300)로부터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송신 단말기(110)가 요청한 통신 서비스(일 예로 도 5b의 송금)를 다른 통신 서비스와 구별되게 표시한다.
이어서, 수신 단말기(120)는 발신 단말기(110)와의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관리서버(300)에 응답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는 통화 서비스일 경우 음성, 화상 또는 VoIP 서비스이고, 송금 서비스인 경우에는 수신 금액, 보낸 사람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파일 전송인 경우에는 전송 파일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수신 단말기(120)는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콜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더라도 착신 링(링, 진동, 음원)은 울리지 않게 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태그와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120)는 수신된 통신 서비스 항목이 e-메일인 경우 e-메일 알림, 채팅일 경우 채팅 알림, 파일 전송일 경우 파일전송 등을 알리고 수락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각 통신 서비스 항목에 따라 별도 음원을 설정할 수도 있고 동일한 링으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 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비스 항목중에는 일반적으로 이미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포스트의 MSN, 카카오의 카카오톡, NHN의 네이버톡, SK 커뮤니케이션즈의 네이트온톡, 다음에 마이피플 등의 프로그램에서 이미 공개되어 있는 API를 통해서 해당 프로그램을 연결한다.
그리고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20)는 발신 단말기(110)의 정보를 알 수 없을 경우 발신자의 정보를 관리서버(300)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는 발신번호, 발신자 이름, 발신자 위치, 사진 정보 일 수 있다. 여기서 정보란 발신자가 설정해둔 정보이거나 공개 해둔 정보이다.
발신자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으로는 발신 단말기(110)에 직접 요청하거나, 관리서버(300)에 쿼리를 해서 검색엔진을 통해 검색한 결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사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콜 설정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단말기(110)의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를 확인한 후 응답 메시지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단말기(120)의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를 확인한 후 응답 메시지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120)로 전송한 후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에 대한 통신을 승인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간의 데이터 통신을 연결시킨다.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에서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는 방법은 태그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한편 관리서버(300)는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 단말기(120)에서 다른 정보 통신 서비스를 요청한 것으로 판단하고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지 않고, 수신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 후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연결시킨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에 지시해서 해당 통신 서비스로 연결시키거나 중계만 할 수 있다. 선택 항목의 통신은 각각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에서 상호 선택된 통신 서비스로 연결한다.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사용자로부터 연락처 검색요건과 연락처조회 요구를 받아 정보를 네트워크(인터넷)로부터 수집하는 정보수집서버,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이름, 연락처, 공개여부를 포함하는 신상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관하는 고객정보 서버, 수집한 정보 및 입력한 정보를 가공하는 정보 가공 서버, 사용자에게 맞춤 광고를 위한 광고서버, 전화번호 관리 및 전화 연결경로 설정, 연결을 위한 최적 경로, 최소경비통화 경로, 해외로밍 안내, 부재중 안내, 위치정보, 상태정보 사용자의 SNS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라우팅서버, 및 사진, 파일 등을 관리하는 저장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관리서버(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엔진, 연동시스템(4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의 신호 흐름도이다.
발신 단말기(110)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고, 이를 발신자가 선택하면, 수신 단말기(120)와 통신을 하기 위해 다이얼러를 제공하거나 이미 수신자 전화번호가 등록된 주소록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어서,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자 전화번호가 입력된 후 통화키가 입력되면, 통신 서비스 항목 태그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에 전송(S110)하고, 관리서버(300)로부터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S120)하고,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200)에 전송한다(S130).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는 관리 서버(30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서비스 중에서 해당 발신 단말기(110)가 요청한 통신 서비스의 종류와, 수신 단말기(120)가 설정한 지원 가능한 통신 서비스 종류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수신 단말기(120)는 통신사 시스템(200)을 통해 콜 설정 메시지가 수신(S140)되면,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S150)하고 그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S160)하며, 수신된 정보를 수신자에게 디스플레이한 후 응답 승인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170).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로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를 연결시킨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를 연결시킨다.
한편, 수신자가 다른 정보 통신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와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 수신 단말기(120)는 발신 단말기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에서 선택 항목을 요청하는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180). 이때,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에는 수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190).
이에, 발신 단말기(110)는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 중 선택 가능한 다양한 선택 항목을 발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 단말기(120)에서 선택한 선택 항목을 선택 항목 확인(Option conform) 메시지에 포함시켜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200).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로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를 연결시킨다(S210). 여기서 관리서버(30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를 연결시킨다.
만약, 발신 단말기(110) 또는 수신 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통신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신사 시스템(200)에 의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간의 호가 연결될 수 있다(S220).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에서의 과금방법에 따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 단말기(110)가 요금 부담 정보와 수신자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통화 키가 입력되면, 요금부담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에 전송(S310)한 후 그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S320)하고 통신사 시스템(200)에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330).
한편,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사 시스템(200)은 수신 단말기(120)로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340).
그러면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20)는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S350)한 후 관리서버(300)로부터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요금부담 정보 : 착신자 요금부담, 공동 요금부담)를 수신(S360)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수신 단말기(120)는 수신자에 의해 선택된 요금부담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370).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수신자에 의해 수신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확인(S380)하여 요금부담 정보가 "공동 요금부담"이면(YES), 콜 설정한 전화를 종료하도록 콜 종료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에게 전송한다(S390).
이후,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의 전화번호를 가상 전화번호에 매칭시키고, 그 가상 전화번호로 재접속 처리하는 한편 수신 단말기(120)의 전화번호 또한 가상 전화번호로 매칭시켜 접속시킨다(S400). 즉,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에 대해 관리 서버가 설정한 특정 전화번호로 접속하도록 하며, 수신 단말기(12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관리 서버가 설정한 특정 전화번호로 접속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300)는 각각의 가상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가 요금을 공동 부담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상 전화번호로 매칭된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는 가상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신사 시스템(200)에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410, 420).
그러면, 통신사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가 접속한 전화번호(가상 전화번호)가 관리서버(300)의 전화번호임을 확인하고,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호 설정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430, S440).
이에, 관리서버(300)는 통신사 시스템(200)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발신되 호 요청 메시지를 연결시킨다(S450).
여기서, 가상전화번호라 함은 관리서버가 통신사로부터 미리 확보한 전화번호로써 지능망 전화번호(15XX-XXXX, 예, 1588-5588), 무료접속전화번호 (080, 예, 080-222-2424) 등으로써,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게되면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서 본 발명의 관리서버까지 전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7b에 의하면, 요금부담 정보가 "착신자 요금부담"이면,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에게 발신을 중단할 것을 지시하는 접속 종료 메시지를 전송(S420)하고, 수신 단말기(120)에서 발신 단말기(110)로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콜 요청 제어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430). 이때, 수신 단말기(120)가 발신할 전화번호는 발신 단말기(110)의 전화번호이며, 전화번호 획득은 관리서버(300) 또는 수신 단말기(120)의 발신자번호 표시 기능으로 획득힌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0)는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 단말기(120)는 통신사 시스템(200)으로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S440)하게 되고, 통신사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110)로 수신된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450).
이후, 발신 단말기(110)가 콜 응답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200)에 전송한다(S460).
그러면 통신사 시스템(200)은 수신된 콜 응답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120)에 전송한다(S470).
따라서 수신 단말기(120)가 요금을 부담하는 착신자 요금부담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에서 수신자 정보 획득 방식의 정보 확인 서비스의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자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통화키가 입력되면 확인해야할 정보가 있음을 알리는 알림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S510)한 후 그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520).
그러면, 발신 단말기(110)는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200)에 전송한다(S530).
이어서,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통신사 시스템(200)은 수신 단말기(120)로 콜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S540).
이후, 통신사 시스템(200)을 통해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20)는 콜 정보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S550)한 후 그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560). 이때,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에는 알림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알림정보는 관리서버(300)에서 수신 단말기(120)로 전송되거나(S600), 발신 단말기(110)에서 직접 수신단말기로 전송된다(S610). 이때 알림정보는 발신자가 작성한 문자, 송금알림, 파일전송알림, 택배도착알림, 우편물도착알림, 광고문자 등과 같은 정보이다.
따라서 수신자는 수신 단말기(120)를 통해 알림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수신자는 이를 승인할 수 있다. 이에, 수신 단말기(120)는 해당 알림정보를 승인하겠다는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570).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580).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의 알림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를 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S59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금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발신 단말기(1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가 송금 메뉴에서 송금할 금액과 나의 계좌 번호 정보를 입력하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키를 입력하게 되면, 관리서버(300)에 상기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그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신사 시스템(200)에 호 설정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통신사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콜 설정 메시지가 수신된 수신 단말기(120)에는 관리서버(300)에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에게 송금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수신 단말기(120)는 수신자가 송금자와 금액 등을 확인하고 수신자의 의 계좌 정보를 선택 또는 입력한 후 승인하면 해당 정보가 발신 단말기(110)에 전송되거나 관리서버(300)에 전송되어 송금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송금에 관련된 정보가 관리서버(300)에 전달되면 실제 송금은 은행 및 금융 시스템과 연동되어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을 나타낸 신호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 통신 방법은 먼저, 발신 단말기(110)가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S710)하고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에 전송한다(S730).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하고(S720) 수신 단말기(120)로도 전송한다(S750).
이후, 관리서버(300)는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20)로부터 콜 요청에 따른 응답 승인 메시지를 수신(S760)하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를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으로 연결한다.
한편, 수신자가 다른 정보 통신 서비스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와 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 수신 단말기(120)는 발신 단말기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에서 선택 항목을 요청하는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770). 이때,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에는 수신 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관리서버(300)는 수신한 정보 제공 요청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S780). 이에, 발신 단말기(110)는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 중 선택 가능한 다양한 선택 항목을 발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킨다.
이후,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 단말기(120)에서 선택한 선택 항목을 선택 항목 확인(Option conform) 메시지에 포함시켜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790).
따라서 관리서버(30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로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를 연결시킨다(S800). 여기서 관리서버(300)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를 연결시킨다.
만약, 발신 단말기(110) 또는 수신 단말기(120)의 요청에 따라 통신시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신사 시스템(200)에 의해 발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20)간의 호가 연결될 수 있다(S810).
한편, 관리서버(300)는 수신 단말기(120)에서 발신 단말기(110)가 전송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이 실행되어 있지 않을 경우, Push Notification 기능을 통해 수신 단말기(120)의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을 실행시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300)는 태그 정보 또는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공개키 등을 수신 단말기(120)에서 확인함으로써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110 : 발신 단말기 120 : 수신 단말기
200 : 통신사 시스템 300 : 관리서버
400 : 연동시스템

Claims (20)

  1.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제공 가능한 복수 개의 정보 통신 서비스 중 선택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를 데이터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관리 서버;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Call setup)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관리 서버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기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 정보 확인 요청(Call info Request)는,
    발신자 전화번호, 수신자 전화번호, 태그정보, 수신자 이름, 발신자 위치정보, 발신자가 사용하는 SNS 목록, 발신자가 상대방과 통신을 원하는 통신 서비스 항목, 발신자가 편집한 정보, 기기정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는,
    음성통화, 화상통화, SNS 서비스, E-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 정보, 요금부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목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가 SNS, 이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인 경우,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음성통화이거나 영상통화일 경우 통신사 시스템 또는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선택항목 요청 메시지를 해당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요금부담 정보가 "착신자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신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요금부담 정보가 "공동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가상 전화번호에 매칭시키고 그 가상 전화번호로 재접속 처리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한 가상 전화번호로 매칭시켜 접속시켜 각각의 가상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8. 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되,
    발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통신사 시스템을 통해 발신 단말기와 콜 설정된 된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콜 요청에 따른 응답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를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선택 항목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0. 발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제공 가능한 복수 개의 정보 통신 서비스 중 선택된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그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발신 단말기에 대해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 수신되면, 특정 선택 항목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1. 수신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관리 서버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발신 단말기가 요청한 정보 통신 서비스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다른 정보 통신 서비스를 이용 또는 다른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3. 제 8항 내지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는,
    발신자 전화번호, 수신자 전화번호, 태그정보, 수신자 이름, 발신자 위치정보, 발신자가 사용하는 SNS 목록, 발신자가 상대방과 통신을 원하는 통신 서비스 항목, 발신자가 편집한 정보, 기기정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는,
    음성통화, 화상통화, SNS 서비스, E-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 정보, 요금부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가 SNS, 이메일, 파일전송, 송금요청인 경우, 상기 관리 서버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음성통화이거나 영상통화일 경우 통신사 시스템 또는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요금부담 정보가 "착신자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 통신을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요금부담 정보가 "공동 요금부담"일 경우, 상기 발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가상 전화번호에 매칭시키고 그 가상 전화번호로 재접속 처리하고 상기 수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한 가상 전화번호로 매칭시켜 접속시켜 각각의 가상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를 연결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8. 발신 단말기가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 정보가 포함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콜 설정 메시지를 통신사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콜 정보 확인 요청 메시지에 따른 정보 제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콜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콜 요청에 따른 응답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를 해당 정보 통신 서비스 항목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로부터 정보 통신 서비스 내에서 선택 가능한 항목 선택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선택 항목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선택 항목 정보가 포함된 선택 항목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20. 제 1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기는 상기 발신 단말기가 전송한 통신 서비스 항목이 실행되어 있지 않을 경우, 해당 정보통신 서비스 항목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복합정보 통신 방법.
KR1020110105107A 2011-10-14 2011-10-14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30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07A KR101303288B1 (ko) 2011-10-14 2011-10-14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07A KR101303288B1 (ko) 2011-10-14 2011-10-14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81A true KR20130040381A (ko) 2013-04-24
KR101303288B1 KR101303288B1 (ko) 2013-09-16

Family

ID=4844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107A KR101303288B1 (ko) 2011-10-14 2011-10-14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615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 대기 중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395941B1 (ko) * 2021-03-03 2022-05-10 주식회사 싸인에이트 Qr 코드 기반의 주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670B1 (ko) * 2003-05-20 2006-03-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25123B1 (ko) * 2004-05-13 2006-09-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데이터망에서 sip와 sdb를 이용한 ptt서비스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100945883B1 (ko) * 2008-07-22 2010-03-05 유비벨록스(주) 모바일 sns 통합 관리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6615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 대기 중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395941B1 (ko) * 2021-03-03 2022-05-10 주식회사 싸인에이트 Qr 코드 기반의 주문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288B1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0663B2 (en) Method and system of implementing an advanced multifunctional dialer capable of managing multiple calling accounts
US88192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across telephone and data networks
US20190273824A1 (en) Universal Ring Free
JP2009534905A (ja) 短文/マルチメディアメッセージサービスゲートウエーを用いたsms2pstn統合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00220837A1 (en) System and method to use a mobile number in conjunction with a non-telephony internet connected device
JP2013534757A (ja) 通信の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700016B2 (en) Method for performing USSD servic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93748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및 일반전화 사용시스템 및 그 방법
EP276184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users
KR101303288B1 (ko) 복합정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WO2009006904A1 (en) A sim card, a system, and a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establishing and/or maintaining access to internet communication servic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sim card
KR101216037B1 (ko) 착신 단말기의 패킷데이터 송수신 기능 탑재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여 데이터망 또는 전화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10154387B2 (en) Process of initiation of a conversation
KR20130049601A (ko)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통화 제어 방법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940358B1 (ko) 브이오아이피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6099779B1 (ja) 通信端末、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747847B1 (ko) 전화 통화 정보에 기초한 네트워크 상의 광고 실행 방법, 및 전화 통화 정보에 기초한 네트워크 상의 광고 실행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828320B1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100411136B1 (ko) 발신자 id정보를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140104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messages between at least one sender and at least one recipient via messaging services tha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an integration platform
RU22050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массовых развлечений
KR20090011591A (ko) 브이오아이피 정보 전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2085B1 (ko) 무선 통신 망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1495254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신호 송신/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