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833A -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833A
KR20130035833A KR1020110121807A KR20110121807A KR20130035833A KR 20130035833 A KR20130035833 A KR 20130035833A KR 1020110121807 A KR1020110121807 A KR 1020110121807A KR 20110121807 A KR20110121807 A KR 20110121807A KR 20130035833 A KR20130035833 A KR 20130035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electrodes
wires
touch sens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964B1 (ko
Inventor
김재홍
남성일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US13/594,96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081869A1/en
Priority to EP12186154A priority patent/EP2575017A1/en
Priority to CN201210363896.0A priority patent/CN103034380B/zh
Priority to CN2012204963813U priority patent/CN202815780U/zh
Priority to TW101135746A priority patent/TWI466001B/zh
Publication of KR20130035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접촉 감지 장치는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접촉 감지 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Description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촉 감지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고, 별도의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화면 터치나 제스쳐(gesture)를 입력정보로 인식하는 접촉 감지 장치는 접촉 감지 장치의 터치 패널은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정전 용량 방식은 멀티 터치 입력이 용이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의 구조가 중요하다.
터치 패널은 2층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는 다수의 센스 전극 트레이스들(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트레이스들) 위에 교차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전극 트레이스들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트레이스들)에 의해 형성된 픽셀들의 어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고, 드라이브 및 센스 전극 트레이스들은 PET, Glass 등의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다. 그러나, 2층 구조의 하부 및 상부 층들에 각각 형성된 드라이브 및 센스 전극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은 제조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두께가 두꺼워 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2층 구조의 전극 층들을 접합하는 공정 및 구조에 기인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의 기판의 단일 층의 단일 측면 상에 제조된 동일 평면상의 단일 층 터치 센서들을 갖는 터치 패널이 제안되었다. 이는 2007년 3월 7일에 출원된 “단순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접촉위치 감지 패널”이라는 표제의 한국 특허 출원번호 제10-2007-0021332호에 기술되어 있고, 해당 출원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드라이브 및 센스 전극 트레이스들은 제1 축 방향의 바(bar) 같은 형상들 및 제2 축 방향의 분할된 전극들로서 제조될 수 있고, 제1 축 방향의 각각의 바 같은 형상은 터치 패널의 경계 영역 내의 개별 금속 배선들에 연결되고, 제2 축 방향의 다수의 분할된 전극 중 동일한 제1 축 상에 형성된 전극들은 터치 패널의 경계 영역 내의 개별 금속 배선들을 이용하여 함께 연결된다.
이렇듯 접촉 감지 장치는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감지 신호를 터치 센서 칩에 전달하기 위해 배선 패턴을 이용한다. 배선 패턴은 드라이브 및 센스 전극 트레이스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센서 칩에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이러한 배선 패턴은 접촉 감지 패널 상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아닌 경계 영역, 즉, 베젤(Bezel)영역에 배치되므로, 매우 좁은 폭과 선간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경계 영역들 내의 금속 배선들은 분할된 전극들 및 바들과 동일한 기판의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지만, 베젤 부분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2층 구조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경계 영역들 내의 금속 배선들을 2층 구조로서 형성시키기 위하여 분할된 전극들 및 바들과 동일한 기판의 측면 상에 제 1층 배선부를 형성시키고 이후 절연처리를 하며, 이후 다시 제 2층 배선부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배선 패턴 형성 공정의 특성 상, 불량률이 상당히 높아 수율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단일 층 터치 센서들의 경우 2층 구조의 터치 센서에 비해 배선 영역에 의한 노이즈(noise) 및 센서 하부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등에 훨씬 민감하여 센싱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촉 감지의 정확도가 개선된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접촉 감지 패널의 접촉 감지 패널에 배치된 전극 채널 수에 비해 실질적인 감지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접촉 감지 장치에서의 배선 패턴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접촉 감지 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는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접촉 감지 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접촉 감지 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은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을 준비하고, 접촉 감지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을 형성하고,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을 형성하고,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을 형성하고,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형성하고,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제1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되,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은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를 준비하고, 접촉 감지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을 형성하고,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을 형성하고,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을 형성하고,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형성하고,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제1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되,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접촉 감지의 정확도가 개선된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촉 감지 패널의 접촉 감지 패널에 배치된 전극 채널 수에 비해 실질적인 감지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촉 감지 장치에서의 배선 패턴 형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확대 평면도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기판의 평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 및 회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 및 회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촉 감지 장치(1000)는 투명 기판(100),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200) 및 투명 윈도우(300)를 포함한다.
접촉 감지 장치(1000)는 투명 기판(1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기판(100)은 강화 글라스, 아크릴 수지 등의 고강도 재료,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가능한 경질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기판(100)은 접촉 감지 영역(140) 및 외곽 영역(150)을 포함한다. 접촉 감지 영역(140)은 사용자의 화면 터치나 제스쳐에 의해 발생한 입력 정보를 감지하는 영역으로서,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패치 전극(123), 복수의 제1 배선(160), 복수의 제2 배선(133)을 포함할 수 있다. 외곽 영역(150)은 접촉 감지 영역(140)을 둘러싸는 영역으로서, 접촉 감지 영역(140)에서 발생한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패턴 등이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촉 감지 영역(140)과 외곽 영역(150)을 구분하였으나, 접촉 감지 영역(140)과 외곽 영역(150)은 일체화될 수도 있고, 외곽 영역(150)에서도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접촉 감지 영역(140) 및 외곽 영역(150)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확대 평면도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접촉 감지 영역(140)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컬럼 전극(111)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123), 복수의 컬럼 전극(111)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패치 전극(123)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컬럼 전극(111)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복수의 컬럼 전극(111)을 바(bar)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컬럼 전극(111)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복수의 컬럼 전극(1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에서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접촉 감지 영역(140)에는 복수의 컬럼 전극(111)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16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배선(160)은 폭이 약 50㎛이하일 수 있고, 복수의 제1 배선(160) 사이의 간격은 약 50㎛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컬럼 전극(111)이 감지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제1 배선(160)은 복수의 컬럼 전극(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접촉 감지 영역(140)에는 복수의 패치 전극(123)이 복수의 컬럼 전극(111)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로우들에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패치 전극(1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00)에서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접촉 감지 영역(140)에는 복수의 패치 전극(123)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패치 전극(123)이 구동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제2 배선(133)은 복수의 패치 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패치 전극(123),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층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투명 도전성 물질의 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O(Zinc Oxide) 등의 산화물, 탄소나노튜브, 금속 나노 와이어, 전도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패치 전극(123),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은 투명 기판(100)의 일면에 일괄 스퍼터링 한 후 전극 및 배선 패턴에 따라 에칭(etching)함으로써 투명 기판(100)의 일면에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300)는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도전성 물체의 접촉을 수용하므로 고경도이어야 하고, 투명 기판(100) 또한 특정 경도 이상이어야 하는데,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는 일반적으로 강화 글라스 또는 PMMA, PC, PET 등의 조합에 의한 고경도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고, 0.5T 이상의 일정 두께를 지닌다.
IT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은 고온에서 증착이 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가 강화 글라스인 경우, 일정 두께 이상의 강화 글라스의 특성상 고온에서 증착 공정을 수행함으로 인해 강화성이 사라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가 플라스틱의 경우에도 고온에서 경도가 변하는 경우가 많아,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에 투명 전극 및 투명 배선을 직접 형성하는 것은 투명 전극 및 투명 배선을 별도의 투명 기판에 형성하여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에 접합하는 구조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고도의 저온 증착 기술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투명 전극 패턴 및 투명 배선 패턴을 정밀하게, 즉, 패턴들 사이의 간격을 매우 좁도록 패터닝하는 것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전극들 및 각각의 배선들이 ITO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들 물질을 약 130℃ 내지 150℃에서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의 일면에 일괄 스퍼터링한 후 전극 및 배선 패턴에 따라 에칭(etching)하고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의 외곽 영역에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연결 배선(181)을 상온 내지 약 60℃에서 형성하며, 이후 경화 과정(curing)을 거친 후, 투명 기판(100) 및 투명 윈도우(300)에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을 약 70℃ 내지 150℃에서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을 이용해 본딩함으로써 터치 감지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연결 배선(181) 및 제1 회로 기판(210)과 제2 회로 기판(22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패턴 및 배선 패턴은 이러한 저온 증착 공정의 한계 내에서도 접촉 감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패치 전극(123),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 사이의 연결 및 배치 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컬럼 전극(111) 중 한 쌍의 컬럼 전극(111)은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이웃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한 쌍의 컬럼 전극(111)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컬럼 전극(111) 사이의 연결관계는 후술한다.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한 쌍의 컬럼 전극(111) 각각의 일측은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과 이웃하고, 타측은 복수의 컬럼 전극(111) 중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111)을 제외한 다른 컬럼 전극(111), 즉, 전기적으로 분리된 컬럼 전극(111)과 이웃할 수 있다.
복수의 패치 전극(123)은 복수의 제2 배선(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배선(133)은 복수의 패치 전극(123)이 컬럼 전극(111)과 이웃하지 않는 반대편에서 복수의 패치 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컬럼 전극(111)이 외곽에 위치하고, 한 쌍의 컬럼 전극(111)의 일측과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이 서로 이웃하며,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 사이로 복수의 제2 배선(13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패치 전극(123)은 하나의 로우 내에서 가로 방향의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배선(133)은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 사이에 형성되므로, 접촉 감지 영역(140)의 외곽에 위치한 패치 전극(123)으로부터 접속 감지 영역(140)의 중앙에 위치한 패치 전극(123)으로 갈수록 가로 방향의 폭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00)에서는 감지 신호가 검출되는 복수의 컬럼 전극(111)과 구동 신호가 전달되는 복수의 제2 배선(133)이 서로 이웃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가 감지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가했을 때, 사용자의 터치와 구동 신호가 전달되는 배선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 용량의 변화가 복수의 컬럼 전극(111)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감지의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패치 전극(123)은 한 쌍의 컬럼 전극 중 하나에 인접한 복수의 제1 패치 전극(123a) 및 다른 하나에 인접한 복수의 제2 패치 전극(123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패치 전극(123a)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1 패치 전극들(123a)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제2 패치 전극(123b)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2 패치 전극들(123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패치 전극(123a)과 복수의 제2 패치 전극(123b)은 비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패치 전극(123a)을 통과하는 가로 방향 중심 축은 복수의 제2 패치 전극(123b)을 통과하는 가로 방향 중심 축과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세로 방향의 폭은 일 감지 영역의 세로 방향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하겠지만, 복수의 패치 전극(123)이 구동 전극으로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세로 방향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세로 방향의 폭의 복수의 컬럼 전극(111)의 부분이 감지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 하는 일 감지 영역의 세로 방향의 폭은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세로 방향의 폭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감지 영역의 폭은 터치 패널의 크기 및 패널의 가로·세로 비율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패치 전극(123)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컬럼 전극(111)이 이웃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감지 영역(140)에서 반복될 수 있다. 다만, 1개의 로우의 복수의 패치 전극(123) 및 1개의 컬럼 전극(111)은 접촉 감지 영역(140)의 최외곽측, 예를 들어, 도 2에서 최우측 및 최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컬럼 전극(111)이 감지 전극이고, 패치 전극(123)이 구동 전극으로 기능한다면, 컬럼 전극(111)은 외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로우의 복수의 패치 전극(123)이 접촉 감지 영역(140)의 최우측 및 최좌측에 배치된다면, 양측 각각의 1개의 로우의 복수의 패치 전극(123) 및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 배선(133)이 외부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가 컬럼 전극(111)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접촉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컬럼 전극(123) 각각은 복수의 제1 배선(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제1 배선(160)이 복수의 컬럼 전극(111)의 아래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방향으로도 연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감지 장치(1000)에서 복수의 컬럼 전극(111)은 감지 전극으로, 복수의 패치 전극(123)은 구동 전극으로, 복수의 제2 배선(133)은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으로, 복수의 제1 배선(160)은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접촉 감지 장치(100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신호는 복수의 제2 배선(133)을 통해 복수의 패치 전극(123)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패치 전극(123a)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1 패치 전극들(123a)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이들에는 동시에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패치 전극(123b)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2 패치 전극들(123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이들에는 동시에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치 전극(123a)과 제2 패치 전극(123b)에는 순차적으로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좌측의 1번째 행의 패치 전극(123)에 구동 신호가 인가된 후, 우측의 1번째 행의 패치 전극(123)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고, 좌측의 2번째 행의 패치 전극(123)에 구동 신호가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지그재그 방식으로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터치가 발생한 부근의 패치 전극(123)에 구동 신호가 전달된 경우, 컬럼 전극(111)에서 발생하는 감지 신호의 변화량이 가장 클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행에 배치된 패치 전극(123)에 구동 신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터치 입력이 발생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1 패치 전극(124a)과 복수의 제2 패치 전극(124b)은 대칭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패치 전극(124a)을 통과하는 가로 방향 중심 축은 복수의 제2 패치 전극(124b)을 통과하는 가로 방향 중심 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다른 구성요소들 및 구동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및 구동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투명 기판(100)의 확대 평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패치 전극(125 내지 129)은 컬럼 전극(112 내지 116)과 이웃한 측에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컬럼 전극(112 내지 116) 각각은 제1 패치 전극(125a 내지 129a) 및 제2 패치 전극(125b 내지 129b) 각각과 이웃한다. 따라서, 제1 패치 전극(125a 내지 129a) 및 제2 패치 전극(125b 내지 129b)은 컬럼 전극(111)의 일측과 인접한 측에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는 다각형 또는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컬럼 전극(112 내지 116) 각각의 일측은 복수의 패치 전극(125 내지 129)의 요철부와 이격되어 요철부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컬럼 전극(112 내지 116) 중 제1 패치 전극(125a 내지 129a)과 이웃하는 컬럼 전극(112 내지 116)은 제1 패치 전극(125a 내지 129a)과 이웃하는 일측이 제1 패치 전극(125a 내지 129a)의 요철부와 이격되어 요철부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컬럼 전극(112 내지 116) 중 제2 패치 전극(125b 내지 129b)과 이웃하는 컬럼 전극(112 내지 116)은 제2 패치 전극(125b 내지 129b)과 이웃하는 일측이 제2 패치 전극(125b 내지 129b)의 요철부와 이격되어 요철부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패치 전극(125)의 요철부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고, 컬럼 전극(112)은 패치 전극(125)과 인접한 측이 요철부와 이격되어 요철부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패치 전극(126)의 요철부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컬럼 전극(113)은 패치 전극(126)과 인접한 측이 요철부와 이격되어 요철부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패치 전극(127)의 요철부는 타원 형상일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반원 형상일 수도 있다. 컬럼 전극(114)은 패치 전극(127)과 인접한 측이 요철부와 이격되어 요철부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요철부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반원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컬럼 전극(115)의 일측, 즉, 패치 전극(128)과 이웃하는 각각의 컬럼 전극(115)의 일측에는 컬럼 전극(115)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지 전극(115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지 전극(115a)의 수는 패치 전극(128)의 수와 동일할 수 있고, 가지 전극(115a)은 컬럼 전극(115)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지 전극(115a)과 컬럼 전극(115)은 수직하지 않은 다른 각도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패치 전극(128)은 컬럼 전극(115) 및 컬럼 전극(115)으로부터 연장한 가지 전극(115a)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컬럼 전극(116)의 일측, 즉, 패치 전극(129)과 이웃하는 각각의 컬럼 전극(116)의 일측에는 컬럼 전극(116)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지 전극(116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가지 전극(116a)의 수는 패치 전극(129)의 수보다 많을 수 있으며, 가지 전극(116a)은 컬럼 전극(116)과 예각을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지 전극(116a)과 컬럼 전극(116) 사이의 각도는 약 45도일 수도 있으나, 다른 임의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복수의 패치 전극(129)은 컬럼 전극(116) 및 컬럼 전극(116)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지 전극(116a)에 컨포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패치 전극이 요철부를 포함하고 컬럼 전극이 패치 전극의 요철부와 이격되어 요철부에 컨포멀하게 형성되는 경우 및 컬럼 전극의 일측에 컬럼 전극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지 전극이 형성되고 패치 전극은 컬럼 전극 및 컬럼 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지 전극에 컨포멀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이격 라인의 길이가 길어지고, 이에 따라 누설 전기장이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정전 용량 변화량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터치 입력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선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지 전극(116a)을 포함하는 컬럼 전극(116)과 패치 전극(129) 사이와 서로 이웃하는 컬럼 전극(116) 사이에 복수의 더미(dummy) 패치(170)가 존재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9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복수의 더미 패치(170)는 가지 전극(116a)을 포함하는 컬럼 전극(116)과 패치 전극(129)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이웃하는 컬럼 전극(116)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더미 패치(170)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들 사이에 복수의 더미 패치(170)를 형성함으로써,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투명 기판(100)에는 복수의 금속 배선(18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금속 배선(180)을 제외한 도 11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투명 기판(100)의 외곽 영역에는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금속 배선(180)이 배치될 수 있다. 금속 배선(180)은 제1 배선(160) 및 제2 배선(133)이 형성된 후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배선(180)이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금속 배선(180)은 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금속 배선(180) 중 복수의 제1 배선(160)을 통해 컬럼 전극(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배선(180)은 컬럼 전극(111)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복수의 금속 배선(180) 중 복수의 제2 배선(133)을 통해 패치 전극(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배선(180)은 패치 전극(123)으로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11에서는 추가의 금속 배선(180)이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이 형성된 후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추가의 금속 배선(180) 없이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이 연장된 형상으로 금속 배선(180)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최초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은 외곽 영역까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 및 회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이 투명 기판(100)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181)이 외곽 영역(150)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은 연성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으며, 다른 가요성 회로 기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회로 기판(210)은 접촉 감지 영역(140)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2 회로 기판(220)은 접촉 감지 영역(140)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 각각은 적어도 복수의 제1 배선(160) 또는 복수의 제2 배선(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금속 배선(180)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은 투명 기판(10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P(Anisotropic Conductive Paste), 및 ACA(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등의 공정을 통해 투명 기판(10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본딩 공정 시에는 초음파 본딩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은 약 약 70℃ 내지 150℃에서 ACF 등을 이용해 본딩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은 각각 얼라인(align)을 위한 개구부(212, 222)를 포함할 수 있고, 투명 기판(100)에는 얼라인을 위한 표시점(190)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을 투명 기판(100)에 정확히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에 얼라인을 위한 개구부(212, 222)를 형성하고, 투명 기판(100)에 표시점(190)을 형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을 투명 기판(100)과 정확히 얼라인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센서 칩(211)을 포함하거나, 터치 센서 칩(2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칩(211)은 제1 회로 기판(210) 또는 제2 회로 기판(220) 상에 장착될 수도 있고, 접촉 감지 장치의 메인 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회로 기판(210) 또는 제2 회로 기판(220)은 터치 센서 칩(211)이 장착된 모바일폰 등의 접촉 감지 장치의 메인 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회로 기판(210)에만 터치 센서 칩(211)이 포함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터치 센서 칩(211)은 패치 전극(123)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고, 컬럼 전극(111)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접촉 발생 여부 또는 발생한 접촉의 개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칩(211)은 수신한 감지 신호에 의해 판단되는 접촉의 접촉 위치 값을 보정할 수도 있다.
외곽 영역(150)에는 제1 회로 기판(210)과 제2 회로 기판(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18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칩(211)이 제1 회로 기판(210)에 배치되는 경우, 제2 회로 기판(220)의 배선은 제1 회로 기판(210)의 터치 센서 칩(211)에 전달되어야 하므로, 제1 회로 기판(210)과 제2 회로 기판(22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연결 배선(181)은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패치 전극(123),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패치 전극(123), 복수의 제1 배선(160) 및 복수의 제2 배선(133)이 형성된 이후에 은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 배선(181)은 상온 내지 약 60℃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에는 컬럼 전극(111)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고, 패치 전극(123)으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 패턴이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배선 패턴은 비아 홀을 통해 복수의 제1 배선(160)과 복수의 제2 배선(133) 또는 금속 배선(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의 배선 패턴과 관련하여,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213)을 포함하는 제1 층,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214)을 포함하는 제2 층 및 제1 층과 제2 층 사이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과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은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 및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제1 회로 기판(210)에서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 각각은 복수의 금속 배선(18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은 비아 홀을 통해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 중 일부는 상술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컬럼 전극(111)과 연결된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 중 다른 일부는 상술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패치 전극(123)들과 연결된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관계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한 쌍의 컬럼 전극(111)으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하나의 배선으로 수신할 수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치 전극(123)에 동시에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은 추가 배선(215, 216, 2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배선(215, 216)은 연결 배선(181)과 연결되어, 제2 회로 기판(220)으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2 회로 기판(220)으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 배선(217)은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수신하거나,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인 스퍼터링 및 에칭 고정이나 실크스크린 등의 인쇄 공정은 회로 기판을 부착하는 ACF, ACP 및 ACA 등의 공정에 비해 수율이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에서는 투명 기판의 베젤 영역에 배선 패턴을 직접 인쇄하는 대신에, 즉, 투명 기판에 직접 배선 패턴을 인쇄 또는 스퍼터링 및 에칭하는 대신에 미리 배선 패턴이 인쇄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투명 기판에 부착함으로써, 접촉 감지 장치의 공정을 단순화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이 투명 기판에 직접 형성되는 배선 패턴을 대신함으로써, 배선 패턴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접촉 감지 장치의 제조 공정이 간략화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은 연성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따라서, 배선 패턴이 형성되었던 베젤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고, 배선 패턴이 인쇄된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투명 기판에 본딩하며,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투명 기판의 후면 쪽으로 폴딩하여 사용한다면, 전반적으로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반적인 기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거나, 동일한 크기의 기판에서 베젤 폭을 감소시킴에 따라 보다 큰 화면에서의 영상 표시가 가능하다.
도 15는 도 1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투명 기판(100) 상에는 컬럼 전극(111)이 형성되고, 컬럼 전극(111)의 말단에는 제1 배선(1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160)의 측부 및/또는 제1 배선(160)의 상부에는 금속 배선(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ACF, ACP 및 ACA 등의 공정을 통해 제2 회로 기판(220)이 금속 배선(1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블랙 마스크가 존재하는 외곽 영역(350) 및 접촉 감지 영역(340)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300)는 OCA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220)에서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23)은 금속 배선(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기판(220)에서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23)과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24)은 절연층(225)에 의해 절연되나, 제1 층의 복수의 배선(223)과 제2 층의 복수의 배선(224)은 비아 홀(22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 기판 및 회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6를 참조하면, 제1 회로 기판(210)과 제2 회로 기판(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회로 기판(230)이 투명 기판(100) 상에 더 배치되고, 제1 회로 기판(210),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3 회로 기판(23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3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투명 기판(100)에는 제3 회로 기판(2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로 기판(230)은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이 배치되지 않은 접촉 감지 영역(140)의 다른 단, 즉, 도 13에서 연결 배선(181)이 배치되었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로 기판(230)은 제1 회로 기판(210)과 제2 회로 기판(2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2 회로 기판(220)과 제1 회로 기판(210)에 포함된 터치 센서 칩(211)간의 신호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3 회로 기판(230)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회로 기판(210), 제2 회로 기판(220) 및 제3 회로 기판(230)이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 각각은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1000)는 투명 윈도우(30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윈도우(300)은 투명 기판(1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회로 기판(210) 및 제2 회로 기판(22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투명 윈도우(300)은는 강화 글라스, 아크릴 수지 등의 고강도 재료,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가능한 경질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300)는 접촉 감지 장치(1000)의 입력부의 외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도전성 물체의 접촉을 수용하고, 이러한 접촉으로부터 접촉 감지 장치(1000)를 보호한다.
접촉 감지 장치(1000)가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경우, 접촉 감지 장치(1000)는 표시 패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400)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패널로서,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패널, 무기 EL 패널(Electro Luminescent Display Panel), FED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Panel), SED 패널(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Panel), PDP(Plasma Display Panel), CRT(Cathode Ray Tub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촉 감지 장치(1000)는 표시 패널(400)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표시 패널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2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접촉 감지 장치(2000)는 복수의 컬럼 전극(111), 복수의 패치 전극(123)들 및 연결 배선(181)들이 증착되어 일체로서 형성된 투명 윈도우(1300), 제1 회로 기판(1210) 및 제2 회로 기판(1220)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1200)을 포함한다. 접촉 감지 장치(2000)가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경우, 접촉 감지 장치(2000)는 표시 패널(1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400)은 도 1의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투명 윈도우(1300)는 접촉 감지 영역(1340) 및 외곽 영역(1350)을 포함하고, 투명 윈도우(1300)의 접촉 감지 영역(1340)에 복수의 컬럼 전극, 복수의 패치 전극,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제2 배선이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접촉 감지 영역(1340) 및 외곽 영역(1350)과 이에 포함된 각각의 전극 및 배선 등이 투명 기판이 아닌 투명 윈도우(1300)에 형성되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이 투명 기판이 아닌 투명 윈도우(1300)에 부착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투명 윈도우(1300) 상에는 컬럼 전극(1311)이 형성되고, 컬럼 전극(1311)의 말단에는 제1 배선(13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1360)의 측부 및/또는 제1 배선(1360)의 상부에는 금속 배선(13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ACF, ACP 및 ACA 등의 공정을 통해 제2 회로 기판(1220)이 금속 배선(13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로 기판(1220)에서 제1 층의 복수의 배선(1223)은 금속 배선(13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 기판(1220)에서 제1 층의 복수의 배선(1223)과 제2 층의 복수의 배선(1224)는 절연층(1225)에 의해 절연되나, 제1 층의 복수의 배선(1223)과 제2 층의 복수의 배선(1224)은 비아 홀(1225)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은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을 준비한다(S170). 투명 기판의 접촉 감지 영역 및 외곽 영역은 도 1 내지 도 16의 투명 기판의 접촉 감지 영역 및 외곽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를 준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투명 윈도우의 접촉 감지 영역 및 외곽 영역은 도 17의 투명 윈도우의 접촉 감지 영역 및 외곽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접촉 감지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을 형성하고(S171),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을 형성하고(S172),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을 형성하고(S173),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형성한다(S174). 복수의 컬럼 전극, 복수의 패치 전극,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제2 배선은 도 1 내지 도 17의 복수의 컬럼 전극, 복수의 패치 전극,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제2 배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171, S172, S173 및 S174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제1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S175),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한다(S176).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 그리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정확히 얼라인시키는 것은 도 1 내지 도 17의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 그리고,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을 정확히 얼라인시키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투명 윈도우를 배치한다(S177). 투명 윈도우는 제1 회로 기판 및 제2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는 도 1 내지 도 16의 투명 윈도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감지 영역 및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를 준비한 경우, 단계 S177은 생략 가능하다.
접촉 감지 장치가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경우, 투명 필름의 타면 상에 표시 패널을 배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도 1 내지 도 17의 표시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투명 기판
111, 112, 113, 114, 115, 116, 1311: 컬럼 전극
115a, 116a: 가지 전극
123, 124, 125, 126, 127, 128, 129: 패치 전극
123a, 124a, 125a, 126a, 127a, 128a, 129a: 제1 패치 전극
123b, 124b, 125b, 126b, 127b, 128b, 129b: 제2 패치 전극
133, 134, 135, 136, 137, 138, 139: 제2 배선
140: 투명 기판의 접촉 감지 영역
150: 투명 기판의 외곽 영역
160, 1360: 제1 배선 170: 더미 패치
180, 1380: 금속 배선 181: 연결 배선
190: 표시점 200, 1200: 회로 기판
210, 1210: 제1 회로 기판 211: 터치 센서 칩
212, 222: 개구부
213: 제1 회로 기판의 제1 층의 배선
214: 제1 회로 기판의 제2 층의 배선
215, 216, 217: 추가 배선 220, 1220: 제2 회로 기판
223, 1223: 제2 회로 기판의 제1 층의 배선
224, 1224: 제2 회로 기판의 제2 층의 배선
225, 1225: 제2 회로 기판의 절연층
226, 1226: 제2 회로 기판의 비아 홀
230: 제3 회로 기판 300, 1300: 투명 윈도우
340, 1340: 투명 윈도우의 접촉 감지 영역
350, 1350: 투명 윈도우의 외곽 영역
1000, 2000: 접촉 감지 장치

Claims (38)

  1. 접촉 감지 영역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2. 접촉 감지 영역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은,
    세로 방항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투명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동일한 층 상에 증착되어 일체로서 형성되며,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130℃ 내지 150℃에서 일괄 스퍼터링한 후 전극 및 배선 패턴에 따라 에칭(etching)하여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제1 층;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제2 층; 및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의 복수의 배선과 상기 제2 층의 복수의 배선은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상기 외곽 영역으로 연장하고,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선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금속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 배선 각각은 상기 제1 층의 복수의 배선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각각은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영역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은 상온 내지 60°C에서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회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상기 제2 회로 기판 및 상기 제3 회로 기판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센서 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연성 회로 기판인 접촉 감지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중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한 쌍의 컬럼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이 이웃하는 구조는 상기 접촉 감지 영역에서 반복되고,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은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의 2개의 로우들과 이웃하고,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 각각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중 전기적으로 분리된 컬럼 전극과 이웃하는 접촉 감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은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 중 하나에 인접한 복수의 제1 패치 전극 및 다른 하나에 인접한 복수의 제2 패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패치 전극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1 패치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치 전극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2 패치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은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과 이웃한 측에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은 상기 요철부와 이격되어 상기 요철부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다각형 또는 반원 형상인 접촉 감지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에는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지 전극이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과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 사이 및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타측과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중 전기적으로 분리된 컬럼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더미(dummy) 패치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각각은 70℃ 내지 150℃에서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를 이용해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타단에 각각 본딩되는 접촉 감지 장치.
  20.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위치하고, 접촉 감지 영역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배치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은,
    세로 방항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21. 접촉 감지 영역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제1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2. 접촉 감지 영역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을 둘러싸는 외곽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윈도우를 준비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의 복수의 컬럼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의 일측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로우들(row)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치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에 제1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에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적어도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 상에 투명 윈도우를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4.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동일한 층 상에 증착되어 일체로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130℃ 내지 150℃에서 일괄 스퍼터링한 후 전극 및 배선 패턴에 따라 에칭(etching)하여 형성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6.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제1 층;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는 제2 층; 및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 사이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의 복수의 배선과 상기 제2 층의 복수의 배선은 비아 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을 상기 외곽 영역으로 연장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을 상기 외곽 영역으로 연장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연장된 복수의 제1 배선 및 복수의 제2 배선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금속 배선을 상기 외곽 영역에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금속 배선 각각을 상기 제1층의 복수의 배선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영역에 적어도 2개의 표시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각각에 적어도 2개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은 상기 표시점 및 상기 개구부를 사용하여 얼라인(align)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영역에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배선을 상온 내지 60°C에서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3 회로 기판을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제조 방법.
  31.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중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한 쌍의 컬럼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의 2개의 로우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이 이웃하는 구조를 상기 접촉 감지 영역에서 반복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 중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은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의 2개의 로우들과 이웃하고,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 중 각각의 컬럼 전극의 타측은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중 전기적으로 분리된 컬럼 전극과 이웃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은 상기 한 쌍의 컬럼 전극 중 하나에 인접한 복수의 제1 패치 전극 및 다른 하나에 인접한 복수의 제2 패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패치 전극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1 패치 전극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패치 전극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로축 상에 배열되는 제2 패치 전극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과 이웃한 측에 요철부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을 상기 요철부와 이격되어 상기 요철부에 컨포멀(conformal)하게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다각형 또는 반원 형상인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에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지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치 전극과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일측 사이 및 상기 각각의 컬럼 전극의 타측과 상기 복수의 컬럼 전극 중 전기적으로 분리된 컬럼 전극 사이에 복수의 더미(dummy) 패치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접촉 감지 제조 방법.
  38.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기판을 배치하고, 상기 제2 회로 기판을 배치하는 것은, 70℃ 내지 150℃에서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를 이용해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일단 및 상기 접촉 감지 영역의 타단에 상기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제2 회로 기판 각각을 본딩하는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KR1020110121807A 2011-09-30 2011-11-21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KR101331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94,968 US20130081869A1 (en) 2011-09-30 2012-08-27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2186154A EP2575017A1 (en) 2011-09-30 2012-09-26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210363896.0A CN103034380B (zh) 2011-09-30 2012-09-26 触摸检测装置及触摸检测装置制造方法
CN2012204963813U CN202815780U (zh) 2011-09-30 2012-09-26 触摸检测装置
TW101135746A TWI466001B (zh) 2011-09-30 2012-09-28 觸控感測裝置及觸控感測裝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368 2011-09-30
KR20110100368 2011-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833A true KR20130035833A (ko) 2013-04-09
KR101331964B1 KR101331964B1 (ko) 2013-11-25

Family

ID=4843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807A KR101331964B1 (ko) 2011-09-30 2011-11-21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1964B1 (ko)
TW (1) TWI466001B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90B1 (ko) * 2013-08-28 2014-02-10 에스맥 (주)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74349B1 (ko) * 2013-04-30 2014-12-24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정전용량식 터치감지패널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WO2015002394A1 (ko) * 2013-07-05 2015-01-08 주식회사 티메이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6256B1 (ko) * 2013-07-05 2015-02-26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WO2015034192A1 (ko) * 2013-09-03 2015-03-1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31767A (ko)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터치패널
KR20150061260A (ko) 2013-11-27 2015-06-04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터치패널 및 이를 갖는 터치센싱장치
WO2015199272A1 (ko) * 2014-06-23 2015-12-30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정전용량식 터치감지패널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KR20160022271A (ko) * 2014-08-19 2016-02-29 크루셜텍 (주) 하이브리드 스캔 방식 터치 검출을 위한 터치 검출 장치
WO2016028081A3 (ko) * 2014-08-19 2016-04-07 크루셜텍(주) 터치 검출 장치
US9817538B2 (en) 2015-01-08 2017-11-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9857929B2 (en) 2015-02-03 2018-01-0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880687B2 (en) 2014-11-13 2018-01-3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US9927916B2 (en) 2014-08-19 2018-03-27 Crucialtec Co., Ltd. Touch detection device with sensor pads having bar-shaped strips
KR20190093236A (ko) * 2018-01-31 2019-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739B1 (ko) 2012-12-21 2019-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TWI601049B (zh) * 2013-05-15 2017-10-0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互容式觸控感應裝置
CN104142753A (zh) * 2013-10-30 2014-11-12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装置
KR102089340B1 (ko) * 2016-08-31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4792B1 (ko) 2016-08-31 2018-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3607B2 (en) * 2004-05-06 2010-02-16 Apple Inc. Multipoint touchscreen
KR100885730B1 (ko) * 2007-03-05 2009-02-26 (주)멜파스 단순한 적층 구조를 갖는 접촉위치 감지 패널
TWI444876B (zh) * 2007-04-05 2014-07-11 Qrg Ltd 二維位置感應器
US8153016B2 (en) * 2007-10-03 2012-04-10 Apple Inc. Shaping a cover glass
KR100994608B1 (ko) * 2008-04-18 2010-11-15 (주)멜파스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57402A (ko) * 2008-11-21 2010-05-31 한국성전(주) 투명 터치 패널
KR101055510B1 (ko) * 2010-03-26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349B1 (ko) * 2013-04-30 2014-12-24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정전용량식 터치감지패널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WO2015002394A1 (ko) * 2013-07-05 2015-01-08 주식회사 티메이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96256B1 (ko) * 2013-07-05 2015-02-26 (주)티메이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0390B1 (ko) * 2013-08-28 2014-02-10 에스맥 (주) 터치 스크린 패널
WO2015034192A1 (ko) * 2013-09-03 2015-03-1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50031767A (ko) 2013-09-16 2015-03-25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터치패널
KR20150061260A (ko) 2013-11-27 2015-06-04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터치패널 및 이를 갖는 터치센싱장치
KR20150146283A (ko) 2014-06-23 2015-12-31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정전용량식 터치감지패널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WO2015199272A1 (ko) * 2014-06-23 2015-12-30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정전용량식 터치감지패널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KR20160022271A (ko) * 2014-08-19 2016-02-29 크루셜텍 (주) 하이브리드 스캔 방식 터치 검출을 위한 터치 검출 장치
WO2016028081A3 (ko) * 2014-08-19 2016-04-07 크루셜텍(주) 터치 검출 장치
US9927916B2 (en) 2014-08-19 2018-03-27 Crucialtec Co., Ltd. Touch detection device with sensor pads having bar-shaped strips
US9880687B2 (en) 2014-11-13 2018-01-30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integrated display device
US9817538B2 (en) 2015-01-08 2017-11-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10394407B2 (en) 2015-01-08 2019-08-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10845935B2 (en) 2015-01-08 2020-11-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11567607B2 (en) 2015-01-08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9857929B2 (en) 2015-02-03 2018-01-02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93236A (ko) * 2018-01-31 2019-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4543A (zh) 2013-04-01
TWI466001B (zh) 2014-12-21
KR101331964B1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964B1 (ko) 접촉 감지 장치 및 접촉 감지 장치 제조 방법
EP2575017A1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99864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459583B2 (en)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26062B2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6802746B (zh) 触摸面板和包括其的图像显示装置
US9746880B2 (en)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496097B2 (en) Touch window having improved electrode pattern structure
TWI715831B (zh) 觸控面板及穿戴式裝置
WO2020029371A1 (zh) 一种触摸屏及oled显示面板
US10191590B2 (en) Touch window
KR102159189B1 (ko) 표시 장치, 터치 패널 장치, 터치 패널 구동 ic 장치 및 터치 패널 구동 방법
KR20150009316A (ko) 터치 윈도우
US8780067B1 (en) Bridging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ouch panel
KR20170014424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41442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50123934A1 (en) Touch sensor module
KR10142747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KR101481526B1 (ko) 듀얼 접속회로부를 갖는 단일막 터치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30008313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1008A (ko)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