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055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055A
KR20130040055A KR1020110104805A KR20110104805A KR20130040055A KR 20130040055 A KR20130040055 A KR 20130040055A KR 1020110104805 A KR1020110104805 A KR 1020110104805A KR 20110104805 A KR20110104805 A KR 20110104805A KR 20130040055 A KR20130040055 A KR 2013004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housing
fastening
terminal
fasten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0055A/ko
Publication of KR2013004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이 삽입되는 터미널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안착된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도록 리어홀더(30)가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리어홀더(30)는 연결힌지(3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에 연결된다. 상기 리어홀더(30)에는 체결편(34)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34)의 길이방향으로 핀관통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34)의 자유단부 측 일면에는 체결걸이홈(38)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는 후단구획벽(18)이 형성되는데, 상기 후단구획벽(18)에는 상기 체결편(34)과 체결되는 핀설치레버(20)가 구비된다. 상기 핀설치레버(20)는 상기 터미널의 삽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핀설치레버(20)의 자유단부 근처에는 하우징(1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게 해제핀(24)이 돌출된다. 상기 해제핀(24)에는 핀몸체(26)의 선단에 핀몸체(26)의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을 가지는 핀머리(28)가 구비된다. 상기 핀머리(28)는 상기 핀관통부(36)를 관통하여 체결판(34)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없이 리어홀더(30)를 하우징(1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터미널이 하우징의 외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홀더를 작업자가 손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외관과 골격을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된 하우징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터미널안착부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상기 터미널과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될 때, 터미널이 하우징의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이나 터미널에 랜스를 두어 터미널이 하우징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터미널이 하우징의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후단에 리어홀더를 둘 수도 있다. 상기 리어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터미널을 후단을 지지하여 터미널의 밀림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홀더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리어홀더를 하우징의 후단에서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하우징 후단에 결합되는 리어홀더를 별도의 공구없이 결합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해제핀을 구비하는 핀설치레버와, 상기 리어홀더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해제핀이 관통하는 핀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핀설치레버에 형성된 체결걸이부와 체결되는 체결걸이부가 형성되는 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해제핀은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선단에 상기 핀몸체의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을 가지는 핀머리를 포함한다.
상기 핀설치레버의 체결걸이부와 체결판의 체결걸이부는 서로 결합되는 면이 걸어지도록 결합되는 면이 예각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판의 핀관통부는 체결판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핀머리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체결판의 기저부 쪽으로 가면서 상기 핀머리가 핀관통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폭이 형성된다.
상기 핀설치레버의 체결걸이부는 상기 핀설치레버의 기저부쪽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걸이돌기이고, 상기 체결판의 체결걸이부는 상기 체결걸이돌기가 안착되어 걸어지는 체결걸이홈이다.
상기 핀설치레버는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열을 따라 연장되는 후방구획벽 상에 직립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된 리어홀더를 분리하기 위해 해제핀을 눌러주면 결합상태가 해제되므로 별도의 공구없이 리어홀더를 하우징에서 해제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리어홀더가 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2열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안착부(12)는 1열만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2) 내면에 형성된 랜스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후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체결레버(14)가 설치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외팔보 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 연결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으로 연장된다. 상기 체결레버(14)의 중간쯤에는 체결턱(1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16)은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일측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구획벽(18)이 형성된다. 상기 후단구획벽(18)은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열 사이를 구획하는 것이다. 상기 후단구획벽(18)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이 반드시 돌출될 필요는 없다. 물론, 이 경우에도 아래에서 설명될 핀설치레버(20)가 형성될 부분이 하우징(10)의 배면에 있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배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후단구획벽(18)에는 핀설치레버(20)가 형성된다. 상기 핀설치레버(20)는 상기 하우징(10)의 배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다시 말해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설치레버(20)가 상기 후단구획벽(18)의 양면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단구획벽(18)의 일면에 두개의 핀설치레버(2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핀설치레버(20)의 갯수는 지지되는 터미널의 갯수 등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핀설치레버(20)중 기저부, 즉 상기 후단구획벽(18)에 인접한 위치에는 체결걸이돌기(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돌기(22)는 상기 핀설치레버(20)의 자유단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이고, 상기 경사면의 반대쪽은 핀설치레버(20)의 표면에 대해 거의 직교하는 평면으로 된다.
상기 핀설치레버(20)의 체결걸이돌기(22)가 돌출된 쪽의 자유단부 근처에는 하우징(1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게 해제핀(24)이 구비된다. 상기 해제핀(24)은 상기 핀설치레버(2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핀몸체(26)와 상기 핀몸체(26)의 선단에 형성되는 핀머리(28)로 구성된다. 상기 핀머리(28)는 상기 핀몸체(26)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핀몸체(26)와 핀머리(28)의 횡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핀머리(28)의 횡단면적이 핀몸체(26)보다 크게 된 것은 작업자가 보다 쉽게 해제핀(24)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편(34)에 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는 리어홀더(30)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본 실시예에서 2개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열의 갯수가 두 개이므로 그러한데, 하나의 열의 터미널들을 하나의 리어홀더(30)가 지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홀더(30)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된다.
상기 리어홀더(30)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연결힌지(32)를 통해 일체로 된다. 상기 연결힌지(3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두께와 폭을 가지도록 만들어져 상기 하우징(10)과 리어홀더(30)를 일체로 연결하면서도 일정 범위내에서 상기 리어홀더(30)가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리어홀더(30)를 4개의 연결힌지(32)가 하우징(10)에 연결시키고 있다.
상기 리어홀더(30)에는 체결판(3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34)은 리어홀더(3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일측에서 직교하게 연장된다. 상기 체결판(34)은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리어홀더(30)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하나의 리어홀더(30)에 형성되는 체결판(34)의 갯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체결판(34)은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판(34)에는 체결판(34)의 중심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핀관통부(36)가 형성된다. 상기 핀관통부(36)는 상기 해제핀(24)이 관통하여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핀관통부(36)는 상기 체결판(34)의 자유단부에서 기저부를 향해 가면서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자유단부에 인접한 위치에서는 상기 해제핀(24)의 핀머리(28)의 직경보다는 핀관통부(36)의 폭이 크거나 같게 되고, 기저부로 가면서 핀관통부(36)의 폭이 점차 작아지거나 또는 핀머리(28)의 직경보다 작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판(34)의 선단에 인접한 일면에는 체결걸이홈(3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걸이홈(38)은 상기 체결판(34)이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걸이돌기(22)가 안착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걸이홈(38)에서 상기 체결걸이돌기(22)가 걸어지는 면은 상기 체결걸이홈(38)의 내면과 이루는 각이 예각으로 되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는 체결걸이돌기(22)의 면도 대응되게 하면 이들 사이가 서로 걸어지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터미널을 상기 하우징(10)의 터미널안착부(12)에 삽입한다. 물론, 이때, 상기 터미널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 터미널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홀더(30)가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서 분리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야 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부에 터미널을 모두 삽입한 후에는 상기 리어홀더(30)를 하우징(10)에 결합한다. 즉, 상기 리어홀더(30)를 상기 연결힌지(3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어홀더(30)의 길이방향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터미널의 후단 또는 이에 연결된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리어홀더(30)가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 밀착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제핀(24)은 상기 체결판(34)의 핀관통부(36)를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리어홀더(30)에 일체로 형성된 체결판(34)의 체결걸이홈(38)에는 상기 핀설치레버(20)에 형성된 체결걸이돌기(22)가 안착되어 걸어지게 된다.
상기 체결걸이돌기(22)가 상기 체결걸이홈(38)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리어홀더(30)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 밀착되지만, 상기 터미널에 힘이 가해져 밀리면 상기 리어홀더(30)가 밀려 상기 체결걸이돌기(22)가 체결걸이홈(38)에서 빠져나갈 수도 있다. 물론, 일정 이하의 힘에서는 그러하지 않겠지만, 과도하게 큰 힘이 걸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해제핀(24)의 핀머리(28)가 상기 핀관통부(36)를 빠져나와 그 양단이 상기 핀관통부(36)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핀관통부(36)의 폭이 상기 체결판(34)의 기저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으로 일단 상기 핀관통부(36)를 통과한 핀머리(28)를 상기 핀관통부(36)에서 상기 체결판(34)의 기저부쪽으로 약간 이동시키면 상기 핀머리(28)가 상기 핀관통부(36)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어져 상기 리어홀더(30)가 하우징(10)의 후단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상기 리어홀더(30)가 상기 연결힌지(32)를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리어홀더(30)가 회전하면서 상기 핀머리(28)가 상기 핀관통부(36)를 통과할 때는 핀관통부(36)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쪽을 통과하고 핀관통부(36)를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상기 핀관통부(36)에서 체결판(34)의 기저부쪽으로 약간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걸이홈(38)에 상기 체결걸이돌기(22)가 안착되어 걸어질 때, 상기 리어홀더(30)가 상기 체결걸이돌기(22) 쪽으로 당겨지도록 치수설계를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리어홀더(30)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면 터미널의 후단이 지지되어 터미널이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홀더(30)를 상기 하우징(10)의 후단에서 분리하려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된다. 먼저, 상기 해제핀(24)을 눌러서 상기 핀설치레버(20)가 밀려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핀설치레버(20)가 밀려 탄성변형되면 상기 체결걸이돌기(22)도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걸이돌기(22)가 상기 체결판(34)의 체결걸이홈(38)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리어홀더(30)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리어홀더(30)는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연결힌지(32)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참고로, 상기 해제핀(24)의 핀머리(28)가 상기 핀관통부(36)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어져 있는 상태에서 핀관통부(36)를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엄지손가락으로 상기 해제핀(24)의 핀머리(28)를 핀관통부(36)의 상대적으로 넓은 방향으로 눌러주면서 상기 리어홀더(30)를 검지손가락으로 하우징(1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걸이돌기(22)가 상기 핀설치레버(20)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체결판(34)에 체결걸이홈(38)이 형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체결걸이돌기(22)와 체결걸이홈(38)의 위치는 서로 반대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걸이돌기(22)와 체결걸이홈(38)을 통틀어서 체결걸이부라고 할 수 있다.
10: 하우징 12: 터미널안착부
14: 체결레버 16: 체결턱
18: 후단구획벽 20: 핀설치레버
22: 체결걸이돌기 24: 해제핀
26: 핀몸체 28: 핀머리
30: 리어홀더 32: 연결힌지
34: 체결편 36: 핀관통부
38: 체결걸이홈

Claims (6)

  1.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후단을 지지하는 리어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외팔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해제핀을 구비하는 핀설치레버와,
    상기 리어홀더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해제핀이 관통하는 핀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핀설치레버에 형성된 체결걸이부와 체결되는 체결걸이부가 형성되는 체결판을 포함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핀은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선단에 상기 핀몸체의 횡단면적보다 큰 횡단면적을 가지는 핀머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설치레버의 체결걸이부와 체결판의 체결걸이부는 서로 결합되는 면이 걸어지도록 결합되는 면이 예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의 핀관통부는 체결판의 자유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핀머리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지고 체결판의 기저부 쪽으로 가면서 상기 핀머리가 핀관통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설치레버의 체결걸이부는 상기 핀설치레버의 기저부쪽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걸이돌기이고, 상기 체결판의 체결걸이부는 상기 체결걸이돌기가 안착되어 걸어지는 체결걸이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설치레버는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열을 따라 연장되는 후방구획벽 상에 직립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0104805A 2011-10-13 2011-10-13 커넥터 KR20130040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05A KR20130040055A (ko) 2011-10-13 2011-10-13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05A KR20130040055A (ko) 2011-10-13 2011-10-13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55A true KR20130040055A (ko) 2013-04-23

Family

ID=48440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05A KR20130040055A (ko) 2011-10-13 2011-10-13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00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3047B2 (en) Spring part for retaining electric wires and terminal block comprising said spring part
US20060166549A1 (en) Wire cover for connectors
CA2974291C (en) Arrangement of multiple latching feet for an assembly, and assembly
JP4683577B2 (ja) ロック解除装置及びコネクタ装置
AU2011311519A1 (en) Device for removably fixing a current conductor to a current transformer housing
KR20120006307A (ko) 커넥터조립체
KR10193907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30040055A (ko) 커넥터
US6945811B2 (en) Clamping spring device for an elastic clamp
KR20140008642A (ko) 커넥터 조립체
KR20110006766U (ko) 커넥터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20130046127A (ko) 레버타입 커넥터
JP2017085690A (ja) 電線ガイド
KR101810132B1 (ko) 커넥터
KR101810131B1 (ko) 커넥터
KR20080006395U (ko) 램프홀더
KR101697256B1 (ko) 커넥터
JP7010662B2 (ja) パネル体把持具及びパネル体構造物
KR20130006956U (ko) 커넥터
KR100723063B1 (ko) 램프홀더와 리어홀더 결합구조
KR20120070722A (ko) 커넥터조립체
KR20100013639A (ko) 커넥터
KR20100012375A (ko) 회전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