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367A -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367A
KR20130039367A KR1020110103859A KR20110103859A KR20130039367A KR 20130039367 A KR20130039367 A KR 20130039367A KR 1020110103859 A KR1020110103859 A KR 1020110103859A KR 20110103859 A KR20110103859 A KR 20110103859A KR 20130039367 A KR20130039367 A KR 20130039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verse osmosis
seawater
osmosis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747B1 (ko
Inventor
박기호
박민호
김영훈
이의신
유희찬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10103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7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02Forward osmosis or direct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forward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삼투 모듈과 정삼투 모듈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역삼투 모듈을 통과하여 농축된 해수를 방류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 및 성능이 개선된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관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담수 처리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모듈; 상기 역삼투 모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제1가압수단; 일단부로 상기 역삼투 모듈의 해수농축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상기 해수농축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가 유입되며, 상기 타단부로 희석된 해수인 제1유출수가 배출되고 상기 일단부로 농축된 유입수인 제2유출수가 배출되는 정삼투 모듈; 상기 해수농축수에 가해진 압력을 감하여 상기 정삼투 모듈로 유입시키기 위한 감압수단; 및, 상기 제1배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에 있어서, 염수를 취수한 후 제1가압수단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역삼투 모듈로 유입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단계; 상기 역삼투 단계에서 배출되고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 된 해수농축수와 해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를 정삼투 모듈에 투입하여 해수농축수가 희석된 제1유출수와 상기 유입수가 농축된 제2유출수를 배출하는 정삼투 단계; 및,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배출된 제1유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담수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Hybrid Seawater Desalination Apparatus and Process without Concentrate Discharge in Reverse Osmosis Process}
본 발명은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삼투 모듈과 정삼투 모듈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역삼투 모듈을 통과하여 농축된 해수를 방류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 및 성능이 개선된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수담수화는 생활용수나 공업용수로 직접 사용하기 힘든 바닷물로부터 염분을 포함한 용해물질을 제거하여 음용수나 생활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물을 얻을 수 있는 일련의 수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물은 해수, 기수, 담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기준은 용존고형물의 농도이다. 용존고형물의 농도가 10,000 내지 50,000㎎/ℓ인 것을 해수, 1,000 내지 10,000㎎/ℓ인 것을 기수, 300㎎/ℓ인 것을 담수라고 하는데, 해수담수화는 물속의 용존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해수의 용존고형물을 제거함으로써 담수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수담수화 방법은 크게 증발법과 막여과법이 거의 대부분의 해수담수화 공정에 적용되어 있으며, 이 이외에도 결정화법, 이온교환막법, 용제추출법, 가압흡착법 등이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증발법은 해수에 열을 가하여 증발된 담수를 회수하는 방식으로서 다단증발법(Multi-Stage Flash;MSF)과 다중효용법(Multi-Effect Distillation;MED)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막여과법은 해수를 삼투막을 통과시켜 담수를 생산하는 역삼투압(Reverse Osmosis) 방식을 말한다.
현재 해수담수화 기술은 증발식에서 요구되는 고에너지 및 고비용 문제로 인해 막분리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막의 성능이 개선되고 생산단가가 떨어짐에 따라 막분리식에 대한 선호도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막분리식의 경우에도 염수의 삼투압을 극복하기 위해 그보다 높은 압력을 적용해야만 담수를 생산할 수 있다는 문제와 염삼투압을 적용한 이후에 남는 고농도의 해수(농축수)를 처리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현재 담수를 생산하고 남은 고농도의 해수는 다시 바다에 버려지고 있는데 현재까지는 이에 대한 규제나 연구가 그다지 많지는 않지만, 해수담수화 시설이 늘어나면서 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으리라 예상된다.
본 발명은 배경이 되는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해수담수화 시설에 있어서 역삼투막 모듈을 통과한 해수 농축수를 방류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유입관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담수 처리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모듈;
상기 역삼투 모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제1가압수단;
일단부로 상기 역삼투 모듈의 해수농축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상기 해수농축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가 유입되며, 상기 타단부로 희석된 해수인 제1유출수가 배출되고 상기 일단부로 농축된 유입수인 제2유출수가 배출되는 정삼투 모듈;
상기 해수농축수에 가해진 압력을 감하여 상기 정삼투 모듈로 유입시키기 위한 감압수단; 및,
상기 제1배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감압수단은 가압된 해수농축수를 감압함으로써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삼투 모듈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가압하기 위한 제2가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 회수수단에서 회수된 에너지는 상기 제1가압수단 또는 제2가압수단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수는 하수, 하천수, 하수처리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이 사용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에 있어서,
염수를 취수한 후 제1가압수단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역삼투 모듈로 유입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단계;
상기 역삼투 단계에서 배출되고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 된 해수농축수와 해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를 정삼투 모듈에 투입하여 해수농축수가 희석된 제1유출수와 상기 유입수가 농축된 제2유출수를 배출하는 정삼투 단계; 및,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배출된 제1유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담수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에 있어서,
염수를 취수한 후 제1가압수단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역삼투 모듈로 유입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단계;
상기 역삼투 단계에서 배출되고 에너지 회수수단에 의해 감압 된 해수농축수와 해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를 정삼투 모듈에 투입하여 해수농축수가 희석된 제1유출수와 상기 유입수가 농축된 제2유출수를 배출하는 정삼투 단계;
상기 에너지 회수수단에 의해 회수단 에너지에 의해 선택적으로 에너지가 공급되는 제2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정삼투 모듈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단계; 및,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배출된 제1유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담수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해수담수화 시설에 있어서 역삼투막 모듈을 통과한 해수 농축수를 방류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우선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는 해수에 포함된 담수를 추출하여 음용수나 산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한 해수담수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역삼투 모듈(10), 제1가압수단(20), 정삼투 모듈(30), 감압수단인 에너지 회수수단(40), 이송관(50) 및 제2가압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역삼투 모듈(10)은 삼투막(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입관(12)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담수 처리하여 담수(1)와 해수농축수(100)를 배출한다. 도 1의 역삼투 모듈(10) 내에 표시된 화살표는 삼투막(11)을 통하여 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1가압수단(20)에 의해 역삼투 모듈(10)에 공급되는 해수에 압력이 가해져 삼투막(11)을 통해 물만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가압수단(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역삼투 모듈(10)을 가압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펌프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담수를 생산하기 위한 역삼투압은 대략 42 내지 60 bar가 필요하며 국내에서 가동되는 시설의 경우 이보다 약간 큰 46 내지 63 bar 정도의 압력으로 운전되고 있다.
상기 정삼투 모듈(30)은 삼투막(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 쪽으로 상기 역삼투 모듈(10)에서 배출된 해수농축수(100)가 유입 되고 타단부로 상기 해수농축수(100)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200)가 유입 되어, 타단부로는 희석된 해수인 제1유출수(300)가 배출되고 일단부로는 농축된 유입수인 제2유출수(400)가 배출되는 구성이다. 도면상에 화살표 방향은 역삼투 모듈(10)의 화살표와 마찬가지로 물이 이동하는 방향이다.
상기 유입수(200)로는 하수나 하천수, 하수처리수 중 하나가 사용되거나 둘 이상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하수나 하천수에는 용존성 부유물(Suspended Soilds)을 포함한 유기성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대부분은 분자량이 커서 삼투막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막오염을 유발하여 성능을 저해할 수 있어 필요한 경우에는 전처리 공정을 거친 뒤에 정삼투 모듈(30)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수나 하천수를 사용하는 경우 역삼투 모듈(10)에서 배출되는 해수농축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극히 낮아 정삼투 모듈(30)에서 삼투압에 의한 물의 투과능이 매우 높고, 해수담수화 시설까지 이송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여 유입수(200)로서 매우 적당하다. 한편, 하수나 하천수 이외에도 발전시설 방류수 등 삼투압이 낮은 수질의 물은 유입수(200)로서 적용이 얼마든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상기 감압수단은 상기 역삼투 모듈(10)에서 배출되는 해수농축수(100)에 가해진 높은 압력을 감하여 상기 정삼투 모듈(30)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역삼투막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너지 회수 수단(40; Energy Recovery Device:ERD)이 사용된다. 이때, 상기 감압수단으로 저류조(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제1가압수단(20)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배출된 해수농축수(100)의 에너지를 회수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적이므로 에너지 회수 수단(4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관(50)은 상기 제1배출수(300)를 상기 역삼투 모듈(10)로 이송하기 위한 관이다. 제1배출수(300)는 정삼투 모듈(30)을 거치면서 해수농축수(100)에 비하여 희석된 상태 즉 다시 말해 해수의 염분농도와 유사한 상태가 되며 이 상태로 이송관(50)을 통해 다시 역삼투 모듈(10)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종래와 같이 농축된 해수를 다시 해수에 투기(dumping) 하지 않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배경기술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현재에는 역삼투막을 통과한 농축된 해수를 바다에 투기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없지만, 이는 농축수를 바다에 투기하는 것에 대한 안전성이 입증되었기 때문이 아니고, 농축수를 바다에 투기하는 것이 해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별로 연구된 것이 없어서이다. 따라서 농축수를 바다에 투기하는 것에 대한 제약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매우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관(50)에는 분기관(51)이 연결되어 있고, 분기관(51)에는 밸브(52)를 마련하여 필요한 경우 제1배출수(300)의 일부만을 역삼투 모듈(10) 쪽으로 이송하고 일부는 해양투기를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압수단(60)은 상기 정삼투 모듈(30)로 유입되는 유입수(200)를 가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40)에서 회수된 에너지의 일부는 제1가압수단(20)으로 공급되고 일부는 제2가압수단(60)으로 공급되며 일부의 에너지는 제1유출수(100)를 정삼투 모듈(30)로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2가압수단(60)에 의해 정삼투 모듈(30)로 유입되는 유입수(200)를 가압하는 경우 유입수(200)에서 해수농축수(100)로 물이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게 되고, 정삼투 모듈(30)의 삼투막(31)을 통하여 염분이 유입수(200) 쪽으로 이동하는 것(back diffusion)을 막게 되는 역할도 한다. 염분이 유입수(20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추후에 농축된 제2유출수(400)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이룰 수 있다. 삼투막(31)의 단면을 통하여 물 또는 염분과 같은 이온이 투과하는 원리는 확산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온상태의 물질은 삼투막을 통과할 수 있다. 삼투막을 통과하는 것은 물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물만 통과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온 역시 삼투막을 사이로 농도가 높은 곳에서 농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확산현상을 보이게 되므로 미량이지만 삼투막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염분의 경우에도 미량일 수 있으나 삼투막을 통과하여 유입수(200)로 이동할 여지는 있는데 제2가압수단(60)에 의해 이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가압수단(60)에 의해 가압 되는 압력의 크기는 1 내지 4 bar정도면 충분하다.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40)에 의해 분배되는 에너지는 우선 정삼투 모듈(30)로 유입되는 유입수(200)를 이송하는데 사용되고, 다음으로 제2가압수단(60)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며 남은 에너지는 제1가압수단(20)에 공급되는 것이 제1가압수단(20)에만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면 되므로 가장 바람직하나, 그 에너지의 분배는 적절히 설계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정삼투 모듈(30)에서 배출된 제2유출수(400)는 유입수에 비하여 농축된 물이며 하천수나 하수처리수를 사용한 경우 수질검사 후 하수방류기준 적합 시에는 방류할 수 있고, 농축되는 과정에서 BOD가 높아진 경우 하수처리장의 혐기성 처리시설에 BOD(영양소)를 공급하기 위해 하수처리장으로 보낼 수도 있으며 별도의 처리를 해야할 수도 있다. 하수를 사용한 경우에도 수질검사 후 하수방류기준 적합 시에는 방류할 수 있고, 별도의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 후 방류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해수담수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수담수화 방법은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으로서 역삼투 단계, 정삼투 단계, 가압단계 및 이송단계로 구성된다. 해수담수화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미 이루어졌으므로 앞서 설명한 해수담수화 장치의 각각의 구성에 대한 명칭은 별도의 설명 없이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역삼투 단계는 염수를 취수하여 제1가압수단(20)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역삼투 모듈(10)로 유입시켜 담수(1)와 해수농축수(100)를 배출하는 단계이다. 담수(1)는 해수에서 물 성분만을 추출한 것이고, 해수농축수(100)는 해수에서 물이 제거되어 농축된 상태의 해수이다. 역삼투 모듈(10)에서 해수에서 담수를 분리해 내는 과정의 원리는 이미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정삼투단계는 상기 역삼투 단계에서 배출되고 상기 에너지 회수 수단(40)에 의해 감압 된 상태의 해수농축수(100)와 해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200)를 상기 정삼투 모듈(30)에 투입하여 상기 해수농축수(100)가 희석된 제1유출수(300)와 상기 유입수가 농축된 제2유출수(400)를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해수가 농축되어 염분의 농도가 높은 해수농축수(100)에 유입수(200)의 물이 공급되어 최초에 취수 당시의 해수와 유사한 상태의 농도로 염분농도를 낮추게 된다. 이로 인해 해수농축수(100)를 바다에 투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역삼투 단계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정삼투 단계에서 유입수(200)로부터 해수농축수(100)로 물이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정삼투 모듈(30)에 포함된 삼투막(31)에 의한 효과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단계는 상기 정삼투 모듈(30)에 공급되는 유입수(200)를 가압하는 단계로서, 상기 에너지 회수수단(40)에 의해 회수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제2가압수단(60)에 공급된 에너지에 의해 진행된다. 상기 가압단계에 의해 유입수(200)가 가압 되면 상기 정삼투 모듈(30)의 삼투막(31)에서 유입수(200)에 포함된 물이 해수농축수(100)로 보다 원활히 움직이게 되며,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해수농축수(100)에서 유입수(200)로 염분이 이동하는 현상(back diffusion)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송단계는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배출된 제1유출수(300)을 상기 역삼투 모듈(10)로 이송하는 단계이며, 역삼투 모듈(10)로 이송된 제1유출수(300)는 취수된 해수와 함께 역삼투 모듈(10)로 유입되어 담수화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역삼투 모듈 20 : 제1가압수단
30 : 정삼투 모듈 40 : 에너지 회수 수단
50 : 이송관 60 : 제2가압수단

Claims (8)

  1. 유입관으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담수 처리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모듈;
    상기 역삼투 모듈에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제1가압수단;
    일단부로 상기 역삼투 모듈의 해수농축수가 유입되고 타단부로 상기 해수농축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가 유입되며, 상기 타단부로 희석된 해수인 제1유출수가 배출되고 상기 일단부로 농축된 유입수인 제2유출수가 배출되는 정삼투 모듈;
    상기 해수농축수에 가해진 압력을 감하여 상기 정삼투 모듈로 유입시키기 위한 감압수단; 및,
    상기 제1배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수단은 가압 된 해수농축수를 감압함으로써 에너지를 회수하는 에너지 회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삼투 모듈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가압하기 위한 제2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삼투 모듈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가압하기 위한 제2가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회수수단에서 회수된 에너지는 상기 제1가압수단 또는 제2가압수단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는 하수, 하천수, 하수처리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7. 제1항의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에 있어서,
    염수를 취수한 후 제1가압수단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역삼투 모듈로 유입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단계;
    상기 역삼투 단계에서 배출되고 감압수단에 의해 감압 된 해수농축수와 해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를 정삼투 모듈에 투입하여 해수농축수가 희석된 제1유출수와 상기 유입수가 농축된 제2유출수를 배출하는 정삼투 단계; 및,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배출된 제1유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담수화 방법.
  8. 제4항의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방법에 있어서,
    염수를 취수한 후 제1가압수단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역삼투 모듈로 유입하여 담수와 해수농축수를 배출하는 역삼투 단계;
    상기 역삼투 단계에서 배출되고 에너지 회수수단에 의해 감압 된 해수농축수와 해수에 비하여 삼투압이 낮은 유입수를 정삼투 모듈에 투입하여 해수농축수가 희석된 제1유출수와 상기 유입수가 농축된 제2유출수를 배출하는 정삼투 단계;
    상기 에너지 회수수단에 의해 회수단 에너지에 의해 선택적으로 에너지가 공급되는 제2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정삼투 모듈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단계; 및,
    상기 정삼투 단계에서 배출된 제1유출수를 상기 역삼투 모듈로 이송하는 이송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담수화 방법.



KR1020110103859A 2011-10-12 2011-10-12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KR10130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59A KR101305747B1 (ko) 2011-10-12 2011-10-12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59A KR101305747B1 (ko) 2011-10-12 2011-10-12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67A true KR20130039367A (ko) 2013-04-22
KR101305747B1 KR101305747B1 (ko) 2013-09-06

Family

ID=4843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859A KR101305747B1 (ko) 2011-10-12 2011-10-12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7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2987A1 (ko) * 2013-05-27 2014-12-04 Yang Dae-Ryook 담수화 방법 및 담수화 장치
KR20160108277A (ko) * 2016-09-02 2016-09-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담수화 장치 및 방법
US10308524B1 (en) 2019-01-15 2019-06-04 Kuwait Institute For Scientific Research Pressure-reduced saline water trea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6464B2 (ja) * 2001-12-10 2008-10-15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海水淡水化装置付き浸透圧発電システム
KR101144316B1 (ko) * 2009-10-28 2012-05-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정삼투와 역삼투 조합형 막분리 하폐수 고도처리장치와, 상기 하폐수 고도처리를 위한 막분리공정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10067748A (ko) * 2009-12-15 2011-06-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담수화 소요 에너지 절감형 이중 삼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KR101184652B1 (ko) * 2010-10-26 2012-09-21 (주)대우건설 삼투막 및 나노필터를 이용한 정삼투 담수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2987A1 (ko) * 2013-05-27 2014-12-04 Yang Dae-Ryook 담수화 방법 및 담수화 장치
KR20160108277A (ko) * 2016-09-02 2016-09-19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담수화 장치 및 방법
US10308524B1 (en) 2019-01-15 2019-06-04 Kuwait Institute For Scientific Research Pressure-reduced saline water treat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747B1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my et al. Membrane-based seawater desalination: Present and future prospects
US10427957B2 (en) Osmotic separation systems and methods
US9382135B2 (en)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
CN104445788B (zh) 高含盐废水处理回用零排放集成工艺
JP5941629B2 (ja) 水浄化システム及び水浄化方法
Cath Osmotically and thermally driven membrane processes for enhancement of water recovery in desalination processes
CN203269703U (zh) 新型膜法海水淡化制取淡水和制盐原料系统
CN108383315B (zh) 一种多级电驱动离子膜的废水回收装置
TWI393678B (zh) Desalination system
AU2010293661B2 (en) Fresh water production method and fresh water production device
WO20121026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water from a source water
KR20160140761A (ko) 삼투 분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276711A (zh) 一种工业污水回用及零排放的反渗透膜法处理工艺
KR101344783B1 (ko) 역삼투 농축수 재생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KR101305747B1 (ko) 역삼투 농축수 무방류형 하이브리드 해수담수화 장치 및 방법
JP2003200160A (ja) 造水方法および造水装置
KR101402345B1 (ko) 고효율 역삼투 해수담수화 시스템
KR20150135593A (ko) 해수 담수화 장치 및 방법
US20160052812A1 (en) Reject recovery reverse osmosis (r2ro)
JP2017012985A (ja) 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CN204281377U (zh) 具有正渗透装置的水处理系统
JP2004097911A (ja) 逆浸透膜による高濃度溶液の処理方法
CN204058116U (zh) 一种海水淡化系统
WO2024052721A1 (en) Saline water treatment pre-treatment or treatment system
GB2623984A (en) Minimal liquid discharge desalination systems using integrated membrane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