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904Y1 -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904Y1
KR200214904Y1 KR2020000025766U KR20000025766U KR200214904Y1 KR 200214904 Y1 KR200214904 Y1 KR 200214904Y1 KR 2020000025766 U KR2020000025766 U KR 2020000025766U KR 20000025766 U KR20000025766 U KR 20000025766U KR 200214904 Y1 KR200214904 Y1 KR 200214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hannel
signal
digital signa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904Y1/ko

Links

Landscapes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는,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부;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하나의 중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국부주파수 발진부; 상기 국부주파수 발진부에 의해 발생된 국부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한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제1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1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제1IF AGC; 상기 제1IF BPF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만을 선택하는 수신채널 선택부와, 디지털 신호를 시스템 주파수 영역의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로 이동시키는 송신채널 선택부를 포함하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송신채널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상기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하여주는 제2IF AGC; 상기 제2IF AGC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제2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제2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주는 제2고주파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신채널 선택부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입력 되는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푸리에 변환기;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채널 정보부; 상기 푸리에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에서 상기 채널 정보부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의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채널 선택부; 및 상기 통과된 대역의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신되는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할 때 하나의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의 채널 선택은 제어부에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의 국부주파수 발진부를 이용하여 정확한 채널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Transmitter-receiver for selecting channel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본 고안은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화 채널을 선택할 때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을 선택하여 하나의 주파수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기기에 많이 쓰이는 송수신기로서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송수신기는 전파를 수신할 때에는 수신한 전파의 주파수보다 조금 낮은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 검파하여 수신하고, 전파를 송신할 때에는 전송하고자하는 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이를 증폭하고 원하는 주파수로 변환하여 전파를 송신한다.
도 1은 종래의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송수신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송수신기는, 먼저 전파를 수신할 때에는, 두 개의 트랜시버(transceiver)로 안테나를 공용하여 전파의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듀플렉서(duplexer)(101)에서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파를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02)에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제1RF BPF(Radio Frequency Band Pass Filter)(103)에서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대역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대역 통과된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주파수 변환기(Down mixer)(104)에서 일정한 주파수의 중간주파수로 낮추고, 이 때 국부주파수 발진부(PLL/VCO, Phase-Locked Loop/Voltage Controlled Oscillator)(110)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현재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중심주파수가 상기 중간주파수와 맞도록 한다. 즉, 상기 수신한 전파의 주파수를 상기 국부주파수 발진부(11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는 제1IF BPF(Intermediate Frequency Band Pass Filter)로 입력되어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이 선택되어 상기 제1IF BPF(105)를 통과한다.
계속해서, IF BPF(105)를 통과한 신호는 제1IF AGC(Auto Gain Controller)(106)로 입력되어 적절한 크기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제1IF Mixer(107)에서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어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로 입력되고,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에서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9)로 입력되어 디지털 복조과정을 거쳐,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전파를 송신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109)에서 디지털 변조과정을 거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28)에서 베이스밴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제2IF Mixer(127)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를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제2IF AGC(126)에서 1차적으로 적정한 수준의 크기를 갖는 신호로 증폭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된 신호는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하는 제2IF BPF(125)를 통과하여 원하는 대역만 통과되고, 상기 제2IF BPF(125)에서 원하는 대역만 통과된 신호는 제2주파수 변환기(Up Mixer)(124)를 거쳐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로 신호변환된다.
계속해서, 상기 현재 통신채널의 주파수로 변환된 신호는 제2RF BPF(123)를 거침으로써 대역 통과하여 신호가 안정화되고, 상기 안정화된 신호를 Drive Amplifier(122)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후, 재차 제3RF BPF(121)를 거쳐 신호를 안정화시킨 후 Power Amplifier(120)를 이용하여 송신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증폭하고, 듀플렉서(101)를 거쳐 수신신호와 구별되어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직접 변환 방식의 송수신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한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송수신기와 동일하나, 다만, 중간주파수의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a)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에 비해, 상기 중간주파수의 신호를 직접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a)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a)는 상기 중간주파수에 맞는 클럭을 사용하며, 상기 슈퍼 헤테로다인에서 사용되었던 IF Mixer(107, 127)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송수신기의 구조가 슈퍼 헤테로다인의 구조에 비해 간단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송수신기 및 직접 변환 방식의 송수신기는, 통신을 할 때에는 전체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에서 그에 적절한 채널의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데, 그에 따라 중간주파수의 대역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국부주파수 발진부가 여러 주파수를 발생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 그 정확한 주파수 선택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정교한 국부주파수 발진부의 설계가 요구되어지며, 또한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선택하기 위해 고성능의 IF BPF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IF BPF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IMT 2000과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채널 주파수 대역폭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하나의 송수신기에 다수개의 IF BPF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휴대 단말기에 채용할 경우에는 단말기의 크기 및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신되는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할 때, 전체 시스템의 주파수 영역에 대해 하나의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의 채널 선택은 제어부에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의 국부주파수 발진부를 이용하여 정확한 채널 선택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슈퍼 헤테로다인 방식의 송수신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직접 변환 방식의 송수신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수신채널 선택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송신채널 선택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301...듀플렉서 102, 302...저잡음 증폭기
103, 303...제1RF BPF 104, 304...제1주파수 변환기
105...제1IF BPF 106, 305, 325...제1IF AGC
107...제1IF Mixer
108, 108a, 128, 306, 326...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09, 307...제어부 110...국부주파수 발진부
120, 321...Power Amplifier 121...제3RF BPF
122, 323...Drive Amplifier 123, 322...제2RF BPF
124, 324...제2주파수 변환부 125, ...제2IFBPF
126...제2IF AGC 127...제2IF Mixer
301a...수신채널 선택부 307b...송신채널 선택부
308...발진기 401...제1푸리에 변환기
402...제1채널 정보부 403...제1채널 선택부
404...제1역푸리에 변환기 501...제2푸리에 변환기
502...제2채널 정보부 403...제2채널 선택부
504...제2역푸리에 변환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는,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부;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하나의 중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국부주파수 발진부; 상기 국부주파수 발진부에 의해 발생된 국부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한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제1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1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제1IF AGC; 상기 제1IF BPF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만을 선택하는 수신채널 선택부와, 디지털 신호를 시스템 주파수 영역의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로 이동시키는 송신채널 선택부를 포함하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송신채널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상기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하여주는 제2IF AGC; 상기 제2IF AGC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제2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제2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주는 제2고주파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신채널 선택부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푸리에 변환기;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채널 정보부; 상기 푸리에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에서 상기 채널 정보부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의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채널 선택부; 및 상기 통과된 대역의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채널 선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푸리에 변환기;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채널 정보부; 상기 푸리에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채널 정보부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의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로 이동시키는 채널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대역의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신되는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할 때 하나의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의 채널 선택은 제어부에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의 국부주파수 발진부를 이용하여 정확한 채널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수신채널 선택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송신채널 선택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는,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듀플렉서(301)와, 상기 수신한 전파를 증폭하기 위한 저잡음 증폭기(102)와, 상기 증폭된 신호에서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RF BPF(303)와,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하나의 중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국부주파수 발진부로서의 발진기(308)와, 상기 발진기(308)에 의해 발생된 국부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한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제1주파수 변환부(304)와, 상기 제1주파수 변환부(3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제1IF AGC(305)와, 상기 제1IF AGC(30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06)와,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06)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만을 선택하는 수신채널 선택부(307a)와, 디지털 신호를 시스템 주파수 영역의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로 이동시키는 송신채널 선택부(307b)를 포함하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307)와, 상기 제어부(307)의 송신채널 선택부(307b)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상기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6)와, 상기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6)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하여주는 제2IF AGC(325)와, 상기 제2IF AGC(325)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제2주파수 변환부(324)와, 상기 제2주파수 변환부(324)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주는 Drive Amplifier(323)와, 상기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RF BPF(322)와, 상기 안정화된 고주파 신호를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송하기 적합한 상태로 증폭시키는 Power Amplifier(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신채널 선택부(307a)는,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06)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푸리에 변환기(401)와, 상기 제어부(307)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제1채널 정보부(402)와, 상기 제1푸리에 변환기(401)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에서 상기 제1채널 정보부(402)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의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채널 선택부(403)와, 상기 통과된 대역의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역푸리에 변환기(4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채널 선택부(307b)는, 상기 제어부(307)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푸리에 변환기(501)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제2채널 정보부(502)와, 상기 제2푸리에 변환기(501)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2채널 정보부(502)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의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로 이동시키는 제2채널 선택부(503)와, 상기 선택된 대역의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역푸리에 변환기(5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선택을 하는 송수신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파를 수신할 때에는 두 개의 트랜시버로 안테나를 공용하여 전파의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듀플렉서(301)에서 전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파를 저잡음 증폭기(302)에서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신호를 제1RF BPF(303)에서 원하는 대역의 신호만을 대역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대역 통과된 고주파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처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주파수 변환기(304)에서 발진기(308)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일정한 주파수의 중간주파수로 낮춘다.
계속해서, 상기 제1주파수 변환기(304)를 통과한 신호는 제1IF AGC(Auto Gain Controller)(305)로 입력되어 적절한 크기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06)에서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본 고안의 송수신기는 상기 중심주파수를 전체 시스템의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하나의 중심주파수만을 발생시키므로, 국부주파수 발진부가 상기 발진기(308)의 간단한 주파수 발진회로로 구현이 가능하며,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직접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므로 IF BPF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간단한 회로로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307)의 수신채널 선택부(307a)로 입력되어, 상기 수신채널 선택부(307a)에서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원하는 대역의 채널의 신호만을 통과시킨 후, 제어부(307)에서 상기 디지털 신호의 복조과정을 거쳐,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신채널 선택부(307a)로 입력된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제1푸리에 변환기(401)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신호가 그에 포함된 여러 주파수의 채널로 분리되는데, 제어부(307)에서는 상기 여러 주파수의 채널 중, 어떤 채널을 선택할 것인가의 정보를 제1채널 정보부(402)로 전송하고, 상기 제1채널 정보부(402)의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만을 제1채널 선택부(402)에서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으로 대역 통과된 디지털 신호를 제1역푸리에 변환기(404)에서 다시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입력되게 한다.
한편, 전파를 송신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307)에서 디지털 변조과정을 거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송신채널 선택부(307b)로 입력된다.
상기 입력된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는 제2푸리에 변환기(501)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러면, 상기 디지털 신호가 그에 포함된 여러 주파수의 채널로 분리되는데, 제어부(307)에서는 상기 여러 주파수의 채널 중, 어떤 채널을 선택할 것인가의 정보를 제2채널 정보부(502)로 전송하고, 상기 제2채널 정보부(502)의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만을 제2채널 선택부(502)에서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으로 대역 통과된 디지털 신호를 제2역푸리에 변환기(504)에서 다시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 입력되게 한다.
그러면,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6)는 상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이렇게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제2IF AGC(325)에서 적절한 수준의 크기를 갖는 신호로 증폭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된 신호는 제2주파수 변환기(324)를 거쳐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로 신호변환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송수신기는 상기 중심주파수를 전체 시스템의 주파수 영역에 대하여 하나의 중심주파수만을 발생시키므로, 국부주파수 발진부가 상기 발진기(308)의 간단한 주파수 발진회로로 구현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를 Drive Amplifier(323)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후, 제2RF BPF(322)를 거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 통과하여 신호가 안정화되고, 상기 안정화된 신호를 Power Amplifier(321)를 이용하여 송신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증폭하고, 듀플렉서(301)를 거쳐 수신신호와 구별되어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는, 수신되는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할 때, 전체 시스템의 주파수 영역에 대해 하나의 중간주파수로 변환하고, 상기 중간주파수로 변환된 신호의 채널 선택은 제어부에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의 국부주파수 발진부를 이용하여 정확한 채널 선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선택을 하므로,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IF BPF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송수신기의 부피와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고주파 증폭부;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하나의 중간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국부주파수 발진부;
    상기 국부주파수 발진부에 의해 발생된 국부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한 전파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제1주파수 변환부;
    상기 제1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변환시켜주기 위한 제1IF AGC;
    상기 제1IF BPF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만을 선택하는 수신채널 선택부와, 디지털 신호를 시스템 주파수 영역의 원하는 주파수의 채널로 이동시키는 송신채널 선택부를 포함하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송신채널 선택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상기 시스템 주파수 영역에 대한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주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상기 제2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적절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하여주는 제2IF AGC;
    상기 제2IF AGC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의 아날로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제2주파수 변환부; 및
    상기 제2주파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주는 제2고주파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채널 선택부는
    상기 제1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푸리에 변환기;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제1채널 정보부;
    상기 제1푸리에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에서 상기 제1채널 정보부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의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채널 선택부;
    상기 통과된 대역의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역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채널 선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푸리에 변환기;
    상기 제어부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정보를 입력받는 제2채널 정보부;
    상기 제2푸리에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2채널 정보부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의 정보에 해당하는 대역의 채널의 디지털 신호로 이동시키는 제2채널 선택부;
    상기 선택된 대역의 채널의 주파수 영역의 디지털 신호를 시간 영역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역푸리에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KR2020000025766U 2000-09-09 2000-09-09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KR200214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766U KR200214904Y1 (ko) 2000-09-09 2000-09-09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766U KR200214904Y1 (ko) 2000-09-09 2000-09-09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904Y1 true KR200214904Y1 (ko) 2001-02-15

Family

ID=7308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766U KR200214904Y1 (ko) 2000-09-09 2000-09-09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9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4650B2 (ja) 共有機能ブロックcdma/gsm通信トランシーバ用システム及びプロセス
USRE48618E1 (en) Radio frequency transceiver
US6415001B1 (en) System and process for shared frequency source multi-band transmitters and receivers
EP1770869B1 (en) Ultra-wideband network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switching to high-speed mode or low-speed mode
KR100754186B1 (ko) 국부 발진 주파수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송수신장치
US9490749B2 (en) Frequency transl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108055049B (zh) 无线数传电台接收电路
US20100097966A1 (en) Concurrent dual-band receive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ame
AU2001247242B2 (en) A novel low cost/low power analog transceiver architecture
US7076217B1 (en) Integrated radio transceiver
KR20010043963A (ko) 무선 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 단말 장치와 송수신 방법
KR200214904Y1 (ko)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채널 선택을 하는 송수신기
KR100349659B1 (ko) 무선 랜 알에프 프런트엔드 송수신 장치
KR101743494B1 (ko) 플리커 노이즈 개선이 가능한 하향주파수 변환구조
JP2001244861A (ja) 無線受信装置及び方法
US6026114A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of time division full-duplex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JP2007081708A (ja) 無線装置
JP2008205564A (ja) 無線中継方法及び無線装置並びに無線中継システム
KR100357858B1 (ko) 주파수천이키잉 변복조 수행 무선통신기기의 송수신 장치
KR100576308B1 (ko)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광중계기용 전송 신호 강도표시기 전력 검출장치
JP2006261793A (ja) 送受信機
Spiridon et al. Making homodyne receivers ready for monolithic integration in multi-standard wireless transceivers
KR20080017967A (ko) Rf 신호 송수신장치 및 rf 신호 송수신 방법
JP2001285097A (ja) 多重放送受信装置
US20110319040A1 (en) Rf integrated circuit for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