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5673A -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673A
KR20130035673A KR1020110100121A KR20110100121A KR20130035673A KR 20130035673 A KR20130035673 A KR 20130035673A KR 1020110100121 A KR1020110100121 A KR 1020110100121A KR 20110100121 A KR20110100121 A KR 20110100121A KR 20130035673 A KR20130035673 A KR 20130035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ing
home network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487B1 (ko
Inventor
황창환
반상희
홍성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487B1/ko
Priority to US13/585,324 priority patent/US10084827B2/en
Priority to CN201280048325.6A priority patent/CN103843283B/zh
Priority to EP16181735.8A priority patent/EP3104554B1/en
Priority to PCT/KR2012/006539 priority patent/WO2013048008A1/en
Priority to EP12834934.7A priority patent/EP2761814B1/en
Priority to EP20174773.0A priority patent/EP3713155B1/en
Priority to EP22177652.9A priority patent/EP4080854A1/en
Publication of KR2013003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673A/ko
Priority to US16/137,063 priority patent/US111905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487B1/ko
Priority to US17/489,298 priority patent/US1154638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홈네트워크에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된다.
또한,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Method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버에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들을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동일 서버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들을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PC(Personal Computer)등의 정보기기, 전화 등의 통신 기기, TV 등의 방송 기기, DVD(Digital Video Disc)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한 AV(Audio and Video)기기 등과 같은 각종 디바이스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이 제안되어 현재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홈 오토메이션은 초기에 전화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 기기들을 별도로 제어하는 수준이었다. 즉, 초기의 홈-오토메이션은 각 가전기기들 간에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전 기기들 간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두어 통합/관리하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전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홈네트워크 시스템' 이라 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home gateway) 또는 홈서버(home server)와 같은 제어기에 각종 네트워크 가전기기(예컨대, TV, 세탁기, 전자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디오, 에어컨, 보일러 등), 조명, 가스 밸브 및 현관문 등을 연결하고 특정 단말기(예컨대, 리모콘)를 통해 상기 디바이스들을 제어한다.
또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나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요구되는 디바이스간 데이터 공유를 효율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기술들을 응용한 디바이스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홈네트워크 상용화를 위한 공식적 협력체로서 2003년 6월 출범한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 명칭을 변경하여 새롭게 출범한 것이다.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공개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젼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여기서, UPn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가전 디바이스 간에 복잡한 설정 절차 없이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서, 한 디바이스가 가진 서비스를 다른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한편, DLNA에서 현재 도입된 가이드라인은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사이의 유무선 홈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브랜드와 제품 간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설계 원칙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컨텐츠(Media Contents)를 홈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런 DLNA 기반의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댁내 디바이스간 컨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데이터공유시스템은 디바이스의 특성과 통신환경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어하고, 보다 나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망 상의 다양한 서버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버와의 연동을 위해 서버에 등록이 필요한 경우 각 디바이스 별로 등록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서버에 접속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네트워크에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 서버에 위치하는 홈네트워크와 다른 홈네트워크에서, 상기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디바이스가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등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제품명,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를 서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서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문의하는 단계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활성화되는 단계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암호의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접속을 제한하는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암호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암호를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에 할당된 IP 주소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에 할당된 IP 주소와 서로 비교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와 다른 홈네트워크에 위치하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IP 주소들이 서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IP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IP 주소가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은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제품명,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제품명,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서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암호 문의의 수신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암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등록시키는 서버는 저장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시스템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디바이스, 상기 일정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홈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는 기술과 서버에 위치하는 홈네트워크와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다른 홈네트워크에 위치하는 또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될 수 있는 기술이 제공된다.
도 1은 서버에 복수의 홈네트워크들이 연결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이 나타난 절차도이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일실시예로, 디스플레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아이콘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아이콘(420)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20)을 통하여 제1 디바이스에 있는 컨테츠들(510)과 디바이스 관리 메뉴 아이콘(520)이 디스플레이(540)에 나타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등록 아이콘(520)이 선택된 경우,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를 찾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변경되는 도면이다.
도 7는 도 6에서 서치아이콘(620)이 선택된 경우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들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선택된 디바이스(720)가 서버에 등록된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9은 추가 등록된 디바이스의 상태와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의 컨텐츠 리스트가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서버에 제2 디바이스의 등록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설정된 응답에 따라서 제1 디바이스에서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1는 이미 등록된 디바이스의 계정을 이용하거나, 새롭게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계정을 생성하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0의 일실시예로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접속시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암호를 요청하는 절차도이다.
도 13은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제2 디바이스의 리스트들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제1 디바이스(1201)을 통하여 제2 디바이스(1302)가 선택된 경우, 제1 디바이스(1201)의 디스플레이(1401)에 암호 입력창(1402)이 나타나는 도면이다.
도 15은 도 14에서 상기 입력된 암호와 이미 설정된 암호가 동일하면, 제1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2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1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제3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써, 서로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또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되는 과정이 나타난 절차도이다.
도 18은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801)에서 제1 홈네트워크(1620) 및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찾기 위한 서치아이콘(1802)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19은 서치아이콘(1802)이 선택되어 제1 홈네트워크(1620)에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들과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리스트들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20은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리스트들(2002, 2003)이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905)에 나타난 도면이다.
도 21은 도 3의 절차도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도 12의 절차도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도 17의 절차도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을 지칭하며, 각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IP(Internet Protocol) 기반으로 하나의 기기관리장치에 연결되는 특정 네트워크 환경에서 복수개의 전자기기들의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 환경은 집, 사무실, 병원, 공장 등과 같이 일정 영역 내에서 복수개의 전자기기들이 구성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일정 영역은 홈네트워크, 댁내 네트워크, 건물내의 네트워크, 건물과 건물을 연결한 네트워크, 또는 동일 서버와 연결된 복수의 홈네트워크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서버에 복수의 홈네트워크들이 연결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은 서버에 디바이스가 등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일 예로서, 서버(110), 제1 홈네트워크(120), 및 제2 홈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서버(110)는 제1 홈네트워크(120) 및 제2 홈네트워크(130)와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홈네트워크(120, 130)는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있다.
서버(110)가 홈네트워크(120, 13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110)는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가 서버(110)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20)에는 서로 다른 디바이스, 즉 제1 디바이스(130) 또는 제2 디바이스(1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홈네트워크(130)에는 제1 홈네트워크(120)에 있는 디바이스들과는 다른 제3 디바이스(160), 또는 제4 디바이스(17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20)에 있는 제1 디바이스(130)와 제2 디바이스(140) 사이의 통신은 UPnP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제2 홈네트워크(150)에 있는 제3 디바이스(160)와 제4 디바이스(170) 사이의 통신은 UPnP를 사용할 수 있다.
동일 서버(110)에 연결된 제1 홈네트워크(120)과 제2 홈네트워크(150) 사이의 통신도 UPnP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된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디바이스(200)는 저장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제어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저장부(210)에는 암호, 아이디, 또는 디바이스(2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식별정보는 고유번호, 제품명, 시리얼번호 등과 같이 디바이스(20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220)에는 디바이스(200)와 서버(예, 도 1의 서버(110))간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230)는 디바이스(200)가 상기 서버에 등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일 디바이스(200)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30)은 UPnP를 기초로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간의 접속을 제어한다. 통신부(240)는 디바이스(200)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 상기 홈네트워크, 또는 상기 서버와 연결시켜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이 나타난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310)에서 서버(330)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는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한다(311). 다른 방식으로, 아이디와 암호는 미리 저장되어 있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서버(330)로 보내질 수도 있다.
서버(330)는 입력된 아이디와 암호를 확인하고 입력된 아이디 및 암호가 등록된 아이디 및 암호와 일치할 경우 승인 메시지를 제1 디바이스(310)에 보내어 제1 디바이스(310)의 서버(330)와 통신을 허용할 수 있다(331).
제1 디바이스(310)는 제어부(230)을 통하여 제1 디바이스(310)의 식별정보를 서버(330)에 보내어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312).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는 저장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330)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1 디바이스(310)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30)는 상기 등록의 확인신호를 제1 디바이스(310)에 보낼 수 있다(332).
제1 디바이스(310)가 서버(330)에 등록된 후, 제1 디바이스(310)는 통신부(240)을 통하여 홈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제2 디바이스(320)을 찾을 수 있다(313).
즉, 제2 디바이스(320)는 미사용 상태인 절전모드(Idle, 321)로 있으면서, 제2 디바이스(320)는 홈네트워크 상에 있는 제1 디바이스(310)에게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제2 디바이스(320)의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이용하여 홈네트워크 상에 있는 제2 디바이스(320)와 통신할 수 있다(313).
제2 디바이스(320)가 제1 디바이스(310)에게 상기 메시지를 보낼 때, 제2 디바이스(320)는 미사용 상태인 절전모드이거나 사용중인 상태인 활성화모드(Wake-Up)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는 제어부(230)을 통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2 디바이스(320)에게 서버(330)에 제2 디바이스(32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314).
제2 디바이스(320)가 절전모드 상태인 경우,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상기 등록 문의를 수신하면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322).
활성화된 제2 디바이스(320)는 서버(330) 등록에 필요한 제2 디바이스(320)의 메시지가 제1 디바이스(310)에게 전송될 수 있다(323).
메시지는 제2 디바이스(320)의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은 상기 수신된 제2 디바이스(320)의 메시지를 기초로 서버(330)에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330)는 수신된 등록 요청을 확인하고 제2 디바이스(320)을 등록한다(333).
서버(330)에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이 완료되면 제1 디바이스(310)는 서버(330)에 제2 디바이스(320)를 등록시키는 과정을 완료하고(316),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을 통하여 서버(330)에 등록되는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324).
서버(33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식별정보 및 제2 디바이스(32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제1 디바이스(310)와 통신하는 통신부, 제1 디바이스(310)를 통하여 제2 디바이스(32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으로부터, 각각의 디바이스를 통하여 각각 서버에 등록되는 것과 달리, 홈네트워크에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330)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복수의 디바이스를 갖고 있고 복수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만 서버에 등록되어 하나의 계정만 상기 서버에 형성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이미 만들어진 계정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다른 디바이스를 등록시킬 수 있다.
상기 계정은 디바이스의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정은 다른 디바이스의 정보와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자 정보 등이 추가할 수 있어,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상기 디바이스의 계정에 아이디와 암호이 입력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 10까지는 도 3이 적용된 일실시예이다.
도 4는 도 3이 적용된 일실시예로, 디스플레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아이콘이 나타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310)의 디스플레이(410)에 제2 디바이스(320)을 찾는 아이콘(420)이 나타날 수 있다.
아이콘(420)이 선택되면 홈네트워크에 있는 제2 디바이스(320)를 찾는 컨버전스 어플리케이션(convergence application)이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아이콘(420)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20)을 통하여 제1 디바이스에 있는 컨테츠들(510)과 디바이스 관리 메뉴 아이콘(520)이 디스플레이(540)에 나타난 도면이다.
상기 컨버전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도 5과 같이 이미 서버에 등록된 디바이스인 경우, 컨버전스 어플리케이션이 아이디 및 암호를 보내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에 로그인이 되고 상기 디바이스의 컨텐츠들(510)이 디스플레이부(22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540)에 나타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가 서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 디바이스(310)의 디스플레이(540)에 있는 아이콘(420)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에 접속을 위한 아이디와 암호가 디스플레이(540)에 나타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에 상기 아이디와 암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220)와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부(220)을 통하여 획득한 상기 아이디와 암호를 상기 서버에 보낼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아이디와 암호를 확인하고 제1 디바이스(310)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은 무선을 통하여 제1 디바이스(310)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에 나타난 가로막대(511)는 각 컨텐츠가 실행되어진 분량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가로막대(511)가 길게되면 컨텐츠가 모두 실행된 경우이고, 가로막대(511)이 짧게되면 컨텐츠가 일부분만 실행된 경우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1시간 분량의 영화인 경우, 사용자는 영화의 일부분만 볼 수 있다. 이때, 플레이된 영화의 분량은 30분인 경우 가로막대(511)는 중간 길이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1시간 분량의 영화를 모두 본 경우, 가로막대(511)의 길이는 길게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에 있는 등록 아이콘(520)이 선택되면 디바이스 관리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관리 메뉴는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찾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등록 아이콘(520)이 선택된 경우,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를 찾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로 변경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등록 아이콘(520)이 선택되면 도 5의 화면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홈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찾는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화살표바(610)는 디스플레이(630)가 상기 디바이스 관리 메뉴임을 표시한다.
도 6의 디스플레이(630)은 디스플레이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인 화살표바(610)와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를 찾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아이콘(6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0)에 있는 서치아이콘(620)이 선택되면, 디바이스를 통하여 홈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찾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630)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부(220)는 디스플레이(630)에 표시되는 화살표바(610), 또는 서치아이콘(6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는 도 6에서 서치아이콘(620)이 선택된 경우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들이 디스플레이(730)에 나타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730)에 표시된 다른 화살표바(710)는 디스플레이(730)의 화면은 디바이스의 리스트들(740)이 표시된 화면임을 나타낸다.
제어부(230)는 제1 디바이스(310)에 위치하고, 제1 디바이스(310)과 제2 디바이스(720)는 동일 홈네트워크 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복수의 디바이스 리스트들(740)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720)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30)은 제1 디바이스(310)가 제2 디바이스(720)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제1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선택된 디바이스(720)가 서버에 등록된 상태를 나타난 도면이다.
선택된 디바이스(720)가 서버에 등록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720)는 제2 디바이스(810, 320)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는 서버 등록에 필요한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810)에게 요청하고, 제2 디바이스(81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된 메시지를 제1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제2 디바이스(810)의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는 상기 수신된 제2 디바이스의 메시지를 기초로 서버에게 제2 디바이스(81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식된 상기 등록 요청을 확인하고 제2 디바이스(810)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화살표바(830)는 제2 디바이스(810)가 상기 서버에 등록된 상태(820)임을 표시한다.
도 9은 추가 등록된 디바이스의 상태와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의 컨텐츠 리스트가 나타낸 도면이다.
제2 디바이스(810)가 선택되면, 도 9과 같이 제2 디바이스(810)에 있는 컨텐츠들이 나타날 수 있다.
화살표바(910)는 디스플레이(930)에 나타난 컨텐츠(920)가 제2 디바이스(910)에 있는 컨텐츠(920)임을 표시한다.
막대기바(940)는 컨텐츠(920)가 실행된 용량을 나타낸다.
즉, 컨텐츠(920)가 모두 실행되면 막대기바(940)는 디스플레이(930)의 오르쪽 가장자리까지 늘어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컨텐츠(920)가 중간까지 실행된 경우 막대가바(940)은 디스플레이(930)의 중간까지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막대기바(940)의 길이를 통하여 컨텐츠(920)의 실행된 용량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서버에 제2 디바이스의 등록시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설정된 응답에 따라서 제1 디바이스에서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6와 같이 제1 디바이스는 홈네트워크에 있는 제2 디바이스를 찾아서 통신을 시도하고 서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할 때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에 대한 설정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될 때,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응답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접속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접속 구성은 설정 변경 프레임(10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설정 변경 프레임(1010)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접속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에 대한 다양한 방법을 나타낸다.
설정 변경 프레임(1010)에는 변경 아이템들(1020, 1030, 1040, 1050)이 있고, 변경 아이템들(1020, 1030, 1040, 1050)은 조건에 따라서 하나가 선택(1021)될 수 있다.
항상 허용(1020)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될 때,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로 등록 요청을 할 지에 대한 문의를 할 필요가 없이 항상 서버에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요청함을 나타낸다.
항상 요청(1030)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서버에의 등록 요청을 할 지에 대해 문의하는 것을 나타낸다.
항상 요청(1030)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접속을 요청하는 팝업창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나타난 상기 팝업창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을 허용, 또는 거절을 나타내는 문구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기정보, 즉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획득된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 보내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항상 거절(1040)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될 때,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통신을 허용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항상 거절(1040)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될 수 없다.
암호 요청(1050)은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될 때,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암호를 문의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화면을 통해 입력된 암호를 수신 및 확인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에 대해서 허용, 또는 거절할 수 있다.
암호 요청(1050)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할 때,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팝업창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에 입력된 암호와 이미 설정된 암호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암호인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팝업창에 입력된 암호가 상기 이미 설정된 암호와 다른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을 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기기정보, 즉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 보내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1는 이미 등록된 디바이스의 계정을 이용하거나, 새롭게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계정을 생성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과정은 도 4와 도 5, 또는 도 5와 도6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과정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서버에 이미 등록된 제1 디바이스의 계정(1110)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새롭게 제1 디바이스의 계정(1120)을 상기 서버에 생성하고 접속할 수 있다.
이미 등록된 계정(1110)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이미 등록된 계정(1110)을 이용하여, 즉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아이디와 암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아이디 및 암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새로운 계정(1120)은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미등록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 보내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등록을 상기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등록을 허락하면, 상기 서버에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계정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아이디와 암호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입력된 아이디와 암호를 상기 서버에 보내어, 상기 아이디와 암호가 상기 서버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입력되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암호는 제어부(230)과 디스플레이부(220)에서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아이디와 상기 암호는 저장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상기 서버에 저장된 아이디와 암호를 문의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문의 내용을 팝업창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상기 팝업창에 입력된 상기 아이디와 상기 암호는 상기 서버에 보내지고, 상기 서버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암호를 이미 저장된 아이디와 암호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아이디와 상기 암호가 상기 이미 저장된 아이디와 암호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2은 도 10의 일실시예로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접속시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에게 암호를 요청하는 절차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암호 요청(1050)에 대한 상세한 절차도를 나타낸다.
도 12은 도 3과 동일하며, 도 3의 단계에서 단지 암호 요청하는 단계(1220), 암호 입력하는 단계(1230)와 암호 확인하는 단계(1240)가 추가되었다.
제1 디바이스(1201)는 제2 디바이스(1202)로부터 메시지를 수식하고, 제2 디바이스(1202)에게 서버(1203)의 등록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1210).
제2 디바이스(1202)가 절전모드 상태인 경우, 제2 디바이스(1202)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활성화된 제2 디바이스(1202)는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암호를 요청(1220)할 수 있다.
암호 요청(1220)을 수신한 제1 디바이스(1201)는 상기 암호가 입력될 수 있는 팝업창을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는 상기 입력된 암호를 제2 디바이스(1202)에게 전송(1230)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1202)는 상기 전송된 암호를 수신하여 이미 설정된 암호와 일치 여부를 검토(1240)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암호는 이미 제2 디바이스(1202)에 저장된 암호일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암호와 상기 저장된 암호가 일치할 경우, 제2 디바이스(1202)는 서버(1203) 등록에 필요한 제2 디바이스(1202)의 메시지를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은 상기 수신된 제2 디바이스(1202)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버(1303)에게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1303)는 제1 디바이스(1201)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제1 디바이스(1201)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디바이스(1202)의 메시지를 확인하여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3에서 도 15까지는 도 12가 적용된 일실시예이다.
도 13은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제2 디바이스의 리스트가 나타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이 적용된 일실시예로, 서치아이콘(620)이 선택되어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들(1303)이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301)에 나타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201)에 나타난 디바이스의 리스트들(1303) 중 제2 디바이스(1302)가 선택되면, 제1 디바이스(1201)는 제2 디바이스(1302)를 서버에 등록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서 제1 디바이스(1201)의 디스플레이(1401)에서 제2 디바이스(1302)가 선택된 경우, 제1 디바이스(1201)의 디스플레이(1401)에 암호 입력창(1402)이 나타나는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1201)가 제2 디바이스(1202)로 접속시, 제2 디바이스(1202)는 제1 디바이스(1201)의 접속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암호 요청(1050)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2)가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암호를 요청하면, 암호 입력창(1402)은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401)에 나타날 수 있다.
암호 입력창(1402)에 암호가 입력되고 확인아이콘(1404)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입력된 암호를 제어부(230)에게 보낼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암호와 이미 설정된 암호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제1 디바이스(1201)가 제2 디바이스(1202)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입력창(1402)에 입력된 암호와 이미 설정된 암호가 동일하면,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디바이스(1202)는 제1 디바이스(1201)로부터 수신된 암호가 이미 설정된 암호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접속을 허용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는 제2 디바이스(1202)로부터 상기 허용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디바이스(1202)에게 식별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1202)는 제1 디바이스(1201)의 요청을 확인하고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정보를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는 제2 디바이스(120)가 서버(1203) 등록에 필요한 상기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은 상기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정보를 서버(1203)에 보내어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1203)는 수식된 상기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번호를 확인하고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화살표바(1510)는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520)가 서버(1203)에 제2 디바이스(1202)가 등록됨을 나타낸다(1530).
도 16은 제1 디바이스를 통하여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제3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되는 도면을 나타낸다.
서버(1610)는 제1 홈네트워크(1620) 및 제2 홈네트워크(163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홈네트워크(1620)는 디바이스들(1621, 1622)과 연결되어 있고, 디바이스들(1621, 1622)은 UPnP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홈네트워크(1630)는 디바이스들(1631, 1632)과 연결되어 있고, 디바이스들(1631, 1632)은 UPnP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서버에 연결된 제1 홈네트워크(1620)과 제2 홈네트워크(1630) 사이에도 UPnP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620)와 연결된 제1 디바이스(1621)는 UPnP를 통하여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제3 디바이스(1631)을 찾을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620)와 제2 홈네트워크(1630)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1 홈네트워크(1620)가 디바이스들(1621, 1622)에게 할당한 IP(Internet Protocol)들과 제2 홈네트워크(1630)가 디바이스들(1631, 1632)에게 할당한 IP들이 서로 동일하여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620)과 제2 홈네트워크(1630) 사이에 동일 I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 IP를 가진 디바이스들은 서로 통신할 수 없다.
상기 IP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홈네트워크(1620)의 IP들과 제2 홈네트워크(1630)의 IP들이 서로 비교되어 동일 IP가 존재하는지 검사되어야 한다.
상기 동일 IP를 서로 비교하는 방법은 제1 홈네트워크(1620)는 제1 홈네트워크의 IP들을 제2 홈네트워크(1630)에게 보내어 제2 홈네트워크(1630)가 제2 홈네트워크의 IP들과 서로 비교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또는, 제1 홈네트워크(1620)는 제2 홈네트워크(1630)에게 상기 제2 홈네트워크의 IP들을 문의하고 상기 제2 홈네트워크의 IP들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620)는 상기 획득한 제2 홈네트워크의 IP들과 상기 제1 홈네트워크의 IP들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 IP가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620)의 IP들과 제2 홈네트워크(1630)의 IP들 사이에 서로 동일한 IP가 있는 경우, 서로 충돌되는 IP의 주소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621, 1622, 1631, 1632)의 IP들 중 서로 충돌되는 IP는 충돌되지 않는 다른 IP로 변경하고, 상기 충돌 IP에 연결된 디바이스는 상기 충돌되지 않는 다른 IP로 재할당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1 홈네트워크(1620)와 제2 홈네트워크(1630)에서 이용중인 IP들은 서로 비교되어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IP의 주소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홈네트워크(1620)과 제2 홈네트워크(1630) 사이는 UPnP로 서로 통신이 가능하여 제1 디바이스(1621)는 제2 홈네트워크(1430)에 있는 제3 디바이스(1631)와 접속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621)는 제3 디바이스(1631)에게 제3 디바이스(1631)의 식별정보를 문의하고,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621)는 획득한 상기 제3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서버(1610)에 보내고, 서버(1610)에게 제3 디바이스(1631)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1610)는 상기 등록 요청을 확인하고, 제3 디바이스(1631)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는 메시지를 제1 디바이스(1621) 및 제3 디바이스(1631)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홈네트워크(1620)에 있는 제1 디바이스(1621)가 서버(1610)에 등록될 때 제1 디바이스(1621)의 계정이 서버(16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디바이스(1621)는 제3 디바이스(1631)을 상기 계정에 등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정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써, 서로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또 다른 홈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가 서버에 등록되는 과정이 나타난 절차도이다.
도 17는 도 3의 등록되는 과정과 동일하며, 도 3에서 설명된 부분과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홈네트워크(1620)와 제2 홈네테워크(1630)는 동일 서버(1610)로 연결되어 있고 제1 홈네트워크(1620)의 IP들과 제2 홈네트워크(1630)의 IP들 사이에 동일 IP가 없는 경우, 제1 홈네트워크(1620)에 있는 제1 디바이스(1701)는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제3 디바이스(1702)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701)과 제3 디바이스(1702)가 서로 통신하기 전에, 제1 홈네트워크(1620)에 있는 제1 디바이스(1701)에 할당된 IP 주소가 제2 홈네트워크(1630)에 보내질 수 있다(1704).
또는,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제3 디바이스(1702)에 할당된 IP 주소가 제1 홈네트워크(1620)에 보내질 수 있다(1704).
제2 홈네트워크(1630)로 보내진 제1 홈네트워크(1620)의 IP 주소는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제3 디바이스(1702)에 할당된 IP 주소와 서로 비교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701)에 할당된 IP 주소가 제3 디바이스(1702)에 할당된 IP 주소와 비교되어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두 개의 IP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IP 주소가 변경될 수 있다(1705).
즉, 동일한 IP 주소 중 어느 하나의 IP 주소가 다른 IP 주소로 재할당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701)에 할당된 IP 주소가 제3 디바이스(1702)에 할당된 IP 주소와 비교되어 서로 다른 경우, IP 주소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701)의 IP 주소가 제3 디바이스(1702)의 IP 주소와 다른 경우, 제1 디바이스(1701)는 제3 디바이스(1702)와 통신할 수 있다(1706).
제1 디바이스(1701)가 제3 디바이스(1702)와 통신한 이후 과정은 도 3에서 설명된 단계와 동일하다.
도 18에서 도 20까지는 도 17가 적용된 일실시예이다.
도 18은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801)에서 제1 홈네트워크(1620) 및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찾기 위한 서치아이콘(1802)이 나타난 도면이다.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601)에 있는 서치아이콘(1802)이 선택되면, 제1 디바이스(1701)는 제1 홈네트워크(1620)에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들과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리스트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9은 서치아이콘(1802)이 선택되어 제1 홈네트워크(1620)에 있는 디바이스의 리스트들과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리스트들이 나타난 도면이다.
제1 홈네트워크의 아이콘(1901)이 선택되면 제1 홈네트워크(1620)와 연결된 제1 디바이스(1902)와 제2 디바이스(1903)가 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905)에 나타날 수 있다.
제1 홈네트워크(1620)는 서버(1703)과 연결된 제2 홈네트워크(1630)와 접속할 수 있어서,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905)에는 제1 홈네트워크(1620)를 나타내는 아이콘(1901)과 제2 홈네트워크(1630)를 나타내는 아이콘(1904)이 나타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서버(1703)는 제1 홈네트워크(1620)과 제2 홈네트워크(1630)를 포함하고, 또한 각각의 홈네트워크(1620, 1630)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디바이스들은 서로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도 20은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리스트들(2002, 2003)이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905)에 나타난 도면이다.
도 17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홈네트워크(1620)에서 할당된 IP 주소들가 제2 홈네트워크(1630)에서 할당된 IP 주소들와 서로 충돌되지 않은 경우,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950)에는 다른 디바이스의 리스트들(2002, 2003)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제2 홈네트워크의 아이콘(2001)이 선택된 경우, 제2 홈네트워크(1630)에 있는 다른 디바이스의 리스트들(2002, 2003)이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905)에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1950)에 나타난 제3 디바이스의 리스트(2002)가 선택되면, 제1 디바이스(1701)는 제3 디바이스(1702)와 통신하고 제3 디바이스(1702)로부터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701)는 상기 획득된 제3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서버(1703)에 전송하여, 제3 디바이스(1702)가 서버(1703)에 등록될 수 있도록 요청할 수 있다.
서버(1703)는 제3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1은 도 3의 절차도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1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 S2101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310)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33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가 서버(330)에 접속하면, 서버(330)는 제1 디바이스(310)에게 아이디 또는 암호를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가 입력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팝업창에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가 입력될 수 있다.
서버(330)는 입력된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를 수신하고 이미 저장된 아이디 또는 암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1 디바이스(310)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S2102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31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식별정보를 서버(330)에 보내어 제1 디바이스(31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330)는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제1 디바이스(310)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S2103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320)는 제2 디바이스(320)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는 일정 영역 안에 위치하여, 제1 디바이스(310)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320)와 통신할 수 있다.
S2104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310)는 제2 디바이스(320)에게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문의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는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난 제2 디바이스(320)의 식별정보를 서버(330)에 보내어, 서버(330)에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S2105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320)는 상기 문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제2 디바이스(320)가 제2 디바이스(320)의 식별정보 등을 제1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상기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다.
S2106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320)의 사용자, 또는 제2 디바이스(320)의 사용 권한을 갖고 있는 자는 상기 등록 문의를 확인하고,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된 제1 디바이스(310)의 데이터를 이미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의 등록 문의에 대한 답변을 제1 디바이스(3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2107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310)가 제2 디바이스(320)로부터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허용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디바이스(310)는 서버(330)에게 제2 디바이스(320)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문의할 수 있다.
S2108 단계에서 서버(330)는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된 등록 문의를 수신하고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330)는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수신된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2 디바이스(320)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등록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2는 도 12의 절차도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도 21의 설명과 유사하면 암호를 문의하고 암호를 입력하는 단계가 추가되었다.
도 2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 S2201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201)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1203)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가 서버(330)에 접속하면, 서버(330)는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아이디 또는 암호를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1201)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가 입력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팝업창에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가 입력될 수 있다.
서버(1203)는 입력된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를 수신하고 이미 저장된 아이디 또는 암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1 디바이스(1201)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S2202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201)는 제1 디바이스(1201)의 식별정보를 서버(1203)에 보내어 제1 디바이스(310)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1203)는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제1 디바이스(1201)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S2203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1202)는 제2 디바이스(1202)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와 제2 디바이스(1202)는 일정 영역 안에 위치하여, 제1 디바이스(1201)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제2 디바이스(1202)와 통신할 수 있다.
S2204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201)는 제2 디바이스(1202)에게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문의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201)는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난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정보를 서버(1203)에 보내어, 서버(1203)에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S2205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1202)는 상기 문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제2 디바이스(1202)가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정보 등을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전송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상기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다.
S2206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1202)는 제1 디바이스(1201)가 접속시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암호를 문의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디바이스(1201)의 디스플레이에는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날 수 있다.
S2207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1201)에서 상기 암호 요청을 확인하고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상기 창에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암호가 상기 창에 입력되고 전송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암호는 제2 디바이스(1202)에게 전송될 수 있다.
S2208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1202)는 상기 암호를 확인하고 제1 디바이스(1201)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바이스(1202)는 상기 암호와 저장부(210)에 저장된 암호와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1 디바이스(1201)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2209 단계에서 제2 디바이스(1202)의 사용자, 또는 제2 디바이스(1202)의 사용 권한을 갖고 있는 자는 상기 등록 문의를 확인하고,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제2 디바이스(1202)는 제1 디바이스(1201)로부터 수신된 제1 디바이스(1201)의 데이터를 이미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1202)는 제1 디바이스(1201)의 등록 문의에 대한 답변을 제1 디바이스(1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S2210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201)가 제2 디바이스(1202)로부터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허용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디바이스(1201)는 서버(1203)에게 제2 디바이스(1202)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문의할 수 있다.
S2211 단계에서 서버(1203)은 제1 디바이스(1201)로부터 수신된 등록 문의를 확인하고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허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203)는 제1 디바이스(1201)로부터 수신된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2 디바이스(1202)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등록 과정 및 암호 문의하는 과정은 제어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7의 절차도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도 21의 설명과 유사하며 제1 홈네트워크와 제2 홈네트워크에서 할당한 IP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가 추가되었다.
도 23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 S2301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701)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1703)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701)가 서버(1703)에 접속하면, 서버(1703)는 제1 디바이스(1701)에게 아이디 또는 암호를 문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1701)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가 입력되는 팝업창이 활성화되고, 상기 팝업창에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를 입력될 수 있다.
서버(1703)는 입력된 상기 아이디 또는 상기 암호를 수신하고 이미 저장된 아이디 또는 암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제1 디바이스(1701)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S2302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701)는 제1 디바이스(1701)의 식별정보를 서버(1703)에 보내어 제1 디바이스(1701)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1703)는 상기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제1 디바이스(1701)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S2303 단계에서 제1 홈네트워크(1620)에서 할당된 IP 주소와 제2 홈테워크(1630)에서 할당된 IP 주소는 서로 비교될 수 있다.
상기 IP 주소를 비교하는 이유는 제1 홈네트워크(1620)와 제2 홈네트워크(1630)는 독립적 구성으로 각각의 홈네트워크는 IP 주소를 디바이스에 할당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의 독립적 구성으로 제1 홈네트워크(1620)와 연결된 제1 디바이스(1621)의 IP 주소와 제2 홈네트워크(1630)와 연결된 제3 디바이스(1631)의 IP 주소가 서로 중복될 수 있다.
S2304 단계에서 상기 IP 주소를 서로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IP 주소가 있는 경우에는 둘 중 어느 하나의 IP 주소는 다른 IP 주소로 재할당될 수 있다.
상기 재할당 과정을 통하여 제1 홈네트워크(1620)에서 할당된 IP 주소와 제2 홈네트워크(1630)에서 할당된 IP 주소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S2305 단계에서 동일 서버에 홈네트워크들이 연결되어 있고 홈네트워크 내에서는 서로 디바이스들끼리 통신이 가능하여 제1 디바이스(1701)는 제3 디바이스(1702)에 접속할 수 있다.
S2306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701)는 제3 디바이스(1702)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문의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701)는 제1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난 제3 디바이스(1702)의 식별정보를 서버(1703)에 보내어, 서버(1703)에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S2307 단계에서 제3 디바이스(1702)는 상기 문의 요청을 수신한 경우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는 제3 디바이스(1702)가 제3 디바이스(1702)의 식별정보 등을 제1 디바이스(1701)에게 전송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상기 활성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다.
S2308 단계에서 제3 디바이스(1702)의 사용자, 또는 제3 디바이스(1702)의 사용 권한을 갖고 있는 자는 상기 등록 문의를 확인하고,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승인할 수 있다.
또는, 제3 디바이스(1702)는 제1 디바이스(1701)로부터 수신된 제1 디바이스(1701)의 데이터를 이미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제3 디바이스(1702)는 제1 디바이스(1701)의 등록 문의에 대한 답변을 제1 디바이스(17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S2309 단계에서 제1 디바이스(1701)가 제3 디바이스(1703)로부터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허용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디바이스(1701)는 서버(1703)에게 제3 디바이스(1702)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문의할 수 있다.
S2310 단계에서 서버(1703)은 제1 디바이스(1701)로부터 수신된 등록 문의를 수신하고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1703)는 제1 디바이스(1701)로부터 수신된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와 저장부(210)에 저장된 제1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제3 디바이스(1702)의 등록을 허용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상기 등록 과정, IP 주소 비교 및 IP 주소 재할당의 과정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서버 120 : 제1 홈네트워크
130 : 제1 디바이스 140 : 제2 디바이스
150 : 제2 홈네트워크 160 : 제3 디바이스
170 : 제4 디바이스 210 : 저장부
220 : 디스플레이부 230 : 제어부
240 : 통신부

Claims (25)

  1.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디바이스가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제2 디바이스가 등록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제품명,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를 서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서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문의하는 단계가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가 활성화되는 단계가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암호의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접속을 제한하는 설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계정이 상기 서버에 생성되고, 상기 계정에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암호 문의를 수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암호를 송신하는 단계가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디바이스에 할당된 IP 주소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에 할당된 IP 주소와 서로 비교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와 다른 홈네트워크에 위치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P 주소들이 서로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IP 주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IP 주소가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6.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제품명,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18.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일정 영역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등록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고유번호, 제품명, 시리얼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디바이스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서버에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접속시 제2 디바이스로부터 암호 문의의 수신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암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24. 디바이스를 등록시키는 서버에 있어서,
    저장부;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있는 디바이스들을 등록시키는 서버
  25.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 디바이스;
    상기 일정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한 제2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의 등록을 제어하는 서버; 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시스템
KR1020110100121A 2011-09-30 2011-09-30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KR10190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21A KR101909487B1 (ko) 2011-09-30 2011-09-30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US13/585,324 US10084827B2 (en) 2011-09-30 2012-08-14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EP16181735.8A EP3104554B1 (en) 2011-09-30 2012-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PCT/KR2012/006539 WO2013048008A1 (en) 2011-09-30 2012-08-17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CN201280048325.6A CN103843283B (zh) 2011-09-30 2012-08-17 用于将装置登记到服务器中的方法和设备
EP12834934.7A EP2761814B1 (en) 2011-09-30 2012-08-17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EP20174773.0A EP3713155B1 (en) 2011-09-30 2012-08-17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EP22177652.9A EP4080854A1 (en) 2011-09-30 2012-08-17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US16/137,063 US11190555B2 (en) 2011-09-30 2018-09-20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US17/489,298 US11546389B2 (en) 2011-09-30 2021-09-29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device to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121A KR101909487B1 (ko) 2011-09-30 2011-09-30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673A true KR20130035673A (ko) 2013-04-09
KR101909487B1 KR101909487B1 (ko) 2018-12-19

Family

ID=4799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121A KR101909487B1 (ko) 2011-09-30 2011-09-30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084827B2 (ko)
EP (4) EP3713155B1 (ko)
KR (1) KR101909487B1 (ko)
CN (1) CN103843283B (ko)
WO (1) WO20130480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90A1 (ko) * 2013-09-23 2015-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5170A1 (en) 2013-12-19 2015-06-2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figuring a network connected appliance to use online services
KR102147237B1 (ko) * 2013-12-27 202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장치
US9276914B2 (en) 2014-04-15 2016-03-01 Google Inc. Auto-user registration and unlocking of a computing device
US20160134929A1 (en) * 2014-11-07 2016-05-12 Qualcomm Incorporated Collaborative Distributed/Unstructured Service Management Framework for Wireless-Display Platform
US11489690B2 (en) * 2014-12-19 2022-11-01 Smartlabs, Inc. System communication utilizing path between neighboring networks
US20170048310A1 (en) * 2015-08-14 2017-02-16 Google Inc. Peer-to-peer enabled activation
US9806900B2 (en) * 2015-10-05 2017-10-31 Savant Systems, Llc Wireless provisioning and configuring of hardware elements of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999331B1 (en) * 2016-07-06 2021-05-04 Google Llc Reverse discovery and pairing of client devices to a media device
WO2019128541A1 (en) * 2017-12-31 2019-07-04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home devices
CN116204088A (zh) * 2018-03-26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US11455075B2 (en) 2018-04-19 2022-09-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when application is exited and terminal
EP3949332A1 (en) 2019-05-06 2022-02-09 Apple Inc. Standalone wearable device configuration and interface
US11528271B2 (en) * 2019-05-06 2022-12-13 Apple Inc. Authenticating and creating accounts on behalf of another user
US11669883B2 (en) 2019-06-01 2023-06-06 Apple Inc. Security model and interface for digital purchases on a wearab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6688A1 (en) * 2007-10-01 2009-04-02 Verizon Services Organization Inc. Remote access to a customer home network
US20090287802A1 (en) * 2008-05-19 2009-11-19 Nokia Corporation UPnP/DLNA device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66B1 (ko) 2001-04-17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방법 및 홈네트워크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과 그방법
KR100474485B1 (ko) * 2002-03-11 200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내의 독립망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85769B1 (ko) 2002-05-14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홈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네트워크장치간의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40583B1 (ko) * 2002-05-16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인터넷에 의한 댁내망의 UPnP장치 관리제어 장치및 방법
JPWO2005015420A1 (ja) 2003-08-11 2006-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CN1853190B (zh) 2003-08-11 2010-06-09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和通信方法
DE602005027061D1 (de) * 2004-04-23 2011-05-05 Panasonic Corp Servervorrichtung, client-vorrichtung und netzwerksystem
KR20070009659A (ko) 2004-06-30 2007-01-1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시스템 및 전송 제어 방법 그리고 거기에 이용하는 전화 장치, 통신 장치 및 통신용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1099357A (zh) * 2005-01-13 2008-01-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信系统、终端设备以及通信设备
JP4781743B2 (ja) * 2005-05-06 2011-09-28 任天堂株式会社 通信ゲームシステム
JP4045458B2 (ja) * 2005-08-31 2008-02-1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
KR20070063178A (ko) 2005-12-14 2007-06-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무선 정보기기 등록 장치 및방법
US8984279B2 (en) 2006-12-07 2015-03-17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System for user-friendly access control setup using a protected setup
EP2129054B1 (en) 2007-03-29 2015-10-28 Fujitsu Limit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KR100929773B1 (ko) * 2007-10-26 2009-12-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WO2010021110A1 (ja) * 2008-08-18 2010-0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アクセス許可登録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US9183560B2 (en) * 2010-05-28 2015-11-10 Daniel H. Abelow Reality alternate
US9122861B2 (en) * 2010-07-30 2015-09-01 Sony Corporation Managing device connectivity and network based services
JP5590146B2 (ja) * 2010-11-29 2014-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サービス品質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9054892B2 (en) * 2012-02-21 2015-06-09 Ecolink Intellig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remote network devices with a control device
KR102046094B1 (ko) * 2013-04-23 2019-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이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86688A1 (en) * 2007-10-01 2009-04-02 Verizon Services Organization Inc. Remote access to a customer home network
US20090287802A1 (en) * 2008-05-19 2009-11-19 Nokia Corporation UPnP/DLNA device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90A1 (ko) * 2013-09-23 2015-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 디바이스가 홈 디바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US10200366B2 (en) 2013-09-23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by which user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transmits home-device-related information
US11178144B2 (en) 2013-09-23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by which user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transmits home-device-relate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80854A1 (en) 2022-10-26
EP3713155B1 (en) 2022-06-15
EP3713155A1 (en) 2020-09-23
US20130086232A1 (en) 2013-04-04
CN103843283B (zh) 2018-09-18
US10084827B2 (en) 2018-09-25
EP2761814A4 (en) 2015-07-15
EP3104554B1 (en) 2020-06-10
US20220021714A1 (en) 2022-01-20
EP3104554A1 (en) 2016-12-14
EP2761814A1 (en) 2014-08-06
EP2761814B1 (en) 2016-09-21
KR101909487B1 (ko) 2018-12-19
US11546389B2 (en) 2023-01-03
CN103843283A (zh) 2014-06-04
US20190028519A1 (en) 2019-01-24
WO2013048008A1 (en) 2013-04-04
US11190555B2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487B1 (ko) 디바이스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장치
EP1851596B1 (en)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EP2151723B1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1378555B1 (ko) 제어된 환경 내의 컴포넌트를 자동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02932423B (zh) 一种限定区域内的控制方法和设备
CA258982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tup of multi-device control
JP2012022706A (ja) 制御環境内のコンポーネントを自動的に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201501887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control devices in server
CN103188284A (zh) 一种家庭网络间媒体资源信息共享的方法及设备
KR20010103011A (ko) 텔레비전과 통신 시스템 및 텔레비전들 간의 통신 제공 방법
KR101386653B1 (ko) 호환성 검증 장치 및 방법
KR20150002471A (ko)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