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4494A -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 Google Patents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4494A
KR20130034494A KR1020110098532A KR20110098532A KR20130034494A KR 20130034494 A KR20130034494 A KR 20130034494A KR 1020110098532 A KR1020110098532 A KR 1020110098532A KR 20110098532 A KR20110098532 A KR 20110098532A KR 20130034494 A KR20130034494 A KR 20130034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drop
pressure plate
ai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646B1 (ko
Inventor
백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9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6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1/00Safety devices, e.g. signalling or controlling devices for use in the discharge of c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승관 소제 작업시 사용되는 에어 노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공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압력판;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판을 지지하기 위한 압력판 지지대; 상기 압력판과 상기 압력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고,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압력판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의 유입되는 공기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질 때 상기 공기의 압력 하락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하락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SAFETY VALVE FOR DETECTING PRESSURE DROP}
본 발명은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 상승관 소제 작업시 사용하는 에어 노즐(AIR NOZZLE)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은 석탄을 장입하여 코크스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코크스 오븐에서 석탄을 건류할 때 발생하는 원료 가스(RAW GAS)는 상승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 때, 상승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원료 가스는 굴곡지거나 가스 흐름의 방향이 바뀌는 부위에 카본(CARBON)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카본층을 주기적으로 소제를 해주지 않으면 카본층이 두꺼워져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카본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상승관의 소제 작업을 행하고 있다.
즉, 상승관의 소제 작업시 화염의 분출을 막고 소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에어 노즐(AIR NOZZLE)을 이용하여 화염을 밀어 내면서 소제 작업을 하고 있다.
대체적으로, 에어 노즐에서 이용하는 공기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현장에 공통으로 연결된 공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 설비에서 공기 사용이 많아지게 되는 등의 이유에 의하여 상승관 소제 작업시 사용하는 에어 노즐의 공기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에어 노즐의 공기 압력이 하락하여도 작업자에게 공기 압력 하락을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상승관의 소제 작업시 작업자에게 느껴지는 화염의 감각으로 작업을 하게 되므로, 에어 노즐의 공기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서 에어 노즐을 이용하여 화염을 밀어 내면서 작업할 때, 화염이 작업자에게로 향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화상 재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코크스 오븐 상승관의 소제 작업시 에어 노즐에 부착되어 공기 압력 하락 발생시 공기의 압력 하락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압력 하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의 화상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승관 소제 작업시 사용되는 에어 노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공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압력판;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판을 지지하기 위한 압력판 지지대; 상기 압력판과 상기 압력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고,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압력판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의 유입되는 공기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질 때 상기 공기의 압력 하락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하락 감지부를 포함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에서 압력 하락이 감지되면, 작업자에게 공기의 압력이 하락되었다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고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는 상기 압력판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에서 상기 압력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압력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판 지지대에는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 지지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에어 노즐과 결합되어 상기 에어 노즐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니플(nipple)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는 상기 밸브 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압력 하락 감지구;
상기 압력 하락 감지구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력판이 압력실을 차단하면 상기 유입구에 유입된 공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를 열어주는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 및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상기 압력판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판과 같이 일체로 이동하는 압력 하락 감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하락 감지대는 상기 압력판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고 신호 발생부는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의 유출구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고,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에어 혼(ari hor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코크스 오븐 상승관의 소제 작업시 에어 노즐에 부착되어 공기의 압력 하락 발생시 공기의 압력 하락을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크스 오븐 상승관 소제 작업시 에어 노즐의 공기의 압력 하락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 화상 재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압력판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압력판이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도시한 의 개략도로서, 압력판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가 에어 노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압력판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압력판이 닫히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를 도시한 의 개략도로서, 압력판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가 에어 노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10)는, 상승관 소제 작업시 에어 노즐(20)의 공기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가에 경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10)는, 에어 노즐(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공기의 유입구(111) 및 유출구(121)를 갖는 밸브 본체(100);
상기 밸브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상기 밸브 본체(10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압력판(200);
상기 밸브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압력판 지지대(210);
상기 압력판(200)과 상기 압력 지지대(210)를 서로 연결시키고,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220); 및
상기 압력판(2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100) 내부의 유입되는 공기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 하락 감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10)는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에서 압력 하락이 감지되면, 작업자에게 에어 노즐(20)의 공기의 압력이 하락되었다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고 신호 발생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1)는 상기 밸브 본체(10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21)는 상기 밸브 본체(10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본체(100)의 중간부 내측에는 상기 압력판(20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실(13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압력실(130)은 상기 밸브 본체(100)의 유입구(111)가 형성된 유입부(110)와, 상기 유출구(121)가 형성된 유출부(12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실(130)은 상기 유입부(110)와 상기 유출부(1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실(13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공기의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질 때 상기 압력판(200)이 압력실(130)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시트(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200)의 일단부는 상기 밸브 시트(131)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200)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상기 밸브 본체(100) 내부에서 상기 압력판(2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압력판 가이드부재(230)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판 지지대(210)에는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가 압력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는 상기 압력판(200)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는 상기 압력판(200)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구멍(2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한 크기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압력판 가이드 부재(230) 및 상기 가이드구멍(211)은 상기 압력판(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그 단면형상을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211)의 직경은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판 지지대(210)에는 상기 탄성부재(20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2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40)의 높이는 상기 탄성부재(220)가 완전히 압축되었을 때도 상기 압력판(200)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상기 탄성부재(220)의 최대로 압축된 상태의 길이나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본체(100)의 일단부에는 상기 에어 노즐(200)과 결합되어 상기 에어 노즐(20)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니플(nipple)(14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니플(140)에는 상기 밸브 본체(100)의 유입구(111)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는 관통구멍(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 본체(100)의 유출부(120)는 상기 에어 노즐(20)과 연통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는 상기 밸브 본체(100)의 유입부(110)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구(311) 및 유출구(313)를 갖는 압력 하락 감지구(310);
상기 압력 하락 감지구(3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력판(200)이 압력실(130)을 차단하면 상기 유입구(311)에 유입된 공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313)를 열어주는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 및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상기 압력판(200)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판(200)과 같이 일체로 이동하는 압력 하락 감지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의 크기는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에 공기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가 유입구(311)를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3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하락 감지대(330)는 상기 압력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압력 하락 감지대(330)는 상기 압력판(200)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311)와 상기 유출구(313) 사이에는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가 유입구(311)를 차단할 수 있는 밸브 시트(3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313)는 상기 밸브 시트(315)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유입구(3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고 신호 발생부(400)는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유출구(313)에 연결되는 연결관(410);
상기 연결관(410)과 결합되고, 상기 유출구(313)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에어 혼(ari horn)(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10)의 니플(140)과 유출부(120)는 에어 노즐(20, 20)과 각각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고,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유출구(313)는 연결관(410)에 의하여 에어 혼(4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에어 노즐(20)의 공기는 니플(140)의 관통구멍(141)을 통하여 상기 밸브 본체(100)의 유입구(111)를 통하여 압력실(130)로 유입되어 상기 압력판(200)에 공기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압력판(200)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공기 압력이 가해지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판(200)은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도 1의 하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는 압력판 지지대(210)의 가이드구멍(211)을 따라서 안내되어 압력판(20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고, 상기 압력판(200)은 밸브 시트(13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압력판(200)과 압력실(13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고, 상기 압력실(130)로 유입되는 공기는 도 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을 통하여 상기 유출구(121)로 흘러가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압력판(200)의 하방 이동에 따라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압력 하락 감지대(330)도 압력판(200)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가 밸브 시트(315)를 차단하게 되어,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유출구(313)를 통한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에어 노즐(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압력판(200)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이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이 상기 압력판(200)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크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압력판(200)은 도 2의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는 상기 압력판 지지대(210)의 가이드구멍(211)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압력판(20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고, 상기 압력판(200)은 밸브 시트(131)와 근접하게 되어 상기 압력판(200)과 압력실(130) 사이에 아주 작은 간극만이 발생되고, 상기 압력실(130)로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을 통하여 상기 유출구(121)로 흘러가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압력판(200)의 상방 이동에 따라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압력 하락 감지대(330)도 압력판(200)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가 밸브 시트(315)를 열어주게 되어, 상기 유입구(31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도 2의 일점쇄선과 같이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유출구(313)를 통하여 유출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노즐(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더욱 낮아져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상기 압력판(200)에 가해지는 공기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이 압력판(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극복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압력판(200)은 도 3과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230)는 압력판 지지대(210)의 가이드구멍(211)을 따라서 안내되어 압력판(20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게 되고, 상기 압력판(200)은 밸브 시트(131)에 안착되면서 압력실(130)을 차단하여 상기 압력판(200)과 압력실(130)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밸브 본체(100)의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는 압력실(130)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압력판(200)의 상방 이동에 따라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압력 하락 감지대(330)도 상기 압력판(200)과 함께 상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320)가 밸브 시트(315)와 이격되면서 유출구(313) 열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 본체(100)의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는,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유입구(311)를 통과한 후 도 3의 일점쇄선과 같이 압력 하락 감지부(300)의 유출구(313)를 통하여 유출된다.
이와 같이 유출된 공기는 상기 경고 신호 발생부(400)의 연결관(410)을 통하여 에어 혼(420)으로 유입되고, 상기 에어 혼(420)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혼(420)에 일정한 크기의 공기 압력을 가함에 따라 상기 에어 혼(420)은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관 소제 작업시 에어 노즐(20)의 공기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질 때, 상기 에어 혼(420)에 의하여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경고음에 의한 경고 신호를 보내어 안전 작업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20: 에어 노즐
100: 밸브 본체 200: 압력판
210: 압력판 지지대 220: 탄성부재
300: 압력 하락 감지부 400: 경고 신호 발생부
410: 연결관 420: 에어 혼

Claims (9)

  1. 상승관 소제 작업시 사용되는 에어 노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공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압력판;
    상기 밸브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판을 지지하기 위한 압력판 지지대;
    상기 압력판과 상기 압력 지지대를 서로 연결시키고,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압력판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의 유입되는 공기 압력이 일정한 크기 이하로 낮아질 때 상기 공기의 압력 하락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하락 감지부
    를 포함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에서 압력 하락이 감지되면, 작업자에게 공기의 압력이 하락되었다는 경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경고 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의 사이에는 상기 압력판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실이 형성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상기 밸브 본체 내부에서 상기 압력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압력판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압력판 지지대에는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구멍이 형성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판 지지대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이 설치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일단부에는 상기 에어 노즐과 결합되어 상기 에어 노즐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니플(nipple)이 제공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는 상기 밸브 본체의 유입구에 설치되고, 공기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압력 하락 감지구;
    상기 압력 하락 감지구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력판이 압력실을 차단하면 상기 유입구에 유입된 공기 압력에 의하여 상기 유출구를 열어주는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 및
    상기 압력 하락 감지 플러그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고, 상기 압력판과 서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판과 같이 일체로 이동하는 압력 하락 감지대
    를 포함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하락 감지대는 상기 압력판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 가이드부재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신호 발생부는 상기 압력 하락 감지부의 유출구에 연결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과 결합되고, 상기 유출구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경고음을 발생하는 에어 혼(ari horn)을 포함하는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KR1020110098532A 2011-09-28 2011-09-28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KR10130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532A KR101309646B1 (ko) 2011-09-28 2011-09-28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532A KR101309646B1 (ko) 2011-09-28 2011-09-28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494A true KR20130034494A (ko) 2013-04-05
KR101309646B1 KR101309646B1 (ko) 2013-09-17

Family

ID=4843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532A KR101309646B1 (ko) 2011-09-28 2011-09-28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7013A (zh) * 2021-11-25 2022-04-12 常州江南冶金科技有限公司 双联阀及荒煤气调节阀三阀联动单孔炭化室压力精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2042C (en) * 1988-09-09 1994-09-20 Donald R. Gneiding Tire inflation valve having overpressure and flow control
KR200256119Y1 (ko) * 2001-09-08 2001-12-20 김두현 유체감지용 이중 체크밸브
KR101078177B1 (ko) * 2009-04-06 2011-10-2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과압안전밸브를 구비한 압력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7013A (zh) * 2021-11-25 2022-04-12 常州江南冶金科技有限公司 双联阀及荒煤气调节阀三阀联动单孔炭化室压力精调装置
CN114317013B (zh) * 2021-11-25 2024-01-26 常州江南冶金科技有限公司 双联阀及荒煤气调节阀三阀联动单孔炭化室压力精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646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22064U (zh) 用于热加工工件的机器
US8652242B2 (en) Dust collection device
KR101309646B1 (ko) 압력 하락 감지용 안전 밸브
US20070272506A1 (en) Sensor Device for Indicating Wear States on Contact Bodies
KR20110115990A (ko) 화재진압용 스모크 디텍터 장치
KR20120017451A (ko) 블리더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용광로 배기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대응하는 블리더 밸브
CN109152973B (zh) 一种手动应急操作的集尘器用隔膜阀
CN102225226B (zh) 生物质烟气火星熄灭装置
CN109291427B (zh) 一种穿套装置
KR101382167B1 (ko) 부생가스 이송배관의 이상압력 해소장치
KR101253540B1 (ko) 위험물 보관함 안전시스템
KR20130099402A (ko) 맨홀용 안전장치
CN111022719A (zh) 一种燃煤锅炉压力自平衡系统
KR101384631B1 (ko) 고로의 대탕도 고정 커버 침식 방지장치
KR101611619B1 (ko) 노 내부 측정보조장치
EP3019246A1 (en) Air induction nozzle
KR101453665B1 (ko) 피더콘 가스누출 방지장치
KR101832222B1 (ko) 크레인
US20050150828A1 (en) Separation device
JP5271311B2 (ja) 集塵装置
KR20160106398A (ko) 가스처리장치 및 가스처리방법
CN220633423U (zh) 排料废气收集装置和排料废气收集系统
CN217604111U (zh) 一种防爆燃烧系统
KR101998759B1 (ko) 소화 설비 및 소화 방법
KR101159664B1 (ko) 고로용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