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439A - 모니터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439A
KR20130037439A KR1020110101839A KR20110101839A KR20130037439A KR 20130037439 A KR20130037439 A KR 20130037439A KR 1020110101839 A KR1020110101839 A KR 1020110101839A KR 20110101839 A KR20110101839 A KR 20110101839A KR 20130037439 A KR20130037439 A KR 20130037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upport plate
base plate
plate
moni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택
Original Assignee
임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택 filed Critical 임유택
Priority to KR102011010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439A/ko
Publication of KR2013003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6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on hinges or piv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책상에 설치되어 컴퓨터용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모니터 지지 장치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모니터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모니터 지지판과, 베이스판과 모니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베이스판에 대한 모니터 지지판의 경사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단은 베이스판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모니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된 힌지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모니터 지지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에 설치되어 컴퓨터용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어 가정이나, 회사 또는 PC방 등에서 업무를 보거나 정보를 얻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사용자는 책상 위에 모니터와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올려 둔 상태로 의자에 앉아서 컴퓨터를 사용하게 된다.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의자의 등받이를 뒤로 젖혀서 거의 누운 자세로 모니터를 보면서 컴퓨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자세가 거의 누운 상태가 되면, 사용자의 시선은 자연스럽게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향하게 되고, 또한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게 되어, 모니터의 화면을 보거나 키보드를 조작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었다. 요즘의 모니터는 대부분 틸트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어느 정도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한계가 있어서, 거의 누운 상태의 사용자의 시선을 편안하게 해 줄 정도로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는 없었다. 그리고,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정한 거리로 좁히기 위해서는, 모니터를 책상의 앞쪽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으며, 또한 이 경우 키보드와 마우스를 놓을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책상에 설치되어 컴퓨터용 모니터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컴퓨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모니터의 경사각도와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모니터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책상에 설치되어 컴퓨터용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상기 모니터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모니터 지지판; 및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모니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경사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베이스판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된 힌지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책상의 상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 위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책상의 상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결합 부재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파이프 또는 막대로 이루어진 4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4각 프레임의 하변과 상변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배면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경사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경사각 고정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결합 부재의 앞쪽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 결합 부재를 받쳐줌으로써 상기 힌지 결합 부재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는 상기 모니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니터 고정 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모니터 고정 장치는,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막대 형상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 고정되며, 중간부가 상기 모니터의 받침대를 아래로 압박하여 상기 베이스판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모니터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 스토퍼는 상기 모니터 받침대의 앞쪽에 배치되어 상기 모니터 받침대를 받쳐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 상에 놓은 키보드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키보드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키보드 스토퍼는 긴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앞쪽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모니터의 경사각도와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가장 편안한 상태로 컴퓨터를 사용할 있게 된다. 특히, 컴퓨터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를 젖혀서 거의 누운 자세에서도, 사용자의 시선에 모니터의 경사각도를 맞출 수 있으며, 사용자와 모니터 사이의 거리를 적정하게 좁힐 수 있으므로,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1은 모니터 지지판이 눕혀진 상태를 보여주고, 도 2는 모니터 지지판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베이스판, 모니터 지지판 및 힌지 결합 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경사각 고정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표시된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표시된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가 책상에 일체로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들로서, 도 1은 모니터 지지판이 눕혀진 상태를 보여주고, 도 2는 모니터 지지판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진 상태를 보여준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100)는, 책상(10)의 상판(12) 위에 설치되어 컴퓨터용 모니터(20)를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책상(10)은 컴퓨터 책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모니터 지지 장치(100)는 컴퓨터 책상뿐만 아니라, 업무용 책상 등 다양한 책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지지 장치(100)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된 모니터 지지판(120)과, 상기 베이스판(110)과 모니터 지지판(120) 사이에 설치된 힌지 결합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책상(10)의 상판(12) 위에 배치되며, 그 상면에는 키보드(30)와 마우스(40)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은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컴퓨터용 모니터(20)가 장착되어 지지되며, 또한 키보드(30)와 마우스(40)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판(110)과 모니터 지지판(120)은 예컨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목재, 플라스틱 또는 가벼운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 부재(130)는, 상기 베이스판(110)과 모니터 지지판(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10)에 대한 모니터 지지판(120)의 경사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힌지 결합 부재(130)의 일단은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모니터 지지판(120)의 배면에 힌지 결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베이스판, 모니터 지지판 및 힌지 결합 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결합 부재(130)는, 예컨대 원형의 단면을 가진 파이프 또는 막대로 이루어진 4각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힌지 결합 부재(130)의 형상은 단지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힌지 결합 부재(130)의 일단, 즉 4각 프레임의 하변은 나사(1322)에 의해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고정된 힌지 지지 부재(1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 즉 4각 프레임의 상변은 역시 나사(1332)에 의해 모니터 지지판(120)의 배면에 고정된 힌지 지지 부재(1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힌지 결합 부재(130)는 베이스판(110)과 모니터 지지판(120) 각각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판(110)에 대한 모니터 지지판(1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베이스판(110)에 대한 모니터 지지판(120)의 위치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모니터 지지판(1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의 경사각도를 적정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경사각 고정 부재(1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는 상기 힌지 결합 부재(130)의 앞쪽에 배치되어, 힌지 결합 부재(130)를 받쳐줌으로써 힌지 결합 부재(130)의 회전각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힌지 결합 부재(130)에 결합된 모니터 지지판(120)은 일정한 경사각도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는 모니터 지지판(120)의 경사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110)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경사각 고정 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0)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측 가장자리 가까이에 앞뒤로 길게 연장된 슬롯(134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는 상기 슬롯(1342)에 삽입되는 나사(1343)와 상기 나사(1343)에 체결되는 너트(1344)에 의해 베이스판(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에는 상기 나사(1343)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홀(134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에는 두 개의 나사 삽입홀(134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1343)와 너트(1345)도 각각 두 개씩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슬롯(1342)과 나사 삽입홀(1345)에 삽입된 나사(1343)에 너트(1344)를 단단하게 죄면,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니터 지지판(120)의 경사각도도 고정된다. 상기 나사(1343)에 체결된 너트(1344)를 느슨하게 풀면,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모니터 지지판(120)의 경사각도를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가장 편안하게 모니터(20)의 화면을 볼 수 있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상기 베이스판(110)과 모니터 지지판(1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판(110)은 책상(10)의 상판(12) 위에 배치되는데, 책상(10)의 상판(12) 위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과 책상(10)의 상판(12)에는 상기 베이스판(110)을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112)가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표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장치(112)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측 가장자리 가까이에 상기 베이스판(11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롯(114)과, 책상(10)의 상판(12)에 고정되는 클램프(115)와, 상기 클램프(115)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상기 슬롯(114)에 삽입되는 나사(116)와,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부에서 상기 나사(116)에 체결되는 너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114)에 삽입된 나사(116)에 너트(117)를 단단하게 죄면, 상기 베이스판(110)은 책상(10)의 상판(12)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116)에 체결된 너트(117)를 느슨하게 풀게 되면, 상기 베이스판(110)을 상기 슬롯(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0)을 앞뒤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와 모니터(20) 사이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한 후, 상기 너트(117)를 다시 단단하게 죄어 상기 베이스판(110)을 책상(10)의 상판(12)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장치(112)에 의해 베이스판(110)을 책상(10)의 상판(12) 위에서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모니터(20), 키보드(30), 마우스(40)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이들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의 상면에는 컴퓨터용 모니터(20)가 장착되어 지지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는 모니터(20)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니터 고정 장치(122)가 마련된다. 상기 모니터 고정 장치(122)는,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막대 형상의 고정 부재(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 각각의 양단부는 모니터 지지판(120)에 고정되며, 중간부가 모니터(20)의 받침대(22)를 아래로 압박하여 베이스판(120) 상에 고정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되는 모니터 고정 장치(122)의 구성은 단지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상기 모니터 고정 장치(122)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 상에 모니터(2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므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성이 아니더라도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1에 표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는 모니터 받침대(22)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니터 받침대(22)와 접촉되는 고정 부재(1222)의 저면에는 모니터 받침대(22)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1223) 등의 유연한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 받침대(22)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는 모니터 받침대(22)의 양측에 배치되며 앞뒤로 길게 연장된 두 개의 슬롯(1224)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의 양단부는 상기 두 개의 슬롯(1224)에 삽입되는 나사(1225)와 상기 나사(1225)에 체결되는 너트(1226)에 의해 모니터 지지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 각각의 양단부에는 상기 나사(1225)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홀(1227)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1224)과 나사 삽입홀(1227)에 삽입된 나사(1225)에 너트(1226)를 단단하게 죄면,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의 양단부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 고정되면서 중간부가 모니터(20)의 받침대(22)를 아래로 압박하여 베이스판(12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나사(1225)에 체결된 너트(1226)를 느슨하게 풀게 되면,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의 간격을 모니터 받침대(22)의 형상과 크기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 후에 상기 너트(1226)를 다시 단단하게 죄어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1222)의 양단부를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 고정시킨다.
한편, 위에서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 컴퓨터용 모니터(20)를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상기한 구성에 의해 모니터를 가진 노트북 컴퓨터도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노트북 컴퓨터의 본체부가 상기한 모니터(20)의 받침대(22)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니터 고정 장치(122)에 의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모니터(20)는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는, 모니터 지지판(120)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진 상태에서 모니터(20)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모니터 스토퍼(1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는 모니터 받침대(22)의 앞에 배치되어 모니터 받침대(22)를 받쳐줌으로써 모니터(20)가 앞으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진 모니터 받침대(22)에 대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진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모니터 지지판(120)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표시된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니터 지지판(120)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는 모니터 받침대(22)의 앞쪽에 배치되며 앞뒤로 길게 연장된 두 개의 슬롯(1242)이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의 양단부는 상기 두 개의 슬롯(1242)에 삽입되는 나사(1243)와 상기 나사(1243)에 체결되는 너트(1244)에 의해 모니터 지지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의 양단부에는 상기 나사(1243)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홀(1245)이 형성된다.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를 모니터 받침대(22)에 밀착시킨 후, 상기 슬롯(1242)과 나사 삽입홀(1245)에 삽입된 나사(1243)에 너트(1244)를 단단하게 죄면,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나사(1243)에 체결된 너트(1244)를 느슨하게 풀면, 다양한 크기의 모니터 받침대(22)에 대응하여 상기 모니터 스토퍼(124)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이 소정의 경사각도로 세워진 상태로 사용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 상에 키보드(30)와 마우스(40)가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에는 키보드(30)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키보드 스토퍼(1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스토퍼(126)는 긴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의 앞쪽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또한 모니터 지지판(120)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1에 표시된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키보드 스토퍼(126)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니터 지지판(120)의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의 양측 가장자리 가까이에 앞뒤로 길게 연장된 슬롯(1262)이 형성되고, 상기 키보드 스토퍼(126)의 양단부는 상기 슬롯(1262)에 삽입되는 나사(1263)와 상기 나사(1263)에 체결되는 너트(1264)에 의해 모니터 지지판(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 스토퍼(126)의 양단부에는 상기 나사(1263)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홀(1265)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1262)과 나사 삽입홀(1265)에 삽입된 나사(1263)에 너트(1264)를 단단하게 죄면, 상기 키보드 스토퍼(126)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나사(1263)에 체결된 너트(1264)를 느슨하게 풀면, 상기 키보드 스토퍼(126)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키보드(3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 스토퍼(126)는 키보드(3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목을 받쳐주는 손목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키보드 받침대(126)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손목을 편안하게 받쳐 줄 수 있도록 쿠션(1226)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 스토퍼(126)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스토퍼(126)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사 삽입홀(1265)을 모니터 지지판(120)의 폭방향 중심으로부터 뒤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하고, 도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스토퍼(126)를 앞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키게 되면, 모니터 스토퍼(126)가 모니터 지지판(120)의 앞쪽으로 소정 폭만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 지지판(120)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 결합 부재(130)에 의해 경사각도의 조절 및 앞뒤로의 이동이 가능한데, 이러한 모니터 지지판(120)의 핸들링이 용이하도록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의 양측 가장자리 가까이에는 손잡이(12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가 책상에 일체로 설치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100)는 책상(10), 예컨대 컴퓨터 책상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모니터 지지 장치(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10)의 상판(12) 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10)에 일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책상(10)의 상판(12) 위에 놓이는 베이스판(110)이 필요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책상(10)의 상판(12)이 베이스판(110)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모니터 지지 장치(100)에 있어서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이 책상(10)의 상판 위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 결합 부재(130)는 그 일단이 책상(10)의 상판(1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모니터 지지판(120)의 배면에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는 책상(10)의 상판(12)에 설치되며,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134)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롯(1342)도 책상(10)의 상판(12)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니터 지지판(120)과 여기에 마련되는 구성들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며, 그 작용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지지 장치(100)에 의하면, 모니터(20)의 경사각도와 모니터(2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가장 편안한 상태로 컴퓨터를 사용할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컴퓨터 작업을 할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의자의 등받이를 젖혀서 거의 누운 자세에서 컴퓨터 작업, 예컨대 게임을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소정의 경사각도로 상향하게 되고, 또한 모니터(2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게 되므로, 도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지지판(120)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모니터(20)의 경사각도를 맞출 수 있으며, 모니터(2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따라서,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 지지 장치(100)는, 책상(10)의 상판(12) 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일반 책상이나 컴퓨터 책상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상(10)의 상판(120)을 베이스판(110)으로 이용하여 책상(10)에 일체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보다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새로 제조되는 컴퓨터 책상에 적용될 경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책상 12...상판
20...모니터 22...모니터 받침대
30...키보드 40...마우스
100...모니터 지지 장치 110...베이스판
112...가이드 장치 120...모니터 지지판
122...모니터 고정 장치 124...모니터 스토퍼
126...키보드 스토퍼 128...손잡이
130...힌지 결합 부재 132...힌지 지지 부재
134...경사각 고정 부재

Claims (8)

  1. 책상에 설치되어 컴퓨터용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 상기 모니터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모니터 지지판; 및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모니터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에 대한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경사각도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베이스판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된 힌지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책상의 상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책상의 상판 위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책상의 상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 부재는, 원형의 단면을 가진 파이프 또는 막대로 이루어진 4각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상기 4각 프레임의 하변과 상변이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배면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경사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경사각 고정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각 고정 부재는 상기 힌지 결합 부재의 앞쪽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 결합 부재를 받쳐줌으로써 상기 힌지 결합 부재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는 상기 모니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모니터 고정 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모니터 고정 장치는, 나란하게 배치된 두 개의 막대 형상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고정 부재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 고정되며, 중간부가 상기 모니터의 받침대를 아래로 압박하여 상기 베이스판 상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모니터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 스토퍼는 상기 모니터 받침대의 앞쪽에 배치되어 상기 모니터 받침대를 받쳐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에는, 상기 모니터 지지판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 상에 놓은 키보드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도록 막아주는 키보드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키보드 스토퍼는 긴 막대 형상으로서 상기 모니터 지지판의 앞쪽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지지 장치.
KR1020110101839A 2011-10-06 2011-10-06 모니터 지지 장치 KR20130037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39A KR20130037439A (ko) 2011-10-06 2011-10-06 모니터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839A KR20130037439A (ko) 2011-10-06 2011-10-06 모니터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439A true KR20130037439A (ko) 2013-04-16

Family

ID=48438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839A KR20130037439A (ko) 2011-10-06 2011-10-06 모니터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4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703B1 (en) Computer mouse and arm rest
US6352233B1 (en) Portable stand for a laptop computer
US8371237B2 (en) Computer work station with moveable monitor support
US4688862A (en) Workstation for electronic equipment operator
US20170086314A1 (en) Elevating Support For Viewing Electronic Displays
US10039378B2 (en) Adjustable table
US20130134267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Tablet Personal Computers
US8459191B2 (en) Laptop computer desk
US9986821B2 (en) Ergonomic keyboard and peripheral positioning system
EP1173702B1 (en) Pull-out keyboard tray
US7946551B1 (en) Adjustable ergonomic keyboard, mouse, and wrist support
US20140117189A1 (en) Keyboard and trackpad support apparatus
US8061668B1 (en) Adjustable ergonomic keyboard, mouse, and wrist support
KR20130037439A (ko) 모니터 지지 장치
KR101009572B1 (ko) 노트북 거치대
US201403521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aining tablet computer
JP4343218B2 (ja) 調節式キーボードスタンド
US20140137952A1 (en) Support rack
KR101166791B1 (ko) 모니터 지지장치
CN218208901U (zh) 旋钮型升降结构、支架及显示器
JP2021174414A (ja) ディスプレイ台、パソコンラック、サーバーラック及びコンピュータラック
KR20110010923A (ko) 코브라 서류 받침대
JP3211107U (ja) 角度調整可能な分離机
KR20110010001U (ko) 와(臥) 독서대
KR20150145482A (ko) 컴퓨터 본체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