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304A -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 Google Patents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304A
KR20130037304A KR1020110101639A KR20110101639A KR20130037304A KR 20130037304 A KR20130037304 A KR 20130037304A KR 1020110101639 A KR1020110101639 A KR 1020110101639A KR 20110101639 A KR20110101639 A KR 20110101639A KR 20130037304 A KR20130037304 A KR 2013003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queue
node
intern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110B1 (ko
Inventor
김천석
길준호
Original Assignee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1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4Balanced arrangements
    • H03D7/1425Balanced arrangements with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8Modifications of frequency-changers for eliminating image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covered by H03D
    • H03D2200/0041Functional aspects of demodulators
    • H03D2200/0066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 유무에 따라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주파수 변환을 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 시에 아이 채널과 큐 채널의 노드가 서로 크로스로 연결됨으로써, 고주파 신호와 로컬 신호의 주파수 믹싱 기능과 함께 이미지 리젝션 기능도 함께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를 내장하는 경우, 별도의 이미지 리젝터를 채용할 필요성이 감소되거나, 이미지 리젝터가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 의하면, 레이아웃 면적이 현저히 감소되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RF 수신기의 고집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CONVERSION SELECTION FREQUENCY MIXER FOR BOTH DIRECT-CONVERSION AND LOW-IF}
본 발명은 RF 수신기(RF receiver)의 주파수 믹서(frequency mix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low Intermediate Frequency) 변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RF 수신기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인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증폭, 주파수 변환, 필터링 등의 과정을 통해 신호 처리하는 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LNA(low-noise amplifier), 주파수 믹서, LAN, LPF(low pass filter), VGA(variable-gain amplifier) 및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LNA(low-noise amplifier)은 안테나로 RF 신호를 증폭하여, 믹서로 제공한다. 이때, 주파수 믹서는 LNA에서 증폭된 RF 신호를 저주파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는 LPF에서 채널 선택되어 원하는 채널 주파수 대역 신호만 남게 되고, VGA를 거쳐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에서 디지털화된 신호가 디지털 모뎀 회로로 전달된다.
한편, 주파수 믹서에서의 RF 신호의 변환 방식 중에는,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 방식 등이 있다. 직접 변환 방식은 주파수 변환 없이 수신된 고주파에서 직접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 방식으로서, 선택되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0Hz이다. 그리고, 로우 아이에프 변환 방식은 선택되는 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소정의 값으로 쉬프트(shift)되는 수신 방식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을 모두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필요에 따라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주파수 변환을 수 있는 RF 수신기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 통신 서비스의 다양화와 고급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RF 수신기의 고집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주파수 변환을 수 있으며, 또한, 고집적화에 적합한 RF 수신기의 주파수 믹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을 로컬 신호 그룹과 합성하여 아이 내부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아이 합성부; 큐 고주파 신호 그룹을 상기 로컬 신호 그룹과 합성하여 큐 내부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큐 합성부로서, 상기 큐 고주파 신호 그룹은 상기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에 대하여 지연 위상차로 지연되는 상기 큐 합성부;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아이 출력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아이 연산 증폭부;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큐 출력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큐 연산 증폭부; 및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을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에 커플링하며,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을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에 커플링하는 크로스 연결부로서,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 사이의 커플링 및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 사이의 커플링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해제되는 상기 크로스 연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 유무에 따라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주파수 변환을 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 시에 아이 채널과 큐 채널의 노드가 서로 크로스로 연결됨으로써, 고주파 신호와 로컬 신호의 주파수 믹싱 기능과 함께 이미지 리젝션 기능도 함께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를 내장하는 경우, 별도의 이미지 리젝터를 채용할 필요성이 감소되거나, 이미지 리젝터가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 의하면, 레이아웃 면적이 현저히 감소되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RF 수신기의 고집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서의 직접 변환 및 Low-IF 변환에 따른 이미지의 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아이 합성부 및 아이 증폭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큐 합성부 및 큐 증폭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크로스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아이 합성부 및 아이 증폭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큐 합성부 및 큐 증폭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크로스 연결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각 도면을 이해함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는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고자 함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신호 그룹'은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는 2개의 신호를 포함하여 칭한다. 그리고, '노드 그룹'은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는 2개의 신호 성분을 전송하는 2개의 노드를 포함하여 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고주파 신호'는 'RF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신호'는 '아이 고주파 신호'의 성분과 '큐 고주파 신호'의 성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는 상기 아이 및 큐 고주파 신호 그룹에 로컬 신호 그룹을 믹싱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 일실시예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아이 합성부(110), 큐 합성부(130), 아이 연산 증폭부(150), 큐 연산 증폭부(170) 및 크로스 연결부(190)를 구비한다.
상기 아이 합성부(110)는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IRF)을 로컬 신호 그룹(LO)과 합성하여 아이 내부 노드 그룹(NII)으로 제공한다.
상기 큐 합성부(130)는 큐 고주파 신호 그룹(QRF)을 상기 로컬 신호 그룹(LO)과 합성하여 큐 내부 노드 그룹(NIQ)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큐 고주파 신호 그룹(QRF)은 상기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IRF)에 대하여 지연 위상차로 지연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지연 위상차'는 π/2이다.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150)는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으로 제공하며, 상기 큐 연산 증폭부(170)는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으로 제공한다.
상기 크로스 연결부(190)는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을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에 커플링하며,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을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에 커플링하도록 구동된다.
즉,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되면,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은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에 커플링되며,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은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에 커플링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에서, 아이 채널과 큐 채널의 노드가 서로 크로스로 연결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는,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와 로컬 신호의 주파수 믹싱 기능과 함께 이미지 리젝션 기능도 함께 수행된다.
다시 기술하면,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는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비활성화되면,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과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 사이의 커플링이 해제되며, 또한,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과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 사이의 커플링도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비활성화되는 경우,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에서, 아이 채널과 큐 채널의 노드가 서로 크로스 연결은 해제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는,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주파 신호와 로컬 신호의 주파수 믹싱 기능과 함께 중심 주파수가 0Hz 인 직접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크로스 연결부(190)는 제1 저항 스위칭 그룹(GRS1) 및 제2 저항 스위칭 그룹(GRS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저항 스위칭 그룹(GRS1)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과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을 커플링시킨다.
제2 저항 스위칭 그룹(GRS2)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과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을 커플링시킨다.
계속하여, 도 1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된다.
도 3은 도 1의 아이 합성부(110) 및 아이 증폭부(15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 합성부(110)는 제1 아이 합성 수단(MIM1) 및 제2 아이 합성 수단(MIM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아이 합성 수단(MIM1)은 제1 로컬 신호(LO+)에 따라 제1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하고, 제2 로컬 신호(LO-)에 따라 상기 제1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아이 합성 수단(MIM2)은 상기 제2 로컬 신호(LO-)에 따라 제2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로컬 신호(LO+)에 따라 상기 제2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아이 고주파 신호(IRF+)와 상기 제2 아이 고주파 신호(IRF-)는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IRF)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로컬 신호(LO+)와 상기 제2 로컬 신호(LO-)도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며, 로컬 신호 그룹(LO)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는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에 포함된다.
상기 제1 아이 합성 수단(MIM1)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2 아이 트랜지스터(111, 1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아이 트랜지스터(111)는 상기 제1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한다. 상기 제2 아이 트랜지스터(113)는 상기 제2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상기 제2 아이 합성 수단(MIM2)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내지 제4 아이 트랜지스터(115, 117)를 구비한다. 상기 제3 아이 트랜지스터(115)는 상기 제2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4 아이 트랜지스터(117)는 상기 제1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아이 고주파 신호(I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계속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150)는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의 신호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며,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NIOUT+)와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NIOUT-)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제1 아이 출력 신호(IOUT+)와 상기 제2 아이 출력 신호(IOUT-)를 발생한다.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150)는 구체적으로 아이 연산 증폭기(151), 제1 아이 피드백 수단(153) 및 제2 아이 피드백 수단(155)을 구비한다.
상기 아이 연산 증폭기(151)는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의 신호를 음(-)의 입력으로,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의 신호를 양(+)의 입력으로 수신하여 연산 증폭한다. 그리고, 아이 연산 증폭기(151)는 양(+)의 출력으로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NIOUT+)를, 음(-)의 출력으로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NIOUT-)를 드라이빙한다.
제1 아이 피드백 수단(153)은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와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NIOUT+)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1 아이 피드백 저항(153a) 및 제1 아이 피드백 캐패시터(153b)를 포함한다.
제2 아이 피드백 수단(155)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와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NIOUT-)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2 아이 피드백 저항(155a) 및 제2 아이 피드백 캐패시터(155b)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1의 큐 합성부(130) 및 큐 증폭부(17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큐 합성부(130)는 제1 큐 합성 수단(MQM1) 및 제2 큐 합성 수단(MQM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큐 합성 수단(MQM1)은 상기 제1 로컬 신호(LO+)에 따라 제1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로컬 신호(LO-)에 따라 상기 제1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큐 합성 수단(MQM2)은 상기 제2 로컬 신호(LO-)에 따라 제2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로컬 신호(LO+)에 따라 상기 제2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큐 고주파 신호(QRF+)와 상기 제2 큐 고주파 신호(QRF-)는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큐 고주파 신호 그룹(QRF)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는 내부 큐 노드 그룹(NIQ)에 포함된다.
상기 제1 큐 합성 수단(MQM1)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2 큐 트랜지스터(131, 13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큐 트랜지스터(131)는 상기 제1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한다. 상기 제2 큐 트랜지스터(133)는 상기 제2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상기 제2 큐 합성 수단(MQM2)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내지 제4 아이 트랜지스터(135, 137)를 구비한다. 상기 제3 큐 트랜지스터(135)는 상기 제2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4 큐 트랜지스터(137)는 상기 제1 로컬 신호(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큐 고주파 신호(Q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계속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큐 연산 증폭부(170)는 구체적으로 큐 연산 증폭기(171), 제1 큐 피드백 수단(173) 및 제2 큐 피드백 수단(175)을 구비한다.
상기 큐 연산 증폭기(171)는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의 신호를 음(-)의 입력으로,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의 신호를 양(+)의 입력으로 수신하여 연산 증폭한다. 그리고, 큐 연산 증폭기(171)는 양(+)의 출력으로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NQOUT+)를, 음(-)의 출력으로 상기 제2 큐이 출력 노드(NQOUT-)를 드라이빙한다.
제1 큐 피드백 수단(173)은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와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NQOUT+)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1 큐 피드백 저항(173a) 및 제1 큐 피드백 캐패시터(173b)를 포함한다.
제2 큐 피드백 수단(175)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와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NQOUT-)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2 큐 피드백 저항(175a) 및 제2 큐 피드백 캐패시터(175b)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1의 크로스 연결부(19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 연결부(190)는 상기 제1 저항 스위칭 그룹(GRS1)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2 연결저항(191a, 193a) 및 제1 내지 제2 연결 스위치(191b, 193b)와, 상기 제2 저항 스위칭 그룹(GRS2)에 포함되는 제3 내지 제4 연결저항(195a, 197a) 및 제3 내지 제4 연결 스위치(195b, 197b)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연결 저항(191a)은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 스위치(191b)는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 사이에 상기 제1 연결 저항(191a)과 직렬로 형성되며,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는 상기 제1 연결저항(191a)으로 커플링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비활성될 때,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 사이의 커플링은 해제된다.
상기 제2 연결 저항(193a)은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 스위치(193b)는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 사이에 상기 제2 연결 저항(193a)과 직렬로 형성되며,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는 상기 제2 연결저항(193a)으로 커플링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비활성될 때,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 사이의 커플링은 해제된다.
상기 제3 연결 저항(195a)은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연결 스위치(195b)는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 사이에 상기 제3 연결 저항(195a)과 직렬로 형성되며,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는 상기 제3 연결저항(195a)으로 커플링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비활성될 때,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 사이의 커플링은 해제된다.
상기 제4 연결 저항(197a)은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 연결 스위치(197b)는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 사이에 상기 제4 연결 저항(197a)과 직렬로 형성되며,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는 상기 제3 연결저항(195a)으로 커플링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비활성될 때,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NQOUT-)와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 사이의 커플링은 해제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아이 트랜지스터들(111, 113, 115, 117) 및 상기 큐 트랜지스터들(131, 133, 135, 137) 각각의 저항성분의 저항값은 서로 동일하며, 피드백 저항들(153a, 155a, 173a, 175a) 각각의 저항값도 서로 동일하다.
그리고, 연결 저항들(191, 193, 195, 197) 각각의 저항값도 서로 동일하며, 캐패시터들(153b, 155b, 173b, 175b) 각각의 캐패시턴스값도 동일하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서의 변환 선택 신호(MSEL)에 따른 주파수 믹싱 및 변환 동작이 기술된다.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서는,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이 비활성화할 때, 아이 출력 노드들(NIOUT+, NIOUT-)과 내부 큐 노드들(NIQ2, NIQ1) 사이 및 큐 출력 노드들(NQOUT+, NQOUT-)과 내부 아이 노드들(NII1, NII2) 사이의 커플링은 해제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에서의 전달함수 H1(ω)는 [수학식 1]로 알려져 있다.
[수학식 1]
H1(ω)=(R2/R1)*{1+jω*(R2*C)}-1*(2/π)
여기서,
R1: 트랜지스터들(111, 113, 115, 117, 131, 133, 135, 137) 각각의 저항값
R2: 저항들(153a, 155a, 173a, 175a) 각각의 저항값
C: 캐패시터들(153b, 155b, 173b, 175b) 각각의 캐패시턴스값
[수학식 1]의 변환에 따르면, 보호되는 영역의 중심 주파수는, 도 2a에서와 같이, 0Hz이다. 즉,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이 비활성화할 때,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서는, 직접 변환이 수행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이 활성화할 때, 아이 출력 노드들(NIOUT+, NIOUT-)은 내부 큐 노드들(NIQ2, NIQ1)에 커플링되고, 큐 출력 노드들(NQOUT+, NQOUT-)가 내부 아이 노드들(NII1, NII2)에 커플링된다. 즉,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에서는, 아이 채널과 큐 채널의 노드가 서로 크로스로 연결됨으로써, 고주파 신호와 로컬 신호의 주파수 믹싱 기능과 함께 이미지 리젝션 기능도 함께 수행된다.
이는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에서의 전달함수 H2(ω)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이 활성화할 때의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에서의 전달함수 H2(ω)는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H2(ω)=(R2/R1)*(2/π)*β-1
이때,
β=1+j[ω-(Rc*C)-1]*(R2*C)
여기서,
Rc: 저항들(191a, 193a, 195a, 197a) 각각의 저항값
즉,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할 때의 전달함수 H2(ω)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가 비활성화할 때의 전달함수 H1(ω)에 대하여, 보호되는 주파수가 (Rc*C)-1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파수 믹서에서는, 이미지 신호가 상당부분 제거됨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 유무에 따라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주파수 변환을 할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 시에 아이 채널과 큐 채널의 노드가 서로 크로스로 연결됨으로써, 고주파 신호와 로컬 신호의 주파수 믹싱 기능과 함께 이미지 리젝션 기능도 함께 수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를 내장하는 경우, 별도의 이미지 리젝터를 채용할 필요성이 감소되거나, 이미지 리젝터가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에 의하면, 레이아웃 면적이 현저히 감소되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RF 수신기의 고집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해서는, RF 신호가 아이 채널 및 큐 채널의 성분으로 분리되는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RF 신호 대신에 로컬 신호가 아이 채널 및 큐 채널의 성분으로 분리되는 다른 일실시예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아이 합성부(210), 큐 합성부(230), 아이 연산 증폭부(250), 큐 연산 증폭부(270) 및 크로스 연결부(290)를 구비한다.
상기 아이 합성부(210)는 고주파 신호 그룹(RF)을 아이 로컬 신호 그룹(ILO)과 합성하여 아이 내부 노드 그룹(NII)으로 제공한다.
상기 큐 합성부(230)는 상기 고주파 신호 그룹(RF)을 큐 로컬 신호 그룹(QLO)과 합성하여 큐 내부 노드 그룹(NIQ)으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큐 로컬 신호 그룹(QLO)은 상기 아이 로컬 신호 그룹(ILO)에 대하여 지연 위상차로 지연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지연 위상차'는 π/2이다.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250)는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으로 제공하며, 상기 큐 연산 증폭부(270)는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으로 제공한다.
상기 크로스 연결부(290)는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을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에 커플링하며,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을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에 커플링하도록 구동된다.
즉, 변환 선택 신호(MSEL)가 활성화되면,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은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에 커플링되며,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은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에 커플링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크로스 연결부(290)는 제1 저항 스위칭 그룹(GRS1) 및 제2 저항 스위칭 그룹(GRS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저항 스위칭 그룹(GRS1)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NQOUT)과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NII)을 커플링시킨다.
제2 저항 스위칭 그룹(GRS2)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MSEL)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NIOUT)과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NIQ)을 커플링시킨다.
계속하여, 도 6의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된다.
도 7은 도 6의 아이 합성부(210) 및 아이 증폭부(25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 합성부(210)는 제1 아이 합성 수단(MIM1) 및 제2 아이 합성 수단(MIM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아이 합성 수단(MIM1)은 제1 아이 로컬 신호(ILO+)에 따라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하고, 제2 아이 로컬 신호(LO-)에 따라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아이 합성 수단(MIM2)은 상기 제2 아이 로컬 신호(ILO-)에 따라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아이 로컬 신호(ILO+)에 따라 상기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와 상기 제2 고주파 신호(RF-)는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고주파 신호 그룹(RF)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아이 로컬 신호(ILO+)와 상기 제2 아이 로컬 신호(ILO-)도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며, 아이 로컬 신호 그룹(ILO)에 포함된다.
상기 제1 아이 합성 수단(MIM1)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2 아이 트랜지스터(211, 21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아이 트랜지스터(211)는 상기 제1 아이 로컬 신호(I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한다. 상기 제2 아이 트랜지스터(213)는 상기 제2 아이 로컬 신호(I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상기 제2 아이 합성 수단(MIM2)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내지 제4 아이 트랜지스터(215, 217)를 구비한다. 상기 제3 아이 트랜지스터(215)는 상기 제2 아이 로컬 신호(I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NII1)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4 아이 트랜지스터(217)는 상기 제1 아이 로컬 신호(I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NII2)에 전송한다.
계속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250)는 도 3의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150)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된다.
도 8은 도 6의 큐 합성부(230) 및 큐 증폭부(27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큐 합성부(230)는 제1 큐 합성 수단(MQM1) 및 제2 큐 합성 수단(MQM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큐 합성 수단(MQM1)은 제1 큐 로컬 신호(QLO+)에 따라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하고, 제2 큐 로컬 신호(QLO-)에 따라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큐 합성 수단(MQM2)은 상기 제2 큐 로컬 신호(QLO-)에 따라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하고, 상기 제1 큐 로컬 신호(QLO+)에 따라 상기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1 큐 로컬 신호(QLO+)와 상기 제2 큐 로컬 신호(QLO-)는 서로 상보적인 전압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로컬 신호 그룹(LO)에 포함된다.
상기 제1 큐 합성 수단(MQM1)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2 큐 트랜지스터(131, 13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큐 트랜지스터(131)는 상기 제1 큐 로컬 신호(Q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한다. 상기 제2 큐 트랜지스터(133)는 상기 제2 큐 로컬 신호(Q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1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상기 제2 큐 합성 수단(MQM2)은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내지 제4 아이 트랜지스터(235, 237)를 구비한다. 상기 제3 큐 트랜지스터(235)는 상기 제2 큐 로컬 신호(Q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NIQ1)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4 큐 트랜지스터(237)는 상기 제1 큐 로컬 신호(QLO+)에 게이팅되어, 상기 제2 고주파 신호(RF-)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NIQ2)에 전송한다.
계속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큐 연산 증폭부(270)는 도 4의 상기 큐 연산 증폭부(170)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된다.
도 9는 도 6의 크로스 연결부(29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크로스 연결부(290)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는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 유무에 따라 직접 변환(direct-conversion) 및 로우 아이에프(low-IF) 변환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주파수 변환을 할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 신호의 리젝션을 1차 함수로 수행하는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미지 신호의 리젝션을 2차 이상의 함수로 수행하도록 확장되는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주파수 믹서에 있어서,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을 로컬 신호 그룹과 합성하여 아이 내부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아이 합성부;
    큐 고주파 신호 그룹을 상기 로컬 신호 그룹과 합성하여 큐 내부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큐 합성부로서, 상기 큐 고주파 신호 그룹은 상기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에 대하여 지연 위상차로 지연되는 상기 큐 합성부;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아이 출력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아이 연산 증폭부;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큐 출력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큐 연산 증폭부; 및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을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에 커플링하며,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을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에 커플링하는 크로스 연결부로서,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 사이의 커플링 및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 사이의 커플링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해제되는 상기 크로스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위상차는
    π/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연결부는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을 커플링하는 제1 저항 스위칭 그룹; 및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을 커플링하는 제2 저항 스위칭 그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고주파 신호 그룹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인 제1 아이 고주파 신호 및 제2 아이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큐 고주파 신호 그룹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인 제1 큐 고주파 신호 및 제2 큐 고주파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신호 그룹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인 제1 로컬 신호 및 제2 로컬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은 제1 내부 아이 노드 및 제2 내부 아이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은 제1 내부 큐 노드 및 제2 내부 큐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 합성부는
    상기 제1 로컬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이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로컬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아이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에 전송하는 제1 아이 합성 수단; 및
    상기 제2 로컬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아이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로컬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아이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에 전송하는 제2 아이 합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큐 합성부는
    상기 제1 로컬 신호에 따라 제1 큐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로컬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큐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에 전송하는 제1 큐 합성 수단; 및
    상기 제2 로컬 신호에 따라 제2 큐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에 전송하고, 상기 제1 로컬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큐 고주파 신호를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에 전송하는 제2 큐 합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아이 노드 그룹은 제1 출력 아이 노드 및 제2 출력 아이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큐 노드 그룹은 제1 출력 큐 노드 및 제2 출력 큐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는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의 신호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와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를 드라이빙하며,
    상기 큐 연산 증폭부는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의 신호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와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를 드라이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 연산 증폭부는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의 신호를 음의 입력으로,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의 신호를 양의 입력으로 수신하여 연산 증폭하는 아이 연산 증폭기로서, 양의 출력으로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를, 음의 출력으로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를 드라이빙하는 상기 아이 연산 증폭기;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와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1 아이 피드백 저항 및 제1 아이 피드백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1 아이 피드백 수단; 및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와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2 아이 피드백 저항 및 제2 아이 피드백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2 아이 피드백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큐 증폭부는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의 신호를 음의 입력으로,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의 신호를 양의 입력으로 수신하여 연산 증폭하는 큐 연산 증폭기로서, 양의 출력으로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를, 음의 출력으로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를 드라이빙하는 상기 큐 연산 증폭기;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와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1 큐 피드백 저항 및 제1 큐 피드백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1 큐 피드백 수단; 및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와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 사이에 서로 병렬로 형성되는 제2 큐 피드백 저항 및 제2 큐 피드백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제2 큐 피드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연결부는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와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연결 저항;
    상기 제1 큐 출력 노드와 상기 제1 내부 아이 노드 사이에 상기 제1 연결 저항과 직렬로 형성되는 제1 연결 스위치로서,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제1 연결 스위치;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연결 저항;
    상기 제2 큐 출력 노드와 상기 제2 내부 아이 노드 사이에 상기 제2 연결 저항과 직렬로 형성되는 제2 연결 스위치로서,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제2 연결 스위치;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연결 저항;
    상기 제1 아이 출력 노드와 상기 제2 내부 큐 노드 사이에 상기 제3 연결 저항과 직렬로 형성되는 제3 연결 스위치로서,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제3 연결 스위치;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와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 사이에 형성되는 제4 연결 저항; 및
    상기 제2 아이 출력 노드와 상기 제1 내부 큐 노드 사이에 상기 제4 연결 저항과 직렬로 형성되는 제4 연결 스위치로서,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턴온되는 상기 제4 연결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8. 주파수 믹서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 그룹을 아이 로컬 신호 그룹과 합성하여 아이 내부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아이 합성부;
    상기 고주파 신호 그룹을 큐 로컬 신호 그룹과 합성하여 큐 내부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큐 합성부로서, 상기 큐 로컬 신호 그룹은 상기 아이 로컬 신호 그룹에 대하여 지연 위상차로 지연되는 상기 큐 합성부;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아이 출력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아이 연산 증폭부;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의 신호를 연산 증폭하여, 큐 출력 노드 그룹으로 제공하는 큐 연산 증폭부; 및
    변환 선택 신호의 활성화에 따라,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을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에 커플링하며,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을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에 커플링하는 크로스 연결부로서, 상기 큐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아이 노드 그룹 사이의 커플링 및 상기 아이 출력 노드 그룹과 상기 내부 큐 노드 그룹 사이의 커플링은, 상기 변환 선택 신호의 비활성화에 따라 해제되는 상기 크로스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KR1020110101639A 2011-10-06 2011-10-06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KR101270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39A KR101270110B1 (ko) 2011-10-06 2011-10-06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39A KR101270110B1 (ko) 2011-10-06 2011-10-06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04A true KR20130037304A (ko) 2013-04-16
KR101270110B1 KR101270110B1 (ko) 2013-05-31

Family

ID=4843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639A KR101270110B1 (ko) 2011-10-06 2011-10-06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1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110B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1906B2 (ja) 出力ごとに独立した利得制御を備える単一入力多出力増幅器
JP6224293B1 (ja) マルチバンド受信機のための2段低雑音増幅器
JP6464170B2 (ja) 再構成可能な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受信器およびフィルタ
US6351502B1 (en) RF front-end with multistage stepdown filtering architecture
US8520785B2 (en) Multimode receiver with a translational loop for input matching
US20070037542A1 (en) Combined Low-IF/direct down conversion baseband architecture for 3G GSM/WCDMA receivers
US8831551B2 (en) Receiver
EP1811678A2 (en)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EP2204912B1 (en) Interference-robust receiv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42051B1 (en) Low noise amplifier and notch filter
JP2012521154A5 (ko)
US7346128B2 (en) Dual-mode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JP2017510202A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増幅器のためのスプリアス信号低減
US6876844B1 (en) Cascading-synchronous mixer and method of operation
US6922554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transceiver and a transceiver
US8224280B2 (en) Radio frequency re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US72247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RF signal free of 1/f nois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7110696A (ja) アナログ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101270110B1 (ko) 직접 변환과 로우 아이에프 변환을 겸용하는 변환 선택 주파수 믹서
US81312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channel select filter with an integrated alternate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AACI) filter
US8364111B2 (en) Down-conversion mixer with signal processing
CN107404326A (zh) 一种结合软件无线电的超外差接收机
US10340860B1 (en) Multi-mode low noise amplifier
US8463211B2 (en) RF signal receiving apparatus
KR200214904Y1 (ko)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